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027A -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027A
KR20180005027A KR1020160084898A KR20160084898A KR20180005027A KR 20180005027 A KR20180005027 A KR 20180005027A KR 1020160084898 A KR1020160084898 A KR 1020160084898A KR 20160084898 A KR20160084898 A KR 20160084898A KR 20180005027 A KR20180005027 A KR 2018000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shelf
stopper
guide rail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3063B1 (en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063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idirectional withdrawal type heavy object loading device having a double sto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withdrawal type heavy object loading device having the double stopper structure includes: a frame unit having a loading space divided by comprising multiple vertical frames and multiple horizontal frames; a loading shelf vertically forming a loading structure of at least a layer or greater in the loading space and sliding to both sides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a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helf;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to guide a sliding movement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a second guide rail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guide rail,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while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a first stopper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and individually limiting a withdrawal direction of the loading shelf sliding, on both sides; and a second stopper installed in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and fixing the load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withdrawal type heavy object loading device having the double stopper structure can withdraw and load the heavy object on the both sides by using the loading shelf sliding to the both sides by being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lso, the bidirectional withdrawal type heavy object loading device having the double stopper structure can strongly fix the loading shelf and can limit a withdrawal distance of the loading shelf by using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Description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ended drawer type heavy load device having a double-

본 발명은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고, 양방향으로 인출된 적재선반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pull-out type heavy material loader having a double-stopper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To a bi-directional withdrawable heavy-goods loader having a stopper structure.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하의 제조산업현장 특히, 금형을 이용하여 각종 제품을 사출생산하는 사출성형공장이나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프레스공장 등에서는 크고 작은 고중량물의 금형들을 다양하게 구비하게 됨에 따라 이를 파손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보관 내지 적재하면서 필요한 때에 즉각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적재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In particular, injection molding factories that produce various products using molds or press factories that produce products by pressing metal sheet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large and small heavy-duty mol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oad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loading systematically and stably so as not to be damaged or damaged, and capable of immediately withdrawing when necessary.

이러한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적재하는 장치는, 미소한 구조적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철제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하 다단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다수 개의 적재선반이 이러한 구조물에 끼워진 상태로 롤러에 의해 구름 작동하며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금형과 같은 고중량물을 수납 및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apparatus for loading heavy objects such as metal molds has a minute structural difference. Basically, an iron frame is used to form upper and lower multi-stage structures, and a plurality of stacking shelves are sandwiched by these rollers, And slides in one direction to store and store heavy objects such as dies.

특히, 이러한 종래의 중량물 적재장치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1870호(공고일: 2013년02월08일)는, 적재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3주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의 청결 보관 및 도난 방지가 가능하고, 금형 적재장치에 구성된 적재선반이 슬라이딩하면서 금형의 무게로 인하여 전도되면서 금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3톤 이상의 고 하중용 금형 역시 용이하게 인출 및 보관이 가능한 금형 적재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Particularly, among these conventional heavy load devices,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1870 (Published on Feb. 08, 2013) not only can perform the three-stock function while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oa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d from being damaged as the loading shelf constructed in the mold loading device slides while being transferred due to the weight of the mold and the mold for high load of 3 tons or more can be easily withdrawn and stored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mold loading apparatus as far as possible.

본 선행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Although this prior art has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points, and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improve it.

예컨대, 본 선행기술의 적재선반은 개폐도어 쪽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작동되는 구조여서 금형의 적재와 인출시 작업자의 작업범위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고, 이는 나아가 공장 내 작업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since the loading shelf of this prior art is slidably operated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t can be a factor to limit the work range of the operator at the time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mold, which further inhibits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work space in the factory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얇은 판재의 스토퍼가 스톱패널과 협소한 면적의 접촉을 이루면서 적재선반의 전방인출을 저지하는 구조인 관계상, 공장 내 작업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고중량물이 적재된 적재선반을 견고하고 흔들림없이 고정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고, 해당 접촉부분에만 충격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스토퍼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of the thin plate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makes a narrow area contact with the stop panel and prevents the front draw-out of the loading shelf, There is a somewhat insufficient structural part to secure the load shelf on which the heavy object is loaded and to secure it without shaking, and as the impact load is concentrated only on the contact part, breakage of the stopper frequently occurs.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를 각각 스톱패널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재선반을 고정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고정작업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of the fixing work is deteriorated in that the loading shelf must be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toppers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manually caught by the operator on the stop panel.

그리고 스토퍼와 롤러프레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별물로 형성되어 개별 설치되는 관계상, 적재선반에 안착되는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스토퍼와 롤러프레임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and the roller frame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are separately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quickly and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opper and the roller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ight mounted on the loading shelf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1870호(공고일: 2013년02월08일)Korea Patent No. 10-1231870 (public announcement date: February 08,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선행기술의 미비점을 해소하기 위해, 중량물을 양방향에서 적재 및 인출할 수 있고, 양방향으로 인출되는 적재선반의 인출거리를 제한하여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견고하고 흔들림없이 적재선반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선반의 설치위치를 신속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heavy object in both directions so as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prior art described above, Way lifting weighing device having a double stopper structure tha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fix the loading shelf without causing any vibration or shock and can quickly and easily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vy load .

