KR20180009408A -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 Google Patents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408A
KR20180009408A KR1020160090625A KR20160090625A KR20180009408A KR 20180009408 A KR20180009408 A KR 20180009408A KR 1020160090625 A KR1020160090625 A KR 1020160090625A KR 20160090625 A KR20160090625 A KR 20160090625A KR 20180009408 A KR20180009408 A KR 20180009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
data
ontology
space
so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만
신병헌
김성실
최인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9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408A/en
Publication of KR2018000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 G06F17/2745
    • G06F17/3073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ceness extraction syste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and a method thereof. The method comprises: collecting unstructured data on the Internet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blogs; generating structured data based on ontology containing five ws and one h; and analyzing and inferring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a place based on the data.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온톨로지를 이용한 장소성 추출 시스템 및 방법{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아래의 설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블로그 등 인터넷에 있는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육하원칙을 내포하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정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장소에 대한 물리적, 사회적 및 문화적인 의미를 분석 및 추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xplains how to collect unstructured data on the Internet,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blogs, to generate formalized data based on the ontology that includes the two-way and five-way rules, And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reasoning cultural meaning.

최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GPS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바탕으로 주변 정보를 검색하고 추천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의 발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 Yelp, Foursquare, Google Now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위치기반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위치와 검색 대상이 되는 장소의 물리적인 특성 및 피상적인 정보를 기준으로 검색 및 추천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처한 상황과 사용자의 구체적인 의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비록 다른 사용자들의 평점과 의견을 검색 결과에 함께 노출시키고 SNS 상의 친구의 의견을 반영하는 등의 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나, 여전히 추천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다양성과 의도, 추천하던 당시의 상황에 대한 맥락 등이 검색 및 추천 과정에서 누락되어 있으므로 정보의 검색 및 추천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s greatly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Service (LBS), which searches and recommends peripheral information based on user's real-time location using GPS built in mobile device It appears to be prominent. Typical examples are Yelp, Foursquare, and Google Now. However, existing location-based services perform search and recommendation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uperficial information of the place to be searched, and do not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user using the service and the specific intention of the user It has limitations. Although there are systems such as exposing the ratings and opinions of other users together in the search results a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friends in the SNS, the social diversity and intention of the users who are still recommended, and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recommend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cy of searching and recommendation of information is lowered because it is omitted in the recommendation process.

Dourish와 Harrison의 연구에 따르면, 하나의 물리적인 공간은 그 공간에 방문하여 활동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맥락에 의해서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한 장소가 갖는 다면적인 사회적 맥락을 장소성(placeness)으로 정의한다. 현재의 위치기반 서비스들은 검색 대상이 되는 장소들에 대한 사회적 맥락이나 방문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장소 검색 및 추천을 위해서는 특정 장소가 사용자의 방문 의도와 사회적 맥락에 부합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단서를 수집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의 수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 to Dourish and Harrison's research, one physical space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meanings by the social context of the users who visit the space, and thus, placeness). Current location-based service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context or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the sites they are searching for. Therefore, in order to search for and recommend accurate place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place meets user's intention and social context The need for manual service providers to collect clues and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종래의 기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내용을 이용한 행위 온톨로지 모델 및 스키마 설계"는 SNS에 게시된 내용을 분석하여 행위를 정의하고 사람의 행위를 표현할 수 있는 행위 온톨로지 모델 및 스키마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사용자의 행위만을 분석하여 정보 추천에 활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문맥에 대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행위는 특정 공간에서 특정 문맥을 가지고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정황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의 행위만을 이해하는 시도는 특정 행위의 의도와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Conventional technology "Behavioral ontology model and schema design using contents of social network service" proposes behavior ontology model and schema that can analyze behaviors posted on SNS and express human behavior. However, since the existing inventions analyze only the behavior of the user and use it for information recommend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ntext is lacking.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understand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a certain act by attempting to understand only the behavior of the user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본 발명은 특정 장소의 장소성을 소셜 데이터에 기반한 방문자 (Dweller), 동반자(With), 목적(What), 행위(Activity), 감정(Opinion), 공간(Space), 시간(When) 클래스들의 인스턴스, 속성 및 관계로 모델링함으로써 한 장소의 다측면(multi-facet)적인 정보 축적을 가능하게 하고, 온톨로지 지식 체계에 의거한 장소의 물리적 특성, 문화적 의미 및 사회적 행위를 추론하여 특정 장소에 대하여 사회적 맥락을 활용하는 정확한 검색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place in a specific place based on social data based on an instance of a visitor (Dweller), a companion (With), a What, an activity, an Opinion, a space, , Faceted information accumulation in a place by modeling it in terms of attributes,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and inf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cultural meanings, and social behaviors of the place based on the ontology knowledge system, To provide precise search and location information.

데이터 분석 모듈에서는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블로그 등 다양한 종류의 웹 서비스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수집 작업을 수행한 뒤 특징 키워드 (Feature Keyword)를 추출 및 통합하고, 데이터 추상화 모듈에서는 추출한 키워드들을 annotation 하고 각 장소별로 장소 방문 경험을 정형화된 키워드 셋으로 축적하고, 추론 엔진에서는 정형화 데이터로부터 장소성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학습한 의사결정 트리를 생성하고, 빈도 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장소성들을 도출하여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The data analysis module automatically collects and integrates feature keywords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web service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logs. The data abstraction module annotates the extracted keywords, The inference engine accumulates the place visit experience by a set of standardized keywords. The inference engine generates a decision tree based on the place-based ontology from the formalization data, and derives the different place names based on the frequency number and provides them as an interface .

