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483A -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 Google Patents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483A
KR20180005483A KR1020160085640A KR20160085640A KR20180005483A KR 20180005483 A KR20180005483 A KR 20180005483A KR 1020160085640 A KR1020160085640 A KR 1020160085640A KR 20160085640 A KR20160085640 A KR 20160085640A KR 20180005483 A KR20180005483 A KR 2018000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dye
tempered glass
sensitized solar
transparent tem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9167B1 (en
Inventor
양중열
Original Assignee
양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중열 filed Critical 양중열
Priority to KR102016008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5B33/0842
    • H05B37/0218
    • H05B37/02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lighting system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surface of transparent tempered glass to protect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in various methods, such as imprinting, etching, laser processing, coating, etc., and lighting the pattern with electric energy produced from various kinds of power sources, such as a dye-sensitized solar cell, a general solar cell, wind power, etc., and a ligh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3) placed in a center;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22)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planar area placed on both surfaces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 caulking agent (21) with a predetermined width finished in an edge part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22); an edge member (30) sealing and installed in an edge part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22); a light emitting diode (LED) array (13) installed in a space part between the edge member (30) and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22);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8, 29) formed on both upper sides and both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22). The edge member (30) has a U-shape, and is one among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bronze, alloy, and resin.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Desc / Clms Page number 1 > Scenery lighting system using dye-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투명 강화유리 표면(또는 표면과 이면)에 각인, 식각, 에칭, 레이저가공, 도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되, 각종 전원, 예컨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일반 태양전지, 풍력 등으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와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문양이 경관 조명되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illumination system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eld illumination system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in which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surface (or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 pattern is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ainting, and the pattern is illuminated by using electric energy and lighting means produced from various power sources such as a dye-sensitized solar cell, a general solar cell, a wind power, and the like.

최근, 전력사용량이 급증되고, 화석연료의 가격, 원자력 에너지의 기피로 인해 천연에너지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생산비용의 문제로 단일 방식의 대규모 집단 시설을 설치하고 이를 전력계통에 연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소규모 시설을 복수로 연결하고, 다양한 방식의 발전 방법을 함께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 공급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use of natural energy has been actively pursued more than ever due to a surge in electric power consumption, price of fossil fuel, and avoidance of nuclear energy. Particularly, in the past, a method of installing a large-scale collective facility of a single method and using it in connection with a power system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oblem of production cost. However, recently, a plurality of small facilities have been connected, And a method of producing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using the electric power is being sought.

이를테면, 종래에는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 풍력발전단지, 조력발전소 등의 발전단지를 조성하고, 발전단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전력계통에 공급함으로써 전력공급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발전방식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발전단지를 선정하고 설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입지요건을 충족되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력분담 비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in which a large-scale solar power generation complex, a wind power generation plant, a tidal power generation plant, and the like are provided and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plant is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ower generation complexes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ity over the scale and equip the facilities. Therefore, the power sharing ratio is very low due to the limited area that satisfies the site requirements.

한편,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染料感應太陽電池)는 산화환원 전해질로 구성되며,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염료 분자가 태양 빛을 받아 전자를 냄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전지로,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이로 인해 전지 가격이 실리콘 셀 가격의 20~30% 정도로 저렴하고, 안정성이 매우 높아 10년 이상 사용하더라도 초기 효율이 거의 유지되며,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비교했을 때 일광량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은 있으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수많은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통해 성능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바꿔 전해질 누수나 휘발의 문제점도 해결되고 있는 등 단점이 많이 보완되고 있어서 높은 관심과 더불어 발전 가능성이 큰 전지로 평가받고 있다.
On the other hand,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is composed of an oxidation-reduction electrolyte, and the dye molecule chemically adsorbed on the surface receives sunlight to generate electrons, ,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licon solar cell. Therefore, the price of the battery is as low as 20-30% of the price of the silicon cell and the stability is very high, so that the initial efficiency is maintained even if used for 10 years or more. , It has the advantage of less influence of daylight quantity but it has a problem of low efficiency. Numerous studies and various experiments have greatly improved the performance, and the liquid electrolyte is converted into a solid electrolyt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electrolyte leakage and volatilization And is highly regarded as a battery with high potential for development. .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투명전극으로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의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여러 분야에 응용 및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can be manufactur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it is advantageous to make a solar cell of various designs, so that many researches are continuing. In particular, attempts are being made to apply and apply them to various fields.

예컨대,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단순히 평면 유리기판 위에 제작하거나, 플렉시블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가방이나 옷 등 구부러지는 곳에 적용하려는 시도만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탈피하여, 자동차의 선루프패널이나 파노라마 선루프패널 등에 적용하려는 시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For example, it has been attempted to fabricate a dye-sensitized solar cell simply on a flat glass substrate, or to attempt to apply a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 to a bent or bent cloth, And an attempt to apply it to a roof panel or the like.

도 1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셀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제1전극(a)과, 광흡수층(b)과, 전해질(c) 및 제2전극(d)으로 구성되며, 제1전극(a) 및 광흡수층(b)을 합쳐 반도체 전극이라고도 한다.FIG. 1 illustrates a cell structure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a light absorbing layer b, an electrolyte c and a second electrode d, ) And the light absorbing layer (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miconductor electrode.

상기 제1전극(a)으로는 투명 기판, 또는 투명의 유리기판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투명 기판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전성과 투명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는 주석계 산화물, 예컨대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가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인듐 틴 옥사이드(ITO)가 사용되기도 한다.As the first electrode (a), a transparent substrate or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is used. In order to impart conductivity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a tin oxide having conductivity, transparency and high heat resistance such as silicon dioxide And indium tin oxide (ITO),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may be used.

상기 광흡수층(b)은 반도체 미립자 및 유기 금속 착물 염료를 포함하며, 반도체 미립자 표면에 유기 금속 착물을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분사, 도포 또는 침지한 후, 세척 및 건조시켜 광흡수층(b)을 제조하게 된다. The light absorbing layer (b) comprises a semiconductor fine particle and an organic metal complex dye. The light absorbing layer (b) is formed by spraying, applying or dipping a solution prepared by dispersing an organic metal complex in a solvent on the surface of semiconductor fine particles, .

상기 전해질(c)은 전해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흡수층(b)을 포함하거나 또는 전해액이 광흡수층(b)에 침윤 구성된다.
The electrolyte (c) is made of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the light absorbing layer (b) is contained or the electrolyte is infiltrated into the light absorbing layer (b).

