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038A - Self ligation Bracket - Google Patents

Self ligation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038A
KR20180006038A KR1020160086600A KR20160086600A KR20180006038A KR 20180006038 A KR20180006038 A KR 20180006038A KR 1020160086600 A KR1020160086600 A KR 1020160086600A KR 20160086600 A KR20160086600 A KR 20160086600A KR 20180006038 A KR20180006038 A KR 2018000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gaging portion
wire
ligation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준
임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038A/en
Publication of KR2018000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ligation bracket for straightening of irregular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ligation bracket has a regulation unit regulating unidirectional movement of a wire on a bracket base and a bending allowance unit allowing unidirectional bending of the wire on a ligation cover. Accordingly, the ligation cover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downwards by elasticity of wires.

Description

자가 결찰 브라켓{Self ligation Bracket}{Self ligation Bracke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열 교정을 위한 자가 결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된 제1 결합부를 가지는 브라켓 베이스와 제1 결합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제2 결합부는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를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ligation bracket for orthodontic corre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comprising a bracket base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 a manner to surrou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ligation cover having a banding permitting portion for allowing banding.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이다.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결찰 방식을 가지는 치열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브라켓(bracket), 브라켓에 결합되어 각 브라켓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ire) 및 와이어 결합부, 브라켓과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결찰용 철사 등으로 구성되며,Generally, orthodontics is a procedure to correct dent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with the traditional ligation method used for orthodontics includes a bracket to be attached to the teeth, an orthodontic wire and wire joint to be connected to the bracket to adjust the spacing of each bracket, A wire for ligature binding the orthodontic wire,

그러한 치열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식 중 하나는 브라켓의 베이스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견고히 접착 고정되게 한 다음, 브라켓의 결합홈에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끼우고,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와이어 결합부의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찰용 철사로 결속하는 것이다.One of the orthodontic methods using such an orthodontic appliance is to apply an adhesive to the base of the bracket, to fix the bracket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tooth surface firmly and then to fix the orthodontic wire to the joint groove of the bracket, The wire is bound to the wire for ligature so that the orthodontic wire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of the wire coupling portion.

그러나 이러한 결속 방식은 사용자가 결찰용 철사를 다루는 과정에서 찔려 감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근자에는 감염의 위험이 없는 자가 결찰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However, such a binding method uses a self-ligation method in which there is no risk of infection in recent years because the user has problems such as being pierced and infected in the course of handling the wire for ligature.

이러한 자가 결찰 방식은 교정용 와이어를 결찰하는 방식에 따라서 장치 자체에 탄성 클립 등을 적용함으로써 와이어가 브라켓에 결속되도록 하는 엑티브 방식과 브라켓 베이스에 브라켓 커버가 서랍을 여닫는 것과 같은 형태로 작용하여 와이어를 결속하는 패시브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This self-ligation method is based on an active method of binding the wire to the bracket by applying an elastic clip or the like to the device itself according to the method of ligation of the orthodontic wire and the actuation of the bracket cover in the form of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on the bracket base, And a passive method of binding.

전자의 경우 탄성력이 있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을 사용한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는 금속 재질, 세라믹 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금속 재질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심미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되어 근자에는 투명한 세라믹 재질을 선호한다.In the case of electrons, metal materials are generally used because they have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metal materials and ceramic materials can be used. Although metal materials are advantageous in price, they are aesthetically problematic, and transparent ceramic materials are preferred in recent years.

그러나 세라믹 재질은 그 내부에 철제 클립을 끼워서 형성하게 되면 그 부피가 커져서 착용자의 불편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금속의 노출로 심미성이 저하되며 플라스틱 혹은 세라믹 재질의 특성상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eramic material is formed by inserting a steel clip there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ceramic material is increased and the discomfort of the wearer is increased, and the aesthetic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exposure of the metal,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complicated 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or ceramic material .

