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14U - 신분증 케이스 - Google Patents

신분증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14U
KR20180003414U KR2020170002623U KR20170002623U KR20180003414U KR 20180003414 U KR20180003414 U KR 20180003414U KR 2020170002623 U KR2020170002623 U KR 2020170002623U KR 20170002623 U KR20170002623 U KR 20170002623U KR 20180003414 U KR20180003414 U KR 201800034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identification card
c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2020170002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414U/ko
Publication of KR20180003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신분증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수납되는 신분증 케이스로써 내부에는 신분증이 수용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일단에는 신분증의 출납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디가 구성되어 있다. 바디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바디의 개구부에는 제1폐쇄유지부가 형성되고, 커버에는 커버의 폐쇄 시에 제1폐쇄유지부에 결합되는 제2폐쇄유지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신분증 케이스는 신분증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통해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의 내부 유입이 차단될 수 있어 신분증의 변색 등을 방지고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신분증 케이스 {The Case For an Identification Car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신분증, 사원증 또는 인증카드 등(이하 ‘신분증' 이라 한다)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수납되고 목걸이와 결합되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회사나 관공서 등의 출입문을 통과하거나 또는 자신의 신분을 타인에게 알릴 때 사용되는 수단인 신분증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신분증을 수납할 수 있는 신분증 케이스에 수납되어 통상 목걸이 형태나 클립을 이용한 부탁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신분증 케이스는 합성 수지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며, 신분증은 합성 수지 신분증 케이스의 측면 또는 신분증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 또는 신분증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그러나, 종래 신분증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하여 신분증 등이 원하지 않게 외부로 이탈되거나 습기 또는 물 등이 쉽게 신분증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어 신분증이 오염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
신분증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통해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의 내부 유입이 차단될 수 있고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분증 케이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 개시 내용은, 신분증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수납되는 신분증 케이스로써 내부에는 신분증이 수용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일단에는 신분증의 출납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디가 구성되어 있다. 바디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바디의 개구부에는 제1폐쇄유지부가 형성되고, 커버에는 커버의 폐쇄 시에 제1폐쇄유지부에 결합되는 제2폐쇄유지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신분증 케이스는 신분증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통해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의 내부 유입이 차단될 수 있어 신분증의 변색 등을 방지고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은 신분증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수납되는 신분증 케이스(100)로써, 케이스 상단에 목걸이를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다.
신분증 케이스(100)는 신분증이 수납되는 바디(200)와 바디(200)의 개구부(400)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200)는 내부에 신분증을 수용이 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신분증의 출납을 위한 개구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00)는 신분증이 출납하는 상측면과 커버(300)가 결합되는 일측면으로 나뉠 수 있고, 개구부(400)의 일측면 부위에는 커버(300)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제1폐쇄유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에는 바디(200)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제2폐쇄유지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의 상측면과 일측면이 연결된 확장마감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디(200)의 개구부(400)에는 신분증 케이스(100)를 개폐가 가능하도록 커버(300)가 결합된다.
바디(200)의 개구부(400)의 하단에는 커버(300)가 개폐될 때, 그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레일(230)이 바디(200)의 가로폭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 형상은 오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400)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0)과 대응될 수 있도록 커버(300)의 하측면에는 슬라이딩부(3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오목한 형상에 대응 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300)의 슬라이딩부(330)는 개구부(400)의 가이드레일(230)에 대응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어 결합한다. 이때, 개구부(400)에 형성된 제1폐쇄유지부(210)와 커버(300)에 형성된 제2폐쇄유지부(310)가 서로 결합하여 커버(300)가 바디(200)에 고정된다.
개구부(400)의 제1폐쇄유지부(210)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고, 커버(300)의 제2폐쇄유지부(310)는 이에 대응되도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폐쇄유지부(210)는 개구부(4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2폐쇄유지부(310)는 관통된 곳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300)에는 상측면과 일측면이 연결된 확장마감부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300)가 바디(200)에 결합되면 개구부(400)는 확장마감부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신분증이 수납되어 있는 바디(200)의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신분증 케이스(100)에는 목걸이가 결합되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목걸이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며, 바디(200)의 개구부(400)와 커버(300)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00)에는 목걸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50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커버(300)에는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관통된 연결공(5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0)가 개구부(400)에 결합되었을 때, 개구부(400)의 연결공(500)과 커버(300)의 연결공(500)은 하나로 형성되어 목걸이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목걸이는 연결공(500)에 결합되는데 커버(300)의 연결공(500)과 개구부(400)의 연결공(500)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목걸이의 연결로 인하여 바디(200)와 커버(300)는 한 번 더 고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분증을 케이스로부터 꺼내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어서 커버(300)를 바디(200)로부터 개방할 때에는 커버(300)가 바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분증 케이스(100)의 바디(200)의 일측 단부의 상단에는 스토퍼(220)가 형성되고, 커버(30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320)가 형성되어 커버(300)가 바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20)는 돌기모양으로 형성되며, 가이드(320)는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커버(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320)는 일측에서 이격된 구간에서 시작되어 커버(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바디(200)의 스토퍼(220)는 이 가이드(320)에 결합되므로 슬라이드되면서 열리는 커버(300)가 바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커버(300)가 바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때문에 커버(300)의 분실을 막을 수 있고, 신분증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목걸이를 신분증 케이스(100)에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예를 개시한다.
바디(200)의 개구부(400)와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300)에는 연결공(500)이 구성되어 있지 않고, 커버(300)의 상단에 연결구(60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연결공(500)에 목걸이를 연결하여 신분증 케이스(100)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신분증 케이스
200 : 바디
300 : 커버
400 : 개구부
500 : 연결공
600 : 연결구

