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405A -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 Google Patents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405A
KR20180009405A KR1020160090527A KR20160090527A KR20180009405A KR 20180009405 A KR20180009405 A KR 20180009405A KR 1020160090527 A KR1020160090527 A KR 1020160090527A KR 20160090527 A KR20160090527 A KR 20160090527A KR 20180009405 A KR20180009405 A KR 2018000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ot
frequency
terminal
cent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환
구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9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405A/ko
Publication of KR2018000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in band뿐만 아니라 guard band에서도 통일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 LTE에서 5G로 진화함에 있어서 flexible BW와 시스템 상황에 맞는 RB 할당을 하는 어떠한 시스템과 단말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PRB indexing 방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METHOD FOR THE NEW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IN BAND AND GUARD BAND OF NB-IoT}
본 실시예들은 NB-IoT에서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NPSS로부터 심볼 및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는, 홀수 PRB를 갖는 BW 시스템 또는 짝수 PRB를 갖는 BW 시스템인지 여부에 따라 기지정된 indices 후보들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무선 자원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subframe에서 NB-PSS 신호를 전송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egacy LTE 시스템에서 PSS, SSS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10MHz band 내에서 PRB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홀수의 RB를 가지는 BW와 짝수의 RB를 가지는 BW의 경우에서 후보 indices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홀수 RB를 가진 BW를 표현한 그림으로서 첫 번째 항목은 center frequency로부터의 새로운 index, 2~4번째의 항목은 각각 3MHz, 5MHz, 15MHz에서의 순차적 PRB indice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홀수 PRB를 가지는 BW 시스템의 in band 및 guard band 모두에서의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모두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짝수 PRB를 가지는 BW 시스템의 in band 및 guard band 모두에서의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모두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이 3세대에서 4세대로 진화함에 따라 여러 형태의 네트워크가 융합되면서 복잡도가 상당히 급증하고 있으며 고속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이동통신 시장의 흐름에 따라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점차 작아지고 있다.
네트워크 사업자는 동일한 지역에 좋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게 되고 다수의 기지국을 설치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여러 형태의 기지국을 연동하는 상황에서 변화하는 무선 환경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기는 쉽지 않으므로 3GPP LTE는 self-configuration과 self-optimization과 같은 자동화 기능을 포함하는 SON(Self organizing networking)을 표준에 등록하였다.
이에 더하여,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직접 통신하는, 향후 정보통신의 미래 인프라 및 서비스이다. 사물인터넷이 필요한 이유는 초연결 사회를 기반으로 한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국가 자체의 인프라, 더 나아가서는 인류와 지구를 위한 중추 신경계를 이루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물인터넷은 현재 거품 최고조기에 있으며 아직까지 주목할만한 큰 수익 모델이 없는 시작단계이다. 그러나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인 IoT의 향후 시장규모는 기존 셀룰러 이동통신 시장의 10배 이상이 되며, 급격히 성장해 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NB-IoT(Narrow Band IoT)라는 기술은 Release13에서 처음으로 소개되고 있다. 원래 NB-IoT는 LoRa나 SIGFOX 같은 비 3GPP 계열의 시장 확장의 대응으로 3GPP에서 나온 것인데 eMTC의 1.08MHz보다 더 작은 주파수 밴드 폭인 180KHz 기준으로 해서 약 100kbps 미만의 Data의 송수신 에 필요한 디바이스를 만들기 위한 기술이다.
도 1과 같이 하향 링크(Downlink)는 180KHz로 LTE에서 흔히 말하는 무선 자원의 최소 단위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의 생산 비용을 더욱더 줄이기 위해서 15KHz SubCarrier Spacing 한 개 혹은 몇 개를 사용해서 전송할 수 있고 기존의 LTE에서의 SubCarrier Spacing 1/4로 줄인 3.75KHz를 한 개 혹은 몇 개를 사용해서도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3.75KHz의 SubCarrier Spacing의 도입은 일종의 주파수 대역에서 여러 디바이스를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을 하기 위한 목적이다.
