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37U - Immersion heater - Google Patents

Immersion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37U
KR20180002837U KR2020170001489U KR20170001489U KR20180002837U KR 20180002837 U KR20180002837 U KR 20180002837U KR 2020170001489 U KR2020170001489 U KR 2020170001489U KR 20170001489 U KR20170001489 U KR 20170001489U KR 20180002837 U KR20180002837 U KR 20180002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iller
heating
heating ro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4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경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히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히터 filed Critical (주)케이디히터
Priority to KR2020170001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837U/en
Publication of KR20180002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3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삽입설치된 발열봉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제2충진재에 의해 물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수중히터가 공급하며, 제1충진재에 의해 발열봉이 몸체 내에 삽입설치되어도 제2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일정 간격을 갖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발열 온도의 비율이 고르게 하고, 이격판을 통해 다수의 몸체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 설치부재와 발열하는 몸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중히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는 관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설치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설치부재 내에 수용된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 외면과 상기 몸체 내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충진되는 제1충진재 및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되 일정시간 이후에 경화하여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된 상기 발열봉을 고정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수용된 물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충진재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각도조절이 용이한 플렉시블 형태로 이루어진 연장케이블 및 상기 연장케이블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발열봉의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heater provided with a highly reliable underwater heater by allowing water to be blocked by a second filler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heating rods inserted into a body, Even if the he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the filling material,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can be injecte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atio of the heating temperature discharged through the body is made uniform, To an underwater heater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blocking direct contact between an installation member and a heat-generating body.
To this end, the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ular body, a heating bar inserted into the body and provided to be able to generate heat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djust the temperature of water contain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A first filler filled in the body so a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a heating rod filled in the space and harden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o fix the heating rod inserted into the body, An extension cable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flexible shape that is easily adjustable in angle and a flexible cable dispos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cable,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Description

수중히터{Immersion heater}An immersion heater

본 고안은 수중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삽입설치된 발열봉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제2충진재에 의해 물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수중히터가 공급하며, 제1충진재에 의해 발열봉이 몸체 내에 삽입설치되어도 제2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일정 간격을 갖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발열 온도의 비율이 고르게 하고, 이격판을 통해 다수의 몸체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 설치부재와 발열하는 몸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중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heater provided with a highly reliable underwater heater by allowing water to be blocked by a second filler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heating rods inserted into a body, Even if the he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the filling material,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can be injecte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atio of the heating temperature discharged through the body is made uniform, To an underwater heater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blocking direct contact between an installation member and a heat-generating body.

일반적으로 활어가 생활하는 수조는 활어의 서식환경이 양질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수조가 설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하므로 수조 내의 물을 세팅된 범위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수중히터가 설치된다.Generally, the water tank in which the live fish live should maintain the water temperature constant so that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live fish can be maintained at a good quality. Sin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where the water tank is installed, An underwater heater is provided to keep the temperature within a range.

상기한 수중히터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5381호(2007.01.19)인 '수중히터와 히터커버' 및 도 2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542호(2004.04.10)인 '몰딩위에 밴딩이 있는 수중용 히터'인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관과, 이 발열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발열관의 형태는 요구되는 발열조건이나 수조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코일형태로 감겨져서 수조 내에 설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한 제어부와 연결되고, 이 발열관의 인접부에는 수온 및 발열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와 발열관 감지센서가 각각 설치된다.A general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underwater heater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submerged heater and the heater cover, which are shown in FIG. 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5381 (2007.19)) and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46542 A heating tube for generating hea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tube, as in the prior art, which is a submerged heater with a banding on the molding, The shape of the coil is wound into a coi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in a length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However, in the vicinity of the heating tube,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and a heating tube sensing sensor are installed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상기한 수온 및 발열관 감지센서들은 각각 수온과 발열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허용된 범위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한 발열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열을 감지하는 이미 잘 알려진 형태의 센싱부재들이 발열관이나 수조내의 물 또는 용액의 온도에 의해 자체 단락되면서 상기한 제어부를 통해 발열관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water temperature and heat pipe detection sensors are installed to sense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pipe, respectively,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 pipe when a temperature over the allowable range is sensed. For example, The sensing members of the well-known type are short-circui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the solution in the heating tube or the water tank,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tube through the control unit is cut off.

