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69A -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269A KR20180003269A KR1020160082880A KR20160082880A KR20180003269A KR 20180003269 A KR20180003269 A KR 20180003269A KR 1020160082880 A KR1020160082880 A KR 1020160082880A KR 20160082880 A KR20160082880 A KR 20160082880A KR 20180003269 A KR20180003269 A KR 201800032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projection
- beam projector
- mobile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2—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projection of either still pictures or motion pic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projec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he like having a beam projector function.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는 빛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 등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빔 프로젝터는 크기나 무게 등에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고정형 빔 프로젝터 및 이동형 빔 프로젝터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이동형 빔 프로젝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 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해졌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에 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도 등장하고 있다.Beam projector is a device that uses slides to project slides or moving images onto a screen. The beam projector can be divided into a fixed beam projector and a movable beam projector which are used at a fixed position according to size, weight, and the like. Particularly, as the mobile beam projector is getting smaller and lighter, it is easier to carry. In recent year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beam projector functio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digital cameras have appeared.
따라서 사용자들은 휴대용 빔 프로젝터를 편리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집, 학교, 회사, 야외 등 아무 장소에서 용이하게 빔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As a result, users can easily carry portable beam projectors, making it easy to use the beam projector anywhere in the home, school, company, or outdoor.
한편, 사용자는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빔 프로젝터의 설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빔 프로젝터는 대부분 스크린 정면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빔 프로젝터가 조금이라도 비뚤게 설치되면 영상이 스크린 상에 왜곡되어 투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have difficulty in installing the beam projector when using the beam projector.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onventional beam projector must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screen, if the beam projector is installed at a slight angle, the image is distorted and projected on the screen.
또한 휴대용 빔 프로젝터의 사용 증가와 함께 빔 프로젝터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use of portable beam projectors, various functions that the beam projector can provide are required.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의 설치 환경과 관계 없이 빔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utputting images so that images projected by a beam projector are not distorted regardless of an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빔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영역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djusting a region in which a beam projector projects an image without moving the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가 아닌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영역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djusting a region in which a beam projector projects an image using a device other than the beam projector.
본 발명은 사진, 동영상뿐만 아니라 알림 위젯 영상 등을 빔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jecting a beam projector as well as a photograph, a moving image, and a notification widget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는, 영상 또는 패턴을 투사하는 투사부, 투사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사 조절부 및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을 향해 패턴을 투사부가 투사하도록 투사 조절부를 제어하고, 투사된 패턴에 기초하여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의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공간의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r pattern, a projec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unit, and a projection adjusting unit for projecting the projection unit toward a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a struc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based on the projected pattern and acquiring at least one or more projection area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analyzed space, The image can be projected onto the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제어부는, 투사부에서 투사된 패턴의 모양 변화를 감지하고, 패턴의 모양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은 투사하기 부적절한 영역으로 판단하고, 패턴의 모양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영역은 투사하기 적절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nses the shape change of the pattern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area where the shape change of the pattern is sensed is an inappropriate area for projection, The non-sensed area can be judged as an appropriate area for proj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는,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주위 공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ambient space imag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and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based on the captured ambient space imag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부는 영상 보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더 투사하고, 카메라는 투사된 가이드라인을 더 촬영하고, 제어부는, 투사된 가이드라인과 촬영된 가이드라인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영상을 캘리브레이션 영상과 함께 처리하여 투사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unit further projects a guideline for image correction, the camera further photographs the projected guideline, an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rojected guideline with the photographed guideline A calibration image is generated based on a result, and when an image is projected, the image can be processed and projected together with the calibration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제어부는,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photographed peripheral spatial image, and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image in the projection area closer to the user's position in at least one of the projection areas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제어부는,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based on the photographed peripheral spatial image, and projects the image in the proj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among the at least one projection area The projection unit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투사 영역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image to the proj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시뮬레이션 투사 영역을 드래그 앤 드랍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may include an instruction to drag and drop the simulation projection area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무선 통신부는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알림 정보를 더 수신하고, 제어부는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될 알림 화면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투사부가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et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same image as the notification scree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에서, 무선 통신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영상의 투사를 종료하도록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a motion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ion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ased o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If the motion is not detected, the projection unit can be controlled to terminate the projection of the im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 프로젝터의 사용 환경과 관계 없이 왜곡 없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distortion-free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rrespective of the use environment of the beam project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사하는 영역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where a beam projector projects an image can be easily adjusted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사진, 동영상뿐만 아니라 달력, 시계, 알림 등 다양한 알림 위젯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ject various notifications widget images such as a calendar, a clock, and an announcement as well as photos and videos using a beam projector.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빔 프로젝터 간 동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빔 프로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의 동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턴 투사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룸 스캐닝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사 영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 알고리즘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 보정 알고리즘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에 따른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의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ystem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 projec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a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a pattern proj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the room sc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a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images according to a distortion corr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video output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video output comm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age projection method according to a user's position or line of 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to 2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to 3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in an arbitrar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 RTI ID = 0.0 > term < / RTI > includes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빔 프로젝터 간 동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ystem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와 빔 프로젝터(200)는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빔 프로젝터(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빔 프로젝터(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 영역에 대한 정보를 빔 프로젝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빔 프로젝터(200)는 빔 프로젝터가 설치된 주변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터(200)는 영상 투사 영역을 이동하는 명령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밖에, 이동 단말기(100)와 빔 프로젝터(200) 상호 간에 송수신할 수 있는 있는 다양한 신호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빔 프로젝터(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한다.Next,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 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list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fore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3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u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etection.