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077A -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077A
KR20180008077A KR1020160089889A KR20160089889A KR20180008077A KR 20180008077 A KR20180008077 A KR 20180008077A KR 1020160089889 A KR1020160089889 A KR 1020160089889A KR 20160089889 A KR20160089889 A KR 20160089889A KR 20180008077 A KR20180008077 A KR 2018000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emperature
resistance
valu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7518B1 (ko
Inventor
최영환
장정재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켐
Priority to KR102016008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5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9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ing, e.g. burn-in or validation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상기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저항 특성에 따라 상기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FOR DETECTING SENSOR, SENSOR DETEC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센서의 저항 특성을 기초로 센서의 종류를 판단하는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 센서는 센서의 유형마다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동일한 온도에 대하여 서로 다른 측정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실제 온도가 25°로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 및 측정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가 측정한 값을 가지고 온도값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기 위하여는 해당 센서의 종류를 파악하고 센서의 특성에 따른 계산식을 이용하여 온도값을 산출해야 한다.
온도 센서는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산업용에서 사용되는 제어시스템의 경우에는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 또는 제어시스템을 설치하는 설치 기사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들이 하나의 제어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시스템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제어시스템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센서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제어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면 해당 제어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의 개수가 늘어나고 센서의 종류 또한 일정하지 않으므로, 사람이 직접 제어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센서의 종류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센서의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3213호는 아날로그 센서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가 저항 출력 센서 인지, 전압 출력 센서인지, 또는 전류 출력 센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493213호에 의하더라도 단지 저항 출력 센서, 전압 출력 센서, 또는 전류 출력 센서 중 어느 센서에 해당하는지 만을 판별할 수 있을 뿐, 저항 출력 센서에 해당하는 경우, 저항 출력 센서에 있어서도 구체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센서인지를 판단하지 못하는 바, 상기의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32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마다 가지고 있는 저항 특성을 이용하여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고, 센서의 유형에 따른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온도값을 산출하는 센서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센서 감지 방법으로서, (a)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상기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저항 특성에 따라 상기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센서 레벨을 감지하고 센서 레벨값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하여 세부 유형으로 추가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산출된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센서 감지 시스템으로서,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는 센서 감지 확인부;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상기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하는 저항 특성 판단부; 상기 저항 특성에 따라 상기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센서 유형 결정부; 및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센서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감지 확인부는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센서 레벨을 감지하고 센서 레벨값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항 특성 판단부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유형 결정부는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하여 세부 유형으로 추가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 산출부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산출된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마다 가지고 있는 저항 특성을 이용하여 센서의 유형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센서의 유형에 따른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온도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센서의 유형별 온도에 따른 저항값 및 온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감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서 감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센서 감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5는 센서의 유형에 따른 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8은 온도-저항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감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감지 시스템(100)은 센서 감지 확인부(110), 저항 특성 판단부(120), 센서 유형 결정부(130), 온도 산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 감지 시스템(100)은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센서가 센싱한 값에 대한 데이터, 전압 및 전류와 같은 센서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센서 감지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감지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데이터저장부 및 센서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는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바람직하게,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은 데이터저장부에 의하여 센서 감지 시스템(100) 내부에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저항 테이블은 도 6 내지 8과 같이 센서별 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정리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 선택부는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고, 센서를 동작시킬 동작전압 범위에 해당하는 기준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센서 선택부는 센서를 5V로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12V로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감지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 센서 또는 써미스터(Termistor)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RTD 센서는 백금 저항으로서, 안정적이고 반복 재현성을 가지는 정밀한 온도 측정 장치 중의 하나이다. RTD 센서는 민감한 열적 구성 요소의 측정에 적합하고, 거의 모든 물질에서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고, 특정한 물질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반복재현이 가능하므로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RTD 센서 중에서는 Pt100과 Pt1000이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RTD 센서에서 사용하는 센서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사용되며 캡슐에 넣어서 유체의 흐름에 직접 노출하여 사용될 수 있다.