본 발명은 특정 장소의 장소성을 소셜 데이터에 기반한 방문자 (Dweller), 동반자(With), 목적(What), 행위(Activity), 감정(Opinion), 공간(Space), 시간(When) 클래스들의 인스턴스, 속성 및 관계로 모델링함으로써 한 장소의 다측면(multi-facet)적인 정보 축적을 가능하게 하고, 온톨로지 지식 체계에 의거한 장소의 물리적 특성, 문화적 의미 및 사회적 행위를 추론하여 특정 장소에 대하여 사회적 맥락을 활용하는 정확한 검색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place in a specific place based on social data based on an instance of a visitor (Dweller), a companion (With), a What, an activity, an Opinion, a space, , Faceted information accumulation in a place by modeling it in terms of attributes,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and inf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cultural meanings, and social behaviors of the place based on the ontology knowledge system, To provide accurate search and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장소성 추출 및 정형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장소성 추출 및 정형화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Cranshaw et al.이 장소성 정의를 위해 사용한 미가공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Shaefer et al.의 연구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예시이다.
도 5는 커뮤니티 제작 후기로부터 동사와 명사의 쌍을 추출하는 시스템 아키텍처 및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온톨로지 기반의 장소 관련 요소 구조화 예시이다.
도 8은 Alaya et al.의 연구에서 활용한 온톨로지 및 인스턴스 예시이다.
도 9는 장소에 대한 계층구조적 정의의 예시이다.
도 10은 장소성 정형화(Placeness Structualization) 및 추론(Placeness Inferencing)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장소성 온톨로지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이미지 분석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간 장소 추천 시 실시간 맥락 적용 및 장소 세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세부 인기 장소별 특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사용자의 통시적/즉시적 맥락 반영을 위한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관련도 추론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사용자 감성을 고려한 선호 장소 추천을 위한 세부 장소 관련 온라인 정보의 감성 특성 정형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lity extraction and shaping system.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lity extraction and formatting system.
Figure 3 is a plot of the raw data used for locality definition by Cranshaw et al.
Figure 4 is an example of processing user input data in a study by Shaefer et al.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rchitecture and process for extracting pairs of verbs and nouns from the community production period.
6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database.
7 is an example of structuring a place-related element based on an ontology in a location-based service.
Figure 8 is an example of an ontology and instance used in the study of Alaya et al.
Figure 9 is an example of a hierarchical definition of a place.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laceness Structualization and Placeness Inferencing steps.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locality-based ontology model.
1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image analysis test.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requirements analysis and locality-based formalization and reasoning techniques for deriving the multisocial meaning of space.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feature location-based property shaping and reasoning technique based on a big data analysis for real-time context application and place segmentation in a real-time place recommendatio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lace-user multi-dimensional network related relevance inference technique for reflecting a user's instantaneous / immediate context.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shap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on-line related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a preferred place in consideration of user's emotions.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IoT 로부터 다양한 정보 습득이 가능한 스마트 공간에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실시간 위치기반 지능형 정보 추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소성 기반 데이터 마이닝 핵심기술 중에서 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자의 사회적 행위 이력을 기반으로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소기술 설계를 서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based data mining core technology for supporting an optimal real-time location-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service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in a smart space capable of acquiring various information from a smart phone and IOT, This course analyzes the requirements for placeformatting and reasoning techniques to derive multisocial semantics of space based on behavioral history and describes elemental technology design.

사람이 장소를 방문할 때에는 방문하고자 하는 목적과 현재 위치, 동행하는 사람들, 기타 개인의 요구사항 등을 종합하여 장소를 결정한다. 또한 같은 장소라고 해도 개인의 특성(취향, 연령대 등)에 따라서 다르게 인식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리적 공간에 대하여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다면적인 특성을 장소성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장소성을 고려하는 것은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지능형 정보를 제공할 때 추천 정확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필수적인 정보이나, 오늘날의 상황정보 기반의 장소 추천 서비스는 장소성을 추론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능형 정보 추천을 위해서 장소성을 추론하는 데 필요한 요소와 추론 방법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한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요소기술을 설계한다.When a person visits a place, the plac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purpose of the visit, the current location, the persons accompanying the person, and other individual requirements. Even in the same place, it is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taste, age range, etc.) of the individual. In this way, we define the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one physical space by the soci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at space as the locality. Considering this locality is essential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recommendation accuracy when providing real-time intelligent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but today's situational information-based location recommendation service takes full consideration of the key elements needed to infer placeality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don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elements required for inferring locality and requirements for inference method for intellig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and designs locality-based formalization and inference element technology to achieve requirements.

-장소성 추론 및 활용 기술- Place inferences and application techniques

스마트폰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은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Location-based services)들의 등장은 사용자들의 현 위치에서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소 검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였다. 건축학에선 이와 같이 장소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들을 '장소성'이라고 부르게 되는데 특정 공간의 '정보'와 더 나아가서 '의미'를 정의하는 시도는 주로 1) 공공장소 또는 2)스마트홈 도메인에서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도시 및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사용자 피드백, GPS 등을 통해 추측하여 특정 위치의 특징들을 정의하였고 스마트홈과 상호작용하는 IoT 디바이스들 및 센서들의 기능으로 장소가 가질 수 있는 특유의 정체성을 나타내었다. With the increase of smart phones, users can search anywhere and anytime regardless of location. In the same vein, the emergence of location-based services suggested a new paradigm of location search by providing users with the most useful information at their current location. In architecture,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 is called 'locality', and attempts to define 'information' and further 'meaning' in a specific space have been studied mainly in (1) public places or (2) smart home domains. For example, users' behaviors in urban and public places can be guessed through user feedback, GPS, etc. to defin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location, and IoT devices and sensors that interact with a smart home Identity.

장소성을 정의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 또는 기계가 특정 위치에 대한 물리적/정적인 정보와 문맥적인 정보를 얻기 위함인데, 장소에 관련된 정보가 쉽게 검색되고 활용되기 위해 정형화된 문법 체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 연구된 바에 의하면 장소에 대한 대표적인 지식체계는 1)관계구조 2)키워드/태그 혹은 3)미가공 형태로써 사용되어 왔다.The ultimate goal of defining locality is to get physical or static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location by a person or machine. It is necessary to have a formalized grammar system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a place can be easily retrieved and utilized Do.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 representative knowledge system for a place has been used 1) a relationship structure 2) a keyword / tag 3) a raw form.

-미가공 데이터를 장소성으로 정의한 접근 방식- Approach that defines raw data as locality

미가공 형태의 장소성 정의는 센서 혹은 사용자의 입력으로 들어온 데이터를 아무런 필터링/매칭없이 활용하는 방법이다.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 자체로는 장소 분류엔 적합하지 않지만 통계적인 의미와 사용자 입력의 개인적인 문맥의 희소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The raw form of locality definition is a way of utilizing data from sensor or user input without any filtering / matching. Unprocessed data itself is not suitable for place classification, but has the advantage of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 high degree of personal context of user input.

-관계구조를 적용한 장소성 정의- Define the place where the relationship structure is applied

관계구조화 형식은 데이터들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그래프 혹은 트리 구조로 표현함으로써 장소성이 가질 수 있는 속성들의 문맥적인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방식이다. 온톨로지를 설계하여 관계를 구조화시키는 방식이 대표적이며 순환 혹은 계층적 구조를 활용할 수도 있다.Relational structured form is the best way to express the contextual meaning of properties that can have placefulness by expressing correlation and causality of data in graph or tree structure. The way in which the ontology is designed and the relationship is structured is typical, and a circular or hierarchical structure can be utilized.