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such as a stereoscopic system (glasses system), an autostereoscopic system (no-glasses system), and a projection system (holographic system) can be applied.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Next,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wireless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wireless interfaces that can be used by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MTS) (in particular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an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Ss may compris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compris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to a particular direction of radial emission from the BS. In addition,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and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may each have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The intersection of sector and frequency assignment may be referred to as a CDMA channel. The BS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a combination of one BSC and at least one BS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a "cell site ".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cell sites.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A broadcast transmission unit (BT)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ay be associated with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The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The WiFi Positioning System (WPS) is a system in which a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Fi location tracking system may include a Wi-Fi location server, a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The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The Wi-Fi position location server extract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connected to the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to be extrac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Fi position location server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connected to the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Then, the Wi-Fi location server can extract (or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As a method for extracting (or analyz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The Cell-ID method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with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neighboring wireless AP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Although the implementation is simple, it does not cost extra and it can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quickly,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positioning accuracy is lowered when the installation density of the wireless AP is low.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The fingerprint method collect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by selecting a reference position in a service area, and estimates the position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order to use the fingerprint method, it is necessary to previously convert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to a database.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triangulation method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wireless AP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Time of Arrival, T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wireless AP and the wireless AP, in order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AP. , An angle at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Angle of Arrival, AoA), or the like.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The landmark method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andmark transmitter that knows the location.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Various algorithms can be utilized as a method for extracting (or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빔 프로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beam projec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빔 프로젝터(200)는 무선 통신부(210), 카메라(220), 센싱부(240), 투사부(250), 투사 조절부(26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빔 프로젝터(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빔 프로젝터(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210)는 특정 명령 또는 특정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진, 동영상과 같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는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2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The
카메라(220)는 빔 프로젝터(2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좌우 방향으로 360도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90도까지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빔 프로젝터(200) 주변에 위치한 사물, 사람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The
센싱부(240)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검출할 수 있다.The
카메라(220)와 센싱부(240)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프로젝터(200)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할 수 있다. 또한, 근접한 감지대상이 사람에 해당한 경우에는 카메라(200)와 센싱부(240)는 서로 조합되어 사람의 시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The
투사부(250)는 영상 투사부(251) 및 패턴 투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영상 투사부(251)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 투사부(251)는 광원, 투과성 디스플레이 장치, 투사 렌즈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투사부(251)는 투사 영역 상의 투사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줌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And serves to project an image signal of the
패턴 투사부(252)는 주변 공간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패턴을 투사하는 기능을 한다. 패턴 투사부(252)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들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투사부(252)는 깊이 센서(Depth Seonsor)와 조합되어 주변 공간 구조 또는 투사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또는, 패턴 투사부(252)는 카메라(220)와 조합되어 주변 공간 구조 또는 투사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The
투사부(250)를 영상 투사부(251)와 패턴 투사부(252)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영상 투사부(251)와 패턴 투사부(252)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하나의 투사부(252)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투사 조절부(260)는 빔 프로젝터(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투사 조절부(260)는 투사부(2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투사 조절부(260)는 틸팅부(261) 및 패닝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261)는 투사부(25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패닝부(262)는 투사부(25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의 카메라(220), 센싱부(240) 및/또는 투사부(250) 투사 조절부(260)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The
메모리(270)는 투사할 영상, 주변 공간 정보 및/또는 투사 영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 카메라(220), 센싱부(240), 투사부(250), 투사 조절부(260) 및/또는 메모리(270)와 조합되어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하고, 투사 영역을 분석하고, 영상 보정을 수행하고, 영상을 투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위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빔 프로젝터(2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 외에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과 동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능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ach component of th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빔 프로젝터(200)의 동작 모습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200)는 전원 버튼(40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또한, 빔 프로젝터(200)의 외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홈(420)이 패어있을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의 홈은 카메라(220) 또는 투사부(2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촬영 또는 투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투사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20) 안쪽에 위치하여, 투사부(250)는 홈(220) 안쪽에서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투사부(250)는 빔 프로젝터(200)의 바닥면과 투사부(250)가 가리키는 방향을 기준으로 0도부터 90도까지 투사가 가능하다. 또한, 빔 프로젝터(200)는 좌우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투사부(250)는 빔 프로젝터(200)의 바닥을 제외한 주변 공간을 모두 투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의 동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eam pro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80)는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S101).First, the
빔 프로젝터(20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패턴 투사 방법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룸 스캐닝(Room scanning) 방법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촬영 방법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The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턴 투사 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pattern projec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턴 투사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a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a pattern proj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패턴 투사부(252)는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을 향해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패턴 투사부(252)는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에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The
빔 프로젝터(200)로부터 투사된 패턴은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stripe),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 격자무늬(cross stripes)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projected from the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 변화를 통해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유지되면 해당 영역에 장애물이 없고,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왜곡되면 해당 영역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장애물은 사람이나 사물, 굴곡진 면 등 영상을 투사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는 모든 것은 장애물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은 영상을 투사하기 적절한 영역으로,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왜곡되는 영역은 영상을 투사하기 부적절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카메라(220) 또는 센싱부(240)를 이용하여 상기 투사된 패턴의 모양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도 6에 도시된 예를 통해 설명하면, 빔 프로젝터(200)는 패턴 투사부(252)를 이용하여 주위 공간에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패턴을 투사할 수 있다. 투사 방향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투사된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패턴은 그 모양이 유지된다. 반면에, 투사 방향에 장애물(601, 602, 603)이 존재하는 경우 투사된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패턴은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투사 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투사된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패턴은 왜곡된다.6,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 유지 여부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유지되는 영역은 영상을 투사하기 적절한 영역으로,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왜곡되는 영역은 영상을 투사하기 부적절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의 모양이 왜곡되더라도 왜곡된 정도에 따라 다시 영상을 투사하기 적절한 영역과 영상을 부적절한 영역으로 나누어 인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어부(280)는 패턴 투사부(252)로부터 투사된 패턴이 투사된 범위에 기초하여 주위 공간의 넓이를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룸 스캐닝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the room sc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o FIG.
