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212A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212A
KR20180009212A KR1020160090857A KR20160090857A KR20180009212A KR 20180009212 A KR20180009212 A KR 20180009212A KR 1020160090857 A KR1020160090857 A KR 1020160090857A KR 20160090857 A KR20160090857 A KR 20160090857A KR 20180009212 A KR20180009212 A KR 2018000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rotor
water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9039B1 (en
Inventor
정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39B1/en
Publication of KR2018000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comprises: a mounting body; a water tank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and storing water therein; a water turbine housing rotationally arranged inside the water tank,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nto the inside thereof when rotating, pumping the sucked water upward, and spraying the sucked water to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 water turbine motor including a rotor and a sta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water turbine housing and integrally rotating the rotor and the water turbine housing, wherein the stator is arranged on the mounting body and the rotor is separable from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water turbine housing to be arranged in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or of the water turbine motor is disposed in a humidification module and the stator of the water turbine motor is disposed in a clean module, it is possible to transfer power to a detachable humidification module.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cleanlines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 humidifier for providing moisture in the air, and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ly, a humidifier is classified into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atomized in a diaphragm, and a natural evaporation is performed in a vibration type and a humidifying filter which discharge water into the ai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ncludes a disk type humidifier in which a disk is rotated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ying filter type humidifier which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Respectively.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a part of the air flowing in the humidification process wa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humidifying function, the function of cleaning the air is weak.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in that the humidifier can not be operated only for air filtration because the humidifier is structured by adding filtration function dur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problem that humidific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desires air cleaning even in a high humidity condition.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operat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모듈이 분리가능한 구조일 경우, 상기 가습모듈 내부에 배치된 수차하우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to a turbine housing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module when the humidifying module is detachable.

본 발명은 수차모터의 로터 및 스테이터를 가습모듈 및 클린모듈에 분산배치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distributing a rotor and a stator of a water turbine motor to a humidifying module and a clean module.

본 발명은 수조에 설치된 로터의 밀폐구조를 제공하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hat provides a sealing structure of a rotor installed in a water tank.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거치바디; 상기 거치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수차하우징;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수차모터;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배치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mounting body; A water tank which is detachably seated on the mounting body and in which water is stored; A water turbine housing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n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rotates, sucking the sucked water upward and jetting it radially outward; An aberration motor including a rotor and a sta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nd integrally rota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the stator being disposed on the stern body, the rotor being detachable from the stator, And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상기 로터는 상기 수조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수조를 관통하여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The ro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urbine housing through the water tank.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수조바디 및 수조베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tank includes a water tank body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water tank bas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wherein the rotor can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body and the water tank base.

상기 수조베이스는, 상기 로터가 삽입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될 수 있도록 로터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로터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tub base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for providing the rotor mounting space so that the rotor is inserted and the rotor can be rotated.

상기 수조로터설치부는 상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터설치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may protrude downward to form the rotor mounting space.

상기 수조가 거치바디에 거치될 때,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tub is mounted on the stationary body, the stator may be located outside the water tub rotor mounting portion.

상기 수조베이스 및 수조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설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은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And a power transmitting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water tub and the water tub body and provided with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can be located above the water tub rotor mounting portion.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의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의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의 개구된 하측 및 상기 수조로터설치부의 개구된 상측이 밀착되어 상기 로터설치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The low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is opened and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is opened and the lower opened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and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eal the rotor mounting spac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 및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사이에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A pack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and the water tank mounting part.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바디의 외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a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ationary body.

상기 거치바디는 상기 로터가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rotor is inserted, and the stator may be disposed in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상기 거치바디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ta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상기 거치로터설치부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분리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rotor installation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so that the water tank rotor installation part can be detach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거치바디;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수차하우징;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수차모터;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축; 상기 수조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가 삽입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될 수 있도록 로터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로터설치부;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tank body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tank which is detachably seated on the water storage tank body, A water turbine housing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n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rotates, sucking the sucked water upward and jetting it radially outward; An aberration motor including a stator disposed on the stern body, a rotor detachable from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aberration housing and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power transmission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nd integrally rota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water tub base to provide a rotor mounting space in which the rotor is inserted and the rotor can be rotated; And a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in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is detachably inserted is formed.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ato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수차모터의 로터는 가습모듈에 배치되고, 수차모터의 스테이터는 클린모듈에 배치되기 때문에, 분리가능한 가습모듈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rotor of the aberration motor is dispos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and the stator of the aberration motor is disposed in the clean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detachable humidification module.

둘째, 스테이터 및 로터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이 수차하우징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stator and the rot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berration housing, power loss can be minimized.