일반적인 LTE 단말의 상향 전송의 경우 15KHz의 12개 SubCarrier Spacing을 모두 다 사용을 하는 것 이 일반적이지만 NB-IoT의 경우 대체로 단말 전송 Data가 평균 수 십 Kbps 정도라서 많은 자원을 LTE 일반 단말처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면 앞선 eMTC의 1.08MHz보다 상향 링크 관점에서는 가장 최소의 3.75KHz의 주파수 크기만 가져도 되기 때문에 RF 소자나 기타 관련 부품의 제작에 훨씬 더 값싼 소자 개발이 가능해질 수 있어서 NB-IoT 단말 가격을 eMTC 제품들보다도 더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NB-IoT에서는 operation mode 가 존재한다. 이것은 대략 3가지의 경우로 나누어지는데 inband, guardband, standalone이 그것이다. Inband는 legacy LTE band 내에서 특정 RB를 사용하는 것이고, guardband는 legacy LTE band의 guardband를 이용, standalone 은 NB-IoT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NB-IoT operation mode 에서 초기 접속과정에 필요한 NPSS(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라는 신호가 있다. 이 신호는 Legacy LTE에서 사용하던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과 유사한 신호이다. 즉, 이 신호로 NB-IoT의 초기 downlink 동기를 맞추는 과정을 하여 초기 프레임동기와 심볼동기를 알고 맞추게 된다.
도 2의 NB-PSS신호는 매 프레임의 6번째 subframe에 실어 보내게 되어 단말에서는 자기상관함수를 구했을 때 peak 가 되는 부분을 찾으므로 심볼과 프레임 동기를 알 수 있게 된다.
legacy LTE에서는 PSS, SSS로 이러한 심볼, 프레임동기를 알아낸 후에는 표준에서 도 3의 그린 색과 같이 첫 번째 slot과 10번째 slot의 마지막 심볼에 위치한다.
그리고, 세로축인 주파수 축에서는 센터 주차수의 중간 6RB의 자리에 위치한다. 이렇게 legacy LTE에서는 표준에서 중간주파수의 PSS, SSS RB 위치를 알고서 시작하므로 timing synchronization을 맞추면 RB가 위치한 주파수를 모두 찾아낼 필요가 없다. 그러나, NB-IoT에서는 In-band이던지 guard-band 이던지 간에 legacy LTE의 특정 주파수에 도 2와 같이 1RB만을 사용하므로 추가적으로 어느 RB를 NB-IoT용으로 사용하는지를 단말이 알아내어야 한다.
현재까지 완료된 3GPP RAN 표준에서는 특정 RB를 사용하도록 도 5와 같이 후보 indices를 두고 있다.
도 4는 10MHz band 내에서의 PRB 사용 경우를 예로 나타낸 그림인데, 짝수 PRB를 가지는 시스템은 아래 그림과 같이 DC subcarrier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RB가 나누어져 있지만, 홀수 PRB를 가지는 시스템은 center RB가 중간의 DC subcarrier를 품고 있는 모습이 된다. 여기에서 frequency offset이 발생한다.
도 5는 단지, In-band 만의 규칙으로 홀수의 RB를 가지는 BW(bandwidth)와 짝수의 RB를 가지는 BW의 주파수 offset 값이 다르므로, 두 가지 경우를 나누어 후보 indices를 두었다. 즉, 100KHz channel raster 에서 가장 가까운 offset을 가지는 7.5KHz(3, 5, 15MHz), 2.5KHz(10, 20MHz) 두 가지의 경우만을 후보로 택하여 찾는 방법을 결정하였다.
이 방법은 같은 특성(same frequency offset)을 가진 대역폭끼리 묶어서 그 특성대로 구분하여 주파수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6은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홀수 RB를 가진 BW를 표현한 그림인데, 첫 번째 항목은 center frequency로부터의 새로운 index, 2~4번째의 항목은 각각 3MHz, 5MHz, 15MHz에서의 순차적 PRB indices를 말한다.
도 6과 같이 첫 번째 항목의 절대 indices를 가지고, 어떠한 주파수이던지 간에 초록색이 칠해진 항목만 searching 하도록 정하여, NB-IoT 단말은 legacy LTE의 BW를 몰라도 해당 초록색 항목만 주파수를 찾아서 NB-IoT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guard band 방식을 하게 될 때에는 guard band 주파수가 협소함에 따라서 몇 개밖에 주파수를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또한, 현재 표준에 정한 guard band 방식의 center frequency는 fd값으로 홀수, 짝수 구분없이 legacy LTE center frequency에 2.5KHz, 7.5KHz를 섞어 사용하며 후보를 정하였다. 그래서, 이렇게 구분할 경우 매우 robust하고, 앞으로 LTE에서 5G로 진화해가는 상황에서 BW가 더욱 flexible해졌을 때, 다시 추가적으로 정해야 하는 단점들이 있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새롭게 제안한 indexing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위의 종래의 두 가지 단점을 극복하고자 좀 더 유연하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PRB indexing 방안을 기술하였고, 이 방법으로 통하여 in band 뿐만 아니라, guard band 에서도 통일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 LTE에서 5G로 진화함에 있어서 flexible BW와 시스템 상황에 맞는 RB 할당을 하는 어떠한 시스템과 단말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데 목적을 둔다.