상기 목적은,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분할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적재공간 내에서 상하로 적어도 1단 이상의 적층구조를 이루며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고, 상면에 중량물이 안착되는 적재선반; 상기 적재선반의 일측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적재선반의 타측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적재선반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상기 적재선반의 인출거리를 양방향으로 각각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적재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선반을 고정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part form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to form a divided loading space; A loading shelf having at least one or more stacked structures vertically in the loading space and slidably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weigh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guiding the sliding operation; A second guide rail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guide rail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guide the sliding operation; A first stopper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to limit the drawing distance of the loading shelf sliding in both directions; And a second stopper provided on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and fixing the loading shel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bi-directional pull-out heavy weighing apparatus having a double-stopper structure.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상면과 서로 대각선 위치의 하면에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브라켓; 및 상기 적재선반의 양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브라켓에 각각 걸리도록, 상기 적재선반의 일측부에 형성된 세로격판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적재선반의 양방향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includes a pair of stopper brackets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at a position diagonally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a pair of stopper protrusions each protruding from a longitudinal parti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tacking shelf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topper brackets according to b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of the stacking shelves, can do.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롤러가 구비된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롤러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적재선반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적재선반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includes a working rod 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ail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perating roller on one side thereof; And a fixing plate moving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roll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bringing the loading rack into a movable state or mov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fixing the loading rack.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작동로드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몸체플레이트; 상기 몸체플레이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적재선반의 타측부 상면에 이격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공에 삽출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동롤러와 접촉한 상태로 연동되어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연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xed plate includes: a plate-shaped body pl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ro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late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dy plate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xing hole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And an interlock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plate so as to be concave upward and interlocked with the actuating roller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ody pl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가 제1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슬라이딩프레임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단롤러부;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단롤러부; 및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면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may include a guide frame formed with a sliding frame to allow both sides of the loading shelf to be fitted in a first direction; A lower roller portion rotatably fix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a sliding operation while supporting lower side surfaces of the loading shelves; An upper roller portion rotatably fixed on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the sliding operation while support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And a side roller portion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ading shelf and guide the sliding operation.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각각 일체화된 형태로 모듈화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 및 설치해제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and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second stopper may be modularized into an integrated form and installed and un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상기 상단롤러부 및 상기 측면롤러부는, 상기 적재선반에 중량물을 안착시킬 때,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와 상기 상단롤러부 및 상기 측면롤러부 간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면서도 상기 적재선반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side roller portion reduce the impact applied between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and 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side roller portion when the heavy material is placed on the loading shelf, The sliding frame can be coupled to the sliding frame via the elastic member, respectively.

상기 적재선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재선반에 안착된 중량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바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호이스트가 구비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loading shelf so as to prevent the weight A hoist that slides along the bar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가이드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적재선반을 통해 중량물을 양쪽에서 적재 및 인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도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vy objects can be loaded and unloaded from both sides through the loading shelf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nd slidingly operated in both directions, the work range of the worker can be expanded, Efficient utilization can be promoted.

또한, 제1 스토퍼를 통해 양방향으로 인출되는 적재선반의 인출거리를 각각 제한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2 스토퍼를 통해 적재선반을 위치별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적재선반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적재 및 인출작업의 편의성과 사용상 안전성이 도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ll-out distance of the loading shelf drawn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stopper is limited to prevent the deviation, and the loading shelf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fixe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rough the second stopp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fixing force against the loading shelf even when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and convenience for loading and unloading work and safety for use can be achieved.

또한, 제1 가이드레일 및 제1 스토퍼와, 제2 가이드레일 및 제2 스토퍼가 각각 일체로 모듈화됨에 따라 적재장치 자체의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적재될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선반이 설치될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면서 적재장치의 활용도도 크게 증대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second stopper are integrally modularized,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loading device itself is improved, and the loading shelf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vy object to be loaded The position can be changed quickly and easily, and the utilization of the loading device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 제1 스토퍼 및 적재선반 간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레일, 제2 스토퍼 및 적재선반 간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제1,2 가이드레일, 제1,2 스토퍼 및 적재선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pull-out heavy-duty loader having a double-stopp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guide rail, a first stopper, and a loading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2A.
3A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guide rail, a second stopper, and a loading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B and 3C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respective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3A.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nd the loading shelf shown in FI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 제1 스토퍼 및 적재선반 간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레일, 제2 스토퍼 및 적재선반 간의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일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제1,2 가이드레일, 제1,2 스토퍼 및 적재선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withdrawable heavy object loader having a double stopp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first guide rail, a first stopper, FIG. 2B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2A, and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guide rail, the second stopper, and the loading shel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nd the loading shelf shown in Figs. 2a and 3a, respectively. Fig. Fig.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제1 방향은 적재선반이 인출되는 방향(전,후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Upper), lower (lower), left and right (sideways or side), front (front), rear (rear) and the like designating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claims And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ing shelf is pulled out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each of the directions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rection, It is based on this.