이와 같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하고, 디자인과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저가형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용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As such, although it has been developed as a low-cost next-generation solar cell that can replace conventional silicon solar cells and realize various designs and colors, there have been problems in practicality and inefficienc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117호(발명의 명칭: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구비된 부표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2012. 08. 16. 특허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4117 (entitled "Buoy with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Photovoltaic Power Including the Same," published on Aug. 16, 2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9786호(발명의 명칭: 태양광발전장치의 통합관리시스템, 2011. 07. 19. 특허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9786 (entitled "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hotovoltaic Device,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0699호(발명의 명칭: 일체형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엘이디 시스템, 2012. 10. 10.. 특허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10699 (entitled "LED System Driven by Integrated Solar Cell," October 10, 2012)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투명 강화유리 표면(또는 표면과 이면)에 각인, 식각, 에칭, 레이저가공, 도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되, 각종 전원, 예컨대 염료감응 태양전지, 일반 태양전지, 풍력 등으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와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문양이 조명되도록 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transparent reinforced glass surface (or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for protect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by various methods such as etching, etching, laser processing, paint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dscape lighting system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in which the pattern is illuminated by using electric energy produced from a battery, a general solar cell, wind power, etc., and light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 강화유리의 안쪽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되,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tern on the inner surface of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wherein the pattern is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figures, images and graphic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효율의 마이크로 인버터(micro inverter) 또는 고효율 고주파 방식의 마이크로 인버터를 이용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 및/또는 실리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효율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power produced from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 or a silicon solar cell module by using a high-efficiency micro-inverter or a high-efficiency high-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도센서에 의한 주변조도, 또는 계절별 일몰시간 및 일출시간을 감안한 타이머에 의해 경관 조명이 제어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a landscape lighting by a tim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mbient illuminance by the illuminance sensor, the seasonal sunset time and the sunrise time.

본 발명은 중앙에 위치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소정 두께와 소정 평면적의 투명 강화유리와, 상기 투명 강화유리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감처리되는 소정폭의 코킹제와,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변부에 기밀 설치되는 테두리 부재와, 상기 테두리 부재와 투명 강화유리 사이 공간부에 설치되는 LED 어레이와,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positioned at the center,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plane, which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dye- A frame member which is hermetically sealed to a side edg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 LED array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an LED arra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테두리 부재는, "⊂" 형상이고, 비산화, 고강도의 스텐레스, 황동, 합금,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rame member may be any one of a non-oxidized,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brass, alloy, and resin in the shape of "⊂".

본 발명은 기판의 양측과 중앙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e provided at both sides and a center of the substrate.

상기 LED 어레이는, 투명 강화유리의 일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상하 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좌우 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사방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LED array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r on all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출력단자는, 투명 강화유리 사이 공간부와 테두리 부재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통하여 경관조명장치 외부의 제어부에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output terminal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utside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through a space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the drawer formed on the frame member by a wire.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은 복수로 구성하되, 복수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렬, 또는 병열, 또는 직병열 혼합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and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or in a mixed-type manner.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은 주전원이고,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이나 풍력발전장치는 보조전원일 수 있다.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may be a main power source, and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or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may be an auxiliary power source.

상기 통공 주변에 마감처리되는 코킹제와 접착제에 의해 투명 강화유리간의 간격유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 gap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the caulking agent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the adhesive.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은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각인, 식각, 에칭, 레이저가공, 도색 등의 방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may be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figures, images, and graphics, and may be formed by etching, etching, laser processing, painting, or the like.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충전부로 충전 및 제어하고 부하를 제어하며 통신네트워크로 관제소와 통신하면서 경관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ndscape lighting apparatus while charg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produc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with the charging unit, controlling the load,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어부는, 입력에 접속되고 제어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동작상태 제어상태 입출력데이터 등이 화면출력되는 표시부, 및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전력생산수단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하는 충전부, 및 경관조명장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어레이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조명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sett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and configured to set a control state, a display unit on which screen images of the operation state control state input and output data are output,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illuminance, And a lighting driver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LED arrays installed in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상기 제어부에는 교류부하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및 직류부하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for supplying AC power to the AC load, and a converter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DC load.

본 빌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출력 접속되는 마이크로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ll name may further include a micro-inverter to which the output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s connected.

본 발명에서 LED 어레이는, 조도센서 또는 타이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array may be controlled by any one of an illuminance sensor and a timer.

상기 인버터는,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직류 전압(VDC)을 전력계통과 동기하는 교류전압(Vac)으로 변환하여 교류부하에 인가할 수 있다.The inverter can convert the pulse-like DC voltage (VDC)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nto an AC voltage (Vac) synchronized with the power system and apply it to the AC load.

상기 조도센서는, 광도전셀(CDS)이나 광센서(Photo-Sens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any one of a photoconductive cell (CDS) and a photo sensor.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로부터 생산되는 전력과 LED 조명에 의해 투명 강화유리(21)(22) 표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문양(39)(40)이 조명되면서 컬러-풀(Colorful) 한 경관미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pattern (39) (4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is illuminated by electric power produc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 There is an effect that a gentrification is provided.

본 발명은 날씨가 흐리거나 주변이 어둡더라도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에 의한 조달되는 자체 전력과 LED 조명으로 인해 경관조명장치(20)의 조명이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hieving the illumination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due to the self-power procured by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nd the LED lighting even if the weather is blurry or the surroundings are dark.

본 발명은 조도센서(9)에 의한 주변조도(밝기, 광량)에 따라 LED 어레이(13)의 온(ON)/오프(OFF) 및/또는 점멸 및/또는 발광량이 제어되거나, 또는 계절별 일몰시간 및 일출시간을 감안한 타이머(18)로 LED 어레이(13)의 온(ON)/오프(OFF) 및/또는 점멸 및/또는 발광량이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ON / OFF and / or the flashing and / or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of the LED array 13 are controlled or the seasonal sunset time (brightness) The ON / OFF and / or the blinking and / or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of the LED array 13 is controlled by the timer 18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of day and the sunrise time.

본 발명은 고효율의 마이크로 인버터(micro inverter) 또는 고효율 고주파 방식의 마이크로 인버터(19)에 의해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로부터 생산되는 전력 또는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효율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generat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or power produced from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by a high efficiency micro inverter or a high efficiency high frequency micro inverter The stability is improved.

본 발명은, 각종 장소나 대상, 이를테면, 난간, 캐노피, 피로티, 승강장, 시설물, 지붕, 벽체, 가로등, 전신주, 열주등, 폴라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적용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강화유리로 보호되므로 필요로 하는 기능이 달성되며, 발전시설을 겸하며, 생산된 전력은 현장 시설물의 조명이나 필요한 전원으로 바로 이용할 수 있어서 효율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r applied to various places or objects such as railing, canopy, roof tile, platform, facility, roof, wall, street light, telephone pole, Therefore, the required functions are achieved, and the generated power is also used as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so that the produced power can be directly used by the illumination of the facility or the necessary power source, so that the efficiency is excellent.

본 발명은 난간대 등에 설치하는 경우 경관조명장치(20)로 대체할 수 있어서 되므로 별도의 설치면적이 불필요하며, 별도의 면적이나 거치대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when installed on a balancer or the like, a separate installation area is unnecessary,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rea or a stand.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에 의한 주(主)전원으로 상시 경관 조명이 조달되지만, 상황 여건에 따라 실리콘 태영전지 모듈(3)이나 풍력발전장치(4)를 이용한 보조(補助)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auxiliary illumination is provided by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or the wind power generator 4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lthough the landscape lighting is always supplied by the main power source by the dye-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본 발명은 잉여 생산 전력을 이용하여 주변의 각종 시설물의 직류전원 및 교류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a DC power source and an AC electric power of various nearby facilities using surplus production electric power.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셀(Cell) 구조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경관 조명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 조명시스템의 구성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경관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도 5의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9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5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6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7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8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9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20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정면도.
도 21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측면도.
도 2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순서도.
도 2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4 : 본 발명 도 23의 야간 경관 조명 상태 사시도.
도 2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6 : 본 발명 도 25의 야간 경관 조명 상태 사시도.
Fig. 1: Cell structure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dscape lighting system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dscape lighting system shown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e lighting device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3 showing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landscape lighting device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shown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5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dscape lighting device show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landsca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shown a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shown a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shown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14: Cross section of the use state shown as yet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a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a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as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as yet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in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shown in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use shown as yet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ight scenery lighting state of Fig. 2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night scenery lighting condition of Figure 25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what is actually implemented with the schematized drawings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경관 조명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과,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과, 풍력발전기(4) 등으로 구성되는 전력생산수단(2)과, 전력생산수단(2)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충전부(6)로 충전 및 제어하고 부하를 제어하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16)를 이용하여 관제소(17)와 통신하면서 경관조명장치(20)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은 주(主)전력에 해당하고,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과 풍력발전기(4) 등은 보조(補助)전력에 해당한다.
FIG. 2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landscape ligh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module 1 includes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 silicon solar cell module 3, a wind turbine 4, And a controller for charg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produced from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means 2 by the charging unit 6 and controlling the load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tation 17 by using the electric / And a control unit (5) for controlling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corresponds to the main power and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4 corresponds to the auxiliary power.