셋째, 스테이터 및 로터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회전력이 수차하우징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동력전달을 위해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stator and the rot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berration housing, th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power transmission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

넷째, 로터가 수조에 배치되지만,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로터가 물에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Fourth, although the rotor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it is advantageous that the rotor is not exposed to water because it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tank body where water is stored.

다섯째, 로터가 수조바디 및 수조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로터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rotor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body and the water tank b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or can be effectively sealed.

여섯째, 로터가 수조로터설치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내에서 로터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로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밀폐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since the rotor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and the rotor is rotated within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rotor can be minimized, and sealing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일곱째, 로터가 설치된 수조로터설치부가 스테이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습모듈의 분리 또는 결합 시 로터 및 스테이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h, since the water tank rotor installation portion in which the rotor is installed is inserted into the st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or and the stator can be easily combined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detached or coupled.

여덟째, 로터 및 스테이터 사이에 수조로터설치부 및 거치로터설치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로터 및 스테이터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so tha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0는 도 9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8에 도시된 D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E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 flow of a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below.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2.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9 is a plan view of the mounting body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D shown i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클린모듈(100) 및 상기 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icati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ean module 100 and a humidification module 200 mounted on the clean module 100.

상기 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clean module 100 sucks outside air, filters the air, and provides filtering air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receives the filtered air and humidifies the humidifying air to provide moisture, and discharges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가습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는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가습모듈(200)은 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water tub 30 is detachable from the clean module 100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tache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clean module 100.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을 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가습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습모듈(200)이 분리된 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별도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parate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from the clean module 100 and clean the separated humidification module 200.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clean module 100 in which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separated.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tached,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 module 100 is opened to the user. The clean module 100 can be cleaned after separately separating the filter assembly 10 to be described later.

사용자는 상기 가습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가 형성된다. The user can supply water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channel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water tub 30 from the outside.

상기 급수유로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모듈(200)이 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모듈(200)이 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hannel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at any time. For example,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in operation,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For example, even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For example, even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상기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103. Since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tachable,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formed by being dispersed in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상기 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상기 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고, 공기의 유로 정확하게 구성된다. The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clean module 100 is defined as a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and the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fined a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channel 105.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clean module 100, the connecting flow path is connected and the flow path of the air is accurately constituted.

상기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클린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construction of the clean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클린모듈(100)은 흡입유로(101) 및 클린연결유로(104)가 형성된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The clean module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formed with a suction passage 101 and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and a separator installed to be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And a blowing unit 20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and configured to flow air.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10)에서 여과된 공기가 상기 가습모듈(200)에 제공된다. And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base body 11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The air filtered in the filter assembly 10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2파트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body 110 is composed of two parts.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거치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lower body 130 formed with an outer shape and having a suction port 111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 mounting body 12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to form an outer shape. do.

상기 클린모듈(100) 또는 가습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to a use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16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to the user.

상기 거치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일체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거치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towage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are integrally assembled. The mounting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may be formed as one body,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거치바디(120)의 상측에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가습모듈(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on body 120 to support the load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가습모듈(200)의 수조(30)가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이다. The stowage body 120 provides a structure for stably mounting the water tank 30. [ The mounting body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tub 30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etachable. The stowage body 120 has a concave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water tank 30. [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상기 수조(30)를 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무게중심을 보다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towage body 120 is recessed into the base body 110 and can house the water tank 30 inside the base body 11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ir cleaner can be moved downward Can be moved.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클린모듈(100)을 통해 상기 가습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상기 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power from the clean module 100 and supplies power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through the clean module 100. Since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removable from the clean module 100,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are provided with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s.

상기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은 상기 거치바디(120)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거치바디(120)에는 상기 가습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상기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Since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ar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body 120, the connector 2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disposed in the mounting body 120 . A top connector 27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60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top connector 270 is seated above the connector 260.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connector 260 through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provides filtration flow path 102 and performs filtering on the outside air.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The filter assembly 10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against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0 may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air blowing unit 20 generates a flow of air. The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and allows air to flow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unit 20 is composed of a blowing housing 150, a blowing motor 22 and a blowing fan 2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The air blowing housing 150 provides a flow path of air to be flowed. The blowing motor (22) and the blowing fan (24) are disposed in the blowing housing (150).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air blowing housing 150 is disposed on the filter assembly 10 and is disposed below the mounting body 120.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air blowing fan 24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from the lower side and then discharges the ai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ir blowing fan 24 discharges air radially outward and upward. The blowing fan 24 is formed such that its outer end is directed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above the blowing fan 24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air to be flowed. The air blowing motor 22 is not positioned on the air flow path by the blowing fan 24.