도 1 및 2 는 종래기술 1(미국공개특허 제2009-0325120호)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을 나타낸다. 1 and 2 show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Prior Art 1 (US Patent Publication No. 2009-0325120).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1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은 브라켓 베이스(1)의 레일(4)과 결합한 브라켓 커버(2)가 브라켓 베이스(1)에 대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구조로서, 도 1은 브라켓 커버(2)가 슬롯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브라켓 베이스(1)에 형성된 슬롯(3)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2는 브라켓 커버(2)가 슬롯 폐쇄 위치로 이동되어 슬롯(3)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다.1 and 2, the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bracket cover 2 coupled with a rail 4 of a bracket base 1 performs a relative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ase 1, 1 shows a state where the bracket cover 2 is moved to the slot opening position and the slot 3 formed in the bracket base 1 is opened an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cover 2 is moved to the slot closing position, 3) is closed.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자가 결찰 브라켓은 치열의 형태에 따라서 교정용 철사의 탄성이 브라켓 커버(2)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와이어의 결찰이 해제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근본적 문제가 있다.However, the self-ligation bracket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fundamental problem that the elasticity of the orthodontic wire act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bracket cover 2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and the ligation of the wire is released.

한편,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 2(미국공개특허 제2014-0272753호)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을 나타낸다.3 and 4 show self-ligation brackets according to Prior Art 2 (US-A-2014-0272753).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2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은 브라켓 베이스(6)의 레일(8)과 결합한 브라켓 커버(5)가 브라켓 베이스(6)에 대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구조로서, 도 3은 브라켓 커버(5)가 슬롯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브라켓 베이스(6)에 형성된 슬롯(7)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4는 브라켓 커버(5)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3 and 4, the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racket cover 5 coupled with the rail 8 of the bracket base 6 performs relative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ase 6, 3 shows a state where the bracket cover 5 is moved to the slot opening position and the slot 7 formed in the bracket base 6 is opened, and Fig. 4 shows a state where the bracket cover 5 is removed.

전술한 종래기술 1이 가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2는 레일의 일단부에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슬롯 개방 위치쪽으로 철사의 탄성이 작용하여도 브라켓 커버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구조는 복잡하며,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브라켓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브라켓 착용자의 이물감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1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rt 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wall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ail so that the bracket cover is not opened even if the elasticity of the wire acts on the slot opening position. However, The volume of the bracket adopting such a structure is increas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body sensation of the wearer of the bracket is increase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 베이스에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하고, 라이게이션 커버에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라이게이션 커버가 철사의 탄성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한 자가 결찰 브라켓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cket comprising a bracket base and a regulating portion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nd a bending allowance is formed to allow the bending of the ligation cover so that the ligation cover is not pushed down by the elasticity of the wi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은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과, 상기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된 제1 결합부를 가지는 브라켓 베이스; 및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base having a wire slot in which a wire is receive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having a regulating portion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nd

상기 브라켓 베이스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를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 a manner to surrou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slid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on the bracket base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wire slot, A ligation cover having a banding permit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unidirectional banding;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ase and a pair of engagin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to both sides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not detached.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도브 테일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상기 와이어 슬롯은 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수직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slot may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one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억지 끼워맞춤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 interference fit engagement.

상기 규제부와 상기 밴딩허용부는 모두 상기 와이어 슬롯의 일 측면에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딩허용부는, 상기 규제부를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 슬롯의 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banding permit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re slot. The bending allowance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slot with respect to the restriction portion.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끝단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규제부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r of inclined surface ends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regulating portion when the ligation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respectively.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끝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딩허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일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i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nd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 first end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cket base and the ligation cover may be formed of ceramic or plastic material.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는, 캡부와, 상기 와이어 슬롯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와, 체결수단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윙부를 가지되,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ation cover has a cap portion,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one side to close the wire slot,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the other side for mounting the fastening means ,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캡부의 일측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portion.