Issue 1: 장소성 추론에 필요한 핵심 요소 부재Issue 1: Missing key elements for locality inference

장소성을 데이터의 관계성으로 정의를 한 연구들은 장소 분류 및 검색에 매우 적합한 반면에 관계의 복잡도와 관련 데이터 추출의 어려움 때문에 주어-동사 등 한정되고 적은 수의 카테고리만을 구조화 하여 온톨로지 모델에 담아 내었다. 따라서 장소에 대한 정적인, 문맥적인 정보를 모두 담는게 아니라 주어-동사 같은 한정된 요소만을 고려해서 정의한다면 장소간의 미세한 차이를 알아내거나 장소에 대한 사소한 세부적인 정보를 기록할 수 없다는 한계가 발생한다.Although the studies that define the place property as the relation of the data are very suitable for the classification and the search of the place, the limited complexity of the relation and the difficulty of extracting the related data have structured only a limited number of categories such as subject-verb and put them into the ontology model . Therefore, if we define only the definite elements such as subject-verb rather than all the static and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place, there is a limitation that we can not find the minute difference between the places or record the little details of the place.

Issue 2: 공간에 대한 다면적인 장소성 표현이 불가능하다.Issue 2: Multi-faceted place to space is impossible to express.

위치기반서비스들이 채택하는 장소성의 정의 방식 및 선행되어 연구된 장소성의 개념은 대부분 위치와 장소성 간의 1:1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이론상 한 장소는 두개의 장소성을 띄고 있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형화된 키워드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흡사한 키워드라도 매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소 하나에 대하여 여러 장소성의 측면을 갖는 1:N 속성을 정교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는 이슈가 존재한다. The concept of locality-based definition of place-based services and the concept of locality previously studied has a 1: 1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locality. Therefore, it is theoretically impossible for a place to have two place properties. In addition, if a keyword tag is used, it is impossible to match even a very similar keyword. Therefore, a 1: N property There is an issue that it can not grasp precisely.

Issue 3: 장소성 추론을 위한 과도한 사용자 개입이 발생한다.Issue 3: Excessive user intervention for locality reasoning occurs.

앞서 소개한 서비스들과 연구에선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향해 경험하고 느낀 장소성을 추출해내기 위해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져왔지만 그 추출 방식이 사용자에게 불편한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정보 추출을 목적으로 계속해서 정확한 입력을 요구하거나 스마트폰의 센서를 상시 활용하는 방법들은 사용자에게 간섭적이며 배터리를 크게 소모하고 보안에 취악하며 사생활 침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the services and researches described abov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tract the place where the user has experienced and felt toward a specific place, but the extraction method is designed in a way that is inconvenient to the user.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continuously correct input for the purpose of extracting information or always utilizing the smartphone's sensor is interfering with the user, consuming the battery, consuming security and infringing privacy .

앞에서 제시한 이슈를 기준으로 스마트 공간에서의 실시간 지능형 정보 추천서비스를 위한 장소성 기반 데이터 마이닝 핵심기술의 요구 사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above - mentioned issues, we analyzed the requirements of location - based data mining core technology for real - time intellig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service in smart space.

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자의 사회적 행위 이력을 기반으로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ser 's history of social behavior, we propose a place - based stereotyping and reasoning technique to derive the multisocial meaning of space.

SR101: (육하원칙에 해당하는 요소를 장소성 추론에 활용해야 한다.) 사람의 사회적 행위와 공간의 물리적인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하나의 장소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사회적 행위와 그 사회적 활동이 발생하는 물리적 위치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육하원칙(5W1H;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누구(who)"는 개인 및 동행한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고, "언제(when)"는 단순히 절대적인 시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이 갖는 다양한 의미(계절, 휴일 여부, 오전/오후의 구분 등)를 활용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어디(where)"는 공간의 이름, 분류, 위치 등 변하지 않는 물리적인 속성을 표현할 수 있다. "무엇(what)"은 본 연구에서 같은 공간을 여러 사회적 의미로 해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갖는 요소이며, 여기서 사용자들이 어떤 행위를 수행했는지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how)"는 앞서 설명한 무엇(what)을 수식하는 형용사 및 부사 역할을 하므로, 이것은 같은 목적의 장소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나 특성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준다. "왜(why)"에 해당하는 요소는 무엇(what)을 하는지, 대상 사용자가 다른 장소에서부터 현재 장소까지 장소 간 이동 순서의 특성과 연관성이 높다.SR101: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factor that corresponds to the two or three principles to place inferring.) In order to express one place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pace, (5W1H; Who, When, Where, What, How, and Why) to consider physical locations together. "Who" can describe social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s and companions, "when" does not only mean absolute time but also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ime (season, holiday, morning / Afternoon division, etc.). "Where" can express unchanging physical attributes such as space name, classification, and location. "What" is an element tha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interpreting the same space in various social meanings in this study, and it should be able to express what actions users performed. Since "how" acts as an adjective and adverb that modifies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this helps to distinguish the atmosphere or the nature of the user's preference, even for the same purpose. The factor of "why"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der of movement from one place to another.

SR102: (분위기와 상황을 수식하는 표현을 세부 요소로써 장소성 추론에 활용해야 한다.) 사용자가 특정 선호 장소에 방문하고 활동을 하는 이유는 가장 먼저 목적의 달성 여부에 있으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동일한 종류의 장소가 여러 개 있을 경우, (또한 거리의 제약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그 중에서 하나의 장소를 선택하는 것은 해당 장소가 갖는 여러 가지 다른 세부 요소들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세부 요소들은 대체로 해당 공간의 분위기를 설명하거나, 사용자의 행위와 공간을 수식하는 표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방문 이력으로부터 분위기에 대한 표현이나 육하원칙을 수식하는 형용사/부사를 수집하여 세부 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SR102: (The expression of mood and situation should be used in place reasoning as a detailed factor.) The reason for users to visit and work in a certain preferred place i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If there are several places of the same kind (assuming that there is no distance constraint), then choosing one of them is influenced by various other details of the place. These sub-elements can be roughly describing the atmosphere of the space, or expressing the behavior and space of the us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adjectives / adverbs that express the atmosphere or the subdomain from the visiting history of users and use them as detailed elements.

SR103: (육하원칙 및 기타 요소들 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정의해야 한다.) 사람이 일상 영역에서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그 중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듯이, 사용자들의 장소 방문 이력이 육하원칙 및 분위기와 같은 요소들로 표현이 되면, 컴퓨팅 시스템에서 이 요소들의 조합으로부터 상황별로 중요한(의미 있는) 장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요소들 간 연관성을 정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식당이라도 '귀빈 대접' 또는 '상견례'가 주로 일어나는 식당과 '데이트'를 주 목적으로 방문하는 식당을 구분하기 위해 "위치"와 "활동" 사이에는 "일어난다"는 연관성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로 어떤 사용자들이 특정 공간에 방문해서 특정 행위를 수행하는지 알기 위해, "사용자"와 "활동" 사이에도 "수행한다"는 연관성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장소성 추론에 필요한 요소들 간의 연관성을 정의하고, 이를 지식체계로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지식체계를 유연하고 확장성 있게 표현하는 도구로써 온톨로지를 활용해야 한다.SR103: (Definit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or three elements.) As people make decisions based on the two-way and five-way rules in the everyday domain and consider factors that have important influence among them, Once the site visit history is represented by factors such as the two-way hierarchy and atmosphere, the computing system must define associations between elements so that they can identify important (meaningful) locations from a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For example, it is def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activity" arises between the "restaurant" where "VIP treatment" or "celebrity" occurs mainly in the same restaurant and the restaurant that visits " Need to be. Also, the association should be defined between "user" and "activity" in order to know which users mainly visit certain spaces and perform certain actions.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elements necessary for place reasoning and use it as a knowledge system. Therefore, ontology should be utilized as a tool to express knowledge system flexibly and extensively.