이때, 발열관 및 감지센서에는 전류 및 신호 전달을 위한 전원선과 센서선이 연결되는데, 상기 전원선 및 센서선이 삽입된 부위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중히터는 전원선 및 센서선이 삽입된 부위가 수면 위에 위치되어야 하는바, 활용도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선 및 센서선이 삽입된 부위를 실리콘이나 패킹으로 밀폐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실링방식으로는 전원선 및 센서선을 타고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a power line and a sensor line for current and signal transmission are connected to the heating tube and the sensing sensor, and water is introduced through a portion where the power line and the sensor line are inserted, hav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underwater heater, a portion where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or line are inserted must be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limit in utiliza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sealing a portion where a power line and a sensor line are inserted by using a silicone or a packing. However, in the proposed sealing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it.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신뢰도가 높은 수중히터를 제공함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히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heater with high reliability by blocking inflow of water and to provide an underwater heater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는 관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삽입설치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설치부재 내에 수용된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발열봉과, 상기 발열봉 외면과 상기 몸체 내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충진되는 제1충진재 및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되 일정시간 이후에 경화하여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된 상기 발열봉을 고정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수용된 물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충진재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각도조절이 용이한 플렉시블 형태로 이루어진 연장케이블 및 상기 연장케이블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발열봉의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water heater comprising: a tubular body; a heat sink installed in the body for generating heat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first filler filled in the body so a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ba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filler filled in the space, A second filler disposed on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flexible in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rod. It is.

또한 상기 몸체는 외경이 상기 몸체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설치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이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판은 상기 몸체가 관통삽입되는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형성되되 상기 몸체에 고정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body and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pacer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ody is inserted, Or may be fixed to the body or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제1충진재는 상기 제2충진재보다 먼저 상기 몸체에 주입되어 상기 발열봉 상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입자(粒子) 형태를 가지되 열전도율이 있는 모래 또는 마그네사이트(magnes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ller may be at least one of sand or magnesite having a particle shape and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such that the first filler is injected into the body before the second filler and inserted into the body, desirable.

또한 상기 제2충진재는 상기 몸체에 액상으로 주입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화하는 실리콘을 사용하되 상기 몸체 내부에 시간 차이를 두고 복수의 층으로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ller may be injected into the body in a liquid phase, and may be cur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using silicone, and may be cur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with a time difference within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의 외경에 비해 큰 지름의 내경을 갖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되, 이웃한 고리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두고 형성된 파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gripp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the gripping member having adjacent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삽입설치된 발열봉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제2충진재에 의해 물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수중히터가 공급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of water can be blocked by the second filling material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heating rod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so that the highly reliable underwater heater can be supplied.

또한 제1충진재에 의해 발열봉이 몸체 내에 삽입설치되어도 제2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일정 간격을 갖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발열 온도의 비율이 고른 수중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even if the he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body by the first filling material,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can be injecte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providing an underwater heater having a uniform ratio of the heating temperature discharged through the body .

또한 이격판을 통해 다수의 몸체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 설치부재와 발열하는 몸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nderwater heater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blocking direct contact between an installation member and a heat-generating body, as well as providing a plurality of bodies through a spacing plat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중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몸체 및 발열봉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이격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제1 및 제2충진재가 몸체에 충진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과열방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파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바이메탈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underwater heater.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ody and a heating bar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parating plate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illers of the underwater heater are filled in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verheat prevention unit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use state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gripping member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bimetal switch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heater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100)는 크게 몸체(110), 발열봉(120), 제1충진재(130)와, 제2충진재(140)와, 연장케이블(310) 및 온도조절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underwater hea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heat generating rod 120, a first filler 130, a second filler 140, (31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320).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제1충진재(130)를 주입하여 몸체(110) 내부에 공간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5)에 발열봉(120)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공간부(115)에 시간 차이를 두고 복수의 층으로 경화될 수 있는 제2충진재(140)가 주입되어 발열봉(120)이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봉(120)의 열기가 몸체(110) 외부로 전달되어 설치부재(20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body 110 has a space 115 formed therein by injecting a first filler 130 into the body 110 and a heating rod 120 inserted into the space 115, A second filler material 140 which can be cur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with a time difference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unit 120 so that the heating unit 120 can be fixed to the body 110. As a result, The heat of the heating rod 12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member 200 can be controlled.