상기 제어부(5)의 입력에는 복수의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되고 경관 조명시스템(1)의 동작상태와 제어상태 등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부(7)와, 동작상태 제어상태 입출력데이터 등이 화면출력되는 표시부(8)와,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9)를 포함하며, 제어부(5)의 입출력에는 전력생산수단(2)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Battery), 또는 2차 전지에 충전하는 충전부(6)와, 경관조명장치(20)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어레이(13)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조명드라이버(10)와, 교류부하(14)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11)와, 직류부하(15)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12)를 포함한다.
The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5 includes a setting unit 7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keypads or a touch screen and configured to set an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state of the landscape lighting system 1 and to input data, And a light intensity sensor 9 for sensing the ambient illuminance. The input / output of the control unit 5 is provided with the power generat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means 2 at all times. A charging unit 6 for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or a battery, an illumination driver 10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a plurality of LED arrays 13 installed in a landscape lighting apparatus 20, An inverter 11 for supplying AC power to the DC load 14 and a converter 12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DC load 15. [

상기 제어부(5)의 입력에는 LED 어레이(13)를 제어하는 타이머(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 may further include a timer 18 for controlling the LED array 13.

본 발명에서 상기 LED 어레이(13)를 제어하는 수단으로는 상기와 같이, 조도센서(9)를 이용하여 주변조도(밝기, 광량)에 따라 LED 어레이(13)의 온(ON)/오프(OFF) 및/또는 점멸 및/또는 발광량이 제어되거나, 계절별 일몰시간 및 일출시간을 감안한 타이머(18)로 LED 어레이(13)의 온(ON)/오프(OFF) 및/또는 점멸 및/또는 발광량이 제어되게 경관 조명을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array 13 is controlled by ON / OFF (OFF) of the LED array 13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brightness, amount of light) by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9, ) And / or the LED array 13 is turned on / off and / or blinked and / or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is controlled by a timer 18 that controls the flashing and / or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You can configure the landscape lighting to be controlled.

즉, 설정부(7)를 이용하여 조도센서(9)에 의해 LED 어레이(13)가 온(ON)/오프(OFF) 제어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타이머(18)에 의해 LED 어레이(13)가 온(ON)/오프(OFF) 제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LED array 13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by the illuminance sensor 9 using the setting unit 7, or the LED array 13 is controlled by the timer 18 And can be set to be ON / OFF controlled.

상기 인버터(11)는 제어부(5)에서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직류 전압(VDC)을 전력계통과 동기하는 교류전압(Vac)으로 변환하여 교류부하(14), 또는 전력계통에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5)에서 출력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 제어신호(PWM)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와 주변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컨버터(12)는 제어부(5)에서 출력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 제어신호(PWM)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와 정류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11)는 전력생산수단(2) 및/또는 충전부(6)의 전력을 상용전원, 예컨대 220 Volt로 승압시켜 교류부하(14)를 동작시킬 수 있다.
The inverter 11 converts the DC voltage VDC in pulse form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 into an AC voltage Vac synchronized with the power system and applies it to the AC load 14 or the power system, And a plurality of inverter switching elements and a peripheral circu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inverter control signals PWM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 The converter 12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ers And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and a rectifying circuit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PWM. The inverter 11 can operate the AC load 14 by boost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2 and / or the charging unit 6 to a commercial power supply, for example, 220 Volts.

상기 컨버터(12)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에서 생산된 출력 전압(VPV)을 전파 정류된 정현파 형태의 직류 전압(VDC)으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 플라이백(flyback) 컨버터, 벅 부스트(buck-boost) 컨버터, 푸쉬풀(push-pull) 컨버터, 하프 브리지(half-bridge) 컨버터, 풀 브리지(full-bridge) 컨버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컨버터를 기반으로 하여 변형된 형태의 컨버터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직류부하(15)에 접합한 직류전원, 예컨대, 5V, 12V, 24V, 36V, 48V 등의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e converter 12 converts the output voltage VPV produced by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into a full-wave rectified DC voltage VDC and includes a flyback converter, a buck boost a buck-boost converter, a push-pull converter, a half-bridge converter, a full-bridge converter, and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a DC voltage such as 5V, 12V, 24V, 36V, 48V, or the like, which is connected to the DC load 15.

상기 조도센서(9)는 광도전셀(CDS), 광센서(Photo-Sensor)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주변 조도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로 입력하면 제어부(5)는 설정된 조도값으로 조명드라이브(10)를 제어함으로써 경관조명장치(20)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어레이(13)로 적정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며, 또한 설정 광량으로 LED 어레이(13)가 조명된다.
The illuminance sensor 9 may be a photoconductive cell (CDS), a photo sensor, or the like. The illuminance sensor 9 may be installed to sense the ambient illuminance as shown in FIG. 14, The control unit 5 controls the illumination drive 10 to set the illumination value so that the appropriat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LED arrays 13 installed in the landscape illumination device 20, The LED array 13 is illuminated.

한편, 태양 전지의 특성은 일사량 및 온도 등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도 주변환경에 따라 쉽게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태양 전지에서 발생되는 전압과 전류는 비선형성 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할 경우 시간에 따라 다른 전압에서 최대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효율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irradiation amount and the temperature, the output voltage and the output current easily chang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 voltage and current generated in the solar cell have a nonlinear relationship.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when the solar cell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most of them produce maximum power at different voltages depending on time, which is problematic in terms of efficiency.

아울러 여러 개의 태양 전지 모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한 경우, 구름이 지나가거나 근처의 사물에 의해서 태양 전지 모듈에 그늘이 지게 되면 어레이 형태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의 전압 및 전류에 따라 최대 전력 발전을 할 수 있는 포인트가 달라지게 되며,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결정질 태양전지, 비결정질 태양전지 등 태양전지의 종류에 따라 발전 포인트가 달라질 수 있으며, 나아가 같은 종류의 태양전지 모듈이라도 생산 시 제조 오차에 의해서 발전 포인트가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veral solar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hen a cloud passes or the solar module shadows by objects in the vicinity, the maximum pow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solar module configured in the array In addition, the point of development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solar cell such as dye-sensitized solar cell, crystalline solar cell, amorphous solar cell, etc. Furthermore, even the same kind of solar cell module may be generated Points may be different.