한편,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ligation bracket comprising: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 슬롯은 바닥면과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대향하고, 상기 제1 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브라켓 베이스; 및Wherein the wire slot has a bottom surface and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opposit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is a length of the second side A bracket bas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racket; And

상기 브라켓 베이스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결합하되, A bracket base coupled to the bracket base for sliding movement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bracket base,

상기 와이어 슬롯을 형성하는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ligation cover provided to form the wire slot and having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a direction gradually away from the second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은 브라켓 베이스에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하고, 라이게이션 커버에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라이게이션 커버가 철사의 탄성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ulating portion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on the bracket base, and a bending permit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one direction bending of the wire to be formed in the ligation cover So that the ligation cover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down by the elasticity of the wire.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excellent durab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such effects can be clearly confirm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종래기술 1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자가 결찰 브라켓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자가 결찰 브라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의한 종래기술 1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7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s. 1 and 2 show self-ligation brackets according to Prior Art 1. Fig.
Figs. 3 and 4 show self-ligation brackets according to Prior Art 2. Fig.
5 shows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chematically shows a top view of the self-ligation bracket of Fig. 5;
Fig. 7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the self-ligation bracket of Fig. 5;
Fig. 8 schematically shows a state where wires are attached to the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of Fig. 1 and Fig.
FIG.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wire in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to 7.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라이게이션 커버가 슬롯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슬롯 폐쇄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shows the ligation cover in the slot-open position, and Fig. 5 (b) shows the slot-closed position.

도 6은 도 5의 자가 결찰 브라켓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는 라이게이션 커버가 슬롯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6(b)는 슬롯 폐쇄 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c)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도브 테일 형상으로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Fig. 6 schematically shows a top view of the self-ligation bracket of Fig. 5; Fig. 6 (a) shows the ligation cover in the slot-open position, and Fig. 6 (b) shows the slot-closed position. 6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engaging part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are joined in a dovetail shape.

도 7은 도 5의 자가 결찰 브라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는 라이게이션 커버가 슬롯 폐쇄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7(b)는 슬롯 개방 위치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Fig. 7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the self-ligation bracket of Fig. 5; Fig. 7 (a) shows the ligation cover in the slot closing position, and Fig. 7 (b) shows the slot open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자가 결찰 브라켓(100)은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130)과, 상기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40a)가 형성된 제1 결합부(140)를 가지는 브라켓 베이스(110); 및The self-ligation bracket 10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slot 130 in which a wire is receive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140 having a regulating portion 140a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 bracket base 110; And

상기 브라켓 베이스(110)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130)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140)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제2 결합부(150)를 가지고, 상기 제2 결합부(150)는 상기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150a)를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40 for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to surrou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so as to slid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130 on the bracket base 110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bracket base 110, (15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50) has a bending allowance portion (150a) for allowing the unidirectional bending of the wire; As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140)는 상기 브라켓 베이스(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0b)와 상기 제2 결합부(15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140b)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140c)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50)는 제1 결합부(140)를 외측에서 둘러싸며 결합되며,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0c)에 걸림되어 제1 결합부(140)로부터의 이탈이 구속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racket base 110 and exten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40b to both sides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is not separated from the bracket base 110. [ And a pair of latching portions 140c.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from the outside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40c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

제2 결합부(150)는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0c)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40)와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150)는 제1 결합부(140) 상에서 슬롯 폐쇄 위치 또는 슬롯 개방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can move relative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40c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 That is, the second engaging part 150 can slide on the first engaging part 140 between the slot closing position and the slot opening position.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결합부(140)와 상기 제2 결합부(150)는 도브 테일 형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140)의 한 쌍의 걸림부(140c)는 돌출부(140b)로부터 경사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결합부(150)가 제1 결합부(140)를 둘러싸는 부분은 제1 결합부(140)의 걸림부(140c)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art 14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That is, the pair of latching portions 140c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may be a portion that is inclined and extende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40b. 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surround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140c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가 도브 테일의 형상으로 결합하는 구조는 결합부의 부피를 감소시키므로 착용자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합부가 심플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결합부의 제작이 용이하다. 이러한 결합부의 구조는 특히, 후술할 브라켓 베이스(110)와 라이게이션 커버를 세라믹으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are combined in the dovetail shape reduces the volume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foreign object of the wearer can be minimized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simple shape, This is easy. Such a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a bracket base 110 and a ligation cover made of cerami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와이어 슬롯(130)은 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은 수직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슬롯(130)은 와이어가 브라켓을 세워 놓은 경우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라이게이션 커버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slot 130 may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one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 That is, the wire slot 1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bracket is erected by the wire.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ation cover slides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와이어 슬롯(130)의 연장 형성되는 방향은 슬롯에 삽입 설치되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삽입 설치된 와이어는 규제부(140a)에 의하여 전술한 일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일 방향은 실시예에 따라서 와이어 슬롯(130)이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며, 라이게이션 커버가 브라켓 베이스(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수 있다.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slot 13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inserted into the slot. In this case, the inserted wire is regulated in one direction movement by the regulating portion 140a . Here, one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slot 130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ligation cover slides on the bracket base 110 may be a direction.