본 발명에 따른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100)는, 사출성형 또는 판금성형 등에 사용되는 고중량물의 금형 등을 손쉽게 적재, 보관 및 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The bidirectional withdrawable heavy material loader 100 having a double sto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for easily loading, storing, and withdrawing heavy metal molds used for injection molding or sheet metal forming.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적재장치(100)는,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적재선반(120)을 구현하여 작업자의 작업범위의 확대와 나아가 작업공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중의 스토퍼(150,160)를 구현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적재선반(120)에 대한 견고한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적재 및 인출작업의 편의성과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레일(130) 및 제1 스토퍼(150)와, 제2 가이드레일(140) 및 제2 스토퍼(160)를 각각 일체로 모듈화된 형태로 구현하여 적재장치 자체의 조립성을 증대함은 물론, 적재될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선반(120)의 설치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장치의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The heavy object 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loading shelf 120 sliding in both directions to enlarge the working range of the worker and further the efficiency of the work space. Also, by implementing the double stoppers 150 and 160,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firm fix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helf 120 even when vibrations or shocks ar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and safety in use .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the first stopper 150 and the second guide rail 140 and the second stopper 160 are integrally formed in a modular form to increase the assemblability of the loading device itself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vy object to be loaded,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loading apparatus.

위와 같이 상술한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적재장치(100)는, 프레임부(110), 적재선반(120), 제1 가이드레일(130), 제2 가이드레일(140), 제1 스토퍼(150) 및 제2 스토퍼(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heavy object 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 loading shelf 120, a first guide rail 130, a second guide rail 140, A first stopper 150, a second stopper 160, and the like.

프레임부(110)는, 고강도의 금속재 막대를 가로, 세로로 연결하여 중량물적재장치(100)의 골격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2)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은 분할된 적재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적재공간에는 후술할 적재선반(120)이 상하 적층구조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part 11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high-strength metal rods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e skeleton of the heavy object loader 100. The frame par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2 and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112,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4 connected to the lower end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2 and the horizontal frames 114 form a divided loading space, and the loading shelf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laminated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선반(120)의 인출방향 즉, 제1 방향(전,후방향)으로 2개의 수직프레임(112)을 이격배치하여 2지주(支柱)를 이루고, 이러한 2지주 형식의 수직프레임(112)을 다시 좌우 방향으로 4개를 이격배치한 다음, 하단부와 상단부 등에서 각각 다수의 수평프레임(114)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의 프레임부(110)는, 좌우로 3개의 분할된 적재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frame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vertical frames 112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vertical frame 112 of the two-column type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frame 1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n joined to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4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Structure. At this time, the frame portion 110 forms three divided loading spaces on the left and right.

물론, 보다 견고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 수직프레임(112)을 3지주 형식으로 이격배치하여 프레임부(1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2지주 또는 3지주 형식의 수직프레임(112)을 좌우로 5개 이상이 이격배치하여 적재공간이 확장된 프레임부(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order to achieve a more rigid structure, the vertical frame 112 may be spaced apart in a three-column form to form the frame 110, and a vertical frame 112 of two or three- So that the frame part 110 having the loading space expanded can be formed.

적재선반(120)은, 그 상면에 금형이나 고가의 고중량 원자재 등과 같은 중량물이 안착 내지 적재되어 보관 또는 입출고되도록 하는 판재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수직, 수평프레임(114)에 의해 분할되는 적재공간 내에서 상하로 적어도 1단 이상의 적층구조를 이루며 후술할 제1,2 가이드레일(130,140)을 통해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하게 된다.The loading shelf 120 is a plate-like component that allows a heavy object such as a metal mold or a high-priced heavy-weight raw material to be placed or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helf 120 so as to be stored or delivered.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130 and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선반(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가장자리에는, 적재선반(120)에 안착된 중량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돌출턱(1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판재형상의 적재선반(120)의 하면에는 적재선반(1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프레임이 X자 형태, 십자형태 또는 격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1 to 3, the loading shelf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a protrusion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weight, which is placed on the loading shelf 120, The jaw 126 may be form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inforcing frame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X-shape, a cross, or a lattice in ord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loading shelf 1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shelf 120 having such a plate shape.

또한, 적재된 중량물을 적재장치의 앞쪽 또는 뒤쪽 작업영역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입출고할 수 있도록, 적재선반(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a worker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loading shelf 12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arry the loaded heavy object in the front or rear working area of the loading apparatus.

한편, 적재선반(120)의 일측부에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스토퍼(150)의 스토퍼브라켓(152a,152b)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스토퍼돌기(154a,154b)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세로격판(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적재선반(120)의 타측부의 상면에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핀(164b)이 삽출되도록 이루어진 다수 개의 고정공(124)이 이격형성된다.On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stopper projections 154a and 154b which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of the first stoppe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vertical partition 122 is formed. As shown in FIGS. 2A and 3A,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so that the fixing pins 164b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적재선반(120)은, 별도의 롤러와 같은 구름부재와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판재형상으로만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현하게 되는데, 이는 적재선반(120)의 경량화를 도모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착된 중량물을 보다 원활하게 양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bove-mentioned loading shelf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ing shelf 120 is formed simply in the shape of a plate rather than being coupled with a rolling member such as a separate roller.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loading shelf 120, So that the loaded heavy object can be taken out more smoothly in both directions.

