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556A -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556A
KR20180005556A KR1020160085791A KR20160085791A KR20180005556A KR 20180005556 A KR20180005556 A KR 20180005556A KR 1020160085791 A KR1020160085791 A KR 1020160085791A KR 20160085791 A KR20160085791 A KR 20160085791A KR 20180005556 A KR20180005556 A KR 2018000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air supply
supply pipe
hollow fi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2007B1 (en
Inventor
김경희
안형욱
최경규
김진민
구영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supply pipe supplying air; an air diffuser unit diffus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a water collection unit located on the air diffuser unit and collecting treated water; a water collection pipe 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unit; a plurality of revers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s of which both ends are potted in the water collection unit; and a plurality of fluid holes which is inserted into a top portion of the revers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has a plurality of fluid holes, and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water collection pipe.

Description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WATER}[0001]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0002]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침지식 멤브레인 모듈의 경우, 미생물반응조 또는 원수탱크의 오염물이 멤브레인 표면에 달라붙어 여과성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공기를 주입(에어레이션, aeration)하여 표면의 오염물을 털어 내는 방법으로 멤브레인 세정을 한다. 다만, 에어레이션만으로는 멤브레인을 세정하는데 한계가 있어, 중공사막을 U자 모양으로 적용하여 막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중공사막이 과도하게 유동적이거나, 또는 고정되는 부분과의 마찰 등에 의해 중공사막이 쉽게 손상되고, 이로 인해 중공사막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air is continuously injected (a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microbial reaction tank or the raw water tank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membrane to deteriorate the filtration performance, .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cleaning the membrane only by aeration,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fluidity of the membrane by applying the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excessively fluid, or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easily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fixed part, and the lifeti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thereby reduced.

한편, 수처리 효율 증가를 위해 멤브레인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수처리 장치의 부피를 줄이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membrane,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이에, 중공사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중공사막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집적화가 가능하여 수처리 효율이 증가된 수처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prolong the lif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enable integration, thereby increas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이에 관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20715호에 개시되어 있다.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20715.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사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중공사막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적화가 가능하여 수처리 효율이 개선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tegrating and improving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구체예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산기하는 산기부, 상기 산기부 상에 위치하고, 처리수를 수집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이송하는 집수배관, 역 U 형태이고, 양 말단이 상기 집수부에 포팅된 복수의 중공사막 및 상기 역 U 형태 중공사막의 정상부에 삽통되고 복수의 유체홀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공기 공급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집수배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an acid portion for gener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a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reated water, located on the acid portion, 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a plurality of fluid hol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지지부재는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을 통해 산기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 fluid communication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fluid hole.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지지부재와 유체 연통되는 지지부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관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supply tube includes a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collection pipe includes a support member securing portion for securing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member may be tubular .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circular in cross section.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supply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each include a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opened at the lower portion.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아치형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have an arcuate cross section.

상기 중공사막의 길이는 하기 식 1의 범위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in the range of the following formula (1).

[식 1][Formula 1]

(2 × I) + 50 ≤ 중공사막의 길이(mm) ≤ (2 × I) + 150(2 x I) + 50? Length of hollow fiber membrane (mm)? (2 x I) + 150

(상기 식 1에서, I는 집수부와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단위: mm)임)(Where, I is the interval (unit: mm) between the collecting part and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유체홀은 직경이 1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The fluid holes may be between 1 mm and 20 mm in diameter.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집수부 사이에 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an air diffus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llection section.

상기 산기관은 복수의 유체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산기관은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을 통해 산기될 수 있다.The diffusing tube has a plurality of fluid holes, and the air supply tube and the diffusing tube are in fluid communication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tube can be diffused through the fluid holes.

상기 공기 공급관은 지지부재와 유체 연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재 결합 영역을 복수 개로 구비하고,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복수 개로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air supply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coupling regio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water collection pipe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s, A plurality of fixed areas may be included.

상기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집수배관은 동일 높이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복수 개로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areas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fix the support member.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2 mm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ing regions or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securing regions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of 2 mm to 50 mm.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는 개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may include an open flange.

상기 지지부재 고정부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fixing part may include a blind flange.

본 발명은 중공사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중공사막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집적화가 가능하여 수처리 효율이 개선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hollow fiber membrane,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integrating the same, thereby improv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이 형성된 집수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top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upport member coupl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support member fixing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an air supply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shows a water collecting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area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일부 용어들을 하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some terms will be used with the following meaning.

