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847A -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847A
KR20180007847A KR1020160089270A KR20160089270A KR20180007847A KR 20180007847 A KR20180007847 A KR 20180007847A KR 1020160089270 A KR1020160089270 A KR 1020160089270A KR 20160089270 A KR20160089270 A KR 20160089270A KR 20180007847 A KR20180007847 A KR 2018000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pets
frame
companion animal
nose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재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주) 세종에스아이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종에스아이, 김현재 filed Critical (주) 세종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6008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847A/ko
Publication of KR201800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과 같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노즈워크(NOSEWORK - 반려동물이 코로 냄새를 맡으려고 하는 본능적인 행위)활동을 실내에서도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반려동물의 놀이, 훈련 및 지능개발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먹이를 찾기 위한 후각활동(노즈워크)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너플이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이 매트 본체의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자유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패턴으로 인해 흥미가 감소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활동패턴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반려동물의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Nosework matt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과 같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노즈워크(NOSEWORK - 반려동물이 코로 냄새를 맡으려고 하는 본능적인 행위)활동을 실내에서도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반려동물의 놀이, 훈련 및 지능개발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안정을 가지거나 의지하기 위해 실내에서 기르는 개, 고양이, 새 등을 일컬어 애완동물이라고 한다.
애완동물은 현대사회의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구성원 수의 감소로 인해 형제자매가 없는 한 자녀 가정이나 노인 혼자인 가정이 늘어나게 되었고, 애완동물이 단순히 외로움을 달래는 수단이 아닌 가족과 같은 인식으로 바뀌게 됨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애완동물이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의미로써 '반려동물'이라고 한다.
이러한 반려동물들은 사람과 함께 주로 실내에서 생활을 하게 되는데, 주인이 회사업무 등을 위해 외부 활동을 해야하는 경우 반려동물이 혼자 남겨지는 시간이 많고, 이에 우울증, 정서불안, 운동부족, 비만 등의 각종 심신적 질병이 발생되었다.
또한, 실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활동을 하게 되면서 반려동물의 야생성이 점차 사라지게 되고, 행동패턴이 단순화 되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이러한 각종 질병을 앓게 되는 경우 주인에게 버려져 유기동물이 되는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에 반려동물을 위해 배변, 놀이, 교육 등의 다양한 훈련을 실내에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들이 요구되었고,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4278호에는 트레이의 회전기능과 함께 개별 덮개를 이루는 개폐구의 회동식 개폐 구조를 이룸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애완동물 지능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지능개발 간식통이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게재된 애완동물용 지능개발 간식통은 초기에는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나, 계속 반복적인 패턴으로 인해 점차 흥미가 떨어져 관심에서 멀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과정과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간단하면서도 반려동물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4278호 (등록일 : 2013. 05. 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먹이를 찾기 위한 후각활동(노즈워크)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너플이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이 매트 본체의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자유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패턴으로 인해 흥미가 감소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활동패턴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반려동물의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매트 본체와 스너플의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여 세탁,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쉬운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매트 본체와 결합되는 수집통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사료(간식)가 있는 곳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음향, 소리, 향기 등의 신호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집통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반려동물이 후각활동을 하는 중에 먹이가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는,
면상에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저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구비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프레임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너플과;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사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집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매트 본체는 프레임의 상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며 면상에 스너플이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부설되는 슬라이딩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스너플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통공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너플은 다이마루(환편), 폴라폴리스, 기모원단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집통은 분포된 사료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을 표시하는 신호부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호부는 음향, 조명, 향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먹이를 찾기 위한 후각활동(노즈워크)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너플이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이 매트 본체의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자유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패턴으로 인해 흥미가 감소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활동패턴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반려동물의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매트 본체와 스너플의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여 세탁,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 본체와 결합되는 수집통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사료(간식)가 있는 곳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음향, 소리, 향기 등의 신호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집통의 바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반려동물이 후각활동을 하는 중에 먹이가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 본체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집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는 크게 매트 본체(100), 스너플(200), 수집통(30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본체(1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에 다수의 통공(111)이 구비된 프레임(11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저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121)가 구비된 마감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120)는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통공(111)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공의 형상이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인 경우 반려동물의 입 주변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너플(200)은 상기 프레임(110)에 체결되며, 프레임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너플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스너플(200)은 프레임(110)의 선상에 매듭지어지거나,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세탁,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너플(200)은 다이마루(환편), 폴라폴리스, 기모원단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외환경과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 나뭇잎, 풀잎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매트 본체(10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가이드레일(13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송되며 면상에 스너플(200)이 연결되도록 연결구(141)가 부설되는 슬라이딩블록(14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스너플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대체로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가이드레일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블록은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을 직접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집통(300)은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구(121)에 대응되는 결합공(310)이 형성되며, 내부에 사료(F)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집통(300)은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규격(높이)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료(F)가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집통(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된 사료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30)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을 표시하는 신호부(34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330)는 가장 많은 사료(가장 무거운 부분)가 있는 부분부터 사료가 적은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신호를 송출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사료가 많은 부분의 사료를 찾아서 먹은 후에는 다음으로 많은 부분의 신호가 송출되어 알림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호부(340)는 음향, 조명, 향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주인의 음성이 녹음된 음성신호,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점멸되는 조명신호 등을 출력하여 사료가 있는 곳의 위치를 반려동물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지능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통(300)은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5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350)는 반려동물이 후각활동을 하는 중에 매트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사료가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주인)가 반려동물의 사료나 간식 등을 매트 본체(100)의 프레임(110)에 체결된 스너플(200)의 사이에 놓거나 또는 수집통(300)의 공간부(320)에 놓고 반려동물이 후각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너플(200)은 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형상을 가공하거나 실외환경과 유사한 잔디, 풀잎 등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가이드레일(130)이 부설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딩블록(14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140)에 결합된 스너플(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너플의 위치를 무작위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반려동물로 하여금 다양한 상황의 후각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여도 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반려동물이 상대적으로 찾기 쉬운 곳의 사료나 간식을 먹은 후에 남아있는 사료를 못찾는 경우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수집통(300)의 공간부(320) 바닥면에 설치된 압력센서(330)를 작동시켜 남아있는 사료들 중 많이 몰려있는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압력센서가 신호부(340)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알림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호부(340)는 사용자(주인)의 목소리가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만큼 점멸하도록 형성된 조명을 작동하거나, 또는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에게 사료가 많은 곳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여, 실내에서도 반려동물의 지능개발 및 훈련을 할 수 있다.
이후, 반려동물이 후각활동을 마치고 나면 스너플(20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거나 매트 본체(100)를 수집통(300)과 분리하여 세탁,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유지보수를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반려동물로 하여금 먹이를 찾기 위한 후각활동(노즈워크)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매트 본체 110 ... 프레임
111 ... 통공 120 ... 마감부
121 ... 결합구 130 ... 가이드레일
140 ... 슬라이딩블록 141 ... 연결구
200 ... 스너플
300 ... 수집통 310 ... 결합공
320 ... 공간부 330 ... 압력센서
340 ... 신호부 350 ... 돌출부

