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997A -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997A
KR20180006997A KR1020180002905A KR20180002905A KR20180006997A KR 20180006997 A KR20180006997 A KR 20180006997A KR 1020180002905 A KR1020180002905 A KR 1020180002905A KR 20180002905 A KR20180002905 A KR 20180002905A KR 20180006997 A KR20180006997 A KR 2018000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request
unlisted
tr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진
박현준
신영호
지철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Priority to KR102018000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997A/ko
Publication of KR2018000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은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상기 비상장 주식의 대상 거래량을 매매하기 위한 거래정보임-의 식별정보 및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거래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추가 거래자의 추가거래 요청을 거래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over-the-counter capable of seperation trading}
본 발명은 비상장 주식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거래할 수 있고 거래요청자가 요청한 거래량의 일부만을 거래자가 거래하고 싶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식 투자는 투자자들의 주요한 투자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주식투자는 주로 거래소에 상장이 된 상장 주식들 위주로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이러한 상장 주식들에 비해 비상장 주식의 투자가 보다 높은 수익률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투자자들이 비상장 주식에 투자를 수행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비상장 주식의 거래는 그 거래가 활발히 또는 빈번히 이루어지지 않고 개인 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다보니, 시장에 의해 객관적으로 가치가 결정되기가 용이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상장 주식도 상장 주식과 마찬가지로 신뢰할 수 있는 중개기관(예컨대, 거래소 및/또는 증권사 등)에서 거래를 중개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비상장 주식에서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주식은 이러한 시도(예컨대, 프리보드)가 이루어 졌지만 잘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상장 주식의 거래는 더욱 개인 간의 거래에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개인간의 비상장 주식 거래를 위한 서비스(예컨대, www.38.co.kr 등)가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장 주식은 개인 간의 거래이다 보니, 허위매물 또는 허위매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실제로 거래를 할 때에도 매도자와 매수자가 직접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통해 주식의 입고 및 금액의 입금을 자신들의 계좌를 통해 직접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개인 간의 직접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주식 또는 거래금액을 먼저 받은 자(매수자 또는 매도자)가 그에 대응되는 자산(거래금액 또는 주식)을 상대방에게 전송해주지 않는 일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실제로도 가끔 이러한 사고들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로 인해 거래당사자들은 거래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해 비상장 주식의 거래는 더욱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상장 주식에도 이른바 에스크로라고 불리우는 거래중개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존재해왔다.
이러한 일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3-0045257,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 및 그 방법")에도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단순히 비상장 주식을 에스크로잉 하는 것만으로는 거래 당사자들의 불안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완전히 신뢰할 만한 기관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이상, 비상장 주식의 에스크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측에 대해서도 당사자들은 크게 신뢰를 하지 못하는 리스크도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리스크는 비상장 주식의 거래금액이 클수록 더욱 커지는 실정이다.
또한, 비상장 주식은 개인들 간의 거래가 거래 유형의 대부분이고, 따라서 객관적으로 그 가치를 설정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해당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지도 않은 자가 허위로 매도를 하겠다는 내용의 컨텐츠를 게시판 등에 올려서 매수자를 유인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처럼 매수자를 유인한 후 거래 사기 예컨대, 매수자에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매도를 하겠다고 거래를 유인한 후, 매수자가 입금을 하면 입금된 금액만 탈취하고 종적을 감추는 행위 등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허위 매물로 인한 거래사기 또는 사고뿐만 아니라, 이러한 허위 매물이 다수 노출될 경우에는 비상장 주식의 진정한 가치가 왜곡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이는 또 다시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비상장 주식의 매도 요청을 한자가 진정으로 해당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매도하고자 하는 수량만큼 보유하고 있는지 등의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거래 당사자들이 믿고 신뢰할 수 있는 비상장 주식의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비상장 주식의 거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나 수량 등의 거래조건에 대한 협상(negotiation, 이하 '네고'로 표현하기로 함)이 빈번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네고는 거래당사자들끼리 통화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형식이었지만, 이러한 경우 거래 당사자들끼리 연락처를 공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실제 거래 또는 거래 중개가 이루어질 때 네고된 조건과 어긋나는 주장을 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고, 당사자간의 직접거래가 아닌 거래중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거래 중개 도중에 거래가 취소되는 위험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측에서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조건의 네고에 개입하여 투명하고 효율적인 네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비상장 주식은 거래소를 통해 수행되는 상장 주식의 거래와는 달리, 특정 거래 당사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량의 일부만이 체결되고, 그 이후에 자동으로 나머지 거래량이 체결되는 방식이 수행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상기 특정 거래 당사자가 예컨대, 1000주의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 상장 주식의 경우에는 1000주의 거래주문을 내면 거래소의 체결기준에 따라 한 번에 또는 분할해서 알아서 체결이 되는 방식인 반면, 비상장 주식의 경우에는 거래중개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통하든 당사자들간에 직접 거래행위를 하든 당사자의 일정한 행위가 거래체결을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 거래 당사자가 예컨대, 1000주의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기 위한 거래정보를 등록한 후, 소정의 거래자가 상기 특정 거래 당사자의 거래량 중 200주만을 거래하고 싶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특정 거래 당사자가 1000주 중 200주 만을 분할해서 거래하는 것을 승낙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일일이 분할해서 거래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 또는 기타 이유로 이를 거부한다면 상기 특정 거래 당사자와 상기 거래자 간의 거래시도는 중단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거래량에 대해 서로 조건이 맞는 거래자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거래가 수행되지 않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경우 거래의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비상장 주식을 거래 당사자들이 거래하고자 할 때 이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거래 주식을 단계적으로 분할하여 중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분할 중개를 수행하면서 거래 당사자 중 어느 일당사자가 먼저 자산을 전송하면, 다음 중개에서는 타 당사자가 먼저 자산을 전송하도록 하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분할 중개 단계에서도 중개측은 중개를 위해 양측의 자산을 모두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당사자의 자산만을 수신하고 타 당사자는 직접 거래 상대방에게 자산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측이 양측의 자산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실제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장 주식의 거래에 있어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매도자의 계좌를 운용하는 시스템(예컨대, 매도자가 이용하는 증권사의 시스템)과 협약이 되지 않아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상기 계좌의 보유현황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매도자 계좌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실제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거래 당사자간의 네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네고 결과에 따라 거래중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고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은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량에 대한 조건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시도가 중단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상기 거래 당사자와 추가 거래자를 이용하여 거래가 성사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장 주식의 거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은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상기 비상장 주식의 대상 거래량을 매매하기 위한 거래정보임-의 식별정보 및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거래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추가 거래자의 추가거래 요청을 거래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래자의 거래시도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거래량과 상기 거래요청에 상응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거래량과 동일한 경우,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간에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만큼의 거래중개를 시작하고,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추가 거래자간에 상기 추가 거래량만큼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는, 중개계좌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 거래자 각각 간에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 및 상기 추가 거래량 각각에 상응하는 거래와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중개계좌 간에 상기 대상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가 수행되면, 거래요청자에 상응하는 거래결과를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 거래자 각각의 계좌에 귀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거래량과 상기 거래요청에 상응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거래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거래요청자이 단말기로 재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재응답신호에 따라 추가 거래요청을 재 대기하거나 상기 추가거래량과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에 대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과 상기 대상 거래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상기 추가 거래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거래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은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상기 비상장 주식의 대상 거래량을 매매하기 위한 거래정보임-의 식별정보 및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거래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분할요청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할요청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추가 거래자의 추가거래 요청을 거래대기하여 분할매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분할매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매매 모듈은 수신된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거래량과 상기 거래요청에 상응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거래량과 동일한 경우,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모듈은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간에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만큼의 거래중개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추가 거래자간에 상기 추가 거래량만큼의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모듈은 중개계좌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 거래자 각각 간에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 및 상기 추가 거래량 각각에 상응하는 거래와 상기 거래요청자와 상기 중개계좌 간에 상기 대상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가 수행되면, 거래요청자에 상응하는 거래결과를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 거래자 각각의 계좌에 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장 주식을 거래 당사자들이 거래하고자 할 때 이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거래 주식을 단계적으로 분할하여 중개를 하도록 함으로써, 거래의 분할에 의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 중개를 수행하면서 거래 당사자 중 어느 일당사자가 먼저 자산을 전송하면, 다음 중개에서는 타 당사자가 먼저 자산을 전송하도록 하여 분할 중개시의 거래 순서에 의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분할 중개 단계에서도 중개측은 중개를 위해 양측의 자산을 모두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당사자의 자산만을 수신하고 타 당사자는 직접 거래 상대방에게 자산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측이 일시적으로 많은 자산을 보유하게 되는 시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측의 리스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실제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래 사기를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허위 매물 자체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장 주식의 진정한 가치를 객관적으로 시장에서 평가받을 수 있으며, 비상장 주식의 거래에 있어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도자의 계좌를 운용하는 시스템(예컨대, 매도자가 이용하는 증권사의 시스템)과 협약이 되지 않아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상기 계좌의 보유현황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매도자의 계좌잔고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캡춰 또는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실제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이미지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매도자가 서비스측의 중개계좌로 소정 수의 비상장 주식을 전송하고, 전송된 거래내역이 표시된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제의 보유현황과는 다른 이미지가 위변조되어 서비스측으로 전달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매도자의 계좌의 보유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입고된 주식을 실제 거래에 이용함으로써 간결한 거래중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거래 당사자간의 네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당사자들간의 네고에 개입함으로써 네고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네고 결과가 거래중개에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량에 대한 조건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거래시도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추거 거래를 대기하여 당사자들 간의 거래량 조건이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장 주식의 거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이용해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자와 거래요청자간의 네고를 중개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고 알림신호 및 응답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중에 선택가능 거래정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할매매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신호 및 응답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요청자, 거래자, 및 추가 거래자간이 거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대기 중인 거래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처리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 단말기(200) 및/또는 매수자 단말기(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를 운용하는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의 계좌를 운용하는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매도자 단말기(200) 및/또는 매수자 단말기(300)가 데스크 탑으로 구현되는 일 예로 도시하였지만 모바일 단말기, IPTV 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는 매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반드시 특정 물리적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 역시 매수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반드시 특정 물리적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중개계좌를 운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중개계좌는 어느 하나의 계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계좌들이 상기 중개계좌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개계좌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서비스 주체 명의의 계좌일 수 있다.