상기 규제부(140a)와 상기 밴딩허용부(150a)는 모두 상기 와이어 슬롯(130)의 일 측면에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and the bending allowance portion 150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re slot 130. [

와이어 슬롯(130)은 바닥면과 이 바닥면과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40a)는 와이어 슬롯(130)에 제공되는 대향하는 양 측면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슬롯(130)에 제공되는 대향하는 양 측면 중에서 라이게이션 커버가 결합하는 제1 결합부(140)와 인접한 측면일 수 있다. The wire slot 130 may be formed by a bottom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and a restricting portion 140a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Lt; / RTI > And may be a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40 to which the ligation cover is coupled, among the opposite sides provided to the wire slot 130 in detail.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규제부(140a)는 상기 제1 결합부(140)의 끝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딩허용부(150a)는 상기 제2 결합부(150)의 일 단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규제부(140a)는 제1 결합부(140)의 끝 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가 돌출부(140b)와 한 쌍의 걸림부(140c)로 형성된 경우, 규제부(140a)는 제1 결합부(140)의 양 끝 단부 중에서 와이어 슬롯(130)을 향하는 끝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nd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and 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150a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cross-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may mean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 When the first engaging part 140 is formed of the protrusion 140b and the pair of engaging parts 140c, the restricting part 140a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first engaging part 140 toward the wire slot 130 May refer to the end portion.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140)와 상기 제2 결합부(150)는 억지 끼워맞춤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억지 끼워마춤 결합은 제작시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의 상호 접촉하는 대향면의 공차를 일정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engaging part 140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ference-fit. The interference fit can be formed by adjusting the tolerance of the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in a certain range.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가 억지 끼워마춤 결합하는 구조는 라이게이션 커버가 브라켓 베이스(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그 슬라이딩 이동이 설정된 정도의 마찰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탄성 모듈을 설치할 필요없이 치열 교정 과정에서 폐쇄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라이게이션 커버가 슬롯 폐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40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an prevent the lagging cover from sliding on the bracket base 110, So that the ligation cover slidably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in the orthodontic process can maintain the slot closing position.

한편, 상기 밴딩허용부(150a)는, 상기 규제부(140a)를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 슬롯(130)의 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150a may include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slot 130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regulating portion 140a.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끝단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규제부(140a)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r of inclined surface ends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when the ligation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이러한 형상을 통하여 제2 결합부(150)가 최소한의 부피를 갖도록 하면서도 제2 결합부(150)와 제1 결합부(140)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유지시켜 적은 부피로 제2 결합부(150)의 제1 결합부(140)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may be formed to have a minimum volume while keep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at a maximum,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다만, 한 쌍의 경사면의 끝단은 라이게이션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반드시 규제부(140a)의 양 끝단 각각과 접할 필요는 없으며, 규제부(140a)를 형성하는 제1 결합부(140)의 끝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경사면의 양 끝단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더라도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40a)의 기능과 와이어의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150a)의 기능의 발휘에 문제는 없다.However, when the ligation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ends of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are not necessarily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regulating portion 140a,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0 May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There is no problem in the func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banding permitting portion 150a for allowing unidirectional bending of the wire.

경우에 따라서는 밴딩허용부(150a)는 경사면이 아니고 규제부(140a)와 같은 수평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라이게이션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규제부(140a)와 밴딩허용부(150a)는 단차를 형성하며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banding permitting portion 150a may be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the regulating portion 140a instead of an inclined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ligation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restricting portion 140a and the bending allowance portion 150a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tep.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110)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cket base 110 and the ligation cover may be formed of ceramic or plastic material.