써미스터 센서는 열에 민감한 저항체로서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극단적으로 크게 변하는 감온 반도체이다. 사용 온도 범위가 -50~500℃로 일상적인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는 모든 범위에 응용되며, 소형이고, 값이 저렴하고 고감도이므로 가전기기나 산업기기의 온도 센서 및 온도 보상용으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려고 하는 센서의 유/무를 먼저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센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표시부를 통하여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해당 센서의 센서 레벨을 감지하고 센서 레벨값을 분석한 다음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센서 레벨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전압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센서는 연속적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기준레벨에 따라 동작될 수 있고,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해당 센서가 동작할 때마다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 값을 연속적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저항 특성 판단부(120)는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저항 특성 판단부(120)는, 센서 감지 확인부(110)를 통하여 연속적 또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확인된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는 센서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 특성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백금 저항에 해당하는 RTD 센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크지 않고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비교적 선형적인 반면, 써미스터 센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크고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RTD 센서는 저항의 종류에 따라 다시 PT100옴, PT500옴, PT1000옴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써미스터 센서는 온도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특성에 따라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센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센서, CTR(critical temperature resistor) 센서로 구분 될 수 있다. 여기에서, NTC센서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PTC 센서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CTR 센서는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히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NTC 센서, PTC 센서, CRT 센서 각각은 다시 저항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NTC 센서는 NTC 2k, NTC 5k, NTC 10k, NTC 15k,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각 센서별 온도(가로축)-전압(세로축) 그래프로서, PT1000(510), NTC 10K(520), PT500(530), NTC 5K(540), 및 PT100(550) 센서 각각의 서로 다른 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온도에 해당하는 전압값이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온도에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저항 특성에 따라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고, 바람직하게,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센서의 유형에 대하여 세부 유형으로 추가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 특성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저항 특성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함,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비선형적임,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큼}으로 판단되면,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비선형적임,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큼}의 특성을 기초로 해당 센서가 써미스터 센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함}의 특성을 기초로 써미스터 센서의 세부 중에서도 PTC 센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저항값을 기초로 PTC 센서 중에서도 PTC 1K에 해당하는지 PTC 2K에 해당하는지 등을 판단하여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온도 산출부(140)는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온도 산출부(140)는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산출된 저항값이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 산출부(140)는 해당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해당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해당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산식은 스테인하트(steinhart-hart)방정식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센서의 유형이 NTC 센서로 결정된 경우에는,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온도값이 계산될 수 있다.
[수식]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R은 저항값이고, C1a, C2a, 및 C3a는 스테인하트 방정식의 특성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감지 시스템(100)은 표시부 또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는 온도 산출부(140)를 통하여 산출된 온도값을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고, 통신부는 온도 산출부(140)를 통하여 산출된 온도값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 감지 확인부(110), 저항 특성 판단부(120), 센서 유형 결정부(130) 및 온도 산출부(14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2의 센서 감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센서 감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한다(단계 S210). 단계 S210 이전에, 데이터저장부는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센서 선택부는,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센서의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 감지 확인부(110)는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고자 하는 센서가 존재하는지 여부, 즉, 센서의 유/무를 먼저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센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를 통하여 에러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다른 센서를 선택하도록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저항 특성 판단부(120)는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한다(단계 S220). 바람직하게, 저항 특성 판단부(120)는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저항 값을 산출하고, 전압 및 전류의 제어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값을 기초로 저항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저항 특성에는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저항 특성에 따라 센서의 유형을 결정한다(단계 S230). 바람직하게,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저항 특성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저항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센서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센서 유형 결정부(130)는, 예를 들어, RTD 센서 인지 써미스터 센서인지 여부만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RTD 센서 중에서도 PT100 인지 또는 PT1000인지 등을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온도 산출부(140)는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한다(단계 S240). 바람직하게, 온도 산출부(140)는, 저항값이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에 있는 경우에는 온도 저항 테이블에서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온도-저항 테이블에 없는 경우에는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온도 산출부(140)를 통하여 산출된 온도값은 표시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거나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 산출부(140)를 통하여 산출된 온도값은 데이터 정리부를 통하여 온도 데이터로 정리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 표시부 또는 통신부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210 내지 S240이 모두 수행된 후에, 센서 선택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센서를 다시 선택받거나 또는 단계 S210내지 S240을 수행하지 않은 센서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센서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된 센서에 대하여 단계 S210 내지 S240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감지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센서 감지 시스템
110: 센서 감지 확인부
120: 저항 특성 판단부
130: 센서 유형 결정부
140: 온도 산출부
150: 제어부

Claims (17)

  1. (a)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상기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저항 특성에 따라 상기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센서 레벨을 감지하고 센서 레벨값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하여 세부 유형으로 추가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산출된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방법.