이때,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설치부재(200)는 예컨대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활어(活魚)가 담기는 수조를 예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산업용 또는 공업용으로 물의 수온 조절이 필요한 용도의 것을 의미하는 것에 유의한다.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member 200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water tank containing live fish (live fish) used for ornamental use or edible use, but this is merely one example, Note that this means that the use is necessary.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수용된 설치부재(200) 내에 제1 및 제2충진재(130,140)에 의해 몸체(110) 내에서 고정된 발열봉(120)이 잠기도록 설치되며, 그 열기를 외부로 전달하여 수온을 올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의 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4, the body 110 may include a heating rod 120 fixed in the body 110 by the first and second filling materials 130 and 140 in the water-containing mounting member 200, Is installed so as to be submerged, and is formed to transmit the heat to the outside to raise the water temperature, and has a cylindrical or prismatic pipe shape with an open bottom.

몸체(110)는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발열봉(120)이 발열시에 그 열기가 몸체(110)에 전도되어 수온을 높일 수 있는 금속재질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이격판(111)이 몸체(110) 외면에 구비되어 발열봉(120)의 열기를 전달하는 몸체(110) 외면과 설치부재(20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The body 1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increasing the water temperature when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s transmitted to the body 110 when the body 110 generates he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which transmits the heat of the heating rod 120, is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mounting member 200,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즉, 설치부재(200) 내에 수용된 물의 양에 따라 발열봉(120)은 수십 또는 수백℃의 온도로 발열하게 되는데, 이 발열 온도는 대부분 몸체(110)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어 몸체(110)와 설치부재(200) 간에 직접적인 접촉이 있을 시에 설치부재(200)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곧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격판(111)을 몸체(110) 외면에 구비하여 상기 몸체(110) 외면과 설치부재(200) 간에 직접적인 접촉을 기피하도록 함으로써, 발열 온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 참조)That is,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mounting member 200, the heat generating bar 120 generates heat at a temperature of several tens or hundreds of degrees Celsiu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body 1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stallation member 200 may be damaged when there is direct contact between the members 200, which leads to safety accidents. As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ing plate 111 having a rectangular or circular plate shap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avoid direct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mounting member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emperature. (See Fig. 9)

아울러 이격판(111)은 열전도율은 낮으나 열에는 강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설치부재(200) 내에 수용된 물의 흐름이 존재할 시에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그 물의 흐름에도 수중히터(10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되 물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으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이격판(111)에는 몸체(110) 외면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3)이 천공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3)은 이격판(111)에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몸체(110)가 삽입설치되도록 하여 수온 상승에 대한 시간적 이득을 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참조)In addition, when the separating plate 111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but is made of a strong material for heat, and when a flow of water contained in the mounting member 200 exists, the separating plate 111 is formed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underwater heater 100 can not move to the flow of the water If there is no flow of water, it is formed into a disc shape. The through hole 113 is formed in the separating plate 111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3. The through hole 113 is formed in the separating plate 111, It is desirable to insert the water into the water tank so as to view the time gain for the water temperature rise. (See Fig. 5)

나아가 이격판(1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외면에 용접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의해 몸체(110)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6 참조)Further, the separating plate 111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welding or the like, bu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as required. 6)

그리고, 상기 발열봉(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속이 빈 몸체(110)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하부에 형성된 리드선(121)이 전원케이블(P/W)과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리드선(121)은 몸체(110) 내부에서 경화하는 제2충진재(140)에 의해 덮일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P/W)과 연결되어 수중에 설치시에 물에 의한 합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커버(117)에 의해 리드선(121)과 전원케이블(P/W) 간의 연결부위가 물로부터 차단되어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nd 4, the heating bar 1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110 and the lead wire 121 formed on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P / W, so that heat can be gener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t this time, the lead wire 121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P / W so as to be covered by the second filler 140 cured in the body 110, so that short-circuit due to water can be prevented However, if necessar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ead wire 121 and the power cable P / W is blocked by water by the cover 117 so that short-circuiting can be prevented.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발열봉(120)은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코일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히터관이나 열선 등이 몸체(110) 내에 삽입설치되어 발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heating rod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bar shape, this is merely one embodiment, and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ing rod 120 may have a coil shape or a U-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heat exchanger into the body 110 to generate heat.

나아가 전원케이블(P/W) 또는 발열봉(120)과 전원케이블(P/W) 사이에는 과열방지부(15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열방지부(150)는 온도센서(151)를 포함한다.Further, an overheat preventing part 15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ower cable P / W or the heat generating rod 120 and the power cable P / W. The overheating preventing part 15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51, .