상기 중개계좌는 현금 및 비상장 주식을 포함할 수 있는 계좌일 수 있다. 즉, 비상장 주식을 계좌에 입고할 수 있는 계좌일 수 있다. 또한 현금을 입금할 수 있는 계좌일 수 있다.
상기 중개계좌는 다양한 비상장 주식의 거래에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거래별로 새로운 중개계좌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및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의 통신에 의해 생성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개계좌를 운용하는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은 증권사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상기 중개계좌를 운용하면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족하다.
도 1에서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과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은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은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증권사에 의해 직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코드 및 하드웨어의 결합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매도자의 계좌를 운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컨대, 매도자가 매도하고자 하는 비상장 주식을 포함하고 있는 계좌를 운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 역시 증권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 및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이 별도로 구현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동일한 시스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중개계좌를 운용하는 주체와 상기 매도자의 계좌를 운용하는 주체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매도자는 상기 중개계좌를 운용하는 증권사에 자신의 계좌를 개설하여야 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가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런 경우에는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동일한 시스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의 주체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주체는 소정의 협약을 맺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공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매도자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고 거래의 대상이 되는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및/또는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매수자는 상기 보요현황이 포함된 현황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실제로 매도자가 거래를 하고자 하는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 및/또는 거래수량 만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허위매물로 인한 시간의 낭비, 허위매물을 통한 시세의 조정, 또는 거래사기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전한 비상장 주식의 거래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또는 매수자 단말기(300)가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의 주체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협약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의 협조 없이도 매도자의 상기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상기 매도자가 자신의 계좌잔고가 표시된 이미지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가 위변조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로 하여금 확인이 필요한 비상장 주식을 소정 수(예컨대, 1주, 3주, 10주)만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즉, 중개계좌로의 입고) 내역 즉, 거래내역이 표시된 이미지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상기 중개계좌에 표시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어온 이미지의 정당성(즉, 위변조가 되지 않았음)이 확인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매도자의 계좌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사상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소정의 웹 페이지 또는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들에는 비상장 주식의 매도요청 또는 매수요청을 하는 컨텐츠가 개시될 수도 있다. 개시된 컨텐츠를 보고 매수자 또는 매도자는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거래 중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와 매수자간의 비상장 주식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거래를 중개하는 방식은 종래와 같이 양 당사자간의 연락처를 공개하여 양당사자가 직접 거래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종래와 같이 단순히 에스크로를 통한 거래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와 매수자간에 협의된 거래수량을 분할하여 중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예컨대, 매수자가 주식만 받고 거래금액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또는 매도자가 거래금액만 받고 주식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등)가 발생했을 때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분할 중개를 수행하면서도 먼저 자신의 자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행위의 순서를 교대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당사자간의 자산(비상장 주식 또는 거래금액)의 교환을 위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교환되는 자산을 모두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당사자의 자산만 수신하고 타당사자는 해당 자산을 직접 상대 당사자에게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중개 서비스 측에 의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매도자가 중개계좌로 주식을 입고하고, 매수자 역시 거래금액을 중개계좌로 입금하는 것이 아니라, 매도자가 중개계좌로 주식을 입고하는 경우에는 매수자는 매도자의 계좌로 직접 거래금액을 전송하도록 하고, 매수자가 거래금액을 중개계좌에 입금한 경우에는 매도자는 매수자의 계좌로 직접 주식을 입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측 즉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자산이 집중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경우, 서비스 측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리스크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의 수행주체가 개인기업 또는 소규모 기업인 경우에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가 매도하고자 하는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매수자는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한 후, 거래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행되는 거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분할 중개에 국한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매수자가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수자가 매도자의 계좌잔고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매수자에게 매도자의 계좌의 인증정보(예컨대,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및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 등)를 알려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매도자의 중요한 금융정보를 매수자가 알게 됨으로 인해 심간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가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위해 임시로 매도자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매도자 설정정보는 매수자가 한시적으로 매도자의 계좌에 포함된 특정 비상장주식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정보일 수 있다.