제1 가이드레일(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설치된 다수 개의 롤러를 통해 적재선반(120)의 일측부를 지지하며 적재선반(120)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후술할 제1 스토퍼(150)와 함께 일체화된 모듈형태로 구현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가이드레일(130)은 2지주 또는 3지주 형식의 수직프레임(1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12)에 대한 제1 가이드레일(130)의 설치는 다수 개의 볼트를 통해 견고한 결합과 용이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guide rail 130 supports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through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inside and stably guides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is implemented as a module integrated with the first stopp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guide rail 130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12 of a two-post or a three-post configur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3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12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so that a strong coupling and an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are performed.

그리고 제2 가이드레일(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설치된 다수 개의 롤러를 통해 적재선반(120)의 타측부를 지지하며 적재선반(120)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1 가이드레일(130)을 마주보는 위치의 수직프레임(112)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2 스토퍼(160)와 함께 일체화된 모듈형태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제1 가이드레일(130)와 차이가 있을 뿐이고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1 가이드레일(13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3, the second guide rail 140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through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nd stably guides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the second guide rail 130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112 facing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are implemented in a module form integrated with the second stopper 160, And the basic structure is the same, the first guide rail 130 will be described below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thereof.

상술한 제1,2 가이드레일(130,14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130) 및 제2 가이드레일(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32,142), 하단롤러부(134,144), 상단롤러부(136,146) 및 측면롤러부(138,14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130 and 140,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the second guide rail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ncludes guide frames 132 and 142, lower roller portions 134 and 144,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and the like.

가이드프레임(132,142)은 그 중앙부에 적재선반(120)의 양측부가 제1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슬라이딩프레임(132a,142a)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그 길이방향에 대한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보강절곡부(132b,142b)가 각각 형성되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수직프레임(112)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결합절곡부(132c,142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절곡구조와 슬라이딩프레임(132a,142a)을 통해 가이드프레임(132,142)은 고중량물이 적재선반(120)에 안착 되더라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frames 132 and 142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sliding frames 132a and 142a having a U shape so that both sides of the loading shelf 120 are fitted in the first direction, A reinforcing bending portion 132b and 142b are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respectively.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thereof are provided with an engaging bend portion bent outwardly for rigid connection with the vertical frame 112, (132c, 142c), respectively. The guide frames 132 and 142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double folding structure and the sliding frames 132a and 142a even when heavy objects are placed on the loading shelf 120. [

하단롤러부(134,144)는 적재선반(120)의 양측부의 하면을 접촉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딩프레임(132a,142a)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롤러부(134,144)는 적재선반(120)의 하중이 걸리게 되는 구성이므로, 적재선반(120)의 적재한계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롤러부(134,144)를 각각 4개로 구성하여 적재선반(120)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roller units 134 and 144 are components that guid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s of the loading shelves 120 and are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sliding frames 132a and 142a . Since the lower roller portions 134 and 144 are configured to be loaded by the loading shelf 120, they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ing limit load of the loading shelf 120. However, as shown in FIGS. 2A and 3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oller portions 134 and 144 are each formed of four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ading shelf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단롤러부(136,146)는 적재선반(120)의 양측부의 상면을 지지하며 적재선반(120)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딩프레임(132a,142a)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롤러부(136,146)는 적재선반(12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적재선반(120)의 보다 안정적인 인출 및 인입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롤러부(136,146)를 각각 2개로 구성하여 적재선반(120)의 상면을 지지토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are components that guid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while supporting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ends of the sliding frames 132a and 142a And can be rotatably fixed. As 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preven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more stable drawing and pull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is induc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A and 3A, the upper roller units 136 and 146 are respectively forme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helf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롤러부(138,148)는 적재선반(120)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적재선반(120)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딩프레임(132a,142a)의 내측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롤러부(138,148)는 적재선반(120)의 좌우 측면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적재선반(120)의 보다 안정적인 인출 및 인입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롤러부(138,148)를 각각 4개로 구성하여 적재선반(120)의 측면을 지지토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are configur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guid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are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spac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sliding frames 132a and 142a .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prevent the right and left lateral flows of the loading shelf 120, thereby inducing a more stable drawing and pull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A and 3A,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are each formed of four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loading shelf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은 상단롤러부(136,146) 및 측면롤러부(138,148)는, 도 4(b)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6a,146a,138a,148a)를 매개로 가이드프레임(132,142)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and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not shown) via the elastic members 136a, 146a, 138a, and 148a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32, and 142, respectively.