예컨대 과열방지부(150)는 발열봉(120) 또는 상기 발열봉(120)에 의해 가열되는 몸체(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가 과열을 판단하는 기준온도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발열봉(12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발열봉(120)의 가열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과열방지부(150)는 퓨즈(미도시) 등에 의해 발열봉(120)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며, 온도센서(151)는 외면이 발열봉(120) 외면과 접하도록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2충진재(140)에 의해 경화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외면과 면 접촉하도록 이격판(111)에 고정설치되어 그 감지값을 과열방지부(15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bar 120 or a temperature sensor 151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body 110 heated by the heating bar 120, The heating rod 12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to cut off the heating of the heating rod 120. In this case, At this time, the overheat prevention unit 150 can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bar 120 by a fuse (not shown) or the like, and the temperature sensor 151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bar 120 (110) to be cured by the second filler (140), or may be fixed to the separating plate (111)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50).

그리고, 상기 발열봉(120)의 선단에 구비되는 리드선(121)과 전원케이블(P/W)사이에는 온도에 따라 휘는 정도가 다른 바이메탈 스위치(170)가 더 구비되어 발열봉(120)의 온도가 기준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170)는 전원케이블(P/W)과 리드선(121)사이에 배치되어 평상시 인가된 전원을 리드선(121)을 통해 전달하고, 발열봉(120)의 온도가 과열되어 몸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그 열이 전달되는 경우에 리드선(121)과 맞닿은 접점 부분이 리드선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도 11 참조)The bimetal switch 17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ad wire 121 provided at the tip of the heating rod 120 and the power cable P /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s overheated by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bimetal switch 170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cable P / W and the lead wire 121 to transmit a normally-applied power through the lead wire 121.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s overheat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heat is transmitted,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lead wire 121 is disconnected from the lead wir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ee Fig. 11). (See Fig. 11)

그리고, 상기 제1충진재(130)는 몸체(110) 내부에 발열봉(120)을 삽입설치시에 몸체(110) 내면과 발열봉(120) 외면 사이에 제2충진재(140)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115)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filler 130 may be filled with a second filler 140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bar 120 when the heat bar 1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To form a space portion 115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제1충진재(130)는 열전도율이 있는 모래 또는 마그네사이트(magnes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는 발열봉(120) 상부가 제1 충진재(13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입자(粒子) 형태를 갖는다. 이때,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는 발열봉(120)은 상기 몸체(110) 내부에 동일한 간격을 갖는 공간부(115)를 형성하여 상기 발열봉(120)의 열기가 몸체(110) 외부로 균일한 온도를 갖게 발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참조)The first filler 130 is made of at least one of sand or magnesite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bar 120 inserted into the body 11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filler 130 (Particle) shape so as to be supported.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nserted into the body 110 forms a space 115 having an equal space in the body 110 so that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It is preferable that heat can be generated to have a uniform temperature. (See Fig. 7a)

그리고, 상기 제2충진재(140)는 공간부(115)가 형성된 몸체(110) 내부에 주입 및 경화하여 상기 몸체(110) 내에 삽입설치된 발열봉(120)을 고정하는 것은 물론, 물이 수용된 설치부재(200) 내부에 잠길 시에 몸체(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cond filling material 140 is injected and cured into the body 110 where the space 115 is formed to fix the heating rod 120 inserted into the body 110, And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dy 110 when the member 200 is locked.