상기 보유현황은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현황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매도자의 계좌 전체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면 이는 매도자의 중요한 개인 금융정보를 매수자가 알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매도자의 계좌에 상기 비상장 주식 이외의 다양한 자산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과 협의 또는 협약을 통해 상기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만을 상기 매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인증정보를 획득한 매수자가 보유현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정당한 매수자로 인증된 자에게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예컨대, 보유여부, 보유수량 등)만을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계좌잔고 자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계좌잔고에 타자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상기 계좌잔고에서 타자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매수자가 확인하지 못하도록 비확인 처리(예컨대, 삭제, 소정의 기호로 덮어쓰기, 또는 특정 기호(예컨대, * 또는 ? 등)로 대체하여 표시)한 후 비확인 처리된 계좌잔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유현황에 포함시켜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매수자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부터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인증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예컨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전송하여 상기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한 인증정보라 함은,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그 자체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와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정보가 생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정보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설정된 시스템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설정정보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매도자 설정정보만으로 정당한 매수자(즉, 상기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를 구분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예컨대, 다른 매수자들에 의해 동일한 매도자 설정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또는 부정한 경로로 매도자 설정정보를 획득하거나, 브루트 포스(brute-force) 공격의 위험성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시스템 설정정보는 예컨대, 일회성 비밀정보일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인증정보의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설정정보에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보유현황을 매수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시스템(예컨대,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 또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즉, 현황확인 시스템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정당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매수자에게 전달된 정보임이 확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및 상기 시스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단순히 두 정보를 결합하거나(concatenation), 결합 후 결합된 문자열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각각의 문자열의 순서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의해 변경 후 결합하거나, 또는 해싱(hashing) 등이 수행되거나 다양한 종류의 인코딩 기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인증정보를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황확인 시스템은 상기 인증정보의 생성에 기초가 된 정보를 복원하여 정당한 매수자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매수자는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매수자는 상기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분할 중개 방식일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한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이 매도자의 계좌에 입고되어 있는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 또는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제공해주어야 가능해질 수 있다. 하지만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이 이러한 협조 또는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매수자는 매도자가 특정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는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의 계좌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는 매도자로 하여금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을 소정 수만큼 중개계좌에 입고하도록 한 후, 입고 후의 매도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매도자가 입고해야할 특정 비상장 주식의 수는 미리 고정된 숫자(예컨대, 1주, 5주 등)일 수도 있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마다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도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소정 수의 입고에 의한 거래내역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거래내역에 대한 정보에는 입고 수량, 입고 시간, 입고한 계좌(즉, 상기 중개계좌)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계좌에 남은 특정 비상장 주식의 수량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미지에는 상기 계좌의 명의자(소유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계좌의 식별정보(예컨대, 계좌번호)가 더 포함되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정보와 상기 중개계좌를 통해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비교하고, 소정의 기준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개계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는 입고 수량, 입고 시간, 및/또는 입고 계좌(즉, 매도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준요건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각각이 모두 일치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이미지에 표시된 입고 시간 및 확인정보에 포함된 입고 시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약간의 시간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시간차이가 소정의 시간요건(즉, 미리 정해진 시간차이 범위 내)라야 상기 기준요건을 만족했다고 판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요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매도자가 악의적으로 이미지를 조작하더라도, 거래시간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중개계좌에 표시된 시간정보와 비교했을때 시간요건을 만족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요건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정보 중 계좌의 식별정보(예컨대, 계좌 소유주 및/또는 계좌번호)가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정보와 일치하여야 상기 기준요건을 만족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비상장 주식의 남은 수량만을 매도자가 악의적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만으로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남은 수량이 실제인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거래내역에 포함된 정보들은 중 남은 수량에 대한 정보는 모두 실제의 정보이되 상기 남은 수량에 대한 정보만 매도자가 조작할 경우, 중개계좌를 통해 상기 남은 수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으므로 매도자는 적은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만 보유하고도 많은 수량이 있는 것처럼 위장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매도자로 하여금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중개계좌로 입고하기 전의 제2이미지까지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미지에는 입고 전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수량을 포함하는 제2표시정보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에는 입고된 수량 및 입고 후의 남은 수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2표시정보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정보가 서로 상응하는지 여부(예컨대, 입고 전의 수량 및 입고 후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 등)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기준요건이 만족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제2이미지의 촬영시간(또는 캡춰시간)과 상기 이미지의 촬영시간(또는 캡춰시간)의 시간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차이 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촬영시간(또는 캡춰시간)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이미지의 메타정보에 자동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소프트웨어(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특정 웹 사이트에서 상기 이미지들을 캡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프트웨어 또는 솔루션이 별도로 이미지의 생성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2이미지와 상기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시간 차이 내에 생성(촬영 또는 캡춰)된 이미지이고, 상기 시간차이가 그리 길게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조작될 위험은 거의 없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남은 수량에 대한 신뢰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이 판단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상기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현황정보는 비상장 주식을 매도자가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즉, 보유수량(이때는 중개계좌에 입고된 수량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상기 매도자가 일정 수량(매수자가 원하는 거래수량)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일정 수량 이상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만이 상기 현황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에 대한 보유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입고받은 소정 수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을, 보유현황을 확인한 후 다시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이미 입고된 특정 비상장 주식의 수량을 그대로 거래에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소정의 거래수량 만큼의 거래요청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수신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이미 입고된 특정 비상장 주식은 매도자의 계좌로 되돌려주지 않고 바로 거래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입고된 상기 소정 수를 상기 거래 수량에서 제외한 나머지 수량에 대해서 중개계좌로 입고를 받은 후 거래를 중개하거나, 상기 입고된 소정 수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 대해 우선적으로 거래중개를 한 후 나머지 수량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거래중개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분할중개가 수행될 수 있으며 분할 중개를 통한 효과를 그대로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 당사자 간의 네고를 중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거래당사자는 상술한 매도자 또는 매수자를 구분함이 없이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수행하는 양 당사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래당사자 중 거래요청자는 자신의 비상장 주식에 대해 매수 또는 매도를 요청한 자(예컨대,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비상장 주식의 매수 또는 매도에 대한 거래정보를 등록한 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당사자 중 거래자는 상기 거래요청자의 거래정보(예컨대, 비상장 주식의 매도요청 또는 매수요청을 하는 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요청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당사자 중 어느 한 명은 매도자일 수 있고, 다른 한 명은 매수자일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자가 복수의 거래요청자가 등록한 복수의 거래정보 중에서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한 경우, 단순히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예컨대, 상기 대상 거래정보를 등록한 자)와의 거래를 중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비상장 주식의 경우에는 시장에서 정확한 가격이 책정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는 가격이나 수량, 또는 시기 등 다양한 거래조건에 대한 네고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이러한 네고 역시 효과적으로 중개함으로써 거래당사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네고를 중개함으로써, 거래 당사자들 각각이 자신의 개인정보(예컨대, 연락처 등)를 공개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중개하는 네고의 결과가 실제 거래 중개에 이용(반영)되도록 함으로써 네고의 실효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 당사자간에 분할매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분할매매라 함은 특정 당사자(예컨대, 매도희망자 또는 매수희망자인 거래요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거래정보를 등록한 경우, 상대방 당사자(거래자)가 상기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량의 일부만을 거래하고 싶은 경우, 이를 가능토록 하는 매매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상장 주식의 경우에는, 거래소에서 거래가 되는 상장주식과는 달리, 선순위 출력주문의 거래량에 따라 자동으로 분할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거래 당사자간에 금액 또는 비상장 주식의 입고 등의 거래행위를 일일이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언제든지 원하는 수량을 거래하기가 용이하지도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물량을 분할해서 거래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요청자가 1000주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소정의 가격으로 매도하고자 하는 거래정보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래자가 해당 거래정보를 대상 거래정보로 선택하고(즉, 해당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조건대로 거래를 하고자 하고), 다만 거래량은 1000주가 아닌 일부(예컨대, 300주)만 거래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래 요청자가 300주로 분할해서 거래를 할 의향이 없는 경우에는 300주에 대해서도 거래가 되지 않고 거래시도는 종료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거래는 거래 요청자 및 거래자 모두가 원하지 않는 상황일 수 있다. 즉, 거래 요청자가 원하는 거래량(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량 즉, 대상 거래량)은 1000주이고, 거래자가 원하는 거래량은 300주이므로 추가로 700주를 거래할 다른 거래자 즉, 추가 거래자를 확보할 수 있다면 상기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모두의 니즈를 만족하는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래는 등록되어 있지 않던 새로운 거래정보(즉, 상기 대상 거래정보와 다른 조건은 동일하며 거래량이 700주인 거래정보)가 새롭게 등록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며, 기존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던 이러한 새로운 거래정보에 대해 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자가 새롭게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에 거래요청자와 거래자 각각이 원하는 거래량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거래가 체결되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거래요청자와 거래자 각각이 서로 원하는 바대로 거래를 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중개처리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은 선행거래 처리모듈(131), 대응거래 처리모듈(132), 및 정산거래 처리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현황처리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황처리 모듈(140)은 매도자 설정정보 모듈(141) 및 인증정보 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네고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분할매매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현황처리 모듈(140)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상기 네고모듈(160)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 및/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각각 일부가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 중 특정 구성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 및/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분산 설치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특정 구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120), 중개처리 모듈(130), 현황처리 모듈(140),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 네고모듈(160), 및/또는 분할매매 모듈(170) 등)의 리소스 및/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를 포함하는 중개요청(또는 거래요청)을 매도자 단말기(200) 또는 매수자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개요청에는 예컨대, 비상장 주식의 종류, 거래량, 거래금액(또는 주당 거래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개요청은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수신될 수도 있고,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거래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네고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래자는 매도자가 등록한 거래정보를 선택하여 매도자의 비상장 주식을 매수하고자 하는 매수자이고, 거래요청자는 상기 매도자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거래자의 단말기(300)는 매수자 단말기로 표현하고, 거래 요청자의 단말기(200)는 매도자 단말기로 표현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거래자가 매도자이고 거래 요청자는 매수자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거래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할매매 요청은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은 상기 중개요청에 응답하여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개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거래 당사자간의 직접 거래를 중개하기 위해 서로의 연락처 또는 서로가 연락할 수 있는 소정의 UI(예컨대, 채팅방이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고, 에스크로를 통해 중개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하여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은 거래수량 중 미리 정해진 작은 수의 수량(예컨대, 1주, 5주 이하 등)만을 우선적으로 중개하고, 중개 거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나머지 수량에 대해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개 거래가 작은 수량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거래의 성공에 의해 거래 상대방을 신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은 수의 수량은 매도자의 특정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수량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더구나 거래 상대방의 계좌나 기타 먼저 수행되는 중개 거래에 의해 상대방에 대해 알 수 있는 정보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수량에 대해 우선 중개 거래를 수행하고, 나머지 수량에 대해 거래를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분할 중개의 의미 및 효과는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수량에 대해서도 분할하여 중개가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은 거래수량을 미리 정해진 수만큼 균등 분할하여 분할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분할 중개시에는 거래수량의 절반을 중개하고, 제2분할 중개 시에는 나머지 절반을 중개할 수도 있다. 또는 제1분할 중개시에는 1/3의 거래수량을 중개하고, 제2분할 중개 시에는 1/3의 거래수량을 중개하며, 제3분할 중개 시에 나머지 1/3의 거래수량을 중개할 수도 있다.