SR104: (일부 요소의 조합에 대하여 적합한 장소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장소성 추론에 필요한 요소들 간의 연관성이 정의되면, 장소 방문 이력 데이터로부터 각 장소가 주로 갖는 요소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대로 핵심 요소들을 조합하여 어떤 공간이 그러한 요소에 가장 부합하는지 알아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사람이 방문할 장소를 결정할 때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추론의 과정과도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장소성 추론 시스템은 방문 이력 데이터로부터 각 장소가 갖는 주요 요소들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주요 요소들을 활용하여 적합한(relevant) 장소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SR104: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extract suitable places for some element combinations.) Onc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lements required for locality inference is defin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lements that each site mainly has from the site visit history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bine key elements to find out which space best matches those elements.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 process of reasoning that people routinely perform when deciding where to visit. Therefore, the location reasoning system should not only identify the main elements of each place from the visit history data, but also be able to find relevant places by using the main elements.

SR105: (하나의 장소에 대하여 다중 장소성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연구가 제안하는 장소성의 개념이 1:N 관계만을 표현할 수 있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한 장소에 갯수의 제한없이 다수의 장소성들을 포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SR105: (It should be able to express multi-locality with respect to one place.) If the concept of placeality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can express only 1: N relation, It should be comprehensive.

SR106: (장소성 추론 시 사용자 개입이 적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될 장소성의 추출 방법은 사용자에게 비침습적임과 동시에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안전해야 할 것이다. SR106: (The user intervention should be small when inferring the place locality.) The locality extraction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non-invasive to users and secure in terms of security and privacy.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을 제안한다. We propose place formality and reasoning technique.

-블록 설계- Block design

한 공간의 장소성(Placeness)은 그 곳에서 이루지는 사람들의 모든 사회적 행동의 축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최근 장소성 연구에서는 이와 흡사한 개념을 도입하여 1) 휴대폰, IoT 센서에서 얻는 미가공(raw) 데이터를 사용하여 low level 장소성을 다루거나 2) 사전에 정의된 키워드를 장소 관련 문서에서 매칭하여 거시적인 장소성을 분석하거나 3) 트리, 그래프와 같은 관계구조를 사용하여 장소의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상관관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등의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장소의 다면적인 성질을 한번에 담아낼 수 있으면서 거시적이고 동시에 세부적인 장소성을 표현하기엔 앞서 진행?榮? 연구들의 디자인의 구조는 제한적인게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기존 장소성 정형화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할 관계구조, 즉 온톨로지와 2) 제안된 온톨로지의 속성을 데이터로부터 추론, 검증 및 응용 가능한 추론 모듈을 제안한다.Placeness of a space can be defined as the accumulation of all the social actions of the people who are accomplished there. In recent place-based studies, a similar concept is introduced: 1) raw (raw) ) Data to handle low level locality, 2) to analyze macroscopic locality by matching predefined keywords in place documents, or 3) to use systematic And to try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embrace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place at once, but before it expresses the macroscopic and detailed locality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research designs is limi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1) a relational structu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place-based stereotyping methodology, that is, an ontology and 2) an inference module for inference,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attributes of the proposed ontology from data.

제안하는 시스템은 1)장소성 정형화와 2)장소성 추론 총 두 파트로 설계되어있다. 정형화 파트는 온톨로지에 포함될 클래스와 특징들을 설계하는 부분이고 추론 파트는 앞서 정의한 온톨로지의 특성들을 수집할 데이터 마이닝 및 특징 추출 방법을 포함한다. 두 파트는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각각의 결과물이 input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in two parts: 1) site stereotyping and 2) location inference. The formalization part is a part for designing classes and features to be included in the ontology, and the reasoning part includes a data mining and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col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tology defined above. The two parts are closely related, and each result can be used as an input.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연구나 데이터 분석결과를 통해 empirical하게 얻은 온톨로지 기준으로 초기 온톨로지가 정의를 정의하게 된다. 그 다음 attribute에 필요한 데이터를 마이닝 하게 되고 Inference 모듈을 통해 raw data로부터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얻게 된다. 얻어진 attribute들은 모듈 테스트와 온톨로지 검증을 통해 정형화 방법의 재정의(redefinition) 혹은 개선에 활용 가능하다.The proposed system defines the definition of the initial ontology based on the ontology obtained empirically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or data analysis results. Then we mine the data needed for the attribute and get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raw data through the Inference module. The obtained attributes can be used for redefinition or improvement of the formalization method through module testing and ontology verification.

-장소성 정형화 - Place sex stylization

장소성 정형화의 방법과 기준을 정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단계는 사전연구 조사인데, 사전 연구 조사를 통해 지금까지의 장소성의 개념은 크게 1) 스마트 홈과 같은 개인적인(private) 공간과 2) 공개적인(public) 공공장소 이 두가지 도메인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소성은 한 가지 도메인에서만 적용이 되는것이 아니라 universal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도메인 구분없이 온톨로지를 설계하였다. The preliminary research i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method and criteria for the gender stereotyping. The concept of the place of gender has been largely classified into 1) a private space such as a smart home, 2) public) I found that public places exist in two domains. Since the localit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pplied universally, not on one domain, the ontology is designed without any domain.

모든 장소성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기는 속성은 소위 말하는 육하원칙으로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사실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장소성의 모든 attribute들을 시간, 방문자, 공간, 행동 그리고 의견 등 총 5개의 클래스와 44개의 하위 property로 정의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attributes that all the place studies in common are important can be categorized into so-called two-way rule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all attributes of place property a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including time, visitor, space, property.

본 발명은 하나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다차원적 장소성 표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장소성 정형화 온톨로지를 설계하였다. 공간의 물리적인 속성은 하나뿐이지만, 이것이 어떤 사회적 활동과 매칭되는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클래스와 속성간의 선택적인 관계들을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상위 클래스 중 Space는 다른 상위 Dweller와 visits라는 관계를 맺거나 다른 상위 클래스인 Activity와는 occursIn이라는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multidimensional locality expression for one physical spac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s a place-based stereotyping ontology as shown below. Although there is only one physical attribute of space, it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as to what social activity it matches.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s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we have defined the op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lasses and attributes. For example, a space of a superclass may have a relationship of visits with another parent Dweller, or may have an association of isIn with an activity of another superclass.