특히, 태양 전지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가장 낮은 전류가 흐르는 모듈이 전체 전류 값을 결정하게 되고 병렬 연결될 경우에는 가장 낮은 전압이 전체 전압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다수의 모듈이 다른 발전 포인트가 있지만 하나의 모듈에 의해서 발전 포인트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의 전압이 인버터 동작 전압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인버터가 오프되어 발전 전력의 손실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인버터의 고장은 발전 전력 전체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solar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module with the lowest current determines the total current value, and when connected in parallel, the lowest voltage determines the total voltage. Because of this phenomenon, although many modules have different development points,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V system may deteriorate because the generation point is determined by one module. In addition, if the voltage of the solar cell module falls below the inverter operating voltage, the inverter may be turned off, resulting in loss of generated power. In some cases, the failure of the inverter may cause a loss of the entire generated pow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인버터를 부가 구성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icroinverter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이를테면, 도 2a와 같이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 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과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의 출력에 고효율의 마이크로 인버터(micro inverter) 또는 고효율 고주파 방식의 마이크로 인버터(19)를 연결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로부터 생산되는 전력 또는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효율을 안정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For example, a high-efficiency micro-inverter or a high-efficiency high-frequency micro-inverter may be added to the output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or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nd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The efficiency of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or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can be stably increased by connecting the photovoltaic cell module 19 to the cell.

상기 마이크로 인버터(19)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 또는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로부터 얻어진 직류 전력을 승압하는 직류-직류 전력 변환부와, 상기 승압 직류-직류 전력 변환부에 연결되는 고주파 변압기와, 상기 고주파 변압기에 연결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의 출력은 충전부(6) 및/또는 제어부(6) 및/또는 상용 전원계통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6)는 마이크로 인버터(19)의 온(ON)/오프(OFF) 및/또는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micro-inverter 19 includes a DC-DC power conversion unit for boosting DC power obtain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or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and a DC-DC power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boost DC- And a DC-AC power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high-frequency transformer, wherein the output of the DC-AC power conver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6 and / or the control unit 6 and / or the commercial power system, The control unit 6 can control ON and OFF of the microinverter 19 and / or an operating state thereof.

도 3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경관조명장치(20)의 사시도로,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이 중앙에 위치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의 양측면(또는 전후면)에는 소정 두께와 소정 평면적을 갖는 한 쌍의 투명 강화유리(21)(22)가 밀착되거나 소정의 틈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23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opposite sides (o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ye- A pair of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planar surface are closely attached or spaced apart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상기 투명 강화유리(21)(22)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테두리 부분)에는 도 4와 같이 소정폭의 코킹제(27)로 마감 처리하여 양측 투명 강화유리(21)(22) 끼리의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투명 강화유리(21)(22) 사이 공간부(27a)에 위치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이 보호되며, 상기 코킹제(27)로 마감 처리할 때 접착제로 접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간부(27a)의 기밀(氣密, 또는 水密)이 유지된다.
As shown in FIG. 4, the edg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re finely treated with a caulking agent 27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located in the space 27a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sheets 21 and 22 and to bond them with an adhesive when finishing with the caulking agent 27 (Air tightness or watertightness) of the space portion 27a is maintained.

상기 투명 강화유리(21)(22)의 가장자리 부분(변부)에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비산화 고강도의 부재, 예컨대 스텐레스, 황동, 합금, 고강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 형상의 테두리 부재(30)로 감싸 보호되며, 투명 강화유리(21)(22)와 테두리 부재(30)가 접하는 부분이나 접촉면에는 내열성 및 내마모도가 우수한 실리콘(실란트 등), 또는 패킹 등의 방수재(41)로 수밀(水密, 방수)이 유지되도록 마감처리된다.
As shown in FIGS. 7 to 9, edge portions (edg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re provided with a "⊂" -shaped frame member made of a non-oxidized high strength member such as stainless steel, brass, (Sealant or the like)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or a waterproof material 41 such as a packing,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is provided on the portion where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nd the frame member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atertight, waterproof).

상기 테두리 부재(30)와 투명 강화유리(21)(22)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장착된 LED 어레이(13)가 설치되어 투명 강화유리(21)(22)로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기판(10)의 양측과 중앙에 스페이스(34)(35)(36)가 설치되어 LED 어레이(13)가 투명 강화유리(21)(22)에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LED 발광부(Chip)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rame member 30 and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and an LED array 13 electrically mounted on the substrate 10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to form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35 and 36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substrate 10 so that the LED array 13 contacts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So that breakage or deformation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Chip) is prevented.

본 발명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30)에 의해 경관조명장치(20)의 테두리 부분이 크게 보강 및 보호되며, 도 5, 도 6은 투명 강화유리(21)(22)의 변부에 테두리 부재(30)를 빙둘러 설치한 정면도로, 도 5는 테두리 부재(30)의 모서리 부분이 사각이나 사각에 가깝도록 구성되고, 도 6은 테두리 부재(30)의 모서리 부분에 소정 곡률 반경의 만곡부(30a)를 형성하여 미려함을 추구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m of the screen lighting device 20 is largely reinforced and protected by the frame member 30, and FIGS. 5 and 6 show a frame member 30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Fig. 5 is a side view of the frame member 30 in which the corn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30 is close to a square or square shape.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member 30 with a curved portion 30a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pursued the beauty.

상기 LED 어레이(13)는 충분한 조명, 또는 필요에 의해 투명 강화유리(21)(22)의 일측면이나 상하 측면, 또는 좌우 측면, 또는 사방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투명 강화유리(21)(22)에 형성되는 이미지(39)(40)의 적정 조명이 이루어지면서 경관조명장치(20)의 경관 조명이 훌륭히 달성된다.
The LED array 13 is provided on one side or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or on left and right sides or on all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The landscape illumination of the landscape lighting apparatus 20 is satisfactorily accomplished while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of the images 39 and 40 formed on the display units 22 and 22 is performed.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의 전력출력단자(25)(26)는 테두리 부재(30)에 형성되는 인출공(도시안됨), 또는 공간부(27a)와 테두리 부재(30)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통하여 경관조명장치(20) 외부로 인출된 다음 제어부(5)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이 충전 및 LED 전원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 끼리는 복수의 접속단자(24)(C)에 의해 직렬 연결, 또는 병열 연결, 또는 직병열 혼합형으로 연결된다.
The power output terminals 25 and 26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re formed in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frame member 30 or in the space portion 27a and the frame member 30 Th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after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through the drawing hole can be used as a charge and an LED power source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the dye-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24) and (C) in series connection, parallel connection, or serial / parallel combination.

상기 투명 강화유리(21)(22)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는 고정수단, 이를테면 지지수단이나 고정수단의 볼트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28)(29)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8)(29) 주변에는 코킹제와 접착제에 의해 투명 강화유리(21)(22)간의 간격유지와 수밀(水密)과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마감 처리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8 and 2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so that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f a supporting means or fastening means can pass therethrough, 28 and 29 are closed by a caulking agent and an adhesiv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and to maintain watertightness and airtightness.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은 수밀(水密)과 기밀(氣密)이 유지되는 투명 강화유리(21)(22)의 공간부(27a)에 위치하므로 외부 환경과 차단되면서 안전하게 보호될 뿐 아니라 산화 및 손상 등이 방지되어 수명 단축이 방지된다. 즉,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자연환경하에서 자외선, 눈, 비비람, 대기오염물질, 온도차 등에 의한 스트레스와 산화 및 노후화 등이 예방된다.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27a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which is watertight and hermetic, Oxidation and damage are prevented and shortened life span is prevented. In other words, it is not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t is prevented from stress, oxidation and aging due to ultraviolet rays, eyes, naked eyes, air pollutants,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like in a natural environment.