분할 중개의 횟수(또는 단계) 및 각 횟수별로 중개하는 거래수량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처럼 분할 중개의 횟수(또는 단계) 및 각 횟수별로 중개하는 거래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할 중개 단계별로 중개거래가 수행된 후에 다음 중개거래가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중개단계가 완료된 후 거래수량의 나머지 중 전부 또는 일부인 제2수량에 대해 중개를 수행하도록 상기 중개처리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거래수량 중 제1수량을 중개하는 제1중개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을 제어하고, 상기 제1중개단계가 성공하면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을 제어하여 거래수량 중에서 상기 제1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수량 전부(이때에는 2번의 분할 중개가 이루어짐) 또는 일부(이때에는 3번 이상의 분할 중개가 이루어짐)에 대해 중개를 수행하도록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중개 단계는 선행거래, 대응거래, 및 정산거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개처리 모듈(130)은 선행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선행거래 처리모듈(131), 대응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대응거래 처리모듈(132), 및 정산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정산거래 처리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행거래 처리모듈(131)에 의해 처리되는 선행거래는 거래 양당사자(매도자 및 매수자) 중 1인에게 자신의 자산을 중개계좌로 전송(입고 또는 입금)하도록 하는 거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행거래 처리모듈(131)은 매도자 단말기(200) 또는 매수자 단말기(300)로 선행거래를 수행하도록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에는 상기 중개계좌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중개 단계에서 상기 중개계좌로 전송할 자산의 규모(예컨대, 각 중개단계에서 전송할 주식의 수 또는 거래금액)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선행거래의 당사자 즉, 선행거래를 위해 자신의 해당 단계에 상응하는 자산(주식 또는 현금)을 중개계좌로 전송하는 당사자는 자신의 자산을 중개계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행거래 처리모듈(131)은 상기 중개계좌에 선행거래 당사자가 중개계좌로 전송할 규모의 자산이 전송되었는지를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과 통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선행거래는 양당사자 중 어느 한 당사자가 중개 단계에 상응하는 자산을 중개계좌에 전송하는 거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거래가 수행되면, 상기 대응거래 처리모듈(132)은 대응거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응거래는 선행거래에 대응되는 거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중개 단계가 거래수량의 절반을 중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선행거래는 매수자가 거래수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래금액을 중개계좌에 전송하는 행위일 수 있다. 그러면 이때의 대응거래는 매도자가 거래수량의 절반의 비상장 주식을 매수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행위일 수 있다. 반대로 선행거래가 매도자가 거래수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비상장 주식을 중개계좌에 전송하는 행위라면, 이때의 대응거래는 매수자가 거래수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래금액을 매도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행위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대응거래 역시 상기 중개계좌로 필요한 자산이 전송되고,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상기 자산을 대응거래의 상대 당사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에 거래되는 주식 및 거래금액이 모두 모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대응거래는 대응거래의 당사자 즉, 대응거래를 수행하는 당사자가 상대 당사자에게 직접 자산을 전송하는 직접전송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선행거래의 당사자(예컨대, 매수자)가 거래수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개계좌에 입금하는 선행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대응거래의 당사자(또는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는 대응거래 즉, 거래수량의 절반의 주식을 직접 상대 당사자(예컨대 매수자)의 계좌로 전송하는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응거래 처리모듈(132)은 상기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의 단말기(예컨대, 매도자 단말기(200))로 상기 대응거래의 수행을 요청하도록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에는 선행거래의 당사자(즉, 대응거래의 상대 당사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대응거래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정산거래를 수행하도록 정산거래 처리모듈(133)을 제어할 수 있다. 대응거래의 성공적 수행은 상기 제어모듈(110)이 선행거래의 당사자(예컨대,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확인신호는 선행거래의 당사자가 대응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정산거래 처리모듈(133)은 정산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정산거래는 선행거래에 의해 중개계좌에 수신된 자산(예컨대, 거래수량의 절반의 금액)을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예컨대,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하는 행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산거래 처리모듈(133)은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선행거래에 따른 자산을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예컨대,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1중개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2중개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중개단계의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의 단말기로 상기 제2중개단계의 선행거래의 수행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중개단계의 선행거래의 당사자가 매수자였다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2중개단계의 선행거래는 매도자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느 한 당사자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거래 당사자가 안심하고 거래를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2중개단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거래, 대응거래, 및 정산거래를 수행하도록 중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중개단계의 대응거래 역시 대응거래의 당사자가 대응거래의 상대 당자자게에 필요한 자산을 직접전송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중개단계로 거래수량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거래 중개를 종료할 수 있다. 만약, 제어모듈(110)이 거래수량을 3회 이상의 횟수로 분할하여 중개하도록 결정한 경우에는, 제2중개단계가 완료된 후, 제3중개단계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중개단계가 수행될 때에도 제3중개단계의 선행거래는 제2중개거래의 선행거래의 상대 당사자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가 매도하고자 하는 특정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현황처리 모듈(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에 대한 확인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요청은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매도자 단말기(200)가 이러한 확인요청을 해도 무방하다. 이때에는 매도자 단말기(200)가 미리 매수자를 특정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매수자의 특정은 매수자의 ID, 이름, 전화번호 등 매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매도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수자 단말기(300)가 확인요청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특정 매도자가 소정의 UI(예컨대, 게시판 등)에 등록한 매도요청 컨텐츠를 선택한 후, 상기 확인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UI(예컨대, 버튼 등)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자동으로 매도자 및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종류를 알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확인요청에는 매도자 및 비상장 주식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매수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현황처리 모듈(140)은 현황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현황처리 프로세스는 매도자에 의해 매도자 설정정보(예컨대, 미리 정해진 숫자의 비밀번호 등)를 설정하도록 하고, 이를 상기 현황처리 모듈(140)이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매도자 설정정보와 소정의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정보는 예컨대, 시스템 설정정보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자체가 상기 인증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현황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생략되고,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상기 인증정보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황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매도자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매도자 설정정보 모듈(14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모듈(141)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 상기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매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며 매도자에 의해 설정되는 매도자 설정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모듈(141)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인증정보 모듈(142)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단순히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정보 모듈(142)은 상기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 모듈(142)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경로에 대한 정보는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소정의 링크일 수도 있다. 링크인 경우에는 상기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현황확인 시스템이 제공하는 소정의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상기 인증정보가 전송되면, 매수자는 매수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예컨대, 보유여부 및/또는 보유수량 등)을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소정의 현황확인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황확인 시스템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일 수도 있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일 수도 있다.
