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323A -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 Google Patents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23A
KR20180006323A KR1020170086046A KR20170086046A KR20180006323A KR 20180006323 A KR20180006323 A KR 20180006323A KR 1020170086046 A KR1020170086046 A KR 1020170086046A KR 20170086046 A KR20170086046 A KR 20170086046A KR 20180006323 A KR20180006323 A KR 2018000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late
biomimetic
blower impell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288B1 (ko
Inventor
장남철
김대현
조남철
Original Assignee
장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철 filed Critical 장남철
Publication of KR2018000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2Light metals
    • F05B2280/1021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74Allo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5B2280/10742Heat stable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20Inorganic materials, e.g. non-metallic materials
    • F05B2280/2004Ceramics;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BIOMIMETIC TYPE BLOWER IMPELLER}
아래의 실시예들은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임펠러 블레이드는 터보차저의 임펠러에 설치되어 있는 날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복잡한 삼차원 곡면에 따라 구성된 5∼8장의 날개가 방사상(放射狀)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 쪽은 알루미늄제, 터빈 쪽은 내열 합금제로 된 것이 주종을 이룬다. 하지만, 세라믹 등의 새로운 재료도 사용되고 있다. 블레이드가 축 중심에서 방사(放射) 방향으로 똑바로 되어 있는 레이디얼형 임펠러(radial type impeller)와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왜곡된 백워드형 임펠러(backward type impeller)가 있다.
예컨대, 크로스 플로어 팬, 시로코 팬, 터보 팬, 프로펠러 팬 등의 송풍기의 임펠러에 있어서는, 임펠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공기류에 의해 공력 소음이 생긴다. 이 공력 소음의 주된 발생 원인으로서는, 블레이드의 부압면 측에서의 공기류의 박리와 블레이드의 날개 뒤가장자리 측에서 발생하는 후류 소용돌이를 들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13-0099379호에는 임펠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마찰저항을 줄여 고효율을 달성하고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는 돌출 요소가 형성된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블레이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는 돌출 요소가 형성된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 요소 간의 배치 간격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돌출 요소 간의 배치 간격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요소의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높아지다가, 상기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요소의 너비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넓어지다가, 상기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는, 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된 홈 및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 형성된 돌출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여 고효율을 달성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는,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 돌출 요소가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은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사용한 경우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 실험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7은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전산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6은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사용한 경우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 실험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7은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전산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10)는,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제1 판(100), 제1 판(10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판(200) 및 제1 판(100)과 제2 판(2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복수 개의 홈(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300)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0)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320)가 형성되고, 블레이드(30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돌출 요소(320)가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요소(320)는 제1 판 및 제2 판의 중앙 측에서부터 제1 판 및 제2 판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가 중앙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판(100)의 제1 개구(110)를 통하여 유체의 흡입이 발생되고, 제1 판(100), 제2 판(200) 및 블레이드(300)의 단부에 의하여 한정되는 제2 개구(400)를 통하여 유체의 유출이 발생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블레이드(30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복수 개의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서부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까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돌출 요소(320)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9mm로 일정할 수 있고, 돌출 요소(320)의 최고점의 높이는 3mm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블레이드 대비 마찰 저항이 약 4.7%로 감소된다.
또한, 도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블레이드(30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서부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부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돌출 요소(320) 간의 배치 간격(S')은 일단에서 10mm이고, 타단에서 8mm로 형성됨으로써,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 요소(320)의 최고점의 높이는 3mm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블레이드 대비 마찰 저항이 약 7.6%로 감소된다.
도4를 참조하면, 돌출 요소(320)의 높이는, 블레이드(300)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구간에서부터 블레이드(300)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구간에서부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구간은 일 예로써 블레이드(300)의 중간 지점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5를 참조하면, 돌출 요소(320)의 너비(W)는, 블레이드(300)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넓어지다가, 상기 일정 구간에서부터 블레이드(300)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돌출 요소(320)의 너비(W)는,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넓어지다가,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 요소(320)의 너비(W)는,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중앙 측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좁아지다가,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제1 판(100) 및 제2 판(200)의 외측으로 진행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돌출 요소(320)의 너비(W)는 1~3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 구간은 일 예로써 블레이드(300)의 중간 지점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6을 참조하면, 비교 실험 데이터 그래프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사용한 경우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임펠러를 사용할 경우의 데이터 그래프(610)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를 사용한 경우의 데이터 그래프(620)를 비교함으로써, 소음 저감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풍량이 500~1300(m3/h)인 구간 및 2300~2500(m3/h)인 구간에서 약 1dB의 소음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1300~2300(m3/h)인 구간에서는 약1~2dB의 소음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7은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의 전산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가 블레이드 표면에 복수 개의 돌출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임펠러가 회전하는 경우 유체의 유동(속도, 압력)이 개선될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10)가 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된 홈(310)을 구비함으로써, 임펠러는 더 적은 저항을 받게 되고 더 빠르게 회전될 수 있으며, 발생하는 양력을 증가시켜 항력에 의한 저항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기(Separation) 손상을 막아 유량을 증가시키고, 항력을 절감시키는 고효율을 구현하며 또한 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10)가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 형성된 돌출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미세돌기(riblet) 형상을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현시키고 최대 8%까지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평평한 표면을 구비한 블레이드 대비 이물질 부착률을 70%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미세돌기 구조는 방어효과(Anti-Fouling Effect)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100 : 제1 판
110 : 제1 개구
200 : 제2 판
300 : 블레이드
310 : 홈
320 : 돌출 요소
400 : 제2 개구