각 상위 클래스별로 정의한 하위 클래스에 대한 명세는 다음과 같다.The specification of the subclass defined for each superclass is as follows.

Time: 장소성에서의 시간 개념은 방문자가 장소에 도착했던 시간만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방문자들이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방문한 날이 평일인지 공휴일인지에 대해서도 포함하여야 방문 시점 및 시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광지나 유원지 등의 여행 장소는 평일보다는 공휴일과 주말에 훨씬 많은 방문객이 있으므로 휴일을 판별하는 것은 장소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Time 클래스는 방문 시점을 의미하는 Timestamp 뿐만 아니라 DepartureTime, Duration, DayofWeek, isHoliday 등의 하위 클래스를 갖도록 정의하였다.Time: The concept of time in the place name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time when the visitor arrived at the place but also include how long the visitor stayed and whether the visit was a weekday or a holiday, Do. For example, touring places such as sightseeing spots and amusement parks have much more visitors on holidays and weekends than on weekdays, so determining holidays i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a place. Therefore, the Time class is defined to have subclasses such as DepartureTime, Duration, DayofWeek, and isHoliday as well as Timestamp, which means visit time.

Space: 본 발명에서는 장소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공간과 장소의 개념을 분리한다. 공간(space)은 물리적으로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분된 구역이고, 장소(place)는 해당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에 의해서 의미적(semantic)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제안하는 온톨로지에서 공간 클래스는 물리적인 특징들만을 지칭하는데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인 주소, 위도/경도에 덧붙여서 날씨, 엔트로피(얼마나 다양한 목적의 장소들이 주변에 위치해 있는지), 교통정보, 인구밀도 등을 고려하도록 설계하였다.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s of space and place are separated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place properties. A space is a section divided physically according to purpose and function, and a place is defined as a semantic by various activities occurring in the space. Therefore, in the proposed ontology, the spatial class refers only to physical characteristics. Here, in addition to the basic information such as address, latitude / longitude, weather, entropy (how various places are located around), traffic information and population density .

Dweller: 방문자들의 정보는 장소성 정의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이다. 왜냐하면 방문자의 사회적 특성의 차이, 방문자 그룹의 크기, 방문자의 취향 등 개인적인 요소에 의해서 같은 공간이라도 전혀 다른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문자들의 정보의 중요성에 비해서 개인정보 수집엔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안된 온톨로지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인 방문자 수, 방문자 엔트로피 (다양성), 성별, 나이 등 수집 가능하거나 유추 가능한 인구통계학적 요소들로 Dweller 클래스를 정의하였다. Dweller: Visitors' informa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place locality definition. This is because even the same space can b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due to individual factors such as the difference in visitor's social characteristics, the size of the visitor group, and the taste of the visitor.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of visitors. Therefore, the proposed ontology defines the Dweller class as the most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visitors, visitor entropy (diversity), sex, and age, which are collectable or inferable demographic factors.

Activity: 장소성의 정의 자체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사회적 행위의 누적인 만큼 Activity는 장소성 온톨로지에서 중추적인 속성들을 지니게 된다. Activity는 다양한 데이터 (사진, 텍스트, 해쉬태그 등)에서 유추할 수 있는 클래스인 만큼 property들도 다양하며 LastActivity와 같이 직전에 이루어진 activity를 포함시킴으로써 연속된 Activity들의 관계 또한 담아낼 수 있도록 하였다.Activity: Since the definition of place-property itself is the accumulation of the social act of people who take place in place, Activity has pivotal properties in place-based ontology. Activity is a class that can be inferred from various data (picture, text, hashtag, etc.), and the properties are also varied. By including the previous activity, such as LastActivity, the relationship of the successive activities can be included.

Opinion: 장소에 대해서 방문자들이 얻은 opinion, 즉 의견은 아직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지만 이와 관련된 정보는 텍스트에 존재하는 형용사와 부사의 집합으로써 유추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해당 속성들이 현재 정의되었다.Opinion: Although the opinions obtained by the visitors about the place are not yet covered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related properties are currently defined, assuming that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deduced as a set of adjectives and adverbs existing in the text.

초기에 제안된 온톨로지는 온전히 사전연구에만 기반한 온톨로지이기 때문에, 실제 수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검증 과정과 장소성 추론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재차적으로 재정의 및 개선될 예정이다.Since the ontology initially proposed is an ontology based solely on preliminary research, it will be redefined and ref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actual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of the place reasoning work.

-장소성 추론- Place sex reasoning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사용자들의 행동 및 심리를 함축된 형태로 담아낸다는 점에서 사회학, 조직행동 혹은 네트워크를 연구할 때 많이 사용되는데, 그 중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위치에 따른 행동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함께 담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소셜 미디어는 서비스마다 사용하는 데이터 종류도 다양한데, 본 발명에서 실험에 활용한 데이터는 인스타그램에 있는 130만개의 이미지, 해쉬태그 그리고 텍스트이다.Social media is often used to study soci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or network in that it captures users' behavior and psychology in an implied form. Among them, It is very useful in that the state can be put together in real time. In social media, there are many kinds of data to be used for each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used in experiments are 1.3 million images, hash tags, and text in the Instagram.

이미지로부터 장소성을 추론하기 위해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Deep Neural Network를 사용한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In order to deduce the place from the image, we used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using Deep Neural Network, which has been studied most recent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

본 발명은 장소성 기반 데이터 마이닝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데이터 정형화 기술을 개발한다.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 개발한다. 세부장소 특성 추론을 위한 자료 구조 정형화 및 추론 기술을 개발한다. 사용자 맥락에 적합한 세부 인기 장소 선별을 위한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관련도 추론을 요구한다. 사항 분석 및 모델링 기술을 개발한다. 사용자 감성을 고려한 선호 장소 추천을 위한 세부 장소 관련 온라인 정보의 감성 특성 정형화 기술을 개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requirement analysis and data formatting techniques for developing core technology based on locality-based data mining. To develop requirements analysis and place formatting and reasoning technology to derive multisocial meaning of space. Develop data structure formalization and reasoning techniques for inference of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 place for screening of the most popular places suitable for the user context - Multi-dimensional network connection among users also requires reasoning. Analyze and develop modeling techniques. Develop emotional characterization of online information related to detailed place for recommending preferences considering user 's emotion.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 개발 - Requirements analysis and place formatting and reasoning technology development to derive multisocial meaning of space

공간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자의 사회적 행위 이력을 기반으로 하는 장소성 추론 요구사항 분석하고, 장소성 온톨로지 설계 및 온톨로지 기반 장소성 데이터 정형화 기술 개발하고, 정형화된 통시적 데이터 기반의 장소성 추론 기술을 개발한다. We analyze location reasoning requirements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ser's social behavior history, develop locality-based ontology design and ontology-based place-based data formatting technology, develop place-based reasoning technology of formalized data base do.