상기 가습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와, 상기 수조(3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수차유닛(40)과,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 in which water for humidification is stored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 module 100 and a water tank 30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 A humidifying medium 50 for humidifying the air to be humidified by the water jetted from the aberration unit 40 and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A visual body 210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channel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water supply channel And a top cover assembly 230 formed with a top cover assembly 109.

상기 수조(30)는 상기 거치바디(120)에 거치된다. 상기 수차유닛(40)은 상기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water tub (30) is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120). The aberration unit 4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 and is rotated inside the water tank 30.

상기 수차유닛(40)은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수차유닛(4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수차하우징(800)을 포함한다.The aberration unit 40 sucks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suck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injects the pumped wate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berration unit 40 includes a water turbine housing 800 that sucks water inward, suck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ejects the sucked wate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수차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수차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from the aberration housing 800 sweeps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water injected from the aberration housing 800 may be inject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humidifying medium 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혀진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erration housing 800 injects wat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injected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A drople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n the form of a droplet, and the user can see the droplet through the visual body 210.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30. At least a part of th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viewing through the inside.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맺힌 액적은 빗방울이 맺힌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액적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A droplet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may be formed as a raindrop. A droplet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impregnates the humidifying medium 50.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거치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거치바디(120)에 배치된다.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The display module 160 is coupled to either the visual body 210 or the mounting body 120.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mounting body 120.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mounted, the out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module 160.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of a material reflecting light.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The droplet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is also proj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Thus, the user can observe the movement of the droplet in two places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수조(30)는 공기가 소통되는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상기 가습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tank (30) is formed with a water tank inlet (31)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The air supplied from the clean module 100 flows into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31.

상기 가습매체(50)는 연결유로(103)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유로(107)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medium 50 includes a water bath humidifying medium 51 disposed in the connecting flow path 103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disposed in the discharging flow path 107.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연결유로(103) 상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의 수조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channel 103 and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inlet 31 of the water tank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inlet 31 and provides humidification f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tank inlet 31.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covers the water tank inlet 31 and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30 throug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토출유로(107) 상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 또는 탑커버어셈블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flow path 107.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visual body 21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하여 탑커버어셈블리(230) 밖으로 유동된다.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covers the discharge flow path 107 and the air flows out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low of 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송풍유닛(2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베이스바디(110)의 하측면에 형성된 흡입유로(101)를 통해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클린모듈(100) 및 가습모듈(200)를 통과하고, 가습모듈(20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When the air blowing unit 20 is operated,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base body 110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10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body 110.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passes upward through the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07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do.

상기 흡입유로(101)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10)의 여과유로(102)를 통과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101) passes through the filter passage (102) of the filter assembly (10). The filter assembly 102 filters external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20)을 통해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24)에 의해 가압된 후, 송풍팬하우징(150)을 따라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flows into the connection channel (103) through the air blowing unit (2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is pressurized by the blowing fan 24 and then flows into the connection channel 103 along the blowing fan housing 150.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다음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팬(24)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blowing unit 20 is disposed after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adhesion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to the blowing fan 24 can be minimized.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전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팬(24)에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로 인한 청소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ration flow path 102,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blowing fan 24 and the cleaning period becomes short.

또한, 송풍유닛(20)이 후술하는 가습유로(106)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풍팬(24)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팬(24) 표면에 가습된 수분이 부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엉겨붙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될 위험이 매우 크다. Further, since the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to be described later, adhesion of moisture to the surface of the blowing fan 24 can be minimized. When the humidified moisture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air blowing fan 24,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foreign matter gets clogged or mold is generated.

상기 송풍유닛(20)은 여과유로(102)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압력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between the filtration channel 102 and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adhesion of foreign matter can be minimized and the flow pressure of the air can be appropriately provided.

상기 연결유로(103)는 클린모듈(100)에 형성된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모듈(200)에 형성된 가습연결유로(105)로 구성된다.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composed of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formed in the clean module 100 and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form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바디(120)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가 연결된다. 상기 가습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외부로 노출된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120.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in a detached state,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channel 105 ar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거치바디(12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가습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body 120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th 105 may be form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덕트형태로 형성되어 명확한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유로(103)가 거치바디(120)의 일부 구조물 및 상기 수조(30)의 일부 구조물로 분산되고, 상기 가습모듈(200)이 거치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uct to form a clear flow passage. Whe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stationary body 120, the connecting passage 103 is divided into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tationary body 120 and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water tank 30, The flow path 103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3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구조물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wage body 120 provides an outer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water tank 30 provides an inner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즉, 상기 수조(30)의 바깥 쪽 및 거치바디(120)의 안쪽 사이에 상기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유로(103)는 수조(30) 및 거치바디(1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3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벽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벽을 형성한다. That is,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water tub 30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body 120. Therefore,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formed between the water tank 30 and the mounting body 120. The water tank 30 forms an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accommodation body 120 forms an outer wall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이렇게 연결유로(103)의 구조는 분산배치함으로써,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ispersedly disposed, thereby minimizing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한 공기는 가습유로(106)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분이 공급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가습매체(51) 부터 토출가습매체(55)까지이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03) flows into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is a section in which moisture is su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is from the water humidifying medium 51 to the humidification medium 55.