Claims (6)

  1. 면상에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저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구비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매트 본체와;
    상기 매트 본체의 프레임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너플과;
    상기 매트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사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집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프레임의 상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며 면상에 스너플이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부설되는 슬라이딩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스너플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통공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너플은
    다이마루(환편), 폴라폴리스, 기모원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은
    분포된 사료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을 표시하는 신호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부는
    음향, 조명, 향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KR1020160089270A 2016-07-14 2016-07-14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KR2018000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70A KR20180007847A (ko) 2016-07-14 2016-07-14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70A KR20180007847A (ko) 2016-07-14 2016-07-14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47A true KR20180007847A (ko) 2018-01-24

Family

ID=6102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70A KR20180007847A (ko) 2016-07-14 2016-07-14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8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68U (ko) * 2018-03-15 2019-09-25 이춘근 애완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KR102079272B1 (ko) * 2019-04-10 2020-02-19 김민혁 애완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KR20200124502A (ko) *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펫클럽 노즈워크매트
KR20220136651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가람매트 반려동물용 단일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68U (ko) * 2018-03-15 2019-09-25 이춘근 애완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KR102079272B1 (ko) * 2019-04-10 2020-02-19 김민혁 애완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KR20200124502A (ko) *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펫클럽 노즈워크매트
KR20220136651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가람매트 반려동물용 단일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847A (ko)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US9545081B2 (en) Scent training device
Bray et al. Context specificity of inhibitory control in dogs
KR101930990B1 (ko) 동물 인터랙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Zimmerman et al. Behaviour of domestic fowl in anticip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Kerepesi et al. Detection of temporal patterns in dog–human interaction
Makecha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Marine Mammals, and Animal Welfare: A Brief Review.
Smith et al. Looking back at ‘looking back’: operationalising referential gaze for dingoes in an unsolvable task
US20080282993A1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WO2018185718A1 (en) A device and a method of learning a behavior of a pet in response to instructions provided to the pet
US20220248639A1 (en) Wobbling pet treat toy and dispenser
KR200490516Y1 (ko) 애완동물용 노즈워크 매트
Lorimer Touching environmentalisms: The place of touch in the fraught biogeographies of elephant captivity
Kuhne et al. Redirected behavior in learning tasks: The commercial laying hen (Gallus gallus domesticus) as model
KR102074661B1 (ko) 노즈워크 볼
Hothersall et al. Cue use by foals (Equus caballus) in a discrimination learning task
KR20210134170A (ko) 식기 겸용 노즈워크 완구
KR20200114556A (ko) 애완동물용 행동 교정 매트
KR102168408B1 (ko) 반려동물 먹이공급 장치
KR102606353B1 (ko) 반려 동물 놀이 장치
KR20150089706A (ko) 반려동물용 오감만족 장난감
Burch Canine Good Citizen-The Official AKC Guide: 10 Essential Skills Every Well-Mannered Dog Should Know
US20080134988A1 (en) Method of deterring domestic pets from indiscriminate soiling in areas in a house and means for effecting the same
NI Kepet. Design concept of smart indoor entertainment kennel for lonely dogs
Godbout It's all about personality! Meeting the behavioral, cognitive, and welfare needs of c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