이는 적재선반(120)에 중량물을 안착시킬 때, 적재선반(120)의 양측부와 상단롤러부(136,146) 및 측면롤러부(138,148) 간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면서도 적재선반(120)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상단롤러부(136,146) 및 측면롤러부(138,148)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This reduces the impact appli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and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when mounting the heavy object on the loading shelf 120, So that breakage of the upper roller portions 136 and 146 and the side roller portions 138 and 148 can be prevented.

제1 스토퍼(150)는, 슬라이딩 작동하는 적재선반(120)의 인출거리를 양방향으로 각각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가이드레일(130) 및 적재선반(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토퍼(150)는 후술할 제2 스토퍼(160)와 중첩적으로 작용하여 의도치 않은 적재선반(120)의 빠짐을 방지하는 한편, 적재선반(12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중량물적재장치(100)의 사용상 안전성을 증대하게 된다.The first stopp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the loading shelf 120 to limit the drawing distance of the loading shelf 120 sliding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stopper 150 overlaps with the second stopper 160 to prevent unintentional disconnec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enables stable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safety of the heavy object loader 100 is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퍼(150)는,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브라켓(152a,152b) 및 스토퍼돌기(154a,1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topper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and the stopper protrusions 154a and 154b as shown in Figs. 2A and 2B.

스토퍼브라켓(152a,152b)은 제1 가이드레일(130)의 상면과 서로 대각선 위치의 하면에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구성요소로서, 스토퍼돌기(154a,154b)의 제1 방향 이동억제뿐만 아니라 적재선반(120)의 인출에 따른 적재하중의 이동에 의한 스토퍼돌기(154a,154b)의 상하방향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로 제작되되 용접 등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제1 가이드레일(130)과 일체화될 수 있다.The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are a pair of constituent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130 in diagonal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The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are not limited to the movement of the stopper protrusions 154a and 154b in the first direction The stopper protrusions 154a and 154b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load due to the pulling of the loading shelf 120, 1 guide rails 130, as shown in FIG.

스토퍼돌기(154a,154b)는 적재선반(120)의 양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스토퍼브라켓(152a,152b)에 각각 걸리도록 적재선반(120)의 일측부에 형성된 세로격판(122)에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구성요소로서, 'ㄴ'자 형상의 스토퍼브라켓(152a,152b) 내측에 드나들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막대형상의 봉재나 관재로 제작되되,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세로격판(122)과 일체화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154a and 154b are respectively protruded from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22 formed at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so as to be caught by the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in accordance with the b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A pair of constituent elements are formed of rod-shaped rods or pipes having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 shaped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122).

이때, 서로 대각선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브라켓(152a,152b) 간의 제1 방향 이격거리 및 한 쌍의 스토퍼돌기(154a,154b) 간의 제1 방향 이격거리는, 적재선반(120)의 양방향 인출거리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적재선반(120)에 안착되는 중량물의 적재한계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istance separat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topper brackets 152a and 152b formed at the diagonal positions and the first separating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topper protrusions 154a and 154b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nds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limit load of a heavy object placed on the loading shelf 120 and the lik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스토퍼(15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제1 방향을 따라 적재선반(120)이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단부에 위치한 스토퍼돌기(154a)가 제1 가이드레일(130) 상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152a)에 걸리면서 인출이 제한되고, 적재선반(120)이 후방으로 인출되면, 하단부에 위치한 스토퍼돌기(154b)가 제1 가이드레일(130) 하단부에 결합된 스토퍼브라켓(152b)에 걸리면서 인출이 각각 제한되게 된다.2 and 4,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opper 150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loading shelf 120 is pulled forwar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stopper protrusion 154a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154a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rail When the loading shelf 120 is pulled backward, the stopper protrusion 154b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protrusion 154b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bracket 152b.

제2 스토퍼(160)는, 제1 스토퍼(150)에 의해 인출이 제한된 상태 또는 특정 위치까지 인출된 적재선반(120)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2 가이드레일(140) 및 적재선반(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토퍼(160)는 상술한 제1 스토퍼(150)와 중첩적으로 작용하여 의도치 않은 적재선반(120)의 빠짐을 방지하는 한편, 적재선반(12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중량물적재장치(100)의 사용상 안전성을 증대하게 된다.The second stopper 160 is a component provided to fix the loading shelf 120 which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r restricted by the first stopper 150. The second stopper 160 includes a second guide rail 140, (Not shown). The second stopper 160 works in a superimposed manner with the first stopper 150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loading shelf 120 from coming off while allowing the stable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The safety of the heavy object loader 100 is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160)는,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162) 및 고정플레이트(16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cond stopper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cludes an operating rod 162 and a fixed plate 164 as shown in Figs. 3A and 3B.

작동로드(162)는 제2 가이드레일(140)의 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롤러(162a)가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판재로 제작되되, 제2 가이드레일(140)의 양단부 쪽 상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브라켓(14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제2 가이드레일(140)과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작동로드(162)의 제1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게 하기 위해, 고정브라켓(141)의 일측에는 작동로드(162)의 하단부를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롤러(141a)가 설치될 수 있다.The operation rod 162 is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ail 140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peration roller 162a on one side, The first guide rails 140 may be integrated with the second guide rails 140 through the fixing brackets 141 formed on the top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rails 140. At this time, a guide roller 141a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16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4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rod 162 in the first direction.