룸 스캐닝 방법은 제어부(280)가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에 대응하는 각 코너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빔 프로젝터(200)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주위 공간은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위치한 네 개의 코너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네 개의 코너 위치에 기초하여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네 개의 코너 위치에 기초하여 각 면의 모서리, 각도 및 거리 등을 파악하여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The room scann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룸 스캐닝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the room scan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룸 스캐닝 화면(700)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룸 스캐닝 화면(700)은 빔 프로젝터(200)가 주위 공간의 각 코너를 향해 투사하라는 명령을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룸 스캐닝 화면(700)은 공간 시뮬레이션 화면(701), 코너 선택 아이콘(702) 및 조작 아이콘(703)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시뮬레이션 화면(700)은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할 코너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코너 선택 아이콘(702)은 빔 프로젝터(200)로 투사할 코너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조작 아이콘(703)은 빔 프로젝터(200)의 투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이다.The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코너 선택 아이콘(702)을 통해 각 코너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코너에 대응하는 코너 위치를 공간 시뮬레이션 화면(70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 시뮬레이션 화면(700)에 표시된 코너를 빔 프로젝터(200)로 투사하기 위해 조작 아이콘(703)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조작 아이콘(703)을 통해 선택된 방향으로 투사 방향을 이동하는 명령을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한다. 빔 프로젝터(200)는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쪽으로 투사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공간 시뮬레이션 화면(700)에 표시된 1번 코너에 대응하는 코너 위치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200)가 빔을 투사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 아이콘(703)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코너 위치에 대하여 이와 같은 동작을 네 번 반복함으로써, 제어부(280)는 공간의 각 코너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각 코너 위치를 기초로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That is,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촬영 방법을 이용한 주위 공간 구조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space structure using the camer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카메라(220)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위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장애물의 위치 및 크기, 투사 영역의 색상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
또한, 센싱부(240)는 주위 공간 넓이, 장애물 위치 및 장애물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80) 감지된 주위 공간 넓이, 장애물 위치 및 장애물 크기 등을 기초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280)는 카메라(200) 및 센싱부(240)를 조합하여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주변 공간을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앞에서 설명한 패턴 투사 방법, 룸 스캐닝 방법 및 카메라 촬영 방법을 조합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위치한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주위 공간 구조를 파악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S103).The
제어부(280)는 분석된 주위 공간 구조를 기초로 투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분석된 주위 공간 구조를 기초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투사 영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사 영역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a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영역인 제1 투사 영역, 제2 투사 영역, 제3 투사 영역 및 제4 투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또는, 제어부(280)는 장애물의 존재 유무와 관계없이 투사 가능한 일정 크기가 확보되는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주위 공간 구조 분석시 냉장고가 장애물로 감지되더라도, 냉장고 상에 일정 크기 영역이 확대되면 해당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제어부(280)는 투사면의 굴곡 여부, 색상 등을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주위 공간 구조 분석시 장애물이 없더라도 검은색 영역은 투사 영역에서 제외하고, 밝기가 일정 기준 이상인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이와 같이, 제어부(280)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획득된 투사 영역에 대한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5).The
제어부(280)는 획득된 투사 영역들에 대하여 각 투사 영역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투사 영역의 조건이란 투사 영역의 색상, 장애물의 존재 여부, 굴곡의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performing image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FIG.