  9. 센서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확인하는 센서 감지 확인부;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상기 센서의 저항 특성을 판단하는 저항 특성 판단부;
    상기 저항 특성에 따라 상기 센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센서 유형 결정부; 및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응하는 온도-저항 테이블 또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가 센싱한 온도값을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센서의 유형별 저항 특성, 온도-저항 테이블, 및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들이 있는 경우에, 온도값을 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센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 확인부는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센서 레벨을 감지하고 센서 레벨값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특성 판단부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 특정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 온도와 저항값의 관계가 선형적인지 또는 비선형적인지 여부,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폭이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형 결정부는
    상기 센서의 유형에 대하여 세부 유형으로 추가분류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의 세부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산출부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값을 기초로 산출된 저항값이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검출하고, 상기 저항값이 상기 온도-저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값에 대응되는 온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89889A 2016-07-15 2016-07-15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82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89A KR101827518B1 (ko) 2016-07-15 2016-07-15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889A KR101827518B1 (ko) 2016-07-15 2016-07-15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77A true KR20180008077A (ko) 2018-01-24
KR101827518B1 KR101827518B1 (ko) 2018-02-08

Family

ID=6102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889A KR101827518B1 (ko) 2016-07-15 2016-07-15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826A1 (en) * 2019-03-01 2020-09-10 Kamstrup A/S Utility mete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detection algorithm
WO2022086192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모빅랩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0107A1 (de) * 2006-03-01 2007-09-06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s an eine Steuerung angeschlossenen Temperatursens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826A1 (en) * 2019-03-01 2020-09-10 Kamstrup A/S Utility mete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detection algorithm
CN113557417A (zh) * 2019-03-01 2021-10-26 卡姆鲁普股份有限公司 包括温度传感器检测算法的公用设施仪表
US11953355B2 (en) 2019-03-01 2024-04-09 Kamstrup A/S Utility mete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detection algorithm
WO2022086192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모빅랩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518B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9374B2 (ja) プロセス変数送信機における温度センサ構成の検出
EP2508881B1 (en) Testing a humidity sensor
WO2000065315A1 (fr) Detecteur de flux thermal, procede et appareil d'identification de fluide, detecteur de flux, et procede et appareil de mesure de flux
CN109900310B (zh) 一种温湿度传感器自检方法
EP2577245B1 (en)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thermocouple polarity detection
EP1968026A1 (en) Linear fire-detector alarming system based on data fusion and the method
CN112556927B (zh) 压力传感器自校正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06092375B (zh) 机载设备地面温度传感器的校验方法及校验仪器
WO2010138950A2 (en) Hydrogen chlorine level detector
KR102043090B1 (ko) 근접 센서
KR101827518B1 (ko)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80048702A (ko) 가스 분석 시스템 및 가스 분석 방법
AU20122034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ose Electrical Connection
CN107607144B (zh) 一种传感器基线漂移校正方法及检测设备
US20240053209A1 (en) Thermometer with a diagnostic function
CN210664817U (zh) 讯号判读装置
CN102998024B (zh) 一种基于rl电路零输入响应的新型测温方法
JP7108282B2 (ja) ガス検出システム
EP3822600B1 (en) Temperature calibrator with advanced functionality
Pennypacker Instrumentation for epidemiology
CN111765992A (zh) 一种温度传感器响应时间检测系统
Hayes Temperature sensors: make the right choice, RTD vs. TC
CN111491004A (zh) 基于云存储的信息更新方法
Jenkins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
CN118010085A (zh) 一种传感器的故障主动检测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