공간의 다중 사회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장소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 개발한다. 기존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장소 추천에 활용하는 항목 조사를 기반으로 육하원칙(5W1H) 중심의 장소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를 정의한다. To develop requirements analysis and place formatting and reasoning technology to derive multisocial meaning of space. Based on the survey of items used in place recommendation in existing location-based services, we define the key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locality of the 5W1H-centered hierarchy.

장소성 온톨로지 설계 및 온톨로지 기반 장소성 데이터 정형화 기술 개발한다. 사회적 행위, 공간의 특성, 사회적 맥락 간 연관성을 정의하는 장소성 온톨로지 설계하고, 장소성 온톨로지에 정의된 연관성을 바탕으로 다차원 상황정보에 대한 장소성 연관 데이터 정형화 기술을 개발한다. We develop the ontology ontology design and the ontology based place data formatting technology. We design a place-based ontology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behavior,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ntext, and develops the locality-based data formatting technique for multidimensional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association defined in the ontology ontology.

정형화된 통시적 데이터 기반의 장소성 추론 기술을 개발한다. Bayesian 네트워크 기반의 확률 모델을 활용하는 장소성 추론 기술을 개발한다. Develop place-based reasoning techniques based on formalized data-based data. We develop a place inference technique that utilizes a Bayesian network - based probability model.

기존연구의 도메인별 장소성 정형화 방식을 조사한다. 특히, 위치 관련 연구에 의거하여 장소성 정형화 방법론과 근거를 조사하였다. 기존 장소성 연구에서는 장소를 미가공 데이터, 키워드 혹은 관계구조의 형태로 정의하였지만 1) 미가공 데이터는 문맥으로써 활용도가 낮으며 2) 간단한 키워드들의 매칭은 장소의 섬세한 특징 차이를 구별할 수 없으며 3) 기존에 제안된 관계구조들은 공간에 대한 다면적인 장소성 표현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We investigate the place formatting method of domain by domain. Especially, based on location - related research, methodology and basis of place - In the existing locality study, the place is defined as raw data, keyword or relation structure, but 1) raw data is not utilized as context, 2) matching of simple keywords can not distinguish delicate feature difference of place, and 3)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express multi - dimensional place in space.

기존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장소성 온톨로지를 정의한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Time, Space, Dweller, Activity, Opinion 5개의 클래스(class)와 44개의 독립적인 속성(property)을 갖는 온톨로지 설계하고, 확률 모델을 반영하여 다차원적인 장소성의 특성을 고려 및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을 정의한다. We define place - based ontology to overcom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Based on the surveyed contents, it is possible to design an ontology with five classes and 44 independent properties of Time, Space, Dweller, Activity, Opinion and to consider and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al locality by reflecting the probability model. Defines an attribute.

설계된 온톨로지 기반의 장소성 추론을 수행한다. 비침습적으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 및 문맥을 이해하기 위하여 소셜 미디어 마이닝, 영상처리, 자연어처리 및 맥락 추론(context inference) 모듈을 구현한다. We perform place inference based on designed ontology. We implement social media mining, image proces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context inference modules to understand non-invasive social actions and contexts in place.

더 나아가 초기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와 장소성 추론 알고리즘을 통해 설계된 장소성 온톨로지 속성의 적합성 검증 및 추가적으로 추론 가능한 장소성 속성 반영하고, 소셜 미디어와 OpenAPI의 결합으로 개개인들의 문맥으로 정의된 장소성과 공공데이터로 접근 가능한 장소성을 일원화한다. In addition, it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placeable ontology attributes designed through the initial data mining data and the locality inference algorithm, and additionally reflects the inferable place property, and combines social media with OpenAPI to access the place and public data defined by individual contexts Unify the place where possible.

-실시간 장소 추천 시 실시간 맥락 적용 및 장소 세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세부 인기 장소별 특성 정형화 및 추론 기술- Detailed data analysis based on big data analysis to apply real-time context and place subdivision in real-time place recommendation.

상위 공간에 포함된 각 세부 인기 장소의 특성 추론을 위한 기술 요구사항 분석하고, SNS, 교통, 사회통계 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의 세부 장소 특성 추론을 위한 자료 구조 정형화하는 기술을 개발한다.We analyze the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fer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most popular places in the upper space, and develop a technology to formulate the data structure for inference of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ata bases such as SNS, traffic, and social statistics.

상위 공간에 포함된 각 세부 인기 장소의 특성 추론을 위한 기술 요구사항 분석하고, 세부 장소 특성 및 분포를 통한 상위 장소와 세부 장소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자료 구조 정형화를 위한 세부 장소 특성 추론에 사용가능한 데이터 셋 조사 및 각 데이터를 통해 추론 가능한 장소성 목록을 정의한다. It analyzes the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fer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tail popular place in the upper space, def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upper place and the detail place through the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Define a specifiable locality list through a data set investigation and each data.

SNS, 교통, 사회통계 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의 세부 장소 특성 추론을 위한 자료 구조 정형화 기술 개발한다. 개별 데이터 세트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장소 특성 추론을 연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장소 매칭에 높은 성능을 보이는 장소성 추론 모델을 연구한다. SNS, traffic, and social statistical data, etc. We study place specific reasoning that can be obtained from individual data sets and study place specific reasoning model which shows high performance in user - place matching by integrating various data.

-가능한 데이터 소스에 대한 가용성 및 추출 가능 특성을 조사한다. - Investigate availability and extractable characteristics for possible data sources.

Micro Blogs(Twitter, Instagram)은 내용은 짧지만 많은 언급량으로 실시간 상황을 반영하여 활용 가능성이 높다. 긴 글 (Blog)은 실시간 상황을 반영하지만 자세하고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공공데이터는 업종 분포, 인구 등의 공공데이터는 각 지역의 장기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교통량, 날씨 등의 데이터는 실시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세부 장소 특정 추출을 위해서 최종적으로 Instagram과 공공데이터를 선택한다. Micro Blogs (Twitter, Instagram) is short, but it is likely to be used in real time because it reflects a lot of references. Blogs reflect real-time situations, but they contain detailed and detailed information. Public data such as industry distribution, population, and other public data represent long-term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data such as traffic volume and weather can reflect real-time characteristics. Finally, Instagram and public data are selected for detailed site specific extraction.

-세부 장소 특성 추출을 위한 키워드 간 클러스터링을 설계한다. - Design the keyword-to-keyword clustering for feature extraction.