본 발명에서 '삽통'은 복수의 중공사막들 사이로 삽입되어 관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sert" may mean inserted throug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본 발명에서 중공사막의 '내측'은 역 U 형태의 중공사막이 휘어진 쪽으로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eans a portion surrounded by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본 발명에서 '집수부와 지지부재의 간격'은 집수부의 윗면(지지부재 방향)과 지지부재 중 가장 높은 지점과의 거리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atching part and the supporting member'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supporting member direction) of the catching par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에서 '중공사막의 길이'는 중공사막 중 집수부 외부에 노출된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eans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par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is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width,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are enlarg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components of each device. Also, while only a portion of the components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components.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t the point of view of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located above or below another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located immediately above or below another element, Quot; can be interven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 Act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X to Y' representing the range means 'X or more and Y or less'.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수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schematically show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10), 상기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산기하는 산기부(20), 상기 산기부(20) 상에 위치하고 처리수를 수집하는 집수부(30), 상기 집수부(30)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이송하는 집수배관(40), 역 U 형태이고, 양 말단이 상기 집수부(30)에 포팅된 복수의 중공사막(60) 및 상기 역 U 형태 중공사막의 정상부에 삽통되고 복수의 유체홀(55)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공기 공급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집수배관(4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1,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supply pipe 10 for supplying air, a acid unit 20 for gener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10, A water collecting pipe 40 located on the acid base 20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a collecting pipe 40 for 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30, an inverted U shape, And a plurality of fluid holes (55)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10) And 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공기 air 공급관Feeder

공기 공급관(10)은 산기부(20)에서 산기되는 공기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공급관(10)이 공급하는 공기의 양은 수처리 장치 각 부분의 규격, 지지부재 형태, 중공사막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 serves to supply air generated from the acid part 20 from the outside. The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ipe 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each par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shape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stat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like.

또한, 공기 공급관(10)은 상기 지지부재(50)가 관형태인 경우에 지지부재 결합부를 통해 지지부재(50)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지지부재(50)에도 공기를 공급하여 유체홀(55)에서도 공기가 산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ir supply pipe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50 via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when the support member 50 is in the shape of a tube and supplies air to the support member 50 to form the fluid hole 55 The air can also be generated.

공기 공급관(10)의 직경은 30 mm 내지 150 mm, 구체적으로 50 mm 내지 7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산기부(20) 및/또는 지지부재(50)에서 산기되는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공기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ameter of the air supply pipe 10 may be 30 mm to 150 mm, specifically 50 mm to 70 mm.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ly the air generated in the acid portion 20 and / or the support member 50 in the above range, and the air pressure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한편, 상기 공기 공급관은 후술할 지지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부재 결합부 또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 결합부는 지지부재를 거치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와 공기 공급관 사이에 유체 연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재를 의미하며, 지지부재 고정부는 유체 연통 없이 지지부재를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 및 지지부재 고정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air supply pipe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or a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for mounting a support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means a member formed to allow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air supply pipe while receiv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has a member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support member without fluid communication it means.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산기부Acid donation

산기부(20)는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산기홀(25)를 통해 산기하여 중공사막(60), 집수부(30) 및 지지부재(50)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방지하고, 이미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산기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수처리 장치(100) 전체에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cid part 20 prevents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the water collecting part 30 and the support member 50 by distribut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supply pipe 10 through the acidic hole 25, It also serves to remove accumulated sludge. Also, accumulation of sludge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can be prevented by the flow of the fluid formed by the acid.

상기 산기홀(25)는 수처리 장치(100)의 목적 및 규격 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의 일렬로 배열되거나, 지그재그로 배열되거나, 2 이상의 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간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배열할 수 있고, 또한 중심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cidic holes 25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purposes and specification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y may be arranged in a line at regular intervals, arranged in zigzags, or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and the intervals may be gradually increased or gradually decreased, and the intervals may increase or decrease toward the center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산기홀(25)의 형태 및 직경 역시 수처리 장치(100)의 목적 및 규격 등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acid orifice 25 may also be variously applied to the purposes and specification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집수부Housekeeper

집수부(30)는 산기부(20) 상에 위치하여 중공사막(60)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llecting section (30) is located on the acid base (20) and collects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특히,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100)는 하나의 집수부(30)를 포함하여 수처리 장치(100)의 부피를 줄여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는 수처리 효율이 높아지고, 수처리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Particularly,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ntegrat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by including a single water collecting unit 30. The integ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eans that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is high and the restriction of the place wher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installed is low.