세라믹 재질의 브라켓은 금속 재질의 그 것보다 심미감이 우수하다. 그러나 세라믹 재질은 그 물성적 특성상 신축성이 떨어지므로 금속재 클립을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금속재 클립을 내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가 결찰 브라켓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다. Ceramic brackets are more aesthetically pleasing than metal ones. However, since ceramic materials have poor elastic properties due to their physical properties, metal clips are generally installed inside. However, when metal clips are applied internally, the thickness of the self-ligation brackets can not be increased.

본 구조는 자가 결찰 브라켓을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의 결합 구조를 단순하게 형성함으로써 브라켓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volume of the bracket can be reduced by simply form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4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50 even if the self-ligation bracket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는, 캡부와, 상기 와이어 슬롯(130)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와, 체결수단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ation cover includes a cap portion,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one side to close the wire slot 130,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the other side for mounting the fastening means. And the like.

여기서 커버부는 슬롯을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윙부는 다른 구조물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커버부와 윙부는 캡부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결합부(150)는 상기 캡부의 일측 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ap portion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ap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portion.

도 8은 도 1 및 도 2에 의한 종래기술 1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Fig. 8 schematically shows a state where wires are attached to the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of Fig. 1 and Fig.

도 8을 참조하면, 종래기술 1의 경우 도 8의 좌측에 설치된 브라켓이 우측에 설치된 브라켓보다 위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브라켓과 우측 브라켓 각각의 규제부(140a)는 와이어의 일 방향(A) 이동을 규제하여 와이어에 장력이 형성된 경우 좌측 브라켓이 설치된 치열이 일 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우측 브라켓이 설치된 치열이 일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좌측 브라켓이 설치된 치열과 우측 브라켓이 설치된 치열이 수평을 이루도록 지속적인 힘을 가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case of Prior Art 1, the bracket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FIG. 8 is provided above the bracket provided on the right side. Here, the restricting portions 140a of the left bracket and the right bracket respectively restrict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 so that when the wire is tensioned, the teeth provided with the left bracket are moved in one direction (A) The installed dentition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direction (A) so that the dentition with the left bracket and the dentition with the right bracket end up continuously.

여기서 와이어(200)는 좌측 브라켓과 우측 브라켓의 와이어 슬롯(3)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설치되는데, 와이어(200)에 장력이 형성되면 좌측 브라켓에 설치된 와이어(200)는 일 방향(A)의 성분이 포함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브라켓 커버(2)를 일 방향(A)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슬롯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Here, the wire 200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wire slot 3 of the left and right brackets. When a tension is formed on the wire 200, the wire 200 installed on the left bracket receives the component So that the bracket cover 2 is slid in one direction A and moved to the slot opening position.

즉, 구조적으로 어쩔수 없이 브라켓 커버(2)를 슬롯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와이어(200)를 브라켓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문제가 있다.That is, since the bracket cover 2 is structurally reluctantly moved to the slot opening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 200 is detached from the bracket.

도 9는 도 5 내지 도 7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FIG.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wire in a self-liga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to 7. FIG.

도 9는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브라켓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데, 제2 결합부(150)에 한 쌍의 밴딩허용부(150a) 즉, 경사면(150a)이 형성되어 와이어(200)의 일 방향(A) 밴딩이 허용되도록 공간을 확보하므로 라이게이션 커버(120)가 와이어(200)에 의하여 일 방향(A)으로 밀려 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와이어(200)에 장력이 형성되더라도 라이게이션 커버(120)가 슬롯 폐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9 shows the same bracket mounting position as in the case of FIG. 8. A pair of bending allowances 150a, that is, a slant face 150a is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part 150, The ligation cover 120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down in the one direction A by the wire 200 so that even if tension is formed on the wire 200, To maintain the slot closed position.