연결유로(103)에서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30) 내부에는 상기 수차유닛(40)에서 비산된 물방울 및 수조(30)에서 증발된 수분이 제공된다.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tub humidifying medium 51 from the connecting flow path 103. Water droplets scattered in the aberration unit 40 and water evaporated in the water tank 30 are provided in the water tank 30.

상기 수조(30) 내부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하면서, 다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Moisture can be supplied again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n the water tub 30. [

상기 가습유로(106)에서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 수조(30) 내부 및 토출가습매체(55)를 통해 수분이 공급된다. In the humidification channel 106,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the water tank 30,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07).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습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바디의 평면도이고, 도 10는 도 9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8에 도시된 D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E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F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2,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shown in Fig. 2. Fig. 8 is a cross-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of Fig. 9,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D shown in Fig. 8,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E shown in Fig. 8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F shown in Fig. 8, and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G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 내부에 배치된 수차하우징(800)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차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수조(3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시킨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berration unit 40 rotates the aberration housing 800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 and control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Not shown).

상기 수차유닛(40)은 상기 수차하우징(8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차하우징(800), 수차모터(420),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 The aberration unit (40) provides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aberration housing (800). The aberration unit 40 includes a aberration housing 800, an aberration motor 420, and a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상기 수조(30)는 거치바디(12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수차하우징(800)은 상기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수차유닛(40)은 분리가능한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한다. Since the water tank 30 is detachable from the stowage body 120 and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 the aberration unit 40 provides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차유닛(40)의 수차모터(420)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수조(30)를 거치바디(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berration motor 420 of the aberration unit 40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the water tray 3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dy 120.

상기 수차유닛(4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structure of the aberration unit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수차유닛(40)은 수조(3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되어 수조(30)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수차하우징(800)과, 상기 수차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모터(420)와, 상기 수차모터(420)의 회전력을 상기 수차하우징(8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The aberration unit 4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ub 30 and rotates to suck water in the water tub 30 to suck the sucked water upward and to pump the water pumped out to the outside An aberration motor 420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and a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berration motor 420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상기 수차하우징(800)은 수조(30)에 저장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configured to pump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ub 30 upward and radially outward.

상기 수차모터(420)는 상기 수차하우징(8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aberration motor 420 is configured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aberration housing 800.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상기 수차모터(420)의 회전력을 상기 수차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berration motor 420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차모터(420)의 일부는 가습모듈(200)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클린모듈(100)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차모터(420)를 구성하는 스테이터(422)는 거치바디(120)에 배치되고, 상기 수차모터(420)를 구성하는 로터(424)는 수조(30)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aberration motor 420 is dispos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200, and the rest is disposed in the clean module 100. More specifically, the stator 422 constituting the aberration motor 420 is disposed in the stationary body 120, and the rotor 424 constituting the aberration motor 420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

상기 스테이터(422)는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로터(424)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422)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로터(424)가 회전되는 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실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stator 422 may be wound with a coil, and the rotor 424 may be a permanent magnet. The principle that the rotor 424 is rot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tator 422 is a general fac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조(3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와, 상기 수조바디(32)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34)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0 includes a water tank body 32 storing water and a water tank base 34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32.

상기 수조바디(32) 상측에 상기 수차하우징(800)이 배치된다.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disposed above the water tub body 32.

상기 수조바디(32)에 후술하는 컬럼(35)이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을 감싸도록 상기 수차하우징(800)이 설치된다. A column 35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body 32.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lumn 35.

상기 로터(424)는 상기 수조바디(32) 및 수조베이스(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32) 및 수조베이스(34)는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or 42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ater tub body 32 and the water tub base 34. The water tank body 32 and the water tank base 34 are preferably hermetically sea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424)는 수조베이스(34)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테이터(422)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or 424 is located above the water tub base 34 and can be rotated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42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424)를 스테이터(422)의 내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상기 스테이터(422)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water tank base 3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side the stator 422 in order to position the rotor 424 inside the stator 422 in this embodiment.