또한, 집수부(30)는 중공사막(60)의 양단과 결합하여, 중공사막 일단만 결합한 수처리 장치보다 집수 효율이 우수하며, 두 개의 집수부가 중공사막의 양단을 각각 결합하는 수처리 장치에 비해 부피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를 이룰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section 3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and has a better collecting efficiency tha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ly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ntegrated.

집수부(30)는 수처리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산기부(20)와 인접하게 되고, 이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집수부에 비해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산기부(20)의 너비는 집수부(30) 보다 넓을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section 3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acid base section 20.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accumulation of sludge compared to the collecting section located at the upper part.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20 may be wider than the catch portion 30. [

집수부(30)의 너비(Dc)는 10 mm 내지 100 mm, 구체적으로 20 mm 내지 7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집수 효율과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의 균형이 우수하다.The width D c of the catch 30 may be between 10 mm and 100 mm, specifically between 20 and 70 mm. In the above range, the balance between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the integ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excellent.

또한, 집수부(30)와 산기부(20)는 너비의 차이(Dd)가 5 mm 내지 100 mm, 구체적으로 10 mm 내지 5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산기에 의한 세정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s D d of the collector 30 and the acid base 20 may be 5 mm to 100 mm, specifically 10 mm to 50 mm. In the above-mentioned range, not only the cleaning effect by the acid is excellent, but als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ntegrated.

집수부(30)는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한 그 재질에 제한은 없다. 일 예로서, 집수부(30)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아크릴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변성 PPE(Poly Phenylene Ether)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collecting part 30 as long as it has a predetermined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As an example, the collecting section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vinyl chloride, polyolefin, polycarbonate, polysulfone, acrylic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and modified PPE (polyphenylene ether) resin.

집수배관Collecting pipe

집수배관(40)은 집수부(10)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배관(40)은 공기 공급관(10)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pipe (40) serves to transfer the collec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10). Specifically,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air supplying pipe 10 in a spaced apart manner.

집수배관(40)의 직경은 30 mm 내지 200 mm, 구체적으로 70 mm 내지 13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집수 효율의 저하가 없고,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를 이룰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may be 30 mm to 200 mm, specifically 70 mm to 130 m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out lower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in the above range.

한편, 상기 집수배관은 유체 연통 없이 지지부재를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고정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water collecting pipe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fixing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mounting the support member without fluid communication.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

중공사막(60)은 원수를 여과하는 역할을 하고, 여과된 처리수는 집수부(30)으로 수집될 수 있다. 중공사막(60)은 복수 개로 다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수처리 장치의 목적 및 규격 등에 적합한 개수를 적용할 수 있다.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serves to filter the raw water, and the filtered treated water can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30. [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60 may be formed in a bundle shape, and a number suitable for purposes and specification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중공사막(60)은 역 U 형태이고, 양 말단이 집수부(30)에 포팅된 형태이다. 역 U 형태의 중공사막은 유동성이 있어 중공사막(60)에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처리 장치(100)의 부피를 줄여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중공사막 일단만 결합한 수처리 장치보다 집수 효율이 우수하며, 상기 중공사막은 양 말단이 동일한 집수부에 포팅되어 있어, 수처리 장치를 집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ollow fiber membran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rted U-shaped and has both ends potted to the collecting part 30. [ Since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has fluidity, accumulation of sludge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volum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can be reduced, thereby integrating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Further, the water collecting efficiency is superior to tha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ly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potted at the same collecting part at both ends, so tha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ntegrated.

중공사막(60)은 피처리수(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한도 내에서, 그 소재에 제한은 없다. 일 예로서, 중공사막(60)은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에테르케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is not limited insofar as it has a property of filtering the water to be treated (raw water). As an example,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lefin,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imide, polyetherimide,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amide, polyethylene, polyfluoride 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Acrylonitrile, polypropyl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tetrafluoroethylene, or polyether ketone.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propylene (PP),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집수부 밖으로 노출된 중공사막의 길이는 집수부(30) 및 지지부재(50) 사이의 간격(I)과 하기 식 1의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xposed through the pore portion may be adapted to satisfy an inequality (I) of the following formula (1) between the interval (I) between the pore 30 and the support member 50.