Claims (5)

  1.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원형의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돌출 요소 간의 배치 간격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일정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의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높아지다가, 상기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지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의 너비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구간까지 진행될수록 넓어지다가, 상기 일정 구간에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으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KR1020170086046A 2016-07-08 2017-07-06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KR101881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6954 2016-07-08
KR1020160086954 2016-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23A true KR20180006323A (ko) 2018-01-17
KR101881288B1 KR101881288B1 (ko) 2018-07-24

Family

ID=6102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46A KR101881288B1 (ko) 2016-07-08 2017-07-06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2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0101A (zh) * 2018-08-02 2018-12-11 江苏大学镇江流体工程装备技术研究院 一种基于鲨鱼表面减阻技术的仿生叶片
CN109281866A (zh) * 2018-12-07 2019-01-29 泰州市罡阳喷灌机有限公司 水环式自吸泵的仿生叶片
CN109959141A (zh) * 2019-04-22 2019-07-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叶片及空调器
KR20190137285A (ko) * 2018-06-01 2019-12-11 송주창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설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167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송풍기용 임펠러
KR20070007774A (ko) * 2004-09-30 2007-01-1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송풍기의 임펠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100033008A (ko) * 2008-09-19 2010-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형 송풍기
KR20100009256U (ko) * 2009-03-12 2010-09-27 (주) 금성풍력 효율 조정 기능을 갖는 유체 임펠러
KR20170039531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774A (ko) * 2004-09-30 2007-01-1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송풍기의 임펠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060088167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송풍기용 임펠러
KR20100033008A (ko) * 2008-09-19 2010-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형 송풍기
KR20100009256U (ko) * 2009-03-12 2010-09-27 (주) 금성풍력 효율 조정 기능을 갖는 유체 임펠러
KR20170039531A (ko) *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85A (ko) * 2018-06-01 2019-12-11 송주창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설비 시스템
CN108980101A (zh) * 2018-08-02 2018-12-11 江苏大学镇江流体工程装备技术研究院 一种基于鲨鱼表面减阻技术的仿生叶片
CN108980101B (zh) * 2018-08-02 2023-07-04 江苏大学镇江流体工程装备技术研究院 一种基于鲨鱼表面减阻技术的仿生叶片
CN109281866A (zh) * 2018-12-07 2019-01-29 泰州市罡阳喷灌机有限公司 水环式自吸泵的仿生叶片
CN109281866B (zh) * 2018-12-07 2023-09-15 泰州市罡阳喷灌机有限公司 水环式自吸泵的仿生叶片
CN109959141A (zh) * 2019-04-22 2019-07-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叶片及空调器
CN109959141B (zh) * 2019-04-22 2024-05-1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叶片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288B1 (ko)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288B1 (ko) 생체모방형 송풍기 임펠러
CN109790853B (zh) 离心压缩机以及涡轮增压器
US10539149B2 (en) Impeller and fan
US20130309082A1 (en) Centrifugal turbomachine
US20150176594A1 (en) Radial impeller for a drum fan and fan unit having a radial impeller of this type
CN111133201B (zh) 螺旋桨式风扇以及轴流式鼓风机
KR101251130B1 (ko) 프로펠러 팬
WO2008075467A1 (ja) 軸流圧縮機の翼列
TW201934888A (zh) 軸流風扇
US7959413B2 (en) Fan and impeller thereof
JP6621194B2 (ja) ターボファン及びこのターボファンを用いた送風装置
CN112412883B (zh) 叶片扩压器及离心压缩机
JP4727425B2 (ja) 遠心型羽根車及びそれを搭載したクリーンシステム
JP2012107538A (ja) 軸流ファンまたは斜流ファンおよびこれを有する室外ユニット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KR20150125006A (ko) 날개 바퀴 및 이것을 이용한 축류 송풍기
RU2680018C2 (ru) Рабочее колесо для центробежных компрессоров, устойчивое к жидкости
WO2016066113A1 (zh) 离心式风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566500A (zh) 一种离心通风机的叶轮
KR20170102097A (ko) 누류 및 와류 억제용 축류팬
WO2016181463A1 (ja) 軸流送風機
CN113217458B (zh) 一种叶轮、应用有该叶轮的风机系统和吸油烟机
CN109209989B (zh) 一种离心风扇及吸油烟机
CN108953222B (zh) 一种离心叶轮
JP6330738B2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243105B2 (ja) 羽根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