상기 수조베이스(34)는 상기 로터(424)가 삽입되는 수조로터설치부(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터(424)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 내부에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는 원기둥형태이다. The water tank base 34 is formed with a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nto which the rotor 424 is inse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protruded downward. The rotor 424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and is rotated insid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has a cylindrical shape.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의 상측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의 내부에는 로터설치공간(38)이 형성된다.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open. A rotor mounting space 38 is formed in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상기 로터(424)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0)의 동력전달축(640)이 결합된다.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저널베어링(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널베어링(36)은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rotor 424. A journal bearing 36 for supporting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educing friction with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 The journal bearing 36 is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상기 거치바디(120)는 상기 수조(30)가 거치되는 거치이너바디(122)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와 결합되고, 상기 거치이너바디(122)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거치아우터바디(128)와,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및 거치아우터바디(128)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거치이너바디(122) 상측으로 안내하는 거치가이드(124)와, 상기 거치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되고, 투시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비주얼바디(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비주얼바디(214)를 포함한다. The stowable body 120 includes a stationary inner body 122 on which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and a lower inner body 122 which is coupled to the stationary inner body 122 and is located outside the stationary inner body 122, 130),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inner body (122) and the mounting outer body (128)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base body (110) And an outer visual body 214 coupled to the mounting outer body 128 and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120.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수차모터(420)의 스테이터(422)는 거치이너바디(122)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이너바디(122)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가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123)가 형성된다. The stator 422 of the aberration motor 42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ationary inner body 122. The stationary inner body 122 is formed with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into whic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inserted.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의 개구된 상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수조(30)가 거치될 때,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가 거치로터설치부(123)에 결합된다.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123 is formed with an upper side opene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123. When the water tub (30) is mounted, the water bath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coupled to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는 상측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막힌 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거치로터설치부는 상하로 개구된 형상이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가 상하로 삽입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123 has an upper side opened and a remaining side close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is vertically opened,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Can be inserted up and down.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는 스테이터(422)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의 주변에 상기 스테이터(422)가 배치된다. 상기 스테이터(422)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is inserted a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ator 422. That is, the stator 422 is disposed around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The stator 422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12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 외부에 상기 스테이터(422)가 배치되고, 상기 거치로터설치부(123) 주변을 따라 링형태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tator 422 is disposed outside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and is arranged in a ring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수조(30)가 거치바디(1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스테이터(422) 및 로터(424) 사이에는 수조로터설치부(33) 및 거치로터설치부(123)가 배치된다.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and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123 are disposed between the stator 422 and the rotor 424 when the water tank 30 is coupled to the stationary body 120.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가 거치로터설치부(123)에 설치될 때, 상기 로터(424) 및 스테이터(422)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된다. 상기 로터(424) 및 스테이터(422)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로터(424)의 위치가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s installed in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123, a magnetic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rotor 424 and the stator 422.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of the rotor 424 is aligned by the attract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rotor 424 and the stator 422.

즉, 수조(30)의 거치 시, 상기 로터(424)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더라도 상기 스테이터(422)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로터(424)가 정위치로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rotor 424 is not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water tray 30 is moun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or 424 is align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attraction with the stator 422.

상기 스테이터(422) 및 로터(424)의 인력은 수조(30)를 거치할 때,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조작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조로터설치부(33)를 어느정도 거치로터설치부(123)에 삽입하면, 수조(30)가 하측으로 당겨지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33) 및 거치로터설치부(123)의 자동정렬이 이루어진다. The attractive force of the stator 422 and the rotor 424 provides a sense of operation that the user can feel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erts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into the rotor mounting portion 123 to some extent, the user can feel the operation feeling of pulling the water tank 30 downward,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The automatic alignment of the rotor mounting portion 123 is performed.

또한, 상기 수조(30)를 거치바디(120)에서 분리할 때도, 상기 스테이터(422) 및 로터(424)의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분리에 따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Also, when the water tub 30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body 120, the attracting force of the stator 422 and the rotor 424 acts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operation feeling according to the sepa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424)에 동력전달축(640)이 직접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동력전달과정에서의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directly coupled to the rotor 42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loss during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can be minimized.