우선 현황확인 시스템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일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현황처리 모듈(140)에 의해 인증정보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특정된 상기 인증정보,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매도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매도자 ID, 매도자 이름, 및/또는 매도자 전화번호 등 매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상기 비상장 주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확인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인증정보로 현황정보를 유효하게 요청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확인시간은 30분 또는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현황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현황요청에는 상기 인증정보 모듈(142)에 의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달된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상기 현황요청에 포함된 인증정보가 정당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정보가 정당하다고 함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가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수신한 인증정보와 상응하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기 인증정보가 정당하다고 함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황요청이 상기 확인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의미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확인시간 내에 상기 현황요청이 수신된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현황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만약 인증정보의 정당성이 확인된다면 즉,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가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수신한 인증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확인시간 내에 상기 현황요청이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매도자를 특정하고, 상기 매도자의 계좌를 확인하여 상기 매도자의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매도자가 상기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지 않는 경우라며, 보유하지 않고 있다는 정보가 상기 현황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현황정보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식 또는 템플릿을 이용해 상기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에 대한 정보만 포함되며 별도로 생성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매수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현황정보는 상기 매도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비확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현황정보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제공되는 계좌잔고 자체를 소정의 방식으로 캡춰하여 비확인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양식을 그대로 이용한 채 소정의 비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매수자는 보다 현황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현황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리다이렉션 되도록 하여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과 미리 정해진 규약에 의해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한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자신이 특정한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현황요청에 포함된 상기 인증정보의 정당성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도자의 현황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현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때 인증정보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정당하게 상기 현황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상기 현황요청이 확인시간내에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확인 처리를 수행한 계좌잔고 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상기 현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상기 현황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현황요청에 포함된 인증정보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한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현황요청이 확인시간 내에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현황처리 모듈(14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 즉, 매도자의 계좌에 해당하는 시스템의 협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협조가 없는 경우에도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는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매도자 단말기(200)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로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의 입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입고 후의 상기 매도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입고의 요청 및 상기 이미지의 전송 요청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요청은 매수자 단말기(300)로 소정의 확인요청이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수신된 후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매도자는 요청된 대로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중개계좌로 입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입고가 거래내역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매도자는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접속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입고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자신이 소지한 소정의 촬영수단(예컨대, 모바일 폰 또는 카매라 등)으로 촬영한 것일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소정의 캡춰(capture) 수단으로 캡춰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매도자는 상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표시정보(예컨대, 입고수량, 입고시간, 입고한 계좌에 대한 정보,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남은 수량, 상기 매도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상기 제1계좌운용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상기 중개계좌에 표시된 정보 즉,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정보는 상기 중개계좌에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이 입고된 시간, 입고된 수량, 매도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상기 표시정보와 상기 확인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기준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요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입고시간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입고시간에 대한 정보가 시간요건(예컨대, 시간이 동일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차이 내인지 여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정보와 상기 확인정보 각각에 포함된 매도자 계좌에 대한 정보가 서로 상응한지 여부, 입고수량이 서로 상응한지 여부 등이 상기 기준요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요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이 인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보유현황을 특정하고, 상기 보유현황이 포함된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매도자로 하여금 상기 입고 전의 계좌잔고가 표시된 제2이미지의 전송을 더 요청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더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즉,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정보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 상기 입고 전의 상기 계좌의 계좌잔고에 대한 제2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이미지에 표시된 제2표시정보(예컨대, 특정 비상장 주식의 입고 전의 수량)와 상기 표시정보가 서로 상응하는지(예컨대, 상기 표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남은 수량과 입고된 상기 소정 수가 입고 전의 수량과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만으로 매도자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의 보유수량을 판단하는 것에 비해 보유수량에 대한 신뢰성이 훨씬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뢰성은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이 상기 제2이미지의 생성시간(예컨대, 촬영 또는 캡춰시간)과 상기 이미지의 생성시간(예컨대, 촬영 또는 캡춰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차이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차이 내라야 상기 기준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각각의 이미지의 생성시간은 상기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자동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이미지 촬영수단 또는 캡춰수단이 별도로 상기 생성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와는 별도로 또는 이미지에 포함시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150)에 의해 이미지의 정당성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바로 입고된 소정 수의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을 매도자의 계좌로 되돌려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현황정보의 전송 후, 상기 비상장 주식의 거래요청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중개계좌에 입고된 상기 소정 수의 상기 비상장 주식을 상기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현황정보의 전송 후 거래요청(중개요청)이 매수자 단말기(300) 또는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다시 주식의 입고를 받아야 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시간까지 거래요청이 수신되는지를 기다렸다가 입고된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매도자의 계좌로 반환할 수도 있다.
만약, 일정 시간 내에 거래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미지 현황처리 프로세스를 위해 입고된 상기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반환하지 않고,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거래수량에서 상기 소정 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량에 대해 소정의 방식으로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미 입고된 상기 소정 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량에 대해 상기 매도자로부터 상기 중개계좌로 입고를 받은 후, 에스크로 방식으로 거래를 중개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기입고된 상기 소정 수의 주식과 나머지 수량의 주식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중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할 중개에 대해서는 상세히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나머지 수량에 대해서도 적어도 두 번 분할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중개단계에서는 매수자가 선행거래의 당사자가 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고, 각각의 중개단계에서는 거래수량을 균등분할하여 중개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1중개단계(S100 내지 S140)를 수행하고, 제1중개단계가 완료되면 제2중개단계(S200 내지 S240)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중개단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매수자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로 거래수량의 1/N(여기서 N은 2이상의 정수)에 해당하는 거래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 단말기(200)로 대응거래를 요청하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0).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매도자는 대응거래(1/N의 주식의 전송)를 매수자의 계좌로 직접전송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S120).
그러면 매수자는 대응거래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매수자 단말기(300)는 확인신호를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정산거래 즉, 매수자가 중개계좌로 입금한 1/N의 금액을 상기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렇게 제1중개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제2중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중개단계의 선행거래(S200)는 제1중개단계의 선행거래(S100)의 상대 당사자(즉, 매도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매도자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의 중개계좌로 거래수량의 1/N에 해당하는 거래수량을 입고할 수 있다(S20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수자 단말기(200)로 대응거래를 요청하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매수자는 대응거래(1/N의 주식에 해당하는 거래금액의 전송)를 매도자의 계좌로 직접전송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S220).
그러면 매도자는 대응거래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매도자 단말기(200)는 확인신호를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정산거래 즉, 매도자가 중개계좌로 입고한 1/N의 주식 수량을 상기 매도자의 계좌로 전송할 수 있다(S240).
이후 거래가 되지 않은 거래수량이 남으면 제3중개단계, 제4중개단계 등이 연속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각의 중개단계별로 선행거래의 당사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매수자 단말기(300)로 현황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매수자 단말기(300)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요청하는 확인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00). 일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가 중개요청을 하면 자동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현황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중개요청이 상기 확인요청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 매도자 설정정보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310). 매도자에 의해 설정된 매도자 설정정보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수신될 수 있다(S320).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320-1). 이를 위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가 직접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인증정보가 특정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인증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 자체일 수도 있고, 소정의 다른 정보(예컨대, 시스템 설정정보)와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요청을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매도자의 상기 비상장 주식에 대한 현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30, S340). 물론 이때에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상기 인증정보의 정당성이 판단될 수 있고, 소정의 비확인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S330-1).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수자 단말기(300)로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0). 이러한 과정은 도 4에서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부터 현황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상기 매도자 설정정보를 수신(S320)한 후 어떤 때에 수행되어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요청을 수신하고(S360), 이에 응답하여 현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70). 물론 이때에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인증정보의 정당성이 판단되고, 정당성이 판단되어야 상기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매수자 단말기(300)로 현황정보가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매수자 단말기(300)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요청하는 확인요청(또는 중개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0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 매도자 설정정보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410). 매도자에 의해 설정된 매도자 설정정보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수신될 수 있다(S420).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인증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S430).