[식 1][Formula 1]

(2 × I) + 50 ≤ 중공사막의 길이(mm) ≤ (2 × I) + 150(2 x I) + 50? Length of hollow fiber membrane (mm)? (2 x I) + 150

(상기 식 1에서, I는 집수부와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단위: mm)임)(Where, I is the interval (unit: mm) between the collecting part and the supporting member)

상기의 범위에서, 중공사막(60)의 유동성이 적절하여, 엉킴에 의한 손상이나, 지지부재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모두 방지할 수 있고, 중공사막이 길어서 수처리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처리 장치는 집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is appropri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both damage due to entanglement and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support member,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long so that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is hi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tegration can be done.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지지부재(50)는 역 U 형태 중공사막의 정상부에 삽통되고, 복수의 유체홀(55)을 구비하여 중공사막(60)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일단이 상기 공기 공급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집수배관(4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50 is inserted into a top portion of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has a plurality of fluid holes 55 to control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50 may be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중공사막(60)은 양 말단이 하나의 집수부(30)에 결합되어, 한쪽만 고정된 형태로(역 U) 중공사막은 유체 및 공기의 흐름에 유동적으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유동성이 과도하게 높아 중공사막(60)이 엉키거나, 중공사막 간의 마찰 등에 의해 중공사막의 손상이 쉬운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지지부재(50)는 상기 중공사막(60)의 유동성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하여 중공사막의 엉킴 및 중공사막 간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are coupled to one of the collecting parts 30 and only one of them is fixed (inverted U) .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is excessively high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easily damag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or the like. However, the support memb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The fluidity can be adjusted to a certain level to prevent the entangl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damage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재(50)는 중공사막과의 마찰 역시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에 복수의 유체홀(55)을 포함한다. 유체홀(55)은 지지부재(50)의 형태에 따라 공기, 또는 공기 및 액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유체홀(55)을 통과하는 공기, 또는 공기 및 액체에 의해 중공사막(60)은 지지부재(5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중공사막(60)은 지지부재(50)에 의한 마찰이 최소화 되며, 손상에 의한 수명 단축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luid holes 55 at the top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The fluid holes 55 can pass air, or air and liqui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50.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kept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pport member 50 by the air or liquid passing through the fluid hole 55 and thereby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50 The friction is minimized, and the life time due to damage can be prevented.

유체홀(55)은 직경이 1 mm 내지 20 mm, 구체적으로 2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중공사막과 지지부재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 및 중공사막 상부의 슬러지 제거의 효과도 우수하다.The fluid hole 55 may have a diameter of 1 mm to 20 mm, specifically 2 mm to 10 mm. In the above range, friction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minimized, and the effect of removing the sludge o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upper is also excellent.

유체홀(55)의 간격 및 수는 본 발명 구성들의 규격 등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거나, 간격이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간격이 중심으로 갈수록 감소하거나,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intervals and the number of the fluid holes 55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spacing may increase toward the center, the spacing may decrease toward the center, or may be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51)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5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지지부재(51)는 일단이 지지부재 결합부를 통해 공기 공급관(10)과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55)을 통해 산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1)의 타단은 지지부재 고정부에 의해 집수배관(4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1)가 관형태인 경우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 지지부재(51)로 공기가 공급되고, 이는 유체홀(55)을 통해 산기된다. 유체홀(55)로부터 산기되는 공기는 중공사막(60)과 지지부재(51)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중공사막(60)이 지지부재(51)와의 마찰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막(6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 member 5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51 may be circ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51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pipe 10 through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10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fluid hole 55.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51 can be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by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Specifically,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10 to the support member 51 when the support member 51 is in the form of a tube,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 fluid hole 55. [ The air generated from the fluid hole 55 can maintain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and the support member 5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ev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from being damaged by the friction with the support member 51 The lif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extended.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52)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52)의 단면은 아치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지지부재(52)는 지지부재 고정부에 의해 공기 공급관(10)과 집수배관(40)에 각각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2)의 하부가 개방된 경우 산기부(20)에서 산기되는 공기 및 이로 인한 액체의 흐름이 지지부재(52)의 유체홀(55)을 통과하여, 지지부재(52)와 중공사막(60)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52)와 중공사막(60)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중공사막(6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upporting member 5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ned at the bottom.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52 may be arcu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52 is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by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s, respectively. Specifically,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52 is opened, the air and the flow of the liquid due to the acid generated in the acid portion 20 pass through the fluid hole 55 of the support member 52,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 member 52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minimized and the lif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can be prolonged.