먼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 알고리즘이다.10 is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80)는 영상 보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출력할 수 있다(S201).The
특히, 제어부(280)는 획득된 투사 영역들에 대하여 영상 보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출력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투사 영역의 왜곡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출력하는 기준이 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라인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모양의 패턴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particular, the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에 표시된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 특성을 인식한다(S203).The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출력된 가이드라인과 투사 영역에 표시된 가이드라인이 일치하면 투사 영역을 평평한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280)는 출력된 가이드라인과 투사 영역에 표시된 가이드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 투사 영역에 장애물이 있거나 투사 영역에 굴곡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표시된 가이드라인이 출력된 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앞으로 휘어지면 해당 영역에 볼록한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카메라(220)를 이용사여 출력된 가이드라인과 투사 영역에 표시된 가이드라인을 비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제어부(280)는 출력된 가이드라인을 통해 투사 영역의 밝기 및 색상과 같은 투사 영역 특성을 인식할 수도 있다. Also, the
제어부(280)는 인식된 투사 영역 특성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205).The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란 입출력 시스템 장치들의 특성과 성질에 따라 색온도, 컬러 균형 및 기타 특성을 조절하여 일정한 표준으로 보이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Calibration refers to adjusting the color temperature, color balance, and oth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the input / output system devices to make them appear as a standard.
제어부(280)는 인식된 투사 영역 특성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영상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 특성에 기초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합치하도록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밝기, 컬러 정보 등이 있다면 제어부(280)는 해당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기 설정된 밝기, 컬러 등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도록 보간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들과 각 투사 영역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 영상들을 맵핑하여 메모리(2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제어부(280)는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처리한 변형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207). Next, the
제어부(280)는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과 함께 투사 영역에 대응하는 켈리브레이션 영상을 처리하여 투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80)는 어느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더라도 일정한 밝기, 컬러 등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어느 투사 영역에 영사을 투사하더라도 기 설정된 밝기, 컬러 등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켈리브레이션 영상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calibratio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2. FIG.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 보정 알고리즘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특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 보정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의 예시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보정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의 예시이다.11 to 12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images according to a distortion corr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n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ample of an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color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a) 및 도 12(a)는 영상 보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출력하는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라인으로 사선 무늬 패턴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11 (a) and 12 (a) are exemplary diagrams for outputting a guide line for image cor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nt pattern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guidel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11(b) 및 도 12(b)는 가이드라인이 투사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예시이다. 구체적으로, 투사 영역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 중 일부분이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투사 영역에 특정 부분이 어두운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 중 일부분이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Next, Figs. 11 (b) and 12 (b) are examples of images in which the guideline is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projection area, a part of the guideline can be distorted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11 (b). In addition, when a specific area is dark in the projection area, a part of the guide lines may be darkened as shown in FIG. 12 (b).
제어부(280)는 이와 같이 투사 영역에 표시되는 가이드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투사 영역의 특성을 인식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11(c) 및 도 12(c)는 인식된 투사 영역 특성에 대응하여 생성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의 예시이다. 구체적으로, 도 11(c) 및 도 12(c)에 도시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된 영상의 보간 영상일 수 있다. 도 11(c) 및 도 12(c)에 도시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의 특성은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된 영상의 특성과 반대될 수 있다.Next, Figs. 11 (c) and 12 (c) are examples of the calibration imag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rojection area characteristic. Specifically, the calibration image shown in Figs. 11 (c) and 12 (c) may be an interpolation image of the image shown in Figs. 11 (b) and 12 (b).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ibration image shown in Figs. 11 (c) and 12 (c) can be opposite to those of the images shown in Figs. 11 (b) and 12 (b).
예를 들어, 도 11(b)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도 11(c)의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도 11(b)의 가이드라인이 휘어진 방향과 반대로 휘어진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컬러를 보정하기 위한 도 12(c)의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도 12(b)의 가이드라인에 표시된 색의 보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의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도 12(b)의 가이드라인에서 어두운 영역은 밝은 영역으로, 도 12(b)의 가이드라인에서 밝은 영역은 어두운 영역으로 표시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는, 영상 출력시 전체적인 밝기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the calibration image of Fig. 11 (c) for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Fig. 11 (b) may be an image that is warped as opposed to the direction of warping of the guideline of Fig. 11 (b). Further, the calibration image of Fig. 12 (c) for correcting the color of Fig. 12 (b) may include complementary colors of the colors indicated by the guidelines of Fig. 12 (b). In addition, the calibration image of Fig. 12 (c) may be a video image in which the dark region in the guide line in Fig. 12 (b) is a bright region and the bright region in the guide line in Fig. 12 (b) is a dark region.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overall brightness uniform during video output.
다음으로, 도 11(d) 및 도 12(d)는 출력할 영상과 캘리브레이션 영상이 함께 처리되어 투사되는 영상의 예시이다. 11 (d) and 12 (d) are examples of images to be output and a calibration image are processed together and projected.