이러한 작동로드(162)의 양단부에는 도 3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62b)가 형성되며, 작동롤러(162a)는 작동로드(162)의 어느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후술할 고정플레이트(164)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상하방향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16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rod 162, a grip portion 162b capable of being grasped by a worker is formed as shown in FIG. 3A or the like, and the operation roller 162a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operation rod 162 The fixing plate 164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peration rod 162 so that the fixed plate 164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without being tilted to one side.

고정플레이트(164)는, 작동로드(162) 및 작동롤러(162a)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적재선반(12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적재선반(120)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플레이트(164a), 고정핀(164b) 및 연동홈(164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ed plate 164 moves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162 and the actuating roller 162a in the first direction and moves the loading shelf 120 in a movable state or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ncludes a body plate 164a, a fixing pin 164b, an interlocking groove 164c, and the like, as components for fixing the loading shelf 120. [

몸체플레이트(164a)는 고정핀(164b)과 연동홈(164c)이 각각 형성되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연동홈(164c)이 돌출된 작동롤러(162a)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작동로드(162)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late 164a is a plate-like component constituting a body in which the fixing pin 164b and the interlocking groove 164c are respectively formed. The body plate 164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ctuating roller 162a, The operation rod 162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rod 162.

고정핀(164b)은 적재선반(120)의 타측부 상면에 이격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공(124)에 삽출되며 적재선반(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플레이트(164a)에서 하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fixing pin 164b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고정핀(164b)의 개수는 몸체플레이트(164a)나 제2 가이드레일(140)의 길이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지만, 몸체플레이트(164a)의 길이방향 전체에서 견고하고 균형있는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핀(164b)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the fixing pins 164b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body plate 164a or the second guide rail 14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fixing pins 164b are symmetrically formed.

한편, 고정공(124)은, 상술한 제1 스토퍼(150)에 의해 양방향 인출이 제한(최대 인출 위치)된 상태의 적재선반(120)이 고정핀(164b)의 삽입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고정공(124)은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적재선반(120)의 타측부 상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hole 124 is formed so that the loading shelf 120 in a state where the bidirectional drawing out is restricted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by the above-described first stopper 150 is firmly fixed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fixing pin 164b, The fixing holes 124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나아가 적재선반(120)의 최대 인출 위치뿐만 아니라 인출 중 특정 위치에서도 적재선반(1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공(124)은 최대 인출 위치에 대응 형성된 고정공(124) 사이에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holes 124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fixing holes 124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so that the loading shelf 120 can be securely fixed not only at the maximum drawing-out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but also at a specific position during drawing- Can be formed.

연동홈(164c)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롤러(162a)와 접촉한 상태로 연동되어 몸체플레이트(164a)를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플레이트(164a)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오목(원호형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동홈(164c)의 오목한 정도(홈의 깊이)는 몸체플레이트(164a) 및 고정핀(164b)의 상하방향 이동길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고정핀(164b)의 길이와 고정공(124)에 끼워지는 깊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groove 164c is a component that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actuation roller 162a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move and guide the body plate 164a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rcuate shape) upward.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64c in the concave groove 164c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body plate 164a and the fixing pin 164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ixing pin 164b,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to be fitted to the base plate and the like.

이러한 연동홈(164c) 및 작동롤러(162a)의 작동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동롤러(162a)가 연동홈(164c)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즉, 고정핀(164b)이 고정공(124)에 끼워져 적재선반(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로드(162)를 제1 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면 작동롤러(162a)는 연동홈(164c)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면서 몸체플레이트(164a)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공(124)으로부터 고정핀(164b)이 이탈되며 적재선반(120)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groove 164c and the operation roller 162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The operating rod 162 is 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roller 162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groove 164c (i.e.,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164b is fitted in the fixing hole 124 and the loading shelf 120 is fixed) The actuating roller 162a moves along the circular arc of the interlocking groove 164c to move the body plate 164a upward while being pushed or pull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xing pin 164b is disengaged from the fixing hole 124, and the loading shelf 120 becomes movable along the first direction.

반대로 작동롤러(162a)가 원호형상의 연동홈(164c)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작동로드(162)를 제1 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면, 몸체플레이트(164a)는 작동롤러(162a)의 안내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핀(164b)은 고정공(124)에 삽입됨에 따라 적재선반(120)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actuating rod 162 is pushed or pulled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actuating roller 162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interlocking groove 164c, And the loading shelf 120 can be firmly fixed as the fixing pin 164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4. [

위와 같이 작동로드(162) 및 고정플레이트(164)로 구성되는 제2 스토퍼(160)가 제2 가이드레일(140)과 일체화된 형태로 모듈화되고, 제1 스토퍼(150)(스토퍼브라켓(152a,152b)) 역시 제1 가이드레일(130)과 일체화된 형태로 모듈화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적재장치(100) 자체의 조립성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선반(120)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 내지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적재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도모될 수 있으며 중량물적재장치(100)의 활용도도 크게 증대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160 composed of the operation rod 162 and the fixed plate 164 is modularized in a manner integrated with the second guide rail 140 and the first stopper 150 (the stopper brackets 152a, 152b are also integrated with the first guide rails 130 so that the assemblability of the heavy object 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120 can be changed and adjusted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vy object, the loading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heavy object loader 100 can be greatly increased have.