그리고 특정된 인증정보,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 매도자에 대한 정보, 및 비상장 주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40). 또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상기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50). 도 5에서 S440과 S450의 과정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요청을 전송하고(S460), 이에 응답하여 현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80).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에 의해 상기 인증정보의 정당성이 판단되고, 정당성이 판단되어야 상기 현황정보가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은 비확인 처리를 수행한 후(S470), 상기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이용해 매도자의 보유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진행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는(또는 매도자 단말기(200)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확인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500).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매도자 단말기(200)로 확인요청에 상응하는 특정 비상장 주식을 소정 수만큼 중개계좌로 입고하고, 상기 입고의 거래내역이 포함되는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510).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입고 전의 계좌잔고에 상응하는 제2이미지의 전송까지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매도자는 중개계좌로 상기 소정 수만큼 상기 특정 비상장 주식을 입고하고(S520), 상기 이미지를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30). 물론, 제2이미지의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에는 제2이미지도 전송할 수 있다(S510-1). 상기 제2이미지의 전송은 입고 전에 수행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입고 전에 상기 제2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송은 상기 입고 후에 상기 이미지와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표시정보와 상기 중개계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가 기준요건을 만족하는지 즉,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S540). 물론, 상기 제2이미지까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이미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지의 정당성이 판단된 경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현황정보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이때에는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비확인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매도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비확인 처리된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소정 수의 특정 비상장 주식을 바로 매도자의 계좌로 즉, 상기 제2계좌운용 시스템(500)으로 반환할 수도 있다(S560-1).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매수자 단말기(300)로부터 거래요청이 수신되면, 이미 입고된 상기 소정 수의 주식을 반환하지 않고 이미 입고된 주식을 포함하는 상기 거래 수량에 대한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즉, 거래 수량의 나머지 수량까지 추가로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S570).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도자로부터 상기 나머지 수량을 입고받고 일괄적으로 거래를 중개하거나, 기입고된 수량과 상기 나머지 수량을 분할 중개하도록 상기 중개처리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수량 역시 적어도 두 번 분할 중개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네고를 중개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자와 거래요청자간의 네고를 중개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의 식별정보 및 네고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00). 상기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은 적어도 한 명의 거래요청자가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를 통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한 컨텐츠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대상 거래정보는 상기 거래자가 선택한 거래정보일 수 있으며, 거래자가 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정보일 수 있다. 네고 요청신호는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UI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네고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네고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네고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610). 상기 네고 알림신호는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푸시 메시지 등일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가 거래요청자의 모바일 폰인 경우 SMS 또는 MMS 등의 메시징을 통해 네고 알림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네고 알림신호를 수신한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고 알림신호 및 응답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네고 알림신호에 특정 네고 요청항목(예컨대, 가격)에 대해 네고요청정보(예컨대, 거래자가 요청하는 가격)가 포함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는 네고를 요청하는 네고 요청항목이 네고 알림신호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네고 요청항목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구체적인 네고요청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전자는 거래자가 구체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구체적인 조건(특정 네고 요청항목에 대한 네고요청정보)을 밝히고,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이러한 구체적인 조건을 네고 알림신호에 포함한 경우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거래자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항목(예컨대 가격, 수량, 시기 등)에 대해 네고를 원하는지 또는 특정 항목(네고 요청항목)을 밝히더라도 구체적인 조건(예컨대, 거래자가 원하는 가격, 수량, 시기 등)를 밝히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네고 알림신호에는 거래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조건 즉, 소정의 네고 요청항목에 대한 네고요청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도 8a)의 경우, 상기 네고 알림신호를 수신한 거래자가 수행할 수 있는 응답은 네고 알림신호에 포함된 조건에 대한 거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거래요청자가 거래자가 요청한 조건으로는 더 이상 거래를 진행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은 승락일 수 있다. 승낙은 거래요청자가 거래자가 제시한 거래조건 대로 거래를 진행하겠다는 의사 표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은 거래자가 요청한 조건대로는 승낙하지 못하지만 거래요청자가 거래자에게 새로운 조건을 제시하고자 할 경우에 그 의사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네고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응답이 거부 또는 승낙인 경우에는 더 이상 네고를 진행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 응답이 재네고일 경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네고모듈(16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네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도 8b)에 거래요청자가 수행할 수 있는 응답은 거부 또는 승낙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부의 응답은 전자와 동일한 의미를 갖지만, 승낙의 응답은 실제 구체적인 조건에 대해서는 거래요청자가 네고에 응하겠다는 의미일 수 있으므로 상기 네고모듈(160)은 네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네고모듈(160)은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부터 소정의 응답신호(예컨대, 거부, 승낙, 또는 재네고 등)를 수신할 수 있다(S620). 그리고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거래시도를 중단하거나, 거래 중개를 개시하거나, 또는 네고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S640). 물론, 상기 응답신호의 내용을 알리는 응답 알림신호를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예컨대, 버튼 UI 등)를 이용해 응답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네고 알림신호가 MMS 등의 메시지인 경우, 콜백 URL, 및/또는 소정의 숫자를 회신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응답 즉, 의사표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네고모듈(160)은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부터 거부의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더 이상 상기 거래자가 출력한 네고 요청신호에 대하여 상기 거래요청자간의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거래자가 새로운 네고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거래자가 구체적인 거래조건 즉, 특정 네고 요청항목에 대한 네고요청정보를 네고 요청신호에 포함시키고, 이러한 거래조건이 네고 알림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거래요청자가 승낙의 응답신호를 출력한 경우에는 구체적인 거래조건이 결정되었으므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거래 중개를 개시할 수 있다. 거래 중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분할 중개일 수도 있고, 종래의 일반적인 에스크로 형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에스크로를 수행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일련의 절차에 따라 거래를 중개할 수도 있다.
한편,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네고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거래자와 거래요청자간에 협의가 필요할 경우, 이러한 협의를 진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경우의 일 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네고모듈(160)은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거래자와 상기 거래요청자만이 입장하여 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네고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네고 인터페이스는 채팅을 통하여 상기 거래자와 상기 거래요청자가 구체적인 거래조건을 네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네고 인터페이스는 상기 네고모듈(160)이 소정의 채팅방(또는 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에 상기 거래자와 상기 거래요청자만이 입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및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에 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어느 한 당사자의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당사자를 초대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네고모듈(160)은 거래의 양당사자만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네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양당사자를 상기 네고 인터페이스에 참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네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자 및 거래요청자는 서로 연락처를 공개하지 않더라도 원활한 네고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네고모듈(160)이 제공하는 네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는 대화를 상기 네고모듈(160)은 소정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는 대화 및 네고결과에 대해 거래자 및 거래요청자는 추후 거래가 이루어지는 동안 이를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부인방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네고가 성공한 후 상기 거래자와 상기 거래요청자간에 거래 중개가 수행되는 동안, 어느 한 당사자가 네고결과와 다른 거래조건으로 네고가 수행되었다는 주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또는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는 상기 네고모듈(160)로 소정의 분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분쟁신호는 네고를 통해 협의된 결과에 대해 이견을 제시하는 당사자 또는 상대방이 네고시 수행된 채팅기록을 확인하기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분쟁신호를 위한 소정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네고모듈(160)에 의해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및/또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네고모듈(160)은 상기 저장된 채팅기록 또는 대화기록을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및/또는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 전송함으로써 네고의 당사자가 네고 결과를 부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고모듈(160)은 상기 네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채팅 기록에 기초하여 네고항목(예컨대, 가격, 또는 수량 등)에 대한 네고 성공결과(예컨대, 네고에 합의된 최종 가격 등)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네고의 대상이 가격인 경우, 가격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숫자(예컨대, 10, 11)만을 상기 네고모듈(160)은 인식할 수 있고, 최후에 인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최종 협의된 네고 성공결과로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이렇게 인식된 문자 또는 순자 등의 네고 성공결과에 대해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또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부터 확인을 받고, 확인이 되면 상기 네고모듈(160)이 인식한 네고 항목을 네고 성공결과로 특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일 예에서 상기 네고모듈(160)은 마지막으로 인식된 네고 항목에 해당하는 텍스트(예컨대, 11)이 네고 성공결과(12)인지를 표시하고, 이러한 표시를 거래자 및 거래요청자가 확인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네고 성공결과를 특정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네고모듈(160)이 네고 성공결과를 인식하지 않고, 거래자 및 거래요청자로부터 각각 네고된 최종 결과 즉, 네고 성공결과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네고 성공결과는 거래중개에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네고 성공결과는 중개 처리모듈(130)로 전달 될 수 있고, 상기 중개 처리모듈(130)은 전달받은 네고 성공결과에 상응하는 중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네고 성공결과가 가격에 대한 협의결과인 경우, 상기 중개처리모듈(130)은 상기 네고 성공결과를 중개를 수행할 비상장 주식의 가격으로 결정하여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네고 성공결과가 수량인 경우, 상기 수량만큼의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네고 성공결과가 시기인 경우, 상기 시기에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네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 네고 결과를 거래당사자들이 부인하지 못하거나, 네고 성공결과가 그대로 거래 중개에 이용됨으로써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네고가 수행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네고가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네고모듈(160)이 상기 네고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대상 거래정보를 타 거래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선택가능 거래정보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 거래정보에서 제외시킨다고 함은,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 중인 거래정보는 타인이 해당 거래정보를 대상 거래정보로 해서 새로운 네고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네고 뿐만 아니라 대상 거래정보로 선택조차 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거래자가 대상 거래정보대로 거래를 요청하더라도 거래가 수행되지 못하도록 거래요청을 막거나 또는 아예 대상 거래정보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즉, 세부정보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자는 복수의 거래정보들을 소정의 인터페이스(예컨대, 게시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1거래정보(20)는 요청자(ID1)이 특정 종목을 5,000원에 1000주 매수/매도하고자 한다는 거래정보이고, 상기 거래정보는 거래가능 즉, 선택가능한 거래정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거래정보(21)는 특정 종목을 5,100원에 500주 매수/매도하고자 한다는 거래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2거래정보(21)는 네고중인 거래정보일 수 있다.