투사 지역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출력할 영상과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함께 처리하여 투사하면 도 11(d)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왜곡되지 않고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투사 영역에 대하여 출력될 영상만을 투사하면 도 11(b) 및 도 12(b)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나, 출력될 영상과 켈리브레이션 영상을 함께 처리하여 출력하면 도 11(d)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Even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projection area, the image to be outputted and the calibration image are processed together and projected, so that the image can be displayed without distortion as shown in Figs. 11 (d) and 12 (d). 11 (b) and 12 (b), only the image to be outputted for the same projection area is projected. However, if the image to be output and the calibration image are processed together and output, An image as shown in Fig. 12 (d)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영상 보정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방법을 통해 영상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 method other than the above image correction algorithm.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을 설명한다.Next, the keyston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o FIG.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키스톤(key stone) 보정은 프로젝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울어진 영상을 바르게 조정하는 보정을 의미한다. 키스톤 보정은 영상 보정의 종류 중 하나에 포함된다. 키스톤 보정 또한 왜곡 보정, 컬러 보정 등과 함께 단계 S105의 획득된 투사 영역에 대한 영상 보정에 포함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은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한 영상이 투사 영역에 기울어진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요구될 수 있다. 또는,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한 영상이 기울어지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요구될 수 있다.Keystone correction refers to the correction that corrects the tilted image while the projector is stationary. Keystone correction is included in one of the types of image correction. The keystone correc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image correction for the obtained projection area in step S105 together with distortion correction, color correction, and the like. The keystone correction may be required when the image projected by the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200)는 패턴 영상(130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투사 영역에 표시된 패턴 영상(1400)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할 수 있다. 즉,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하고 있는 패턴 영상(1400)을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로 촬영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영상(1410)에 기초하여 키스톤 보정 신호를 생산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 신호란 키스톤 보정을 위해 이동 단말기(100)가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패턴 영상(1410)을 이용하여 키스톤 보정 신호를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패턴 영상(1410)에서 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개의 꼭지점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패턴 영상(1410)에서 사각형(1411)을 형성하는 네 개의 꼭지점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네 개의 꼭지점으로 형성된 사각형(1411)에 대응하는 역보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역보상 정보란 사각형(1411)과 반대되는 모양의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보상 정보를 포함하는 키스톤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는 원본 영상과 역보상 정보를 포함하는 키스톤 보정 신호를 함께 처리하여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기울어진 형태로 투사되던 영상은 반대 모양의 영상에 의해 보상되어, 영상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영상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프로젝터(200)는 키스톤 보정 수행 결과 도 13의 패턴 영상(1300)과 같이 투사하던 영상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1500)으로 투사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스톤 보정 방법은 투사 영상의 각 픽셀에 픽셀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keyston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keystone correction by applying a pixel transformation algorithm to each pixel of the projected image.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변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ixel convers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6(a)을 참조하면 왼쪽의 일 점인 P'은 키스톤 보정 수행 후의 픽셀 좌표를 나타내고, 오른쪽의 일 점인 P는 키스톤 보정 수행 전의 픽셀 좌표를 나타낸다.16 (a), P ', which is one point on the left, represents the pixel coordinates after performing the keystone correction, and P, which is one point on the right, represents the pixel coordinates before the keystone correction.
제어부(280)는 키스톤 보정 수행 후의 픽셀 좌표 P'를 도 16(b)에 도시된 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키스톤 보정 수행 전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좌표에 도 16(b)에 도시된 식을 적용하여 키스톤 보정 수행 후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The
도 16(b)의 행렬 A₁은 2D(2 Dimension) 영상 좌표를 3D(3 Dimension) 영상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된 좌표를 얻기 위해서는 3D 영상 좌표로의 임시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 행렬 A₁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The
도 16(b)의 행렬 T는 빔 프로젝터(200)의 위치 이동이 있을 경우 이를 적용하기 위한 행렬이다. 행렬 T는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The matrix T in FIG. 16 (b) is a matrix for applying the position shift of the
도 16(b)의 행렬 R은 빔 프로젝터(200)의 틸팅부(261)와 패닝부(262)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한 행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렬 R은 행렬 Rx, 행렬 Ry 및 행렬 Rz를 곱셈 연산하여 획득한 행렬일 수 있다. 행렬 Rx는 투사부(250)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틸팅부(261)를 조절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 행렬 Ry는 투사부(250)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패닝부(262)를 조절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 행렬 Rz는 빔 프로젝터(200)의 영상을 z축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The matrix R in FIG. 16 (b) may be a matrix including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먼저 행렬 Rx를 설명한다. 제어부(280)는 키스톤 보정 전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틸팅부(261)가 기울어진 각도 φ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각도 φ와 기울어진 정도는 동일하나 방향은 반대인 각도 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θ=(-φ)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θ가 적용될 행렬 Rx는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First, the matrix Rx is described. The
다음으로 행렬 Ry를 설명한다. 제어부(280)는 키스톤 보정 전 영상을 투사하는 동안 패닝부(262)가 기울어진 각도 φ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각도 φ와 기울어진 정도는 동일하나 방향은 반대인 각도 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θ=(-φ)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θ가 적용될 행렬 Ry는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Next, the matrix Ry is described. The
다음으로 행렬 Rz를 설명한다. 행렬 Rz도 행렬 Rx 및 행렬 Ry와 유사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행렬 Rz는 도 16(g)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하는 영상은 주로 2D으로 이 경우 θ=0에 해당할 수 있다.Next, the matrix Rz will be described. The matrix Rz can also be obtain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matrix Rx and the matrix Ry. The matrix Rz may be as shown in Fig. 16 (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jected by the
마지막으로 도 16(b)의 A₂는 키스톤 보정을 위해 변환한 3D 영상 좌표를다시 2D 영상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행렬일 수 있다. 행렬 A₂는 도 16(h)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Finally, A 2 in FIG. 16 (b) may be a matrix for converting 3D image coordinates converted for keystone correction back to 2D image coordinates. The matrix A < 2 > may be as shown in Fig. 16 (h).