구체예에서, 지지부재(50)는 개방 플랜지 및 블라인드 플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지지부재가 관 형태인 경우에는 지지부재(51) 일단은 지지부재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방 플랜지를 구비하고, 타단은 지지부재 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한 블라인드 플랜지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지지부재의 하부가 개방된 경우에는 지지부재(52) 양단은 지지부재 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한 블라인드 플랜지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5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open flange and a blind flange. In one embodiment, when the support member is in the form of a tube,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51 may have an open flange for forming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with a blind flange for forming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in advance have. In other embodiments,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52 may be provided with a blind flange for forming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opened.

상기 지지부재는 폭(Ds)이 5 mm 내지 50 mm, 구체적으로 10 mm 내지 30 m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지지부재와 중공사막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중공사막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have a width D s of 5 mm to 50 mm, specifically 10 mm to 30 mm. The gap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kept constant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friction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minimized.

상기 지지부재와 집수부와의 간격은 5 cm 내지 200 cm, 구체적으로 10 cm 내지 150 cm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수처리 장치의 집적화를 이룰 수 있고, 집수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llecting part may be 5 cm to 200 cm, specifically, 10 cm to 150 cm.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ntegrated, and the water collecting efficiency is increased.

지지부재 결합부The support member-

이하 도 5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재 결합부 및 지지부재 결합 영역을 설명한다. 여기서 지지부재 결합 영역은 개방 플랜지가 결합되어 지지부재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이 형성된 공기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8. FIG. Here,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pen flange is engaged to form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coupling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지지부재 결합부(80)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되어, 공기 공급관(10)과 지지부재(50)를 연통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 결합부(80)는 개방 플랜지(8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 플랜지(81)는 지지부재(50)에 미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5,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80 may b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to allow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support member 5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80 may include an open flange 81. For example, the open flange 81 may be formed in advance in the support member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지지부재 결합부(80)는 개방 플랜지(81)를 포함하고, 공기 공급관(10) 및 지지부재(50)는 상기 개방 플랜지(81)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기 공급관(10)이 지지부재(50)와 유체 연통하기 위해, 개방 플랜지(81)의 중앙 및 공기 공급관(10)의 연통부(87)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 플랜지(81)는 볼트 체결부(83)를 통해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된 볼트부(85)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85)와의 결합은 너트(89)를 사용할 수 있다. 개방 플랜지(81)와 공기 공급관(10)의 밀착을 위해 개방 플랜지(81)는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공기 공급관(10) 상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80 includes an open flange 81, and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support member 50 can be coupled via the open flange 81. [ The center of the open flange 81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87 of the air supply pipe 10 are opened so that the air supply pipe 1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50. [ The open flange 81 can engage with the bolt portion 85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through the bolt fastening portion 83. A nut 89 may be used for coupling with the bolt portion 85. The open flange 81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or may be formed flat on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area on the air supply pipe 10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open flange 81 and the air supply pipe 10. [

볼트부(85)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되어, 개방 플랜지(81)를 매개로 너트(89)에 의해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부(85)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성 방법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볼트부(85)는 공기 공급관(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공기 공급관(10)을 관통하는 전산볼트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10)에 관통되는 부분은 오링 등을 사용하여 유체가 새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다. The bolt portion 85 is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and serves to fix the support member 50 by means of the nut 89 via the open flange 81. The method of forming the bolt portion 85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bolt portion 85 can b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For example, the bolt portion 8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supply pipe 10, or may be formed by welding. Or a bolt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0 may be formed. In this case, a portion penetrating the air supply pipe 10 can be sealed using an O-ring or the like so that the fluid does not leak.

지지부재(50)의 단면이 관형태인 경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80)에 의해 공기 공급관(10)과 연통되게 결합할 수 있고,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지지부재(50)의 유체홀(55)을 통해 산기할 수 있다.When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50 is tubular, the support member can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10 by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80, Can be diffused through the fluid holes (55) of the heat exchanger (50).