장소성추론 세부과제에서 도출된 온톨로지에 맞춰 세부 장소 특성 추론을 위한 요소를 선택하여 단어 세트로 분류한다. 세부 장소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들을 사전에 등록된 관계(유의, 반의 등)에 기반으로 체계화하여 추론에 적합한 행태로 재가공한다. Place Gender Inference Select elements for inference of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ntology derived from the detailed task and classify them into word sets. The elements representing the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re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pre-registered relationships (meaningfulness, semantics, etc.) and reworked into a behavior suitable for reasoning.

-상위장소-세부장소 특성 간의 관계 추론 모델을 제시한다. - Provide a model of relational reasoning between the top place and the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기존 연구는 세부장소의 특성, 분포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장소성을 사용하였다. 세부 장소의 수와 분포에 기반한 세부 장소 특성과 상위 장소 장소성 간의 연결 모델을 설계한다.Previous studies have used placeabilit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etc. of detailed sites. We design a connection model between the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nd the top place locality based on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detailed places.

더 나아가 세부 장소 특성 추출을 위한 단어 세트 지속적 추가하고, 상위장소와 하위장소 관계의 온톨로지를 구현할 것이다.Furthermore, we will continue to add a set of word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detailed place, and implement the ontolog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and bottom places.

-사용자의 통시적/즉시적 맥락 반영을 위한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관련도 추론 기술- Place for user's immediate / immediate context reflection - Multidimensional network related degree inference technique between users

장소-사용자 맥락 관계 정의를 위한 다차원 연결망 구축 방법론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통시적 맥락을 반영하는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기반 관련도 추론을 위한 연결 패턴 분석 및 모델링 기술을 개발한다. A multi-dimensional network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defining location-user context relationship. Analyzes requirements and develops connection pattern analysis and modeling technology for relevance inference based on multi-dimensional network between users and users.

장소-사용자 맥락 관계 정의를 위한 다차원 연결망 구축 방법론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장소-사용자 맥락 관계 정의를 위한 장소성 및 사용자 맥락 관련 요소들 및 이들의 관계를 정의하고, 장소성 및 사용자의 맥락 관련 요소들 및 이들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다차원 연결망 구축 방법론을 조사한다. Analyze requirements of multidimensional network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defining location-user context relationship. We define place-sex and user-context-related elements and their relationships for defining a place-user context relationship, and investigate a multidimensional network construction methodology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ce-related and user contextual elements and their relationships.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기반 관련도 추론을 위한 연결 패턴 분석을 통한 모델링 기술을 개발한다. 장소성 코퍼스 및 사용자 사용 이력 기반 데이터의 관계가 정량적, 정성적으로 복수 정의된 다차원 연결망을 구축하고, 장소-사용자 간 연결 패턴 분석을 통해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특징 분석 및 이에 적합한 관련도 추론 기술을 연구한다. We will develop modeling technology through connection pattern analysis for relevance inference based on multi-dimensional network among users. A multi-dimensional network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corpus and user usage history data is defin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s constructed, and analysis of the multi-dimensional network characteristics between users and users is performed through analysis of connection pattern between users and users. Research.

기존 연구의 장소 추천 방식은 장소 추천에 활용하는 기존 사용자 맥락 요소 및 장소 방문 모델(인기도 기반, 협업 필터링 등)을 조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장소 방문 빈도 또는 협업 필터링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장소를 추천하나, 사용자의 맥락에 따라 적절한 장소성을 선택하고 방문하는 실제 장소 방문 패턴을 고려하지 않는다. Existing research place recommendation methods investigate existing user context elements and place visiting models (popularity-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etc.) that are used for place recommend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place is recommended to the users by using the frequency of visiting places or the filtering of collaborations, but it does not consider the actual place visiting pattern to select the appropriate place property according to the user's context.

기존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차원 연결망을 통한 장소-사용자 관계를 정의한다. 실제 장소 방문 패턴을 장소 추천 알고리즘에 반영하기 위해 장소성과 공간, 공간과 태그의 관계를 정의하고, 각 관계 또한 세부 장소 특성 및 감정에 따라 다차원 연결망으로 정의한다. We define place-user relationships through multidimensional networks to overcom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place visiting pattern to the place recommendation algorith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space, space and tag is defined, and each relation is also defined as a multidimensional network according to the detailed place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사용자 맥락에 적합한 장소성 선택을 위한 장소-사용자 관련도 추론 기술을 개발한다. 사용자 맥락에 따른 장소 추천을 위해 장소성과 관련 있는 사용자 맥락 요소로 방문 시간, 동기, 목적을 정의하고, 연구 결과와 성능 비교를 위한 베이스라인 모델로 기존 장소 추천(인기도, 사용자 유사도, 장소 유사도 기반) 연구 구현 및 성능을 확인한다. Develop a place-user related inference technique for choosing an appropriate place for user context. We define the visit time, motivation, and purpose as the user context elements related to the site performance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place according to the user context, and use the existing place recommendation (popularity, user similarity, Verify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the study.

더 나아가, 앞서 정의한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구축 모듈 개발하고, 사용자 맥락에 적합한 장소성 선택을 위한 다차원 연결망 내 장소-사용자 간 관련도 추론 기술 설계 및 개발하고, 베이스라인 모델 대비 장소-사용자 간 다차원 연결망 관련도 추론 기술을 평가한다. In addition, we develop a multi-dimensional network building module between user and user defined above, design and develop related inference technique in multi-dimensional network for multi-dimensional network for user's context selection, Evaluate network related relevance techniques.

-사용자 감성을 고려한 선호 장소 추천을 위한 세부 장소 관련 온라인 정보의 감성 특성 정형화 기술을 설명한다. - Describ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shaping technology of the onli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place for recommending the preferred place considering user's emotions.

장소성 소셜 데이터에 특화된 감성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장소성 기반 대중 감성 정형화 기술을 개발한다. 장소성 소셜 데이터에 특화된 감성 분석 기술을 개발한다. We develop emotional analysis technology specialized for place-sex social data and develop technology of place-based based mass sensitivity stereotyping. Develop emotional analysis technology specialized for place-social data.

전처리 단계에서 형태소 분석을 거쳐 감성을 드러내지 않는 품사 제외 (예>명사)하고, 비정형 소셜 데이터에서 실제 사용되는 감성 표현을 추출하기 위한 확장 기술 고안한다. In the preprocessing stage, morpholog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exclude parts of speech that do not reveal emotion (eg, nouns), and devise an extension technique to extract emotional expressions that are actually used in unstructured social data.

-장소성 기반 대중 감성 정형화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tereotyping of public feeling based on place

장소성은 특정 장소에 대한 대중 행동의 집합된 형태로 드러난다. 행동 어휘들과 같이 나타나는 감성 어휘를 이용해 장소성 기반 감성 특성을 정형화한다. Place identity is revealed in a collective form of public action for a specific place. The emotional vocabulary that appears as the action vocabularies is used to formalize the locality - based emotional characteristics.