상기 투명 강화유리(21)(22)는 투명이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로 주변광이나 태양광이 양호하게 전달되므로 전력생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Since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is transparent, ambient light or sunlight is well transmitted to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so that it hardly affects power generation.

한편, 본 발명에서는 투명 강화유리(21)(22) 표면에 문양(39)(40)을 형성하고 LED 에러이(13)로 조명함으로써 경관조명장치(20)의 훌륭한 경관미가 부여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s 39 and 40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and illuminated with the LED error 13, thereby giving a great sense of glamor to the illuminating device 20.

예컨대, 투명 강화유리(21)(22)의 표면에 소정의 각종 문양(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그래픽 등)(39)(40)을 각인, 식각, 에칭, 레이저가공, 도장, 도막 코팅, 피막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주변이 어둡거나 야간에 문양(39)(40) 들이 LED 어레이(13)에 의해 조명되면서 투명 강화유리(21)(22) 전면으로 컬러-풀(Colorful)한 경관미가 표현 및 제공된다.
For example, a predetermined pattern (letter, number, figure, image, graphic, etc.) (39, 4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by etching, etching, laser processing, painting, (Not shown) ar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oating, coating,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lor-full (green) Colorfulness is expressed and provided.

상기 문양이나 문양 이미지로는, 인물 이미지, 상징물 이미지, 사물 이미지, 추상 이미지, 정형 이미지, 문자, 숫자, 도형, 홀로그램 등을 포함하며, 적어도 이들 하나 이상의 복합 이미지일 수 있다.
The pattern or pattern image may include a character image, a symbol image, an object image, an abstract image, a fixed image, a character, a number, a figure, a hologram, and the like.

도 3, 도 5, 도 6은 투명 강화유리(21)(22) 표면에 문양(39)(40)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의 경관조명장치(20)를 도시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문양(39)(40)을 생략할 수 있으며, 도 4, 도 7 내지 도 11, 도 13, 도 14와 같이 투명 강화유리(21)(22) 안쪽 표면에 문양(39)(40)을 형성할 수 있다.
3, 5 and 6 show a landscape illuminating device 20 without the patterns 39 and 4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 40 may be omitted and the patterns 39 and 4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as shown in FIGS. 4, 7 to 11, 13 and 14 .

도 15, 도 19는 투명 강화유리(21)의 안쪽 표면에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하늘소 문양(39)을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 도 20은 투명 강화유리(21)의 안쪽 표면에 'Colorful DAEGU' 문자와 복수의 '●'으로 구성된 문양(39)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투명 강화유리(21)의 안쪽 표면에 상호 '제림이엔지'와 연락처 '전화 : 053) 123-4567, 팩스 : 053)113-4568'로 구성된 광고 문양(39)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s. 15 and 19 show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whitish patterns 39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nner. Fig. 16 and Fig. 20 show exampl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a pattern 39 composed of 'Colorful DAEGU' characters and a plurality of '•'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FIG. The advertisement design 39 composed of the contact 'telephone: 053) 123-4567, fax: 053) 113-4568' is formed.

상기 LED 어레이(13)는 문양(39)(40)이 효과적이거나 예술적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경관조명장치(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및 LED 어레이(13), OLED, T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D array 13 is installed so that the patterns 39 and 40 can be effectively or artistically illuminated.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LED and an LED array 13, an OLED, a TOLED, and the like installed at an edge portion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

상기 문양(39)(40)은 투명 강화유리(21)(22)의 바깥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문양(39)(40)이 외부로 노출되면 외부의 다양한 환경에 따른 스트레스와 손상 및 변형이나 손괴가 초래될 뿐 아니라, 문양(39)(40) 형상이나 모양이 반투명이나 불투명에 가까울 경우 조명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투명 강화유리(21)(22)의 안쪽 표면에 문양(39)(40)을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patterns 39 and 4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but when the patterns 39 and 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tress, damage and deformation And the illumination efficiency also drops when the shape or shape of the pattern (39) (40) is close to translucent or opaqu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s 39 and 40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s shown in Figs. 7 to 11,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투명 강화유리(21)(22)의 안쪽 표면에 문양(39)(40)을 형성함으로써 반대편에서 볼 때 양각 형태의 문양(39)(40)이 되며, 따라서, LED 어레이(13)의 조명광은 투명 강화유리(21)(22)의 측면을 통하여 투명 강화유리(21)(22) 내부로 입사된 다음 양각 형태(반대편에서 볼 때 음각된 돌출부)의 문양(39)(40)에 일부 난반사되면서 문양(39)(40)의 효율적인 조명이 이루어진다.
By forming the patterns 39 and 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39 and 40 become the embossed patterns 39 and 40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The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into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and is then incident on the patterns 39 and 40 of the embossed shape The illumination of the pattern (39) (40) is achieved with some diffuse reflection.

본 발명에서 LED 어레이(13)는, 투명 강화유리(21)(22)의 일측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투명 강화유리(21)(22)의 상하 측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투명 강화유리(21)(22)의 좌우 측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투명 강화유리(21)(22)의 사방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The LED array 1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o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22), or on the fou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본 발명에서 투명 강화유리(21)(22)의 일측면에 LED 어레이(13)를 설치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투명 강화유리(21)(22)의 타측면(반대면)에는 LED 어레이(13) 대신 광(光) 반사수단인 반사판(37)을 설치함으로써 투명 강화유리(21)(22) 내부로 입사되는(투과되는) LED 어레이(13)의 일부 조명광(L1)은 문양(39)(40)에 반사되고 일부의 조명광(L1)은 반사판(37)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L2)에 의해 전체 문양(39)(40)이 난반사 조명광(L3)에 조명되므로 문양(39)(40)의 조명이 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D array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an LED array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 part of the illumination light L1 of the LED array 13 which is incident (transmitted) into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is provided by the reflection plate 37, which is a light reflecting means, The pattern 39 and 40 are reflected by the diffused reflection light L3 because the entire patterns 39 and 40 are reflected by the diffused reflection light L3 by the reflected light L2 reflected by the reflector 37 ) Is achieved.

도 7에서 38은 반사판(37)의 저부를 지지하는 완충재, 또는 플렉시블한 지지부재이다. 상기 반사판(37)은, 경면 가공이나 반사물질이 표면에 코팅되어 반사효율이 우수하고 파손이 변형이 어려운 재질의 판재가 바람직하다.
7,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cushioning material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reflection plate 37, or a flexible supporting member. The reflection plate 37 is preferably made of a plate material which is mirror-finished or coa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excellent and the breakage is difficult to deform.