또한, 로터(424) 및 동력전달축(640)이 일체화되어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 시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rotor 424 and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are integrated and rot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ise during rotation can be minimized.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수차모터(420)의 회전력을 수차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i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berration motor 420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수조(30)의 컬럼(35) 내부에 위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630)과,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차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축(640)과, 상기 동력전달축(640) 및 동력전달하우징(630)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670)을 포함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located inside the column 35 of the water tank 30 and a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located inside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and penetrating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A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protruding upward and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and a bearing 670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and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컬럼(35) 내부에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600 is installed inside the column 35 to block contact with wa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 동력전달축(640), 베어링(670)은 상기 컬럼(35) 내부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and the bearing 670 are disposed inside the column 35.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동력전달하우징(630)을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동력전달하우징(630)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630 vertically.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may be rotated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630.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내부식성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황동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may be made of aluminum or brass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수조(30) 내부에 설치된다.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ub 30. [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단은 상기 수차하우징(800)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로터(424)에 결합된다.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passes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63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coupled 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rotor 424. [

상기 베어링(670)은 동력전달하우징(630) 및 동력전달축(6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베어링(670)을 관통하게 배치된다.The bearing 670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630 and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bearing 670.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65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상측에 결합되고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우징캡(660)과, 상기 하우징캡(660) 및 동력전달축(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캡(660)에 끼워져 고정되는 축개스킷(680)과, 베어링(670) 및 하우징캡(66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우징탄성부재(690)를 포함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includes a bearing housing 65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housing cap 66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aring housing 650 and having a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shaft gasket 680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cap 660 and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and fixed to the housing cap 660 and a shaft gasket 680 installed between the bearing 670 and the housing cap 660, And a housing elastic member 69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베어링(670)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단(641)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70)은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의 하측 직경이 상측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8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측에서 삽입된 후,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된다.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formed with a bearing support end 641 for supporting the bearing 670. The bearing 670 is supported by the bearing supporting end 641. The bearing supporting end 641) is formed to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side. The bearing 680 is inserted in the upper side of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and is then supported on the bearing supporting end 64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aring housing 650 are formed to be open.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내측에 중공(661)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중공(66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The housing cap 66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housing 650. The housing cap 660 is fitted into the bearing housing 650. The housing cap 660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housing cap 660 has a hollow 661 formed therein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passes through the hollow 661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에 지지되고, 동력전달축(640)이 관통되는 중공(661)이 형성되는 하우징캡바디(662)와, 상기 하우징캡바디(662)에 형성되고, 축개스킷(680)이 지지되는 캡지지부(664)를 포함한다. The housing cap 660 is supported on the bearing housing 650 and includes a housing cap body 662 having a hollow 661 through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passes, And a cap support portion 664 on which the shaft gasket 680 is supported.

상기 캡지지부(664)는 상기 동력전달축(6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개스킷(680)은 상기 캡지지부(664)에 지지된다. The cap support portion 664 protrudes towar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side. The shaft gasket 680 is supported on the cap support portion 664.

상기 하우징캡(660)은 컬럼(35)의 상면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컬럼(35)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관통되는 컬럼개구부(39)가 형성된다. The housing cap 660 is located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column 35. In the column 35, a column opening 39 through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passes is formed.

상기 하우징캡(660)은 축개스킷(680)을 지지하고, 상기 축개스킷(680)은 컬럼(35)의 내부 상측면에 밀착시킨다. The housing cap 660 supports the shaft gasket 680 and the shaft gasket 68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lumn 35.

상기 축개스킷(68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aft gasket 68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축개스킷(680)을 통해 수조(30)의 물이 컬럼(3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개스킷(680)은 물이 베어링하우징(6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water tub 3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lumn 35 through the shaft gasket 680. In addition, the shaft gasket 680 can block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earing housing 650.

상기 축개스킷(680)은 캡지지부(664)에 밀착되는 개스킷바디(682)와, 상기 개스킷바디(682)에서 동력전달축(640)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을 포함한다.The shaft gasket 680 includes a gasket body 68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supporting portion 664 and a gasket diaphragm 684 protruded from the gasket body 682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상기 개스킷바디(682)는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및 하측면이 하우징캡(660)에 지지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개스킷바디(682)와 일체로 형성된다. The gasket body 682 is formed to have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outer and lower side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housing cap 660. The gasket diaphragm 68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asket body 682.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동력전달축(64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상하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고, 2중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The gasket diaphragm 68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Two gasket diaphragms 684 are vertically formed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하우징캡(660) 및 베어링(670)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탄성부재(690)는 상단이 하우징캡(660)을 탄성지지하고, 하단이 베어링(670)을 탄성지지된다. The housing elastic member 690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cap 660 and the bearing 670.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elastic member 690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ap 660, and the lower end elastically supports the bearing 670.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베어링(670)을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에 의해 베어링(670)이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될 수 있다. The housing elastic member 690 presses the bearing 670 downward through an elastic force. The bearing 670 can be supported on the bearing supporting end 641 by the housing elastic member 690.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동력전달축(640)이 회전될 때, 베어링(670)의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The housing elastic member 690 minimizes the vibration of the bearing 670 when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s rota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러(35) 내부에 동력전달하우징(630)이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이 수조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is installed inside the collar 35, but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630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수조(30)의 용량을 원하는 만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640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30 can be easily increased as desired.