또한, 제1,2 스토퍼(150,160)가 적재선반(120)의 좌우측에서 각각 견고하게 적재선반(120)을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게 되면서 중량물의 적재 및 인출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50 and 160 securely fix the loading shelf 12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shelf 120 and prevent the loading shelf 120 from being separate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of heavy objects can be reduced do.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의 상단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바(172)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호이스트(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적재장치의 전방 및 후방에서 중량물을 용이하게 적재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1, at least one of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110 includes a hoist 170 slidable along the movement bar 172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1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load and unload the heavy objects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loading apparatu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 발명에 따른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110: 프레임부 112: 수직프레임
114: 수평프레임 120: 적재선반
122: 세로격판 124: 고정공
126: 돌출턱 130: 제1 가이드레일
132,142: 가이드프레임 132a,142a: 슬라이딩프레임
132b,142b: 보강절곡부 132c,142c: 결합절곡부
134,144: 하단롤러부 136,146: 상단롤러부
136a,146a,138a,148a: 탄성부재 138,148: 측면롤러부
140: 제2 가이드레일 141: 고정브라켓
141a: 안내롤러 150: 제1 스토퍼
152a,152b: 스토퍼브라켓 154a,154b: 스토퍼돌기
160: 제2 스토퍼 162: 작동로드
162a: 작동롤러 162b: 파지부
164: 고정플레이트 164a: 몸체플레이트
164b: 고정핀 164c: 연동홈
170: 호이스트 172: 이동바
100: a bi-directional withdrawal type heavy load device having a double sto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frame part 112: vertical frame
114: Horizontal frame 120: Loading shelf
122: Vertical partition plate 124: Fixed hole
126: protruding jaw 130: first guide rail
132, 142: Guide frame 132a, 142a: Sliding frame
132b, 142b: reinforcing bends 132c, 142c:
134, 144: lower roller portion 136, 146: upper roller portion
136a, 146a, 138a, 148a: elastic members 138, 148: side roller portions
140: second guide rail 141: fixing bracket
141a: guide roller 150: first stopper
152a, 152b: Stopper bracket 154a, 154b: Stopper projection
160: Second stopper 162: Operation rod
162a: Operation roller 162b:
164: Fixing plate 164a: Body plate
164b: Fixing pin 164c: Interlocking groove
170: Hoist 172: Moving bar

Claims (8)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분할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적재공간 내에서 상하로 적어도 1단 이상의 적층구조를 이루며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고, 상면에 중량물이 안착되는 적재선반;
상기 적재선반의 일측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적재선반의 타측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적재선반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상기 적재선반의 인출거리를 양방향으로 각각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적재선반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선반을 고정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A frame por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to form a divided loading space;
A loading shelf having at least one or more stacked structures vertically in the loading space and slidably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weigh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guide rail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guiding the sliding operation;
A second guide rail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guide rail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guide the sliding operation;
A first stopper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to limit the drawing distance of the loading shelf sliding in both directions; And
And a second stopper provided on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loading shelf for fixing the loading sh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상면과 서로 대각선 위치의 하면에서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브라켓; 및
상기 적재선반의 양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브라켓에 각각 걸리도록, 상기 적재선반의 일측부에 형성된 세로격판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적재선반의 양방향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opper comprises:
A pair of stopper brackets protruding from lower surfaces of the first guide rails diagonally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s; And
And a pair of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partition plate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ading shelf so as to b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stopper brackets in accordance with the b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of the loading shelves, Wherein the double-sided stopper structure is a double-sided pull-out type heavy-weight loader having a double-stopper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롤러가 구비된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롤러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적재선반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적재선반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topper
A working rod mov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ail along a first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perating roller on one side; And
And a fixing plate which moves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roll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kes the loading shelf movable or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fixes the loading shelf, Way withdrawable heavy load carrying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작동로드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몸체플레이트;
상기 몸체플레이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적재선반의 타측부 상면에 이격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공에 삽출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동롤러와 접촉한 상태로 연동되어 상기 몸체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연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plate includes:
A body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arranged parallel to the operating ro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late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dy plate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xing hole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shelf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helf; And
And an interlocking groove formed to be concave upwar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late and interlocked with the actuating roller moving in a first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ody pl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t; RTI ID = 0.0 > withdrawabl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가 제1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슬라이딩프레임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단롤러부;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상단부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단롤러부; 및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이격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면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guide frame in which a sliding frame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loading shelf are fitted in a first direction;
A lower roller portion rotatably fix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a sliding operation while supporting lower side surfaces of the loading shelves;
An upper roller portion rotatably fixed on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the sliding operation while supporting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And
And a side roller portion supporti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loading shelf and being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frame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a sliding operation.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각각 일체화된 형태로 모듈화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 및 설치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guide rail, and the second stopper,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modularized into an integrated form and installed and un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롤러부 및 상기 측면롤러부는,
상기 적재선반에 중량물을 안착시킬 때, 상기 적재선반의 양측부와 상기 상단롤러부 및 상기 측면롤러부 간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면서도 상기 적재선반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side roller portion are made of a non-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ading shelf so as to maintain a supporting force on the loading shelf while reducing the impact appli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of the loading shelf and the upper roller portion and the side roller portion when the heavy object is placed on the loading shelf,
Wherein the sliding frame is coupled to the sliding frame via an elastic member,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선반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재선반에 안착된 중량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바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호이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t the edge of the loading shelf,
A protruding jaw is formed so as to prevent falling of the heavy object placed on the loading rack,
On at least one of an upper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Wherein the hoist includes a hoist that slides along a moving bar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rame unit.