제2충진재(140)는 액상으로 공간부(115)에 주입되어 소정시간의 경과 후, 경화하는 실리콘(silicon)이 사용되며, 주입되는 실리콘은 공간부(115) 전체구간(Z)에 걸쳐 시간차이를 두고 나뉘어 주입시켜 공간부(115) 내에서 실리콘이 채워진 상태로 경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실리콘은 경화시에 수축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축작용은 경화한 실리콘과 몸체(110) 내면 사이에 틈을 형성하게 되어 수중에 설치시에 물의 유입으로 합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15) 전체구간(Z)에 충진되는 실리콘이 시간차를 두고 나뉘어 주입될 수 있게 적어도 둘 이상의 주입제한구역(Z1,Z2,Z3,Z4)을 임의로 설정하고, 먼저 주입제한구역(Z1)에 충진된 실리콘이 경화한 이후에 다른 주입제한구역(Z2)에 실리콘이 순차적으로 충진될 수 있게 수회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복수의 경화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축작용에 의한 실리콘과 몸체(110) 내면과의 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b 및 c참조)The second filling material 140 is injected into the space portion 115 in a liquid phase and then cur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ilicon is injected into the space portion 115 over the entire section Z So that the silicon can be cured in the space 115 in the filled state. That is, a shrinking action occurs at the time of curing of the silicone, and this shrinking action forms a gap between the cured silicon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short-circuit due to inflow of wate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 Z2, Z3, and Z4 so that the silicon filled in the entire section Z of the space section 115 can be injected separately with a time difference, as shown in the drawing, First, after the silicon filled in the injection restricting zone Z1 is hardened, the plurality of hardened layers are formed by repeatedly performing several times so that the silicon can be sequentially filled in the other injection restricting zone Z2, The gap between the silic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can be prevented. (See Figs. 7B and 7C)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주입제한구역은 일 예로 4개로 나누어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주입제한구역이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jection restricting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four, for example, it is only one embodiment, and at least two injection restricting areas are possible.

한편, 상기 몸체(110)는 설치부재(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배치된 몸체(110)이외에 추가로 몸체(110)를 배치하는 경우 각각의 몸체(110)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의 몸체(110)가 인접한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몸체(110)가 배치된 위치의 온도는 높고 상대적으로 몸체가 배치되지 않은 위치의 온도는 낮은 문제점이 있고, 종래에 몸체(110)를 옮기는 과정에서는 몸체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몸체와 연결된 전원선을 파지하여 옮김으로써 몸체(110)의 하중이 발열봉(120)과 리드선(121)의 접합부위 또는 리드선(121)과 전원케이블(P/W)의 접합부위로 전달되어 상기 접합부위가 단선 또는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동시에 몸체(110)와 전원케이블(P/W)을 감싸서 수밀성을 유지하는 커버(117)로부터 전원케이블(P/W) 또는 몸체(110)가 이탈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when the body 110 is further disposed in addition to the body 110 where the body 110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body 110 is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200, the body 110 may be prevented from overlapping This is because when the plurality of bodies 1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temperature at the position where the body 110 is disposed is high and the temperature at a position where the body is not relatively positioned is low. The load of the body 110 is transferred to the joint between the heating rod 120 and the lead wire 121 or between the lead wire 121 and the power source 121.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cable (P / W)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ble (P / W) and the connection part is disconnected or short-circuited. At the same time, (P / W) or body 1 10), the leakage occur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11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몸체(110)를 작업자가 직접파지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재(160)가 더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ip member 160 that allows an operator to grasp the body 110 directly or with a separate tool even when the body 110 is powered.

상기 파지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되 내주면이 몸체(110)의 외주면과 상호 이격된 거리를 두고 배치되도록 내경이 몸체(110)의 외경에 비해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10, the gripping member 16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ripping member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

즉, 상기 파지부재(160)는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인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경이 몸체(110)의 외경에 비해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웃한 고리는 상호 이격된 위치를 두고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파지부재(160)는 몸체(1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몸체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몸체(110)에서 발생한 열은 고리와 고리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설치부재(200)의 수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grip member 160 has a continuous ring shape from the tip to the rear end, and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and the neighboring rings are form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ccordingly, the gripping member 16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body 110, minimizing the transfer of heat generated from the body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generated in the body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ing and the r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member 200 can be increased.

한편,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파지부재(160)가 연속적인 고리 형태, 즉 통상의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각각 독립된 형태의 환형 고리(161)가 배치되되 각각의 환형 고리(161)에는 연결봉(163)이 결합하는 끼움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62)은 연결봉(163)의 결합되는 끼움부(162a)와 상기 끼움부(162a)에서 연장 형성되되 끼움부(162a)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탄성부(16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10의 하단 확대원안 참조)In the meantime, although it has been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gripping member 160 is formed as a continuous annular shape, that is, in the form of a normal spring, it is an embodiment, and each of the annular rings 161 The fitting hole 162 is formed in the annular ring 161 of the coupling part 163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rod 163. The fitting groove 162 is formed in the fitting part 162a to which the connecting rod 163 is coupled and the fitting part 162a And a pair of elastic portions 162b that are extended and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fitting portion 162a.

