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509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509A
KR20180004509A KR1020160084138A KR20160084138A KR20180004509A KR 20180004509 A KR20180004509 A KR 20180004509A KR 1020160084138 A KR1020160084138 A KR 1020160084138A KR 20160084138 A KR20160084138 A KR 20160084138A KR 20180004509 A KR20180004509 A KR 20180004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ranch
receptacl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energ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장현호
염찬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509A/ko
Publication of KR2018000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가 설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분기접속부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타측에 접속되는 제2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각각에 결합된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에 접속되어서 전자기기에 대해 충전, 데이터 전송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고성능 및 소형화 구현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고전류 인가에 따라 전류가 증대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고전류 인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가 설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분기접속부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타측에 접속되는 제2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각각에 결합된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부 컨택트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추어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 인가를 구현할 수 있어서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항의 크기를 낮춘 컨택트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 및 제1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 제2컨택트, 및 제3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택트들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부재들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11핀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택트들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11핀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부재들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11핀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기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 도 3에 도시됨)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절연부(2), 제1컨택트(3), 및 제2컨택트(4)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수용홈(2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수용홈(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미도시), 상기 접속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0,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지지부재(110)를 수용하는 커버(120,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가 상기 커버(1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21)에는 상기 지지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10)에 설치된 접속핀들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는 각각 상기 접속핀들에 접속되는 부분이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절연부(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3)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분기접속부재(31), 제2분기접속부재(32), 및 통전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갖는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에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부재(33)에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 각각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3)에 대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들(3, 4)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 인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통전부재(33)에서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통전부재(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 또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 또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해당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해당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 및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서로 접속될 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의 상대적인 방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 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은, 상기 절연부(2)에서 상기 수용홈(21)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내지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공차에 대한 허용치를 늘림으로써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률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접속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갖는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통전부재(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대해 반대되는 쪽이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이 상기 절연부재(110)의 상면(110a)에 해당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절연부재(110)의 하면(110b)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이 상기 절연부재(110)의 하면(110b)에 해당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절연부재(110)의 상면(100a)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절연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절연부재(110)의 하면(110b)에 해당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절연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은, 상기 절연부재(110)의 상면(110a)에 해당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이 상기 절연부재(110)의 상면(110a) 및 상기 절연부재(110)의 하면(110b)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서로 접속될 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의 상대적인 방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절연부(2)의 내면(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의 내면(2b)은, 상기 절연부(2)에서 상기 수용홈(21)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내지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공차에 대한 허용치를 늘림으로써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률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접속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각각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성에 관계없이 상기 제1컨택트(3)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용이하게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3)를 통해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 인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2컨택트(4)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2컨택트(4)에 비해 더 낮은 저항을 가지면서 상기 제2컨택트(4)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 인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가 고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제1컨택트(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택트(3)는 급속 충전 등과 같이 전원에 관련된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컨택트(4)는 데이터 등과 같이 신호(Signal)에 관련된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비해 더 긴 길이(33L)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110)에 비해 더 긴 길이(33H)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통전부재(33)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저항의 크기를 더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3)에 대한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제1끼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홈은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 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통전부재(33)가 상기 제1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가 상기 제1컨택트(3)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1끼움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홈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접속홈(34,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홈(34)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홈(34)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갖는 지지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34)은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접속홈(3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접속홈(34)에 대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접속홈(34)을 통해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늘림으로써,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상기 접속홈(34)에 삽입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접속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접속돌기(35,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속돌기(35)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에서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접속돌기(35)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돌기(35)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가 더 낮은 저항을 가지면서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더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2접속돌기(36,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6)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돌기(36)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6)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6)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접속돌기(36)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돌기(36)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가 