이와 같이 빔 프로젝터(200)는 도 16을 통해 설명한 픽셀 변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하는 영상이 3D 영상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만약 빔 프로젝터(200)가 투사하는 영상이 2D 영상인 경우 도 16에 도시된 행렬들의 z값은 1에 해당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7). 제어부(280)는 특정 영상을 투사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receiving a video output comm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video output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선택 화면(1600)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선택 화면(1600)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또한, 빔 프로젝터(200)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빔 프로젝터(200)가 영상 선택 화면(1600)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영상 선택 화면(1600)은 풍경 영상(1601 내지 1603), 장소 영상(1604), 영화 영상(1605) 및 방송 영상(16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풍경 영상(1601 내지 1603)은 정지 영상 또는 움직이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풍경 영상(1601 내지 1603)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영상이거나 직접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풍경 영상(1601)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 공간을 다른 장소로 느껴지게 하거나 실내 공간을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바꿔주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장소 영상(1604)은 유명한 관광 장소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장소 영상(1604)을 포함하는 경우 멀리 여행을 가지 못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여행 장소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Place video (1604) can be a video for a famous sightseeing place. When the
영화 영상(1605)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수 있다. 영화 영상(1605)을 포함하는 경우 영화관까지 가지 않아도 큰 화면으로 영화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캠핑 등 야외로 외출한 경우에도 영화 영상(1605)을 투사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영화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방송 영상(1606)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표시하는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TV가 없어도 빔 프로젝터(200)로 TV를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도 17에 도시된 영상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영상 선택 화면(1600)은 빔 프로젝터(200)로 투사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images shown in Fig. 17 are merely illustrative, the
제어부(280)는 영상 선택 화면(1600)에 표시된 영상들(1601 내지 160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알림 설정 화면(1700)을 통해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video output comm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빔 프로젝터(2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알림 설정 화면(1700)을 표시할 수 있다.The
빔 프로젝터(200)는 알림 설정 화면(1700)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영상이 투사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설정 화면(1700)은 특정 시간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알림 설정 항목(1701 내지 17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설정 화면(1700)은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 영상이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제4 알림 설정 항목(170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알림 설정 항목(1701)처럼 설정함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에 영상을 투사하면서 특정 소리를 출력하여 모닝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제2 알림 설정 항목(1702)과 같이 설정함에 따라 밤 시간 대에 별이 보이는 밤 하늘 영상을 투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별을 보면서 잠에 들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또는, 제3 알림 설정 항목(1703)과 같이 설정함에 따라 주말에만 특정 영상을 투사하여 주말에는 특별한 분위기를 느끼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또는, 제4 알림 설정 항목(1704)과 같이 설정함에 따라 빔 프로젝터(200) 주변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로맨틱한 영상을 투사하여 사람이 있는 동안 특별한 분위기를 만드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first
또한, 각 알림 설정 항목들(1701 내지 1704)에 포함된 영상을 선택하여, 다른 영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included in each of the
또한, 위 예시 외에도 알림 설정 화면(1700)을 통해 다양한 위젯 화면을 투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빔 프로젝터(200)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홈 서버(Home Server)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위젯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various widget screens can be projected through the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설정된 알림이 동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빔 프로젝터(200)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는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위젯 화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위젯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또는, 빔 프로젝터(200)는 홈 서버로부터 세탁기의 동작 완료 신호 또는 밥솥과 같은 가전 제품의 동작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완료 알림 화면 및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리 완료 알림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set in the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 수신 신호를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는 수신된 전화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왔음을 이동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집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무음 또는 진동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전화가 온 줄 몰라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lternatively,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이처럼, 제어부(280)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9). The
제어부(280)는 카메라(220) 또는 센싱부(2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카메라(200)와 센싱부(240)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움직임 추적(motion tracking) 또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The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투사 영역 또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111).When the user's position or line of sight is detected, the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line of sight of the user will be described.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에 따른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age projection method according to a user's position or line of 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시선을 모두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투사 영역들 중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단계 S103에서 제1 투사 영역(1901)과 제2 투사 영역(1902)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시선이 우측 방향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80)는 제1 내지 제2 투사 영역들(1901, 1902) 중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제2 투사 영역(1902)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the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우측에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80)는 제1 내지 제2 투사 영역들(2001, 2002) 중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제2 투사 영역(2002)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1, the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200)가 사용자를 향해 투사하는 경우 제어부(280)는 사용자 형상에 대해서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몸 전체 형상 또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만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몸 전체 형상 또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얼굴 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21, when the
제어부(280)는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사용자 몸 전체 형상 또는 사용자 얼굴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만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사용자 몸 전체 형상 또는 사용자 얼굴 형상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이 어둡게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projecting an image, the
이를 통해, 사용자의 눈에 빛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ight from being projected onto the user's eyes.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시선이 감지되지 않으면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3).If the user's position or line of sight is not detected, the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115).Upon receiving the command to select the projection area, the
사용자는 영상을 어디에 투사할 지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where to project the image. The
다음으로 도 23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receiving the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8. Fig.