도 8을 참고하면, 지지부재 결합 영역은 공기 공급관(10)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결합 영역은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된 볼트부(85), 연통부(8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지지부재를 적절한 결합 영역에 결합함으로써 집수부와 지지부재의 간격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되는 중공사막의 유동성을 계속 유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지지부재 결합 영역은 블라인드 플랜지(91)를 결합하여 지지부재와 연통되지 않는 연통부(87)을 밀봉할 수 있다. 지지부재를 다른 지지부재 결합 영역에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된 블라인드 플랜지를 제거하고, 개방 플랜지(81)를 매개로 지지부재와 결합시켜 유체 연통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은 블라인드 플랜지로 밀봉하는 방법으로 지지부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85)와의 결합은 너트(89)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s may b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The support member coupling region includes a bolt portion (85) and a communicating portion (87)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holding part and the supporting member can be optimally adjusted by connecting the supporting member to the appropriate coupling area, and thus the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be shrunk over time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 where the support member is not engaged can seal the communication portion 87 tha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upport member by engaging the blind flange 91. When coupling the support member to another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 the combined blind flange can be removed and fluidly communicated by engagement with the support member via the open flange 81, and the existing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 can be blind flange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changed by a sealing method. A nut 89 may be used for coupling with the bolt portion 85.

공기 공급관(10) 상에 지지부재 결합영역이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집수배관(40) 상에 지지부재 고정 영역이 각각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재 결합 영역 및 지지부재 고정 영역에 의해 지지부재는 수평으로 고정되어 중공사막의 유동성을 조절 및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one or more support member engagement areas ar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the support member fixing areas may be formed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at the same height as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 engagement areas. The supporting member is horizontally fixed by the supporting member engaging region and the supporting member fixing region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control the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o prevent friction.

지지부재 고정부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이하 도 6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재 고정부 및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설명한다. 여기서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블라인드 플랜지가 결합하여 지지부재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지부재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이 형성된 집수 배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9는 공기 공급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도시하였지만, 집수배관에 지지부재 고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9. FIG. Here,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means a position where the blind flange is engaged to form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support member fixing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collecting pip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9 illustrate the support member fixing parts formed in the air supply pipe, they can be appli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 support member fixing parts are formed in the water collection pipe.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재 고정부(90)는 공기 공급관(10) 또는 집수배관(40) 상에 형성되어,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 고정부는 공기 공급관(10) 또는 집수배관(40)과 연통되지 않는 구조이다. 지지부재 고정부(90)는 블라인드 플랜지(9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91)는 지지부재(50)에 미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6,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90 may b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or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to fix the support member 50. [ The supporting member fixing portion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pipe (10) or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90 may include a blind flange 91. For example, the blind flange 91 may be previously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지지부재 고정부(90)는 블라인드 플랜지(91)를 포함하고,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은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91)를 매개로 지지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 고정부(90)는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연통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91)는 볼트 체결부(93)를 통해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된 볼트부(95)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95)와의 결합은 너트(99)를 사용할 수 있다. 블라인드 플랜지(91)와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의 밀착을 위해,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90 includes a blind flange 91, and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can be coupled with the support member via the blind flange 91. [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90 does not include the communication portion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 The blind flange 91 can be coupled with the bolt portion 95 formed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through the bolt fastening portion 93. A nut 99 may be used for coupling with the bolt portion 95. The blind flange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may be formed so as to flatten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in order to close the blind flange 91 and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

볼트부(95)는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되어, 블라인드 플랜지(91)를 매개로 지지부재(50)를 너트(99)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부(95)는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성 방법에 제한이 없다. 이는 상기한 지지부재 결합부의 볼트부(8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bolt portion 95 is formed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and serves to fix the support member 50 by the nut 99 via the blind flange 91. [ The method of forming the bolt portion 95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bolt portion 95 can be formed on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Thi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lt portion 85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지지부재(50)의 단면이 관형태인 경우, 지지부재 고정부(90)는 집수배관(40) 상에 형성되어,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된 지지부재 결합부(80)와 함께,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upporting member fixing portion 90 is formed on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fixing portion 9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engaging portion 80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The member can be fixed horizontally.