Claims (5)

  1. 신분증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수납되는 신분증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는 신분증이 수용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단에는 상기 신분증의 출납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는 제1폐쇄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의 폐쇄 시에 상기 제1폐쇄유지부에 결합되는 제2폐쇄유지부가 형성되는 신분증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제2폐쇄유지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바디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제1폐쇄유지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상단 및 상기 커버에는 목걸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일측 단부 상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하단부에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단에는 목걸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KR2020170002623U 2017-05-29 2017-05-29 신분증 케이스 KR201800034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23U KR20180003414U (ko) 2017-05-29 2017-05-29 신분증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23U KR20180003414U (ko) 2017-05-29 2017-05-29 신분증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14U true KR20180003414U (ko) 2018-12-07

Family

ID=6466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23U KR20180003414U (ko) 2017-05-29 2017-05-29 신분증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4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4764B2 (ja)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KR102147957B1 (ko)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341003B2 (en) Latch for storage case
KR930020756A (ko) 휴대용 통신장비의 바테리 커버 잠금장치
ES2689741T3 (es) Dispositivo para absorber el ruido de fondo
WO2006055777A3 (en) Security device for media case and method
US4617698A (en) Spring-biased hinge assembly for spectacles
KR20180003414U (ko) 신분증 케이스
US6675959B1 (en) Packaging case
US9572438B2 (en) Terminal case
KR100652743B1 (ko) 회동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131021A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20170028944A1 (en) Cable guide attachment structure
DE502006000729D1 (de) Mit einem Deckel verschliessbares Winkelsteckverbindergehäuse
KR200472549Y1 (ko) 출입 통제용 rf카드 케이스
KR200450161Y1 (ko) 무인 보관함
KR20100023060A (ko) 콘센트 커버
KR200486279Y1 (ko) 문짝용 손잡이장치
AU2020414412B2 (en) Enclosur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2023040278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ving hinge and independent secondary terminal lock (is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0387858Y1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923191B1 (ko) 일체형 힌지와 안전장치가 구비된 절첩식 도어
JP201215203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01696572B1 (ko) 문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문
KR100637578B1 (ko) 케이스 일체형 가이드 구조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