KR1020160084898A 2016-07-05 2016-07-05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KR101823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98A KR101823063B1 (en) 2016-07-05 2016-07-05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98A KR101823063B1 (en) 2016-07-05 2016-07-05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27A true KR20180005027A (en) 2018-01-15
KR101823063B1 KR101823063B1 (en) 2018-01-30

Family

ID=6100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98A KR101823063B1 (en) 2016-07-05 2016-07-05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06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184B1 (en) * 2018-09-19 2019-05-21 한창빈 Mold Loading Device
KR20190096712A (en)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Individually withdrawable multistage loading table
KR102078152B1 (en) * 2019-08-12 2020-02-17 심상진 A larva breeding device
KR102072825B1 (en) * 2019-10-11 2020-03-02 윤대중 Supporting frame assembly for warehouse
KR102308543B1 (en) * 2021-04-28 2021-10-05 ㈜대림알에스티 Shelves for loading cargo
KR102416633B1 (en) * 2022-03-11 2022-07-05 주식회사 콤마 Camping Trailer Having Table
KR102536843B1 (en) * 2022-12-06 2023-05-26 주식회사 디비에이 Pallet cage for transporting par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021B1 (en) 2020-04-05 2020-07-08 서승연 Inventory Management Warehouse Structure
KR102339871B1 (en) * 2021-06-18 2021-12-16 주식회사 맨인 Clothes storage and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645B2 (en) * 1995-12-21 2001-06-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Luggage board
JP2001130713A (en) * 1999-11-01 2001-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liding-out fork
KR101231870B1 (en) * 2012-08-23 2013-02-08 (주)한영Fa산업 Mold loading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12A (en)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Individually withdrawable multistage loading table
KR101948184B1 (en) * 2018-09-19 2019-05-21 한창빈 Mold Loading Device
KR102078152B1 (en) * 2019-08-12 2020-02-17 심상진 A larva breeding device
KR102072825B1 (en) * 2019-10-11 2020-03-02 윤대중 Supporting frame assembly for warehouse
KR102308543B1 (en) * 2021-04-28 2021-10-05 ㈜대림알에스티 Shelves for loading cargo
KR102416633B1 (en) * 2022-03-11 2022-07-05 주식회사 콤마 Camping Trailer Having Table
KR102536843B1 (en) * 2022-12-06 2023-05-26 주식회사 디비에이 Pallet cage for transporting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063B1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63B1 (en) Bidirectional drawer-type loading device for heavy weights with double stopper structure
JP6283012B2 (en) Slide rail kit
US20180092462A1 (en) Slide rail assembly
CN103929999B (en) Pull-out guide for drawer
KR101365786B1 (en) Molding apparatus
US5470144A (en) Drawer with a rail structure compatible with a single rail or multi-rail assembly in a cabinet
CN103561610A (en) Fastening device for mounting a front cover on a drawer
US10023446B2 (en) Transformable table
EP3352547B1 (en) Slide rail assembly
US6641236B2 (en) Cabinet with drawer retainer/locking system
US7770903B2 (en) Drawer type storage cart
JP2017052561A (en) Rack for panel loading
JP2020011541A (en) Harness board carriage, harness board storage rack and harness board application supporting system
JP3155962U (en) Product display slide shelf
US11067290B2 (en) Cabinet and slide rail kit thereof
EP1988036B1 (en) Pallet storage system
CN108557299B (en) Fixing device for moving tray in container
KR101539254B1 (en) Frame for piling up thick plates and jig for transferring thereof
JP5284078B2 (en) Kitchen cabinet drawer
JP2008212414A (en) Knockdown rack corresponding to live load change and having strut and resin shelf board with partition
JP2006341969A (en) Plate material accommodation system
CN107578575B (en) Prevent locking mechanical system and ATM that ATM topples
KR20170002937U (en) Rail assembly for receipt furniture
CN217644758U (en) Article placing shelf
JP3236029U (en) Product adv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