수조(30)의 용량이 큰 경우, 상하 길이가 긴 수차하우징(800)이 요구된다. 수차하우징(800)의 길이가 길어지면, 회전 시 진동이 발생된다. 즉, 회전력이 수차하우징(800)의 하측에만 전달되는 경우, 수차하우징(800)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수차하우징(800)의 상측 및 하측의 속도차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30 is large, a water pump housing 800 having a long vertical length is required. When the length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becomes longer, vibration occurs during rotation. That is,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only to the lower side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distortion such as twist may occur in the aberration housing 800, and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may be generated.

이러한 변형 또는 속도차에 의해 수차하우징(800)에서는 대량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차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되어 양수되는 물에 의해 진동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수차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된 물이 편심되어 배치될 경우, 진동이 더 크게 발생될 수 있다. Due to such deformation or speed difference, a large amount of vibr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aberration housing 800. In particular, the vibr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water sucked in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and pumped in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When the water sucked into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arranged eccentrically, vibration may be generated more greatl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수차하우징(800)의 무게중심 및 상단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top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in a stat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즉,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는 수조(30)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수차하우징(800)의 높이를 증가시켜도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30 is increased, the vibration can be minimized even if the height of the aberration housing 800 is increased.

한편, 상기 로터(424)는 스테이터(422)와 분리되어 수조(30)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tor 424 is separated from the stator 422 and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 vibration can be generated in the water tank 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424)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vibration caused by the rotor 424.

먼저,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베어링(670)이 설치될 수 있고, 로터(424)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베어링(672)이 설치될 수 있다. A bearing 670 may be installed to minimize vib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and a separate bearing 672 may be installed to minimiz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rotor 424 rotates .

상기 로터(424)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을 로터베어링(672)로 정의하고, 상기 로터베어링(672)은 로터(424)와 근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aring for minimizing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rotor 424 is defined as a rotor bearing 672 and the rotor bearing 672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rotor 424.

상기 로터베어링(672)은 수조로터설치부(33) 또는 베어링하우징(65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이 높은 베어링하우징(650) 내부에 상기 로터베어링(672)이 설치된다. The rotor bearing 672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or the bearing housing 650. In this embodiment, the rotor bearing 672 is installed inside the bearing housing 650 having high rigidit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상단은 하우징캡(660) 및 축개스킷(680)에 의해 밀폐되고, 하단은 수조베이스(34)와 결합되어 밀폐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aring housing 650 are formed to be open.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housing 650 is sealed by the housing cap 660 and the shaft gasket 68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with the water tub base 34 to be sealed.

상기 로터베어링(672)의 내측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접촉되고, 외측은 베어링하우징(650) 내측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로터베어링(672)의 내측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접촉되고, 외측이 수조로터설치부(33) 내측에 지지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inner side of the rotor bearing 672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and the outer side thereof is supported inside the bearing housing 650. The inner side of the rotor bearing 672 may be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640 and the outer side of the rotor bearing 672 may be supported insid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

그래서 상기 로터(424)를 기준으로 하측에 저널베어링(36)이 배치되고, 상측에 로터베어링(672)이 설치되어 상기 로터(424)의 회전 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진동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journal bearing 36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or 424 and the rotor bearing 67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minimize the vibration while minimizing the friction during rotation of the rotor 424.

다음으로, 로터(424)가 설치된 수조로터설치부(33)를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로터(424)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베이스(34), 베어링하우징(650) 및 수조바디(32)를 동시에 체결고정하는 체결부재(37)가 배치된다. Next,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provided with the rotor 424 is effectively fixed, so that the vibration by the rotor 424 can be suppressed. 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member 37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water tank base 34, the bearing housing 650, and the water tank body 32 at the same time is disposed.

상기 체결부재(37)는 수조로터설치부(33)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체결부재(37)는 수조로터설치부(3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37)는 수조로터설치부(33) 및 베어링하우징(650)의 플랜지(652)를 관통하여 수조바디(32)에 체결된다. The fastening member 37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The fastening member 37 is fasten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The fastening portion 37 is fastened to the water tank body 32 throug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and the flange 652 of the bearing housing 650.

상기 체결부재(37)는 3개의 구성을 동시 체결하기 때문에, 로터(424)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astening member 37 fastens the three components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otor 424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or suppressed.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플랜지(652)는 수조베이스(34) 상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플랜지(652) 및 수조베이스(34) 사이에 패킹(653)이 배치된다. 상기 패킹(653)은 상기 플랜지(652) 저면에 끼워질 수 있다. The flange 652 of the bearing housing 6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base 34 and the packing 653 is disposed between the flange 652 and the water tank base 34. The packing 653 can be f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652.