본 발명에서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LED 어레이(13)를 투명 강화유리(21)(22)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투명 강화유리(21)(22)의 타측면(반대면)에도 LED 어레이(13)를 설치함으로써 투명 강화유리(21)(22) 양측면으로 투과되는 LED 조명광(L1)이 문양(39)(40)에 부딪치면서 난반사되므로 문양(39)(40)의 훌륭한 조명이 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D array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other side (opposit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The LED illumination light L1 transmitted to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is diffused and strikes against the patterns 39 and 40 by installing the LED array 13 so that excellent illumination of the patterns 39 and 40 .

본 발명에서 투명 강화유리(21)(22)의 사방 측면으로 LED 어레이(13)를 설치한 경우, 투명 강화유리(21)(22)의 사방에서 투명 강화유리(21)(22) 내부로 입사(투과)되는 LED 조명광들이 문양(39)(40)으로 부딪치면서 난반사되므로 문양(39)(40)의 훌륭한 조명이 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D array 13 is installed on the fou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the LED array 13 is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from the fou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or 22, (Transmitted) are struck by the pattern (39) (40) and are diffusely reflected, thereby achieving excellent illumination of the patterns (39) and (40).

도 8은 LED 어레이(13)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조명되지 않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전면 LED 어레이(13)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전면 투명 강화유리(21)에 형성된 문양(39)이 조명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후면 LED 어레이(13)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후면 투명 강화유리(22)에 형성된 문양(40)이 조명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전후면 LED 어레이(13)로 전원이 각각 공급되면서 전후면 투명 강화유리(21)(22)에 각각 형성된 문양(39)(40) 들이 각각 조명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8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array 13 and is not illuminate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ont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ttern 40 formed on the rear transparent tempered glass 22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rear LED array 1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ttern 39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and 22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front and rear LED arrays 1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 (40) are illuminated, respectively.

본 발명이 적용되거나 설치되는 대상으로는 경관조명장치(20)를 설치할 수 있는 크기 및/또는 공간을 가지면서 일정 이상의 태양광을 접할 수 있는 각종 시설물이나 구조물, 조형물 및 토목 건축물, 자연물 등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objec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installed include various facilities, structures, sculptures, civil engineering buildings, natural objects, etc., which can have a size and / do.

예컨대, 본 발명의 경관조명장치(20)의 적용 장소 및 대상으로는, 경관조명장치(20)가 설치될 수 있는 크기와 공간을 구비하는 난간, 캐노피, 피로티, 승강장, 시설물, 지붕, 벽체, 가로등, 전신주, 열주등, 폴라드, 조형물, 전망대, 탑, 종루, 망루, 대합실, 정류장, 피로티, 베란다, 옥상, 옥탑, 창문, 벽면, 전망대, 교량, 육교, 가로등, 신호등, 각종 운송수단, 각종 비행수단, 각종 선박, 각종 고정물 등을 예로 들수 있으며, 이들 크기에 맞춰 크기를 구성하거나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적용할 수 있으며, 투명 강화유리(21)(22)에 의해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과 문양(39)(40)들이 보호되므로 훌륭한 경관 조명이 달성된다.
For example, the application place and the object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arapet, a canopy, a pantry, a platform, a facility, a roof, and a wall having a size and space in which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can be installed , Poles, sculptures, observatories, towers, bell towers, watchtowers, waiting rooms, stops, pylori tees, verandas, rooftops, rooftops, windows, walls, observation decks, bridges, overpasses, street lights, Various kinds of flying means, various ships, various kinds of fixtures, and the like, and they may be sized according to their sizes, or may be easily installed or applied by using a separate support member. By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21 (22) A good landscape illumination is achieved because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nd the patterns 39 and 40 are protected.

도 12는 본 발명에서 교량이나 도로, 인도 등에 설치되는 난간이나 난간대에 경관조명장치(20)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13, 도 14는 단면 예시도로, 난간 지주(44)(45)의 상하 부분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후 한 쌍의 고정부재(49)(49a)(50)(50a)(51)(52) 사이에 경관조명장치(20)를 끼워 고정부재(49)(49a)(50)(50a)(51)(52)에 형성된 통공과 경관조명장치(20)에 형성된 통공(28)(29)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53)(54)(55)(56)와 너트(53a)(54a)로 각각 체결시키면 난간 지주(44)(4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s installed on a railing or a balustrade installed on a bridge, a road,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are cross- The fixing member 49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ixing members 49, 49a, 50, 50a, 51, and 52 projecting in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holes 49a, 50a, 50a, 51 and 52 and the through holes 28, 29 formed in the illuminating device 20 are aligned with the bolts 53, 54, 55, 56 And the nuts 53a and 54a, respectively, and are firmly fixed to the railing supports 44 and 45, respectively.

상기에서 난간 지주(44)(45)와 경관조명장치(20) 사이와, 상하 가로부재(48)(49)와 경관조명장치(20)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조화와 균형미가 부여되고, 경관조명장치(20)가 난간대로부터 이격되어 완충 보호된다.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ailing support 44 (45) and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teral members 48 and 49 and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overall harmony and balance And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s cushion-protected away from the railing.

도 12에서 난간 지주(44)(45)의 하부는 베이스 부재(42)와 앵커(43)에 의해 난간(41)에 고정되고, 난간 지주(44)(45)의 상부는 연결부재(46)(47)에 의해 상부 가로부재(48)에 연결된다.
The lower part of the railing supports 44 and 45 is fixed to the railing 41 by the base member 42 and the anchor 43 and the upper part of the railing supports 44 and 45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46, Is connected to the upper transverse member (48) by a connecting member (47).

본 발명에서 배터리를 포함한 충전부(6)와 제어부(5)는 난간 지주(44)(45)의 중공부에 설치하거나, 가로부재(49)의 중공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정부(7)는 난간 지주(44)(45)나 가로부재(49)의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제어부(5)에 접속되는 통신 네트워크(16)를 이용하여 관제소(17)에서 원격으로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unit 6 including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5 may be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railing supports 44 (45) or the hollow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49, and the setting portion 7 The control unit 5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iling support 44 (45) or the horizontal member 49 or can be set remotely from the control station 17 by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 Or control.

본 발명에서 조도센서(9)는 경관조명장치(20)가 설치되는 주변, 이를테면 도 14와 같이 하부 가로부재(49)의 일단에 설치하여 주변 조도가 감지되어 제어부(5)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LED 어레이(13)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경관조명장치(20)의 경관 조명이 자동 제어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sensor 9 is installed at the periphery where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s installed, for example, at one end of the lower horizontal member 49 as shown in FIG. 14 so that the ambient illuminance is sensed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5, The landscape lighting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rray 13. [

도 18 내지 도 20은 난간 지주(44)(45)의 전면에 실리콘 태양전지모듈(3)을 설치하여 장기간 장마, 또는 충전부(6)의 고장 등에 의해 전원이 부족한 경우 보조(補助)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경관조명장치(20)가 설치되는 주변 상공에 풍력 발전장치(4)를 설치하여 보조(補助)전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18 to 20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is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ailing supports 44 and 45 and is us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when the power is insufficient due to long term rainy season or malfunction of the charger 6 . Of course, the wind power generator 4 may be installed above the surrounding area where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s installed and us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도 21은 피로티(64)의 지붕 대신에 경관조명장치(20)를 소정 구배로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지붕과 경과조명을 겸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63은 지주이고, 61은 보도이고, 62는 노면을 도시한 것이다.
FIG. 21 shows that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can be used instead of the roof of the pyrotechnic device 64 by tilting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at a predetermined gradient so as to serve as a roof and progressive illumination. Reference numeral 63 is a support, 61 is a sidewalk, Is the road surface.