더 낮은 저항을 가지면서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더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돌기(36)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분기실장부재(37) 및 제2분기실장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가 상기 기판에 실장됨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3)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제1컨택트(3)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기판의 일측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하나의 평면 내에서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 및 상기 통전부재(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가 상기 기판의 일측에 실장되는 경우,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기판의 타측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일측은 상기 기판의 상면에 해당하고, 상기 기판의 타측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33)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를 통해 상기 기판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를 통해 상기 기판에 대한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실장력 및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3)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가 더 낮은 저항을 가지면서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를 이용하여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고전류 인가에 더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통전부재(3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통전부재(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실장홈(39,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홈(39)은 상기 기판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홈(39)은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 및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는 상기 실장홈(39)에 삽입된 기판의 일측에 실장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는 상기 실장홈(39)에 삽입된 기판의 타측에 실장되도록 상기 통전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를 이용하여 상기 실장홈(39)에 삽입된 기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耐力)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장홈(39)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홈(39)의 길이 및 상기 기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은 상기 실장홈(39)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및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컨택트(3)와 대비하여 상기 통전부재(3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2컨택트(4)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접속부재(41), 제2실장부재(42), 및 제2연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갖는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 또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 및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 중에서 어느 것에 접속되는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서로 접속될 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의 상대적인 방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접속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굽힘(Bending) 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4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실장부재(4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됨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제2컨택트(4)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42)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42)는 상기 기판의 일측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실장부재(42)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3)는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43)는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3)는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3),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연결부재(43)가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에 접촉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3)는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제2끼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홈은 상기 절연부(2)의 내면(2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연결부재(43)가 상기 제2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가 상기 제2컨택트(4)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2끼움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홈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제3컨택트(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3)와 대비하여 상기 통전부재(3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 및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3컨택트(5)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제3접속부재(51), 제3실장부재(52), 및 제3연결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갖는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3접속부재(51)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 또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51)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110a)에 위치한 접속핀 및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면(110b)에 위치한 접속핀 중에서 어느 것에 접속되는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서로 접속될 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의 상대적인 방향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타측에 접속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굽힘 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접속부재(51)는 상기 절연부(2)의 내면(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실장부재(5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3실장부재(5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됨에 따라,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컨택트(5)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제3컨택트(5)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실장부재(52)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실장부재(52)는 상기 기판의 타측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3실장부재(52)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53)는 상기 제3접속부재(51) 및 상기 제3실장부재(5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부재(53)는 상기 제3접속부재(51) 및 상기 제3실장부재(5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53)는 상기 제3접속부재(51) 및 상기 제3실장부재(5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53), 상기 제3접속부재(51), 및 상기 제3실장부재(5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3연결부재(53)가 상기 절연부(2)의 내면(2b)에 접촉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53)는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제3끼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끼움홈은 상기 절연부(2)의 내면(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3연결부재(53)가 상기 제3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가 상기 제3컨택트(5)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제3끼움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끼움홈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쉘(6, 도 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6)은 상기 절연부(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6)은 내측에 상기 절연부(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37),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38),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3실장부재(52)가 상기 쉘(6)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6)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쉘(6)은 상기 커버(120, 도 3에 도시됨)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쉘(6)은 상기 절연부(2)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6)은 SUS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6)은 상기 절연부(2)가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부(2)를 보호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쉘(6)은 접지(Ground)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가 제1상태인 경우 및 상기 절연부(2)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된 제2상태인 경우 모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방향성에 관계없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절연부(2)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및 상기 절연부(2)가 상기 제2상태인 경우 모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어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4) 및 상기 제4컨택트(5)는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인지에 따라 접속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택컨택트 어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24핀(P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24핀은 상기 접속부재들(31, 32, 41, 51)의 개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도 7에서 점선은 USB Type-C 규격에 따른 핀 배치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제1열(FR) 및 제2열(SR) 각각에 위치한 12개의 핀 배치 영역에 대해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는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FR)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열(SR)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가 