즉, 제2거래정보(21)는 타 거래자가 상기 요청자(ID 2)와 네고를 수행하고 있는 거래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또 다른 거래자가 언제든지 새로운 거래조건을 제시하도록 허용하거나 원래의 거래정보 대로 거래를 하도록 허용하는 경우, 네고를 진행하는 자에게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네고 프로세스가 수행 중인 거래정보는 선택불가능 거래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래정보는 타 거래자에 의해 선택이 불가능하고, 이는 해당 거래정보에 대해 네고 요청 또는 거래정보 그대로의 거래요청을 하지 못하거나 아예 거래정보 자체의 확인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네고 프로세스를 통해 네고가 결렬되거나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포함된 수량 중 일부만 네고가 성공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네고모듈(160)로부터 네고 결과에 대한 정보(협의된 가격, 수량, 또는 시기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거래정보를 다시 선택 가능한 거래정보로 복원할 수 있다. 물론, 대상 거래정보의 일부의 수량에 대해서만 네고가 성공한 경우, 해당 일부의 수량은 네고가 완료되었으몰 나머지 수량만을 포함하도록 상기 대상 거래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가능 거래정보로 등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거래정보(21)에 대해 네고가 수행된 후, 100주에 대해서만 5000원에 네고가 성공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러한 네고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거래정보(2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결과 업데이트된 제2거래정보는 수량이 400주이고, 가격은 여전히 5,100원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할매매를 위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할매매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의 식별정보 및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분할매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700). 상기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은 적어도 한 명의 거래요청자가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를 통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전송한 컨텐츠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대상 거래정보는 상기 거래자가 선택한 거래정보일 수 있으며, 거래자가 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정보일 수 있다. 분할매매 요청은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UI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분할매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10). 상기 알림신호는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푸시 메시지 등일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가 거래요청자의 모바일 폰인 경우 SMS 또는 MMS 등의 메시징을 통해 알림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일 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신호 및 응답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알림신호에는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정보(종목, 대상 거래량, 가격) 및 거래자가 원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에는 거래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름, ID, 별명 등)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신호에는 상기 거래요청자가 응답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소정의 UI(예컨대, 거부 버튼, 승낙 버튼)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답신호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부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711). 물론,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응답신호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 응답 알림신호를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로 전송할 수 있다(S712).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응답신호에 따라, 거래중개를 시작 즉,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개시하거나, 거래시도를 중간하거나, 또는 거래대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720).
예컨대, 거래요청자의 응답 중 승락은 거래자가 원하는 분할요청 거래량만 분할하여 거래를 하겠다는 의사표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분할요청 거래량만큼 상기 거래자와 상기 거래 요청자간의 거래중개를 수행하도록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중개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래당사자들 간의 직접거래를 중개하거나, 에스크로를 통한 거래중개를 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중개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상기 분할중개를 위해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중개처리 모듈(1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거래요청자가 응답으로 거부를 선택하는 경우는 분할요청 거래량만 분할해서는 거래를 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일 수 있다. 이러한 의사표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거래대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대상 거래량을 거래할 추가 거래자가 확정되면 거래를 하고자 하는 의사표시일 수도 있고, 아예 거래대기를 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일 수도 있다. 도 12에서는 단순히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UI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전자(즉, 거래대기)를 위한 UI와 후자(즉, 완전 거래 중단(또는 종료))를 위한 UI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의사표시인 경우에는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거래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 즉, 더 이상 상기 거래자와 거래 요청자간의 거래를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되고, 대상 거래정보는 다시 일반적인 거래정보로 취급될 수 있다.
전자의 의사표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거래대기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거래대기 프로세스는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추가 거래자가 추가거래 요청을 수행(S730)할 때까지 거래시도를 중단하지 않고 대기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대기 프로세스 후 추가 거래자(추가 거래자의 단말기(미도시))에 의한 추가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중개를 바로 시도하거나(S750) 또는 다시 상기 제어모듈(110)은 거래요청자의 단말기(예컨대, 200)로 재알림신호를 전송하고(S760), 수신되는 재응답신호에 기초하여(S761) 거래대기 또는 거래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S770). 물론, 상기 제어모듈(110)은 재응답신호를 나타내는 재응답 알림신호를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 및/또는 추가 거래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 거래량과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가 요청한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대상 거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40). 즉, 거래자와 추가 거래자 각각이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량의 합이 원래 거래 요청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량(대상 거래량)과 동일한 경우에는 거래 요청자가 원하는 거래량으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추가거래 요청과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대상 거래량에 모자르는 경우, 다시 상기 제어모듈(110)은 재알림신호의 전송 및 재응답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 재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거래중개 또는 거래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거래 요청자가 추가거래 요청에 따라 추가 거래량이 합해진 거래량이 비록 자신이 처음 원했던 대상 거래량에는 못미치더라도, 추가 거래량이 합해진 거래량에 대해서는 거래를 하고자 할 수도 있다. 또는 거래 요청자는 추가 거래량이 합해지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거래량 즉, 대상 거래량이 아니면 일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거래를 할 의사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추가 거래량과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대상 거래량에 못미치는 경우라도 거래 요청자에게 다시 알림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유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상기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로부터 출력된 분할매매 요청 후에 거래대기 상태에서는, 나머지 거래량 즉, 분할요청 거래량과 대상 거래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거래량을 거래하고자 하는 추가 거래자의 추가거래 요청만 수신처리할 수도 있다. 수신처리라 함은, 추가거래 요청자가 나머지 거래량과는 다른 거래량을 거래하고자 하는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거나, 나머지 거래량과 달라서 해당 거래량으로는 추가거래 요청을 할 수 없다고 안내하고, 더 이상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거래자의 단말기(예컨대, 300)가 분할매매 요청을 한 후, 하나의 추가거래 요청만을 더 수신처리하는 경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대상 거래정보에 따른 거래를 수행하는 거래자 측은 상기 거래자와 추가 거래자 1명만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거래대기 프로세스가 수행된 대상 거래정보를 무한히 거래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즉 대상 거래량을 거래하고자 하는 새로운 거래자가 나타나더라도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내에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래자의 거래시도를 중단할 수 있다. 즉, 거래대기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대상 거래정보는 누구한테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인 일반 거래정보로 환원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거래 요청자와 거래자가 원하는 거래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동안 거래대기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추가 거래자가 적어도 한 명이 특정되어 거래 요청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대상 거래량을 거래할 수 있는 복수의 거래자(거래자 및 추가 거래자)를 특정할 기회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거래가 체결될 수 없었던 상황을 거래체결까지 이끌어 내어 전체적으로 비상장 주식의 거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특정 비상장 주식 종목에 대해 1000주를 거래하고자 하는 거래정보가 있고, 해당 비상장 주식 종목을 300주 거래하고자 하는 제1거래자와 700주 거래하고자 하는 제2거래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거래 요청자는 어떠한 거래자와도 거래를 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1거래자, 제2거래자, 및 거래 요청자 모두가 만족하는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거래자와 적어도 한 명의 추가 거래자가 특정되고, 거래 요청자가 이들과의 거래를 승낙한 경우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거래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는 거래자 측이 거래자와 한 명의 추가 거래자만 존재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수 명의 추가 거래자가 거래자 측으로 특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이 각각의 거래자 측(거래자 및 추가거래자)와 개별적으로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중개계좌를 통해 일괄적으로 거래자측과 거래중개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포함된 분할매매 모듈(170)은 거래중개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거래요청자와 거래자간의 거래중개(S751) 및 거래요청자와 추가 거래자간의 거래중개(S752)를 각각 수행할 수도 있다. 거래요청자와 거래자간의 거래중개(S751)는 상기 거래자가 원하는 분할요청 거래량만큼의 거래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개일 수 있다. 거래요청자와 추가 거래자간의 거래중개(S752)는 추가 거래자가 원하는 추가 거래량 만큼의 거래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개일 수 있다. 거래자를 위한 거래중개와 추가 거래자를 위한 거래중개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거래중개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계좌를 통한 통합 거래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중개계좌를 이용하여 거래자와 추가 거래자간에 선행거래를 우선 수행하도록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에 구비된 소정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S753, S754). 예컨대, 대상 거래정보가 비상장 주식의 매도인 경우, 상기 선행거래는 거래자에게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금을 중개계좌로 입금받는 제1선행거래(S753) 및 추가 거래자에게 추가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금을 중개계좌로 입금받는 제2선행거래(S7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선행거래와 제2선행거래는 동시에 또는 도 14와는 다른 순서로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거래금액은 대상 거래정보에 포함된 가격과 분할요청 거래량(또는 추가 거래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상기 거래 요청자와 상기 중개계좌 간의 후행거래가 수행되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755). 상기 후행거래는 거래요청자에게 대상 거래량만큼의 비상장 주식을 입고받는 거래일 수 있다. 상기 선행거래와 후행거래는 그 대상이 바뀔 수도 있다. 즉, 거래요청자와 중개계좌간의 거래(선행거래)가 먼저 이루어지고, 거래자 및 추가 거래자 각각 간의 거래(후행거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후행거래까지 이루어지면, 거래요청자에 상응하는 거래결과(예컨대, 거래요청자가 비상장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는 거래 요청자가 중개계좌에 비상장 주식을 입고하는 거래, 거래요청자가 비상장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는 거래 요청자가 비상장 주식에 해당하는 거래금액을 입금하는 거래)를 거래자 측(예컨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 거래자) 각각의 계좌에 귀속시키는 귀속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S756, S757). 예컨대,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상기 중개계좌에 입고된 거래량(대상 거래량이거나 대상 거래량 보다 작을 수 있음) 중 분할요청 거래량을 거래자의 계좌로 입고하는 제1귀속 거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756). 또한, 상기 분할매매 모듈(170)은 상기 중개계좌에 입고된 거래량(대상 거래량이거나 대상 거래량 보다 작을 수 있음) 중 추가 거래량을 추가 거래자의 계좌로 입고하는 제2귀속 거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757). 물론, 후행거래 전 또는 후에 상기 중개계좌에 입고된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금액이 거래 요청자의 계좌로 입고될 수 있다.