도 2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3 to 2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eiving a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투사 영역 선택 화면(2200)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 the
투사 영역 선택 화면(2200)은 영역 선택 항목(2210), 영역 조절 항목(2220) 및 제1 내지 제8 옵션 아이콘(2221 내지 2229)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jection
먼저,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영역 선택 항목(2210)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영역 선택 항목(2210)을 통해 어느 하나의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의 제어부(280)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투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영역 선택 항목(2210)에서 제1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역 선택 항목(2210)에서 제2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역 선택 항목(2210)에서 제3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역 선택 항목(2210)에서 제4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First, an
이처럼, 이동 단말기(100)가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투사 영역에 대한 정보를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는 수신된 투사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When the
사용자는 빔 프로젝터(200)를 직접 조절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영상을 투사할 투사 영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projection area for projecting the image throug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다음으로 도 25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영역 조절 항목(2220)을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영역 선택 항목(2210)을 이용하면 대략적인 투사 영역 밖에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영역 조절 항목(2220)은 투사 영역에서 영상이 투사되는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하는 항목이다.Next, the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영역 조절 항목(2220)을 통해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영역 조절 항목(2220)에 표시된 영상의 위치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영상 위치 이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위치 이동 명령을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의 제어부(280)는 수신된 영상 위치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의 투사 위치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빔 프로젝터(200)는 영상 위치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도 26(a)에 표시된 위치에서 도 26(b)에 표시된 위치로 영상의 투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the
사용자는 영상의 투사 위치를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좀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re finely adjust the projection position of the image throug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다음으로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투사 영상의 키스톤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keystone of the projected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to FIG.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조절 항목(2220)은 영역 조절 항목(2220)의 테두리 및 중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기준점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키스톤 조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영역 조절 항목(222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기준 점을 좌측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키스톤 조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키스톤 조절 명령을 빔 프로젝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의 제어부(280)는 수신된 키스톤 조절 명령에 기초하여 투사 영상의 키스톤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좌측 상단의 기준 점을 좌측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키스톤 조절 명령에 따라, 영상의 좌측 상단이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키스톤 조절 명령에 기초하여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투사하다가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7, the
앞에서 설명한 투사 영역 선택 명령, 영역 조절 선택 명령 및 키스톤 조절 명령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described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area adjustment selection command, and keystone adjustment command are merely illustrative.
다음으로, 제1 내지 제8 옵션 아이콘(2221 내지 2229)을 설명한다. 제1 옵션 아이콘(2221)은 투사 영상의 밝기를 높이는 항목일 수 있다. 제2 옵션 아이콘(2222)은 투사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항목일 수 있다. 제3 옵션 아이콘(2223)은 투사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4 옵션 아이콘(2224)은 영상이 원래 사이즈로 투사되도록 조절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5 옵션 아이콘(2225)은 투사 영상을 확대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6 옵션 아이콘(2226)은 투사 영상을 축소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7 옵션 아이콘(2227)은 투사 영상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항목일 수 있다. 제8 옵션 아이콘(2228)은 투사 영상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항목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8 옵션 아이콘(2221 내지 2229)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다른 옵션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Next, the first to
다시 도 5를 설명한다.5 is described again.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임의의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117).If the
다음으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임의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projecting an image to an arbitrary a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9 to 31. Fig.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의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9 to 3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in an arbitrar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80)는 단계 S103에서 획득한 투사 영역들 중 임의의 투사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The
또는, 제어부(280)는 투사 영역들 중 영상 투사 이력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구름 영상을 투사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상 투사 이력에 기초하여 구름 영상을 어느 영역에 투사했었는지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구름 영상을 천장 영역에 투사했던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영상 투사 이력에 기초하여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제어부(280)는 주위 공간 구조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주위 공간 구조에 기초하여 영상을 투사하기에 적절한 영역을 획득하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한, 빔 프로젝터(200)는 복수의 영상 투사부(251)를 포함하여 복수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복수의 영상을 투사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각각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 영역을 획득하여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80)는 투사할 영상의 크기를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투사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빔 프로젝터(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와 연결되어 다양한 동작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빔 프로젝터(200)로 전원 오프(off)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200)는 전송된 시간에 기초하여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상을 보다가 잠들었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laims (10)
영상 또는 패턴을 투사하는 투사부;
상기 투사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사 조절부; 및
상기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을 향해 상기 패턴을 상기 투사부가 투사하도록 상기 투사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투사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의 구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공간의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투사 영역에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In the beam projector,
A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r a pattern;
A projection adjusting unit adjusting a position of the proj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projection adjusting unit so that the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pattern toward a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analyzing a struc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based on the projected pattern;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t least one or more projection areas,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ject the image to one of the at least one or more projection areas,
Beam proje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사부에서 투사된 패턴의 모양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패턴의 모양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은 투사하기 부적절한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패턴의 모양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영역은 투사하기 적절한 영역으로 판단하는,
빔 프로젝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a shape change of the pattern projected by the projection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area where the shape change of the pattern is sensed is an inappropriate area for projection, Area,
Beam projector.