도 22는 경관조명장치(20)의 조명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으로, 조도센서(9)와 제어부(5)에 의해 주변 조도에 따라 경관조명장치(20)의 LED 어레이(13)가 온(ON)/오프(OFF)되거나 조명 광량이 설정된 광량(밝기)으로 제어되면서 경관조명장치(20)의 경관 조명이 달성된다.
22 shows a flow chart of the lighting control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The lighting sensor 20 and the LED array 13 of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by the illuminance sensor 9 and the control unit 5 ) Or off (OFF), or the amount of illumination light is controlled to a set amount (brightness), landscape illumination of the landscape illumination device 20 is achieved.

즉, 제어부(5)의 설정부(7)를 통하여 조도센서(9)에 의한 LED 어레이(13)의 동작조건, 즉 동작 조도를 설정한 상태에서(S11 단계), 전력생산수단(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공급되고(S12 단계) 충전부(6)에 충전되며(S13 단계), 충전이 양호한 상태이고(S14 단계), 조도센서(9)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이면(S14 단계), 조명드라이브(10)를 통하여 LED 어레이(13)로 전력이 공급되어 점등되면서 경관조명이 이루어지며, 제어부(5)로 입력되는 조도값이 설정 조도(기준 조도)를 벗어나면 제어부(5)의 소등신호에 의해 LED 어레이(13)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서 소명된다.
That is,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LED array 13 by the illuminance sensor 9, that is, the operation illuminance i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7 of the control unit 5 (S11) (Step S13). If the illumination value input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9 is the set illumination (step S14) The illumination is supplied to the LED array 13 through the lighting drive 10 to illuminate the landscape while being illuminated. When the illuminance value input to the control unit 5 exceeds the setting illuminance (reference illuminance)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LED array 13 is cut off by the light-off signal.

본 발명에서 타이머(18)에 의한 시간 제어의 경우, 제어부(5)의 설정부(7)를 통하여 LED 어레이(13)의 계절별 일몰시간 및 일출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이 설정되며, 전력생산수단(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공급되고 충전부(6)에 충전되며(S13 단계), 충전이 양호한 상태이고(S14 단계), 타이머(18)에 의한 설정시간 범위이면 조명드라이브(10)를 통하여 LED 어레이(13)로 전력이 공급 및 점등되면서 경관조명이 이루어지며, 설정시간을 벗어나면 제어부(5)의 소등신호에 의해 LED 어레이(13)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서 소명된다.
In the case of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1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easonal sunset time and the sunrise time of the LED array 13 i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7 of the control unit 5, The LED 18 is supplied with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2 and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6 in step S13 and the charging is in a good state in step S14.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LED array 13 is cut off by the light-off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도 23은 각종 곤충이 표면에 각인(형성)된 경관조명장치(20) 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이 설치되지 않은 경관조명장치(20)를 난간 등에 나열(또는 배열) 설치함으로써 전체 경관미가 상승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고, 도 24는 야간이거나 어두운 경우 조명에 의해 곤충이 집중 조명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각종 조류가 표면에 각인(형성)된 경관조명장치(20) 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이 설치되지 않은 경관조명장치(20)를 난간 등에 나열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조류에 의해 전체 난간의 경관미가 상승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고, 도 26은 야간이거나 어두운 경우 조명에 의해 조류가 집중 조명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Fig. 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n which various insects are engraved (formed) on a surface or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in which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is not installed is installed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sects are intensively illuminated by illumination in the nighttime or in the dark, and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algae are imprinted (formed) on the surface ) Or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without 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installed in a railing or the like, so that the overall feeling of the rail can be raised by a plurality of algae. Fig. 26 And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lgae are intensively illuminated by illumination in the case of night or dark.

본 발명은 경관조명장치(20)에 설치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으로 경관조명장치(20)에 설치된 LED 어레이(13)를 동작시켜 조명하므로 외부전원 도움없이 자체 전력으로 경관 조명이 가능하며, 잉여전력은 인버터(11) 및 컨버터(12)를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각종 부하(負荷)의 직류전원이나 교류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lluminates and illuminates the LED array (13) installed in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with electric power produced by using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installed in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And the surplus electri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C power source or the AC power source of various loads (loads) located in the periphery by using the inverter 11 and the converter 12.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에 의한 주(主)전원과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3)이나 풍력발전장치(4)에 의한 보조(補助)전원을 이용하여 경관 조명을 상시 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operate the landscape lighting by using the main power by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nd the auxiliary power by the silicon solar cell module 3 or the wind power generator 4 have.

본 발명은 난간대 등의 경우 보호대 대신 조명수단이 대체 설치되므로 별도의 설치면적이 불필요하며, 별도의 면적이나 거치대가 필요 없으며, 날씨가 흐리거나 주변이 어둡더라도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므로 경관조명장치(20)나 주변 시설물에 바로 이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balustrade or the like, since a lighting unit is installed instead of a protection unit, a separate installation area is unnecessary, a separate area or a stand is not necessary, and even if the weather is blurry or the surroundings are dark, Since electricity is produced, i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or nearby facilities.

본 발명에서 투명 강화유리 표면에 문양(39)(40)을 코팅 형성하는 경우, a) 투명 강화유리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컴퓨터 디자인을 준비하는 단계, b) 투명 강화유리(21)(22) 표면에 세라믹 도료에 의한 컴퓨터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단계, c) 디자인이 프린팅된 투명 강화유리를 건조로에 투입시켜 프린팅 이미지를 80℃ ~ 200℃로 소정시간 건조하는 단계, d) 소성로에 투입시켜 740~760℃의 온도로 투명 강화유리를 소정시간 소성하는 단계, f) 소성이 끝난 투명 강화유리를 끄집어낸 다음 자연 냉각시켜 완성하는 단계로 된다.
(A) preparing a transparent reinforcing glass (21) (22) by cutting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to a predetermined size and preparing a computer design, (b) C) placing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printed with the design into an oven to dry the printing image at a temperature of 80 ° C to 200 ° C for a predetermined time; d) Firing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t a temperature of 760 캜 for a predetermined time, f) taking out the fired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then naturally cooling it.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1)--경관 조명시스템 (2)--전력생산수단
(3)--실리콘 태양전지모듈 (4)--풍력발전기
(5)--제어부 (6)--충전부
(7)--설정부 (8)--표시부
(9)--조도센서 (10)--조명드라이버
(11)--인버터 (12)--컨버터
(13)--LED 어레이 (14)--교류부하
(15)--직류부하 (16)--통신 네트워크
(17)--관제소 (18)--타이머
(19)--마이크로 인버터 (20)--경관조명장치
(21)(22)--투명 강화유리 (23)--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
(24)(C)--접속단자 (27)--코킹제
(27a)--공간부 (28)(29)--통공
(30)--테두리 부재 (34)(35)(36)--스페이스
(39)(40)--문양 (41)--방수재
(L1)--조명광 (L2)--반사광
(L3)--난반사 조명광
(1) - landscape lighting system (2) - power generation means
(3) - Silicon Solar Cell Module (4) - Wind Power Generator
(5) -control part (6) -charging part
(7) -Setting section (8) -Display section
(9) -Rightness sensor (10) -Light driver
(11) - Inverter (12) - Converter
(13) - LED array (14) - AC load
(15) - DC load (16) - Communication network
(17) - Control station (18) - Timer
(19) - Micro inverter (20) - Illuminated landscape
(21) (22) - Transparent tempered glass (23) -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4) (C) - Connection terminal (27) - Caulking agent
(27a) -space portion (28) (29) -through hole
(30) -frame member (34) (35) (36) -space
(39) (40) - Pattern (41) - Waterproof material
(L1) - illumination light (L2) - reflected light
(L3) - diffused reflection light