상기 패킹(65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652) 및 수조로터설치부(33)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패킹(653)은 상기 플랜지(652) 및 수조로터설치부(33)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The packing 653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seals between the flange 652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The packing 653 also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vibration between the flange 652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3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 : 수조 32 : 수조바디
33 : 수조로터설치부 34 : 수조베이스
35 : 컬럼 36 : 저널베어링
37 : 패킹 40 : 수차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거치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가습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60 : 커넥터
420 : 수차모터 422 : 스테이터
424 : 로터
10: filter assembly 20: blowing unit
30: water tank 32: water tank body
33: water tank rotor mounting part 34: water tank base
35: Column 36: Journal bearing
37: packing 40: aberration unit
51: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5: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100: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mounting body 130: lower body
150: blower housing 160: display module
200: Humidification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260: Connector
420: aberration motor 422:
424: Rotor

Claims (15)

거치바디;
상기 거치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수차하우징;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수차모터;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A stiff body;
A water tank which is detachably seated on the mounting body and in which water is stored;
A water turbine housing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n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rotates, sucking the sucked water upward and jetting it radially outward;
An aberration motor including a rotor and a sta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nd integrally rota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Wherein the stator is disposed in the mounting body,
Wherein the rotor is detachable from the stator and is connected to the aberration housing and disposed in the water tu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수조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수조를 관통하여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or is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water turbine housing through the wat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수조바디 및 수조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water tank,
A tank body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water tub bas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bath body,
And the rotor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body and the water tank ba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조베이스는,
상기 로터가 삽입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될 수 있도록 로터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로터설치부가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tank base includes:
And a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tor mounting space for allowing the rotor to be rotated and rotatab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조로터설치부는 상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터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art protrudes downward to form the rotor mounting sp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거치바디에 거치될 때,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외측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or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stationary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조베이스 및 수조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이 설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은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상측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water tub base and the water tub body and provid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And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is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의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의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의 개구된 하측 및 상기 수조로터설치부의 개구된 상측이 밀착되어 상기 로터설치공간을 밀폐시키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lower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is opened and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installation portion is opened and a low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and an opened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rotor installation portion are closely contacted to seal the rotor installation space.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 및 상기 수조로터설치부 사이에 패킹이 설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acking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housing and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바디의 외부 하측에 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tator is disposed outside the outside of the stowag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디는 상기 로터가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ionary body is formed with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rotor is inserted, and the stator is disposed in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디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 외부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ionary body is formed with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tator is disposed outside the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치로터설치부는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분리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 so that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can be detached.
거치바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 및 상기 수조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수차하우징;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차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수차모터;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로터 및 수차하우징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축;
상기 수조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가 삽입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될 수 있도록 로터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로터설치부;
상기 거치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로터설치부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거치로터설치부가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A stiff body;
A water tank including a water tank body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water tank bas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the water tank being detachably seated on the mounting body;
A water turbine housing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uck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n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rotates, sucking the sucked water upward and jetting it radially outward;
An aberration motor including a stator disposed on the stern body, a rotor detachable from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aberration housing and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power transmission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nd integrally rotating the rotor and the aberration housing;
A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water tub base to provide a rotor mounting space in which the rotor is inserted and the rotor can be rotated;
And a stationary rotor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stationary body and in which the water tank rotor mounting portion is removably inser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거치로터설치부 외부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ator is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rotor mounting portion.



KR1020160090857A 2016-07-18 2016-07-1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59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57A KR101859039B1 (en) 2016-07-18 2016-07-1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57A KR101859039B1 (en) 2016-07-18 2016-07-1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212A true KR20180009212A (en) 2018-01-26
KR101859039B1 KR101859039B1 (en) 2018-06-28

Family

ID=6102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857A KR101859039B1 (en) 2016-07-18 2016-07-1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0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624A (en) * 1995-08-25 1997-03-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Motor driver and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KR19990081798A (en) * 1998-04-10 1999-11-15 모리시타 요이찌 washer
JP2009250447A (en) *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Water atomizer and humidifier using the same
KR20160060438A (en) * 2014-11-20 2016-05-30 상하이 이엔엘 뉴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624A (en) * 1995-08-25 1997-03-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Motor driver and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food
KR19990081798A (en) * 1998-04-10 1999-11-15 모리시타 요이찌 washer
JP2009250447A (en) *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Water atomizer and humidifier using the same
KR20160060438A (en) * 2014-11-20 2016-05-30 상하이 이엔엘 뉴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039B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9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09458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3170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151499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45713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5996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2018536136A (en)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EP3163192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163195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1026752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316319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97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163190A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59041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5903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41934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70051240A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