상기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주위 공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의 구조를 분석하는,
빔 프로젝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ambient space imag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Wherein the controller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beam projector is located based on the photographed ambient spatial image,
Beam projector.
상기 투사부는 영상 보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더 투사하고,
상기 카메라는 투사된 가이드라인을 더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사된 가이드라인과 상기 촬영된 가이드라인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상기 영상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영상과 함께 처리하여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The method of claim 3,
The projection unit further projects a guideline for image correction,
The camera further photographs the projected guideline,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alibration imag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projected guide line and the photographed guide line and processes the image together with the calibration image when projecting the image,
Beam proje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투사 영역에 상기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투사부를 제어하는,
빔 프로젝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the posi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photographed peripheral spatial image and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image in a projection area that is closer to the projection area than the position of the user among the at least one projection area.
Beam proje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주위 공간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사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투사 영역에 상기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투사부를 제어하는,
빔 프로젝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the user's gaze direc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ambient spatial image and controls the projector to project the image in the proj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among the at least one projection area,
Beam projector.
이동 단말기로부터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사 영역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투사 영역에 상기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투사부를 제어하는,
빔 프로젝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from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image in a proj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Beam projector.
상기 투사 영역 선택 명령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시뮬레이션 투사 영역을 드래그 앤 드랍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jection area selection command includes an instruction to drag and drop a simulation projection area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eam projector.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알림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될 알림 화면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상기 투사부가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빔 프로젝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et in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an image identical to a notification scree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Beam projector.
상기 무선 통신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영상의 투사를 종료하도록 상기 투사부를 제어하는,
빔 프로젝터.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a user's mo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ojection unit to terminate the projection of the image if motion of the user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ased o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Beam proj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880A KR101931788B1 (en) | 2016-06-30 | 2016-06-30 |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880A KR101931788B1 (en) | 2016-06-30 | 2016-06-30 |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269A true KR20180003269A (en) | 2018-01-09 |
KR101931788B1 KR101931788B1 (en) | 2018-12-21 |
Family
ID=6100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2880A KR101931788B1 (en) | 2016-06-30 | 2016-06-30 |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178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295B1 (en) * | 2019-02-11 | 2019-07-30 | 최혜주 | Shading facility with image output function |
KR102013072B1 (en) * | 2018-09-17 | 2019-08-22 | 이기용 | CCTV location notification and lo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intelligent image display device |
WO2020256188A1 (en) * | 2019-06-20 | 2020-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jection method and robot implementing same |
CN114603557A (en) * | 2022-03-09 | 2022-06-10 | 深圳鹏行智能研究有限公司 | Robot projection method and robot |
WO2023286931A1 (en) * | 2021-07-12 | 2023-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1991484B2 (en) | 2021-07-12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49271A1 (en) * | 2022-06-23 | 2023-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cropping and project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41119B2 (en) * | 2003-11-18 | 2006-02-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Projection adjustment system fo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
JP4429026B2 (en) * | 2004-01-13 | 2010-03-10 |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Projector having left and right projection direction automatic adjustment device |
JP4650256B2 (en) * | 2005-12-22 | 2011-03-1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
JP5224721B2 (en) * | 2007-05-15 | 2013-07-03 | 有限会社大平技研 | Video projection system |
US11250630B2 (en) * | 2014-11-18 | 2022-02-15 | Hallmark Cards, Incorporated | Immersive story creation |
-
2016
- 2016-06-30 KR KR1020160082880A patent/KR101931788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072B1 (en) * | 2018-09-17 | 2019-08-22 | 이기용 | CCTV location notification and lo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intelligent image display device |
KR102005295B1 (en) * | 2019-02-11 | 2019-07-30 | 최혜주 | Shading facility with image output function |
WO2020256188A1 (en) * | 2019-06-20 | 2020-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projection method and robot implementing same |
KR20200145642A (en) * | 2019-06-20 | 2020-12-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jecting image video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
US10893245B1 (en) | 2019-06-20 | 2021-01-1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rojecting image and robot implementing the same |
WO2023286931A1 (en) * | 2021-07-12 | 2023-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1991484B2 (en) | 2021-07-12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114603557A (en) * | 2022-03-09 | 2022-06-10 | 深圳鹏行智能研究有限公司 | Robot projection method and robot |
CN114603557B (en) * | 2022-03-09 | 2024-03-12 | 深圳鹏行智能研究有限公司 | Robot projection method and rob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1788B1 (en) | 2018-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1788B1 (en) | Beam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60150539A (en) |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60080253A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4764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27051A (en) | Mobi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each device | |
KR20180039529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7001355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1918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8965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9315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20517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4633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56182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90035414A (en) | Wireless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80018086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79660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749393B1 (en) |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dispaying method thereof | |
KR20180017944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70112527A (en) |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56582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60005416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3766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113301A (en) |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2015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2427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