상기 제1열(FR)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상기 제2열(SR)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통전부재(3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3)들 중에서 일부는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 중에서 일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충전 기능에 관련된 접지컨택트 및 전원컨택트를 상기 제1컨택트(3)로 구현함으로써, 24핀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대한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열(FR)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FR)에는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2개의 제2접속부재(41),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4개의 제2접속부재(41),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2개의 제2접속부재(41), 및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FR)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컨택트, 인식을 위한 인식컨택트,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전송컨택트, 및 Sideband Use용 보조컨택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제2컨택트(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컨택트, 상기 인식컨택트, 상기 전송컨택트, 및 상기 보조컨택트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2컨택트(4)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3접속부재(51)가 상기 제2열(SR)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컨택트(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열(SR)에는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제3접속부재(51),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4개의 제3접속부재(51),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제3접속부재(51), 및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SR)에는 상기 데이터컨택트, 상기 인식컨택트, 상기 전송컨택트, 및 상기 보조컨택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제3컨택트(5)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컨택트, 상기 인식컨택트, 상기 전송컨택트, 및 상기 보조컨택트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3컨택트(5)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22핀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열(FR)에는 24핀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들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열(SR)에는 24핀의 경우에 비해 상기 제3접속부재(51)가 2개 적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열(SR)에는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제3접속부재(51),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제3접속부재(51),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제3접속부재(51), 및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11핀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5) 없이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잇다. 도 9에서 점선은 USB Type-C 규격에 따른 핀 배치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제1열(FR) 및 제2열(SR) 각각에 위치한 12개의 핀 배치 영역 중에서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는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가 상기 제1열(FR)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상기 제2열(SR)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32)는 상기 통전부재(3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3)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지컨택트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전원컨택트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충전 기능에 관련된 접지컨택트 및 전원컨택트를 상기 제1컨택트(3)로 구현함으로써, 11핀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대한 급속 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열(FR)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FR)에는 도 9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2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1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3개의 제2접속부재(41),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 2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및 1개의 제1분기접속부재(31)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FR)에는 상기 데이터컨택트 및 상기 인식컨택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제2컨택트(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컨택트 및 상기 인식컨택트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2컨택트(4)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열(SR)에는 도 9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4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 2개의 비어 있는 핀 배치 영역, 및 1개의 제2분기접속부재(32)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플러그 커넥터 2 : 절연부
3 : 제1컨택트 4 : 제2컨택트
5 : 제3컨택트 6 : 쉘
21 : 수용홈 31 : 제1분기접속부재
32 : 제2분기접속부재 33 : 통전부재
34 : 접속홈 35 : 제1접속돌기
36 : 제2접속돌기 37 : 제1분기실장부재
38 : 제2분기실장부재 39 : 실장홈
41 : 제2접속부재 42 : 제2실장부재
43 : 제2연결부재 51 : 제3접속부재
52 : 제3실장부재 54 : 제3연결부재

Claims (13)

  1.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가 설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에 접속되는 제1분기접속부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타측에 접속되는 제2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각각에 결합된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는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홈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속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접속홈에 대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통전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절연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쪽으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접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통전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절연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쪽으로 경사지게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쪽으로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에 결합된 제2접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기판의 일측에 실장되는 제1분기실장부재, 및 상기 기판의 타측에 실장되는 제2분기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와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를 통해 상기 기판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 및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와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장홈에는 상기 기판이 삽입되며,
    상기 제1분기실장부재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된 기판의 일측에 실장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분기실장부재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된 기판의 타측에 실장되도록 상기 통전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절연부가 제1상태인 경우 및 상기 절연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 모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컨택트들 중에서 일부는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를 구현하고,
    상기 제1컨택트들 중에서 일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제2컨택트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3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측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3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타측에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60084138A 2016-07-04 2016-07-04 플러그 커넥터 KR20180004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38A KR20180004509A (ko) 2016-07-04 2016-07-04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38A KR20180004509A (ko) 2016-07-04 2016-07-04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09A true KR20180004509A (ko) 2018-01-12

Family

ID=6100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38A KR20180004509A (ko) 2016-07-04 2016-07-04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29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신화콘텍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29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신화콘텍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540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104638425B (zh) 光电连接器
US910602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062041B2 (en) Connector
CN107069309A (zh) 防水正反插电连接器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3395819A (zh) 一种线缆组件、信号传输结构和电子设备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US10863623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two circuit carriers and a plastic molded body and arrangement having said configuration
KR20180004509A (ko) 플러그 커넥터
KR10231794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2022039966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TWI583069B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之電子裝置
KR10266515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RU2528603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единителя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07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CN216529442U (zh) 具有改进的焊接结构的电源线端连接器
JPH0963667A (ja)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11114787B2 (en)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KR102627807B1 (ko) 기판 커넥터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