-장소성 기반 감성 분석에 대한 관련 연구 조사 - A related research on location-based emotional analysis

장소성 소셜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존의 접근방법들은 실제 사람들이 장소성 소셜 데이터에서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가 아닌, 가장 일반적인 감성 단어를 이용해 감성을 분석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대중 감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추천의 대상이 되기 어려운 단위의 장소(예>state, county)에 대해 긍/부정과 같은 가장 간단한 차원의 감성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Existing approaches for location-based social data analysi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nalyze emotions using the most common emotional words, not the words that real people use to express emotions in place-based social data.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emotions of the simplest dimension such as positive / negative about the place of the unit (eg, state, county) that is difficult to be the object of the recommendation although studies a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ublic emotion.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장소성 소셜 데이터 특화 감성 분석 기술을 설계하였다. 장소성 소셜 데이터에서는 은어, 오타, 신조어 등 일반적이지 않은 단어로 감성을 표현하고, 실제 사용되는 감성 표현에 대한 커버리지를 늘리기 위해 PMI (Pointwise Mutual Information)기반의 확장 방법 설계하였다. 효과적인 감성 분석을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감성을 드러내지 않는 품사들 (예>명사)을 형태소 분석(POS tagging)에 기반하여 제외하였다. - In order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research, we designed the technology for the emotional analysis of the place-specific social data. We designed the extension method based on Pointwise Mutual Information (PMI) in order to express emotions with non - common words such as fluency, ota, and new word in place - sex social data and to increase the coverage of emotional expression that is actually used. For effective emotional analysis, parts of speech (eg, nouns) that do not reveal emotion in the preprocessing step are excluded based on POS tagging.

-장소성 기반 대중 감성 정형화 기술 설계 - Technology for designing public sensibility based on place sex

장소성은 행동을 통해 드러나며 이를 고려한 대중 감성의 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장소성 소셜 데이터에서 추천의 대상이 되는 적절한 수준의 장소 (예>식당)에서 서로 자주 나오는 단어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데이터를 학습하도록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모듈을 설계한다. The place name is revealed through action and it should be form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feeling. In the place-based social data, it is assumed that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appropriate level place (for example, restaurant) Design a word embedding module to learn.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해 얻은 벡터 형태의 단어들을 거리 기반의 군집(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해 군집화하고, 행동 어휘와 거리가 가까운 단어 중 감성을 드러내는 형용사 단어들을 각 행동에 관계되는 감성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장소성 기반 대중 감성을 정형화한다.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words of vector form obtained by using Word2Vec algorithm by clustering using distance based clustering algorithm and to recognize adjective words expressing emotion in close proximity to the action vocabulary as emotion related to each action. Formalize the castle-based public emotion.

더 나아가, 사용자의 맥락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감성 스코어 계산 방법 구현한다. 장소성 특화 단어장을 구축하고, 고속의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Furthermore, we implement emotional score calculation method that assigns weights based on user's context. Establish a place-specific vocabulary and enable effective analysis at high speed.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4)

인터넷 공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블로그 상의 장소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질적 비정형 콘텐츠 데이터 일괄 수집하는 단계;
장소에 대한 방문자 (Dweller), 동반자 (With), 목적 (What), 행위 (Activity), 감정 (Opinion), 공간 (Space), 시간 (When) 별 키워드를 추론하는 단계; 및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When 기반의 수집한 데이터를 정형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
1. A method for analyzing data related to a social network service in an Internet space and a location on a blog,
Collecting heterogeneous atypical content data collectively;
Inferring a keyword for a place by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and Time; And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Whe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블로그에 작성된 이질적 형태의 장소 데이터를 맞춤형 크롤러를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일괄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heterogeneous place data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logs using a customized crawler periodical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When을 중심으로 장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온톨로지 정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fine an ontology that defines associations between keyword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ce-keeping, focusing on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and Whe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When을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장소성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정형화된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Dweller, With, What, Activity, Opinion, Space, and When extract keywords related to locality from unstructured data based on ontology and store them in database in a formalized form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60090625A 2016-07-18 2016-07-18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KR201800094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25A KR20180009408A (en) 2016-07-18 2016-07-18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25A KR20180009408A (en) 2016-07-18 2016-07-18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08A true KR20180009408A (en) 2018-01-29

Family

ID=6102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25A KR20180009408A (en) 2016-07-18 2016-07-18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40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498A1 (en) * 2017-08-17 2019-02-21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placenes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KR20200065924A (en) 2018-11-30 2020-06-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curity Requirements Recommendation Framework and its System
KR20210103401A (en) * 2020-02-13 2021-08-23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relating to a point-of-interest
KR20220091948A (en) * 2020-12-24 2022-07-01 박종진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Service Through Social Media Activity Analysis
US11853901B2 (en) 2019-07-26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arning method of AI model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498A1 (en) * 2017-08-17 2019-02-21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placenes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KR20200065924A (en) 2018-11-30 2020-06-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curity Requirements Recommendation Framework and its System
US11853901B2 (en) 2019-07-26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arning method of AI model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10103401A (en) * 2020-02-13 2021-08-23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relating to a point-of-interest
US11774264B2 (en) 2020-02-13 2023-10-03 Nav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relating to a point-of-interest
KR20220091948A (en) * 2020-12-24 2022-07-01 박종진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Service Through Social Media Activity Analy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g et al. Extracting human emotions at different places based on facial expressions and spatial clustering analysis
Ravi et al. A collaborative location based travel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enhanced rating prediction for the group of users
Bobadilla et al. Recommender systems survey
Bothorel et al. Location recommendation with social media data
KR20180009408A (en)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Sohrabi et al. A predictive model of tourist destinations based on tourists' comments and interests using text analytics
US10770072B2 (en) Cognitive triggering of human interaction strategie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productivity, and learning
De Maio et al. Social media marketing through time‐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CN116700839A (en) Task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6831522B2 (en) Communication system
Wanner et al. Gett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ross: from the Web to the user
Liao et al. Smart diary: A smartphone-based framework for sensing, inferring, and logging users’ daily life
Amato et al. A recommendation system for browsing of multimedia collec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Musto et al. Quality characteristics for user-generated content
Liu Context-aware mobil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ntext history
Chen et al. Developing a personal value analysis method of social media to support customer segment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Liu et al. ASK: A taxonomy of accuracy, social, and knowledge information seeking posts in social question and answering
Liang et al. Enhancing scenic recommendation and tour route personalization in tourism using ugc text mining
Coutand A framework for contextual personalised applications
Zheng et al. A tag-based integrated diffusion model for personalized location recommendation
Persia et al. Social sensing for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in orienteering
WO2019035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placenes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Garrido et al. KGNR: A knowledge-based geographical news recommender
Wu et al. Privacy information classification: a hybrid approach
Purificato et al. User Modeling and User Profiling: A Comprehensive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