다른 구체예에서, 지지부재(50)의 단면이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지지부재 고정부(90)는 공기 공급관(10) 및 집수배관(40) 상에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fixing portion 90 is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is horizontally fixed .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공기 공급관(10) 또는 집수배관(40)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집수배관(40) 또는 공기 공급관(10) 상에 형성된 볼트부(9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지부재를 적절한 고정 영역에 결합함으로써 집수부와 지지부재의 간격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되는 중공사막의 유동성을 계속 유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재를 다른 지지부재 고정부로 변경하는 경우, 블라인드 플랜지(91)를 볼트체결부(93)를 통해, 지지부재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95)와 결합하는 방법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95)와의 결합은 너트(99)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may b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or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in plural numbers.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includes a bolt portion 95 formed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40 or the air supply pipe 1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member can be optimally adjusted by connecting the supporting member to a proper fixing region, and thus the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be shrunk over time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 When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to another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the blind flange 91 can be changed in position via the bolt fastening portion 93 in such a manner as to be engaged with the bolt portion 95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have. A nut 99 may be used for coupling with the bolt portion 95.

공기 공급관(10) 또는 집수배관(40) 상에 지지부재 고정 영역이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지지부재 고정 영역에 의해 지지부재는 수평으로 고정되어 중공사막의 유동성을 조절 및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one or mor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s are formed on the air supply pipe 10 or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s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support member may be horizontally fixed by the support member fixing region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control the fluid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o prevent friction.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 또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5 mm 내지 50 mm, 구체적으로 5 mm 내지 10 mm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은 가장 가까운 볼트부(85, 95)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중공사막의 수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ement areas or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ation areas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of 5 mm to 50 mm, specifically, 5 mm to 10 mm. At this time, the distance may mean the distance between the nearest bolts 85 and 95.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contra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within the above range.

산기관Acid engine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산기관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diff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schematically show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200)는 지지부재(50)와 집수부(30) 사이에 산기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기관(70)은 복수의 유체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10)과 상기 산기관(70)은 일단이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10)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을 통해 산기될 수 있다. 또한, 산기관(70)의 타단은 집수배관(40)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id pipe 70 between the support member 50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30. [ The air diffuser 70 has a plurality of fluid holes and one end of the air supply pipe 10 and the air diffuser 70 are in fluid communication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10 is diffused through the fluid holes . The other end of the diffusion pipe 70 may be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산기관(70)은 집수부(30) 상부에 위치하며, 집수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집수부 바로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산기관(70)은 역 U 형태의 중공사막이 집수부에 포팅된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diffusing pipe 70 is located above the water collecting part 30 and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o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water collecting part. Further, the diffuser 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sitions where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is potted in the collecting part.

수처리 장치(200)가 산기관(70)을 더 포함함으로써, 중공사막(60) 내측에도 중공사막(60) 및 지지부재(50)의 슬러지 제거 및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산기관(70)은 산기뿐만 아니라, 중공사막(60) 내부에도 유체 흐름을 형성할 수 있어 세정효율이 더욱 증가하고, 지지부재(50)와 중공사막(60) 간의 마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further includes the diffuser 70 to prev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and the support member 50 from removing and accumulating the sludge. Particularly, the diffuser 70 can form a fluid flow not only in the acid phase but also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further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 member 50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60 .

산기관(70)은 직경이 1 mm 내지 50 mm, 구체적으로 2 mm 내지 25 mm일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에서 세정효율 및 집적화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The diffuser 70 may be between 1 mm and 50 mm in diameter, specifically between 2 mm and 25 mm, and may achieve a combination of cleaning efficiency and integration within the range.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공기 공급관         20: 산기부
25: 산기홀 30: 집수부
40: 집수배관 50, 51, 52: 지지부재
55: 유체홀 60: 중공사막
70: 산기관 80: 지지부재 결합부
81: 개방 플랜지 83: 볼트체결부
85: 볼트부 87: 연통부
90: 지지부재 고정부 91: 블라인드 플랜지
93: 볼트체결부 95: 볼트부
100, 200: 수처리 장치
10: air supply pipe 20:
25: Mountain hall 30: Collecting house
40: water collecting pipe 50, 51, 52: supporting member
55: fluid hole 60: hollow fiber membrane
70: diffuser 80: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81: opening flange 83: bolt fastening portion
85: bolt part 87:
90: Support member fixing part 91: Blind flange
93: bolt fastening part 95: bolt part
100, 200: Water treatment device