Claims (13)

중앙에 위치하는 복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소정 두께와 소정 평면적의 투명 강화유리;
상기 투명 강화유리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감처리되는 소정 폭의 코킹제;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변부에 기밀 설치되는 테두리 부재;
상기 테두리 부재와 투명 강화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LED 어레이;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
상기 투명 강화유리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A pluralit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positioned at the center;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plan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 caulking agent of a predetermined width finishing the edge portion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 rim member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edg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 LED array installed in a space portion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 pattern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Wherei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es a dye-sensitized solar cell.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두리 부재는,
"⊂" 형상이고, 비산화, 고강도의 스텐레스, 황동, 합금, 수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및 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im member
A method and system for image representation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wherei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is in the form of "⊂" and is one of non-oxidized,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brass, alloy and resi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LED 어레이는,
투명 강화유리의 일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상하 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좌우 측면, 또는 투명 강화유리의 사방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LED array,
Wherei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or on the four sides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의 전력출력단자는,
투명 강화유리의 공간부와 와 테두리 부재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통하여 경관조명장치 외부의 제어부에 전선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wer output terminal of the dye-
Where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glas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space formed i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edge memb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은 주전원이고,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이나 풍력발전장치는 보조전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is a main power source,
A silicon solar cell module or a wind power generator is an auxiliary power source, and a landscape lighting system us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통공 주변에 마감처리되는 코킹제와 접착제에 의해 투명 강화유리간의 간격유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n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a caulking agent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an adhesive ag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문양은 투명 강화유리의 안쪽 표면에 형성하되,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그래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각인, 식각, 에칭, 레이저가공, 도색 등의 방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empered glass,
A character, a number, a figure, an image, and / or a graphic,
Wherei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by a method of engraving, etching, etching, laser processing, painting, or the like.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충전부(6)로 충전 및 제어하고 부하를 제어하며 통신네트워크(16)로 관제소(17)와 통신하면서 경관조명장치(20)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A controller (not shown) for charg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produced from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with the charging unit 6 and controlling the load and controlling the landscape lighting apparatus 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tation 17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6 5). ≪ / RTI > 청구항 8에 있어서:
제어부(5)는,
제어부(5)의 입력에 접속되고 제어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7);
동작상태 제어상태 입출력데이터 등이 화면출력되는 표시부(8);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9);
전력생산수단(2)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하는 충전부(6);
경관조명장치(20)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어레이(13)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조명드라이버(10);
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5)
A setting unit (7)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control unit (5) and setting a control state;
A display section (8) for displaying operation state control state input / output data and the like on the screen;
An illuminance sensor 9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nce;
A charging unit (6) for charging th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means (2) for use at all times;
An illumination driver (10)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a plurality of LED arrays (13) installed in a landscape lighting device (20);
Wherei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es a dye-sensitized solar cell.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모듈(23)의 출력 접속되는 마이크로 인버터(19);
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 micro-inverter 19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23;
And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교류부하(14)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11); 및
직류부하(15)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12);
를 더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 inverter (11) for supplying AC power to the AC load (14); And
A converter 12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DC load 15;
And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LED 어레이(13)는,
조도센서(9) 또는 타이머(1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LED array (13)
And is controlled by either the light intensity sensor (9) or the timer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인버터(11)는, 제어부(5)에서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직류 전압(VDC)을 전력계통과 동기하는 교류전압(Vac)으로 변환하여 교류부하(14)에 인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관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verter 11 converts the DC voltage VDC in pulse form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 into an AC voltage Vac synchronized with the power system and applies the AC voltage to the AC load 14. [ Landscape lighting system using solar cell.
KR1020160085640A 2016-07-06 2016-07-06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KR101999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0A KR101999167B1 (en) 2016-07-06 2016-07-06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0A KR101999167B1 (en) 2016-07-06 2016-07-06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26A Division KR102024246B1 (en) 2018-04-24 2018-04-24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KR1020180047062A Division KR102060779B1 (en) 2018-04-24 2018-04-24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3A true KR20180005483A (en) 2018-01-16
KR101999167B1 KR101999167B1 (en) 2019-07-11

Family

ID=6106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40A KR101999167B1 (en) 2016-07-06 2016-07-06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86B1 (en) 2011-04-01 2011-07-19 주식회사 대방기업 Management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20062429A (en) * 2010-12-06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emitting device
KR101174117B1 (en) 2011-04-25 2012-08-16 주식회사 이건창호 Buoy with dye-sensitized solar cell system and 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20110699A (en)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Bipv led system
KR20140076697A (en) * 2012-12-13 2014-06-2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Smart Public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Charg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429A (en) * 2010-12-06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emitting device
KR20120110699A (en) 2011-03-30 2012-10-10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Bipv led system
KR101049786B1 (en) 2011-04-01 2011-07-19 주식회사 대방기업 Management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174117B1 (en) 2011-04-25 2012-08-16 주식회사 이건창호 Buoy with dye-sensitized solar cell system and 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40076697A (en) * 2012-12-13 2014-06-2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Smart Public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Charg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67B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04241A1 (en) Solar cell module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and power-generating light-emitting unit using same
KR101038499B1 (en) Solarcel Powered LED Sign
KR20090020447A (en) Solar luminescent tile
WO2009016581A2 (en) Light output device
KR101157094B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advertisement
CN201302090Y (en) Dye-sensitized thin film solar cell lawn lamp
KR102060779B1 (en)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KR101999167B1 (en)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JP2013214463A (en) Security street light
KR102024246B1 (en) Scenery lighting system by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CN202523357U (en) Public transportation advertising lamp box
Hiranvarodom A comparative analysis of photovoltaic street lighting systems installed in Thailand
KR20130093361A (en) Solar cell module having electroluminescence sheet
KR20130115699A (en) Apparatus for led blind using solar cell
CN111200032A (en) Solar module and BIPV curtain wall
KR101206963B1 (en) Solar cell module overlay substrate and led scenery lighting lamp assembly using the same
CN201707858U (en) Subway advertising lamp-box
KR102375001B1 (en) Emotion lighting using indoor lighting power
KR102171882B1 (en) Billboard for advertising using solar panel
ITRM20060200U1 (en) MULTIFUNCTIONAL PHOTOVOLTAIC LAMP WITH LOW VISUAL IMPACT
CN112837634A (en) Night self-luminous photovoltaic information display board
KR101199235B1 (en) Lighting apparatus for guardrail using dye-sensitized solar cell
CN201715351U (en) Advertising lamp box of bus station platform
KR101178676B1 (en) Solar photovoltaic street light
KR20100082995A (en) Solarcel powered led ligh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7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24

Effective date: 201906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