Flexible하고 값이 저렴한 단말을 설계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일관성 있는 frequency searching 방법을 위해, 기존의 in band 에서의 후보와 guard band 에서의 후보 구분을 없애는 방법으로 두 가지를 나누어 본다.
도 7은 홀수 PRB를 가지는 BW 시스템의 in band 및 guard band 모두에서의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모두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in band, guard band 구분없이 새롭게 생긴 두 번째 열의 center frequency로부터 위로 indices 1~42, 아래로 indices 1~42, 중간 index 번호 0, 모두 합쳐 85개의 후보를 searching 하면 된다.
즉, 단말은 NPSS로부터 심볼 및 프레임동기를 찾은 후에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찾는 과정에서 85개의 후보를 찾으면 된다는 것이다. 도 7에서 주황색 부분은 3MHz, 5MHz, 15MHz에서의 guard band 후보들을 표시하고 있다.
도 8은 짝수 PRB를 가지는 BW 시스템의 in band 및 guard band 모두에서의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모두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in band, guard band 구분없이 새롭게 생긴 두 번째 열의 center frequency로부터 위로 indices 1~56, 아래로 indices 1~56, 중간은 비어 있는 DC subcarrier 제외하여, 모두 합쳐 112개의 후보를 searching 하면 된다.
즉, 단말은 NPSS로부터 심볼 및 프레임동기를 찾은 후에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찾는 과정에서 홀수 85개와 짝수 112개의 후보를 합쳐 총 197개를 찾으면 된다는 것이다. 도 8에서 주황색 부분은 10MHz, 20MHz에서의 guard band에서의 후보들을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좀더 유연하고 범용적인 PRB searching 기법을 기술하였다. 이 방법으로 통하여 in band, guard band 구분을 굳이 하지 않고 표준을 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 LTE에서 5G로 진화함에 있어서 flexible BW와 시스템 상황에 맞는 RB 할당을 하는 어떠한 시스템과 단말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데 목적을 둔다.
물론, 이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단말이 특정 RB위치를 찾는데, 좀 더 많은 후보를 찾게 되는 단점은 있고, BW가 늘어날수록 searching indices 후보가 늘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현재 및 미래의 무선 통신 기술은 여러 가지 다른 후보 기술들을 통합하고 merging 하는 과정을 계속 5G 표준화에서 논의를 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dual connectivity, LAA, LWA등이 그러한 예인데, 이러한 기술들 안에서 추후에 IoT기술이 접목이 될 때, 초기 접속을 위한 주파수를 찾는 과정은 매우 단순하고 robust하게 설계하여 이종망간의 통합 필요가 있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방식이라 말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in band에서의 후보와 guard band에서의 후보 구분을 없애고 일관성 있는 frequency searching을 위한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in band에서의 후보와 guard band에서의 후보 구분을 없애고 일관성 있는 frequency searching을 위한 NB-IoT center frequency 후보 indices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NPSS로부터 심볼 및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FT로 통한 해당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는,
    홀수 PRB를 갖는 BW 시스템 또는 짝수 PRB를 갖는 BW 시스템인지 여부에 따라 기지정된 indices 후보들을 검색하는 방법.
KR1020160090527A 2016-07-18 2016-07-18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KR20180009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27A KR20180009405A (ko) 2016-07-18 2016-07-18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527A KR20180009405A (ko) 2016-07-18 2016-07-18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05A true KR20180009405A (ko) 2018-01-29

Family

ID=6102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527A KR20180009405A (ko) 2016-07-18 2016-07-18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4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364B1 (ko)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US9923704B2 (en) Flexible spectrum support in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313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6320B1 (ko)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999403B (zh) 用户终端及无线通信方法
EP2724565B1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support for limited bandwidth communication devices
KR1020406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74795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synchronizing downlink
CN111194574B (zh)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EP3334201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848397B2 (en) Synchronizing signal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synchronizing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10169184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WO201703874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374812B2 (e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1183693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0832922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10075955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JPWO2018198341A1 (ja) 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7170448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73862A1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A3087974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601832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15136692A (zh) 终端、无线基站及无线通信方法
KR20180009405A (ko) NB-IoT의 in band, guard band에서 새로운 DL center frequency indexing 방안
KR2018001141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