Claims (15)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산기하는 산기부;
상기 산기부 상에 위치하고, 처리수를 수집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수집된 처리수를 이송하는 집수배관;
역 U 형태이고, 양 말단이 상기 집수부에 포팅된 복수의 중공사막; 및
상기 역 U 형태 중공사막의 정상부에 삽통되고 복수의 유체홀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공기 공급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집수배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An acid heater for generat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A collecting part located on the acid base and collecting treated water;
A collecting pipe for convey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art;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of inverted U shape, both ends of which are potted in the collecting part; And
A support member inserted into a top portion of the inverted U-shaped hollow fiber membran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uid holes, one end fixed to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water collection pip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지지부재는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을 통해 산기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pipe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is diffused through the fluid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지지부재와 유체 연통되는 지지부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관형태인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tube includes a support member engagement portio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pipe includes a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in the form of a tub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수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each include a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ope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아치형인 수처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arcuate in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의 길이는 하기 식 1의 범위인 수처리 장치:
[식 1]
(2 × I) + 50 ≤ 중공사막의 길이(mm) ≤ (2 × I) + 150
(상기 식 1에서, I는 집수부와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단위: mm)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in the range of the following formula 1:
[Formula 1]
(2 x I) + 50? Length of hollow fiber membrane (mm)? (2 x I) + 150
(In the above formula 1, I is the interval (unit: mm) between the collecting part and the suppor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홀은 직경이 1 mm 내지 20 mm인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hole has a diameter of 1 mm to 2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집수부 사이에 산기관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id pip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llecting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복수의 유체홀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산기관은 유체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부터의 공기가 상기 유체홀을 통해 산기되는 수처리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ffuser has a plurality of fluid holes,
Wherein the air supply pipe and the air diffuser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is diffused through the fluid ho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지지부재와 유체 연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재 결합 영역을 복수 개로 구비하고,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ir supply pipe ha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ing regions that can be engaged with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area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 engagement areas to fix the support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집수배관은 동일 높이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 고정 영역을 복수 개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supply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areas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결합 영역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 영역은 2 mm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처리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engagement regions or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ation region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 mm to 50 m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부는 개방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open flange.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고정부는 블라인드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Wherein the support member fixing portion comprises a blind flange.

KR1020160085791A 2016-07-06 2016-07-06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912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91A KR101912007B1 (en) 2016-07-06 2016-07-06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91A KR101912007B1 (en) 2016-07-06 2016-07-06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56A true KR20180005556A (en) 2018-01-16
KR101912007B1 KR101912007B1 (en) 2018-10-25

Family

ID=6106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91A KR101912007B1 (en) 2016-07-06 2016-07-06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550A1 (en) * 2021-09-15 2023-03-23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050A (en) * 1991-07-24 1993-11-16 Ebara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2009011965A (en) * 2007-07-06 2009-01-22 Mitsubishi Rayon Eng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15B1 (en) * 2005-11-23 2007-05-28 (주)우리텍 Separation membrane module manufactured by an unification of air generation and supporting structure, and by integration of unit module
JP2009154032A (en) * 2007-12-25 2009-07-16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Filtration module 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it
KR101333636B1 (en) * 2013-05-20 2013-11-27 유재송 Filter apparatus using membrane filter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050A (en) * 1991-07-24 1993-11-16 Ebara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2009011965A (en) * 2007-07-06 2009-01-22 Mitsubishi Rayon Eng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er membrane unit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550A1 (en) * 2021-09-15 2023-03-23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007B1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27016B2 (en) Enclosure assembly and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fluid
US7972510B2 (en) Filtration apparatus
AU762091B2 (en) Membrane filtration manifold system
EP1189682B1 (en) Membrane filtration manifold system
US20040188339A1 (en) Submergible membrane modular filtration device having replaceable membrane elements
JP5803293B2 (en) Air diffuser
CN103442789B (en) Filter plant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this filter plant
KR100932739B1 (en) Membrane unit for having diffuser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section pipe integrated membrane module
KR101958154B1 (en) Integral type immers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quipment for air scouring
US20140174998A1 (en) Filtration assembly including multiple modules sharing common hollow fiber support
US20110005994A1 (en)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module
CN106102882B (en) Filter device
WO2013008522A1 (en) Air diffuser
US20080190847A1 (en) Apparatus and Method
KR101912007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EP3113864A2 (en) Enclosure assembly and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fluid
US11524264B2 (en) Aerator device and filter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1150206A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2005144241A (en) Filtration device
KR101070383B1 (en) Detachable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pollution prevention style separation membrane module unit using the same
KR101221330B1 (en)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module
JP2005138103A (en)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20190059596A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150089195A (en) Filtering Apparatus and Aeration Unit Therefor
JP3744140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separation unit, water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