한편,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ligation bracket comprising: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 슬롯은 바닥면과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대향하고, 상기 제1 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브라켓 베이스; 및Wherein the wire slot has a bottom surface and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opposit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is a length of the second side A bracket bas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racket; And

상기 브라켓 베이스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결합하되, A bracket base coupled to the bracket base for sliding movement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bracket base,

상기 와이어 슬롯을 형성하는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ligation cover provided to form the wire slot and having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a direction gradually away from the second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surfa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자가 결찰 브라켓
110: 브라켓 베이스
120: 라이게이션 커버
130: 와이어 슬롯
140: 제1 결합부
140a: 규제부
140b: 돌출부
140c: 걸림부
150: 제2 결합부
150a: 밴딩허용부
100: self-ligation bracket
110: Bracket base
120: Ligation cover
130: wire slot
140:
140a:
140b:
140c:
150:
150a: Banding allowance

Claims (12)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과, 상기 와이어의 일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된 제1 결합부를 가지는 브라켓 베이스; 및
상기 브라켓 베이스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기 일 방향 밴딩을 허용하는 밴딩허용부를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
를 포함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A bracket base having a wire slot in which a wire is accommodate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having a restricting portion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 a manner to surrou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slid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on the bracket base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wire slot, A ligation cover having a banding permit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unidirectional banding;
Lt; / RTI > brack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ha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ase and a pair of engagin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to both sides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not relea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도브 테일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억지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in interference fit engag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와 상기 밴딩허용부는 모두 상기 와이어 슬롯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are both provided to configure one side of the wire slo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허용부는, 상기 규제부를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 슬롯의 단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slot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restrict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사면 끝단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규제부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ds of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restricting portion when the ligation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끝 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허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일 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ending permit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의 재질은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base and the ligation cover are made of ceramic or pla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게이션 커버는,
캡부와, 상기 와이어 슬롯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와, 체결수단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캡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윙부를 가지되,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캡부의 일측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ation cover includes:
A cap portion,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one side to close the wire slot,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p portion to the other side for mounting the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portion.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슬롯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 슬롯은 바닥면과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대향하고, 상기 제1 측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브라켓 베이스; 및
상기 브라켓 베이스 상에서 상기 와이어 슬롯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결합하되,
상기 와이어 슬롯을 형성하는데 제공되고, 상기 제1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라이게이션 커버;
를 포함하는 자가 결찰 브라켓.
Wherein the wire slot has a bottom surface and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opposit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is a length of the second side A bracket bas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racket; And
A bracket base coupled to the bracket base for sliding movement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ire slot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bracket base,
A ligation cover provided to form the wire slot and having a pair of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a direction gradually away from the second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Lt; / RTI > brackets.
KR1020160086600A 2016-07-08 2016-07-08 Self ligation Bracket KR201800060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600A KR20180006038A (en) 2016-07-08 2016-07-08 Self ligation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600A KR20180006038A (en) 2016-07-08 2016-07-08 Self ligation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38A true KR20180006038A (en) 2018-01-17

Family

ID=610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600A KR20180006038A (en) 2016-07-08 2016-07-08 Self ligation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03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72A1 (en) * 2021-02-01 2022-08-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72A1 (en) * 2021-02-01 2022-08-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KR20220111064A (en) * 2021-02-01 2022-08-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230107179A (en) * 2021-02-01 2023-07-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166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US10653505B2 (en) Self-ligating bracket
KR100959151B1 (en) Self-ligating brackets
US11617634B2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ligating member
CN104042349B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170014208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US20100105000A1 (en) Orthodontic bracket
JP2018175910A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biased slide member
US20100203463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2015531303A5 (en)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WO2018219348A1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KR20190127861A (en) Self-ligating bracket with ligation member
CN105073061A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JP2015521918A5 (en)
KR102455441B1 (en) slide 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wire seating block
KR20180006038A (en) Self ligation Bracket
KR20130076996A (en) Combined rotary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KR102058983B1 (en) Orthodintic dual slot bracket assembly
KR20110059212A (en) Orthodontic bracket
KR101505424B1 (en)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554739B1 (en) Self-ligation orthodontic bracket
JP6726808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coplanar spring
US10531936B2 (en) Dental device
JP3157270U (en) Sliding lid orthodon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