만약, 거래 요청자와 중개계좌 간의 거래가 선행거래라면,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금액 및 추가 거래량에 상응하는 거래금액이 중개계좌로 입금되는 것이 후행거래일 수 있으며, 귀속거래는 거래자측 각각에 해당하는 거래량 만큼의 비상장 주식을 입고하는 거래일 수 있다.
대상 거래정보가 비상장 주식의 매도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대상 거래정보가 매수인 경우에도 이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때 거래자측은 매수자측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대기 중인 거래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거래대기 중인 거래정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예컨대, 추가거래 대기중)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대기 상태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 내에 추가거래 요청이 없는 경우 거래대기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즉, 거래자와 거래 요청자간의 거래시도는 종료될 수 있다. 그러면 거래대기 상태인 대상 거래정보는 일반 거래정보로 변경될 수 있고, 다시 다른 거래자의 거래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거래대기 상태에의 대상 거래정보는 추가거래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거래자와 추가 거래자가 거래자측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래대기 상태에서는 추가거래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거래량(대상 거래량과 현재까지 거래자측이 요청한 거래량의 합)에 상응하는 추가거래 요청만이 정상적으로 수신처리될 수도 있다. 이처럼 나머지 거래량에 상응하는 추가거래 요청만이 정상적으로 수신처리되도록 하는 조건은 첫 번째 추가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즉, 첫 번째 거래대기 상태에서 적용될 수도 있고, 소정의 횟수(예컨대,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등)의 거래대기 상태에서 적용될 수도 있따. 전자의 경우는 한 명의 추가 거래자만이 거래자측에 포함되는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 횟수 만큼의 추가 거래자가 거래자측에 포함될 수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정보들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나머지 정보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에 있어서,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상기 비상장 주식의 대상 거래량을 매매하기 위한 거래정보임-의 식별정보 및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거래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매매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만을 분할하여 매매할 수 있도록 거래중개를 수행하거나,
    거래대기를 통해 상기 대상 거래량을 거래할 추가 거래자가 확정되면 거래중개를 수행하거나,
    상기 거래자와의 거래를 중단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거래중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의 중개계좌로 소정 수의 상기 비상장 주식의 입고 및 입고 후의 상기 거래요청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표시정보와 상기 입고 후의 상기 중개계좌를 통해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기준요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기준요건이 만족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거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래자의 거래시도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대기를 통해 상기 대상 거래량을 거래할 추가 거래자가 확정되면 거래중개를 수행하는 경우는,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거래량과 상기 거래요청에 상응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거래량과 동일한 경우,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은,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이 상기 추가거래 요청이 수신되고, 상기 추가거래 요청에 상응하는 추가거래량과 상기 거래요청에 상응하는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거래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거래요청자이 단말기로 재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재응답신호에 따라 추가 거래요청을 재 대기하거나 상기 추가거래량과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의 합에 대해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 요청자와 상기 거래자 및 상기 추가거래자 간의 거래중개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방법.
  5.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비상장 주식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비상장 주식의 거래정보들 중에서 거래자의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거래정보-상기 비상장 주식의 대상 거래량을 매매하기 위한 거래정보임-의 식별정보 및 분할요청 거래량에 상응하는 분할매매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거래요청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거래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상응하는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대상 거래정보에 대한 분할매매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분할요청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할요청 알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매매 요청에 해당하는 상기 분할요청 거래량만을 분할하여 매매할 수 있도록 거래중개를 수행하거나,
    거래대기를 통해 상기 대상 거래량을 거래할 추가 거래자가 확정되면 거래중개를 수행하거나,
    상기 거래자와의 거래를 중단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분할매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시스템은,
    거래중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거래요청자의 단말기로, 상기 비상장 주식 거래 시스템의 중개계좌로 소정 수의 상기 비상장 주식의 입고 및 입고 후의 상기 거래요청자의 계좌잔고에 대한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표시정보와 상기 입고 후의 상기 중개계좌를 통해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기준요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현황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준요건이 만족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비상장 주식의 보유현황을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거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시스템.

KR1020180002905A 2018-01-09 2018-01-09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0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05A KR20180006997A (ko) 2018-01-09 2018-01-09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05A KR20180006997A (ko) 2018-01-09 2018-01-09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22A Division KR20170093518A (ko) 2016-02-05 2016-02-05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997A true KR20180006997A (ko) 2018-01-19

Family

ID=6102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05A KR20180006997A (ko) 2018-01-09 2018-01-09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35B1 (ko) * 2021-07-16 2022-05-16 피에스엑스 주식회사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35B1 (ko) * 2021-07-16 2022-05-16 피에스엑스 주식회사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12968A (ko) * 2021-07-16 2023-01-26 피에스엑스 주식회사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12954A (ko) * 2021-07-16 2023-01-26 피에스엑스 주식회사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9501A1 (en) Blockchain enabled service request system
CN108764868A (zh) 区块链节点代理对账方法和区块对账代理节点
US20200104931A1 (en) Electronic trad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110225093A1 (en) Depository-Based Security Trading System
HU223246B1 (hu) Számítógéprendszer adatkezeléshez, és eljárás a rendszer működtetésére
US6807635B1 (en) Using digital signatures to validate trading and streamline settlement of financial transaction workflow
KR20210139198A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855469B1 (ko) 네고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30325791A1 (en) Proxied cross-ledger authentication
KR102137577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송금 중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1300466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initiating and executing securities lending transactions
KR20170093518A (ko)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93517A (ko)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06997A (ko)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36685A (ko)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65082B1 (ko) 그래픽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535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49755A (ko) 비상장주식을 이용한 대출중개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개 시스템
KR101775352B1 (ko) 보유현황 확인이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258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ed, dark messaging continuity and bid negotiation over peer to peer (p2p) communication
KR101775351B1 (ko)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10289A (ko) 호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74237B1 (ko) 상대매매 방식 거래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67317A1 (en) Identity-based transaction processing
KR20200054536A (ko) 암호화폐간 p2p 거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