상기 환형 고리(161)는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두고 배치되되 중앙에 몸체(110)가 관통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내경은 몸체(110)의 외경에 비해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환형 고리(161)와 몸체(110)가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한다.A plurality of the annular rings 1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body 110 is inser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So that the annular ring 161 and the body 110 are prevente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끼움홈(162)은 환형 고리(161)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162a)는 연결봉(163)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봉(163)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162b)는 연결봉(163)이 끼움부(162a)에 결합시에 가압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후 연결봉(163)이 통과 후 자체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연결봉(163)이 끼움부(16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끼움홈(162)은 전체적으로 대략 말굽 형태를 이루되 양측 말단부가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groove 162 is formed in the rim of the annular ring 161, and at least one pair of the fitting groove 162 is disposed in a mutually symmetric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16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rod 163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63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63. The elastic portion 162b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rod 163 The connecting rod 16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its own elasticity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163 to prevent the connecting rod 16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tting portion 162a. That is, the fitting grooves 162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horseshoe shape as a whole, and both end portions protrude toward the center to have elasticity.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160)를 몸체(110)에 결합할 때 상기 이격판(111)을 상호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을 배치한 뒤 파지부재(160)를 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파지부재(160)가 몸체(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gripping members 160 are coupled to the body 110, a pair of the separating plates 111 are dispos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the gripping members 160 are disposed therebetween, Is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body 110.

상기 파지부재(160)를 통해 작업자가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몸체(110)를 파지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설치부재의 수온을 낮추지 않으면서도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이때 발열봉(120)과 리드선(121)의 접합부위 또는 리드선(121)과 전원케이블(P/W)의 접합부위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몸체를 이동시킬 때 전원케이블만을 파지하여 옮김으로써 몸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전원케이블(P/W) 또는 몸체(110)가 커버(1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operator can grasp the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grasping member 160 and change the position thereof so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without lower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joint portion of the power cable 121 or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lead wire 121 and the power cable P / W,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body is moved, The power cable (P / W) or the body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ver 117 to maintain watertightness.

본 고안의 연장케이블(310)은 몸체(1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설치부재(2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장케이블(31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전원케이블(P/W)이 배치된다.The extension cable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and can be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installation member 200. The extension cable 310 is flexible And a power cable (P / W) is disposed therein.

이때, 연장케이블(310)의 선단부는 상기 커버(117)의 내측에 배치되어 수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장케이블(310)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온도조절부(320)에 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전원케이블(P/W)이 온도조절부(320)와 연결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cable 310 is disposed inside the cover 117 to maintain watertightness. Further,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cable 310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ower cable P / W disposed therein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연장케이블(310)은, 몸체(110)의 후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연장케이블(310)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플렉시블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치 공간이 'ㄱ', 'ㄷ, 'S' 자 형태 등으로 이루어져도 적응이 가능하다.(도 13참조)The extension cable 31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so as to be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That is, since the extension cable 310 is formed in a flexible form in which the angle of the extension cable 310 is freely adjusted, it is adaptable even if th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of 'a', 'c', 'S' Reference)

한편, 상기 연장케이블(31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일측의 연장케이블이 타측의 연장케이블 내측으로 출입하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출입하는 부위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별도의 수밀캡(31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하부원안 참조)The extension cable 31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ables, and one extension cable may be formed in a telescopic form in and out of the extension cable at the other end. At this time, a separate watertight cap 311 (Refer to the lower original of Fig. 13).

상기 온도조절부(320)는, 상기 온도센서(151)를 통해 감지된 발열봉(120)의 온도 또는 설치부재(200) 내부의 온도에 따라 발열봉(1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장케이블(310)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321)과, 작동상황을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램프(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mperature regulator 320 i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d 1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d 120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51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unting member 200, A dial 321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cable 31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a lamp 322 for visually recognizing the operation status.

상기 온도조절부(320)는, 온도센서(151)를 통해 감지된 온도를 상기 램프(322) 또는 디스플레이(323)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얼(321)을 조작하여 적정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설치부재(200) 내부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regulator 320 can confirm the temperature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51 through the lamp 322 or the display 323 and can set the proper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dial 321, The temperature inside the member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heated.

나아가, 상기 온도조절부(320)는 다이얼(321)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 이외에 내부에 온도조절회로(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되어 발열봉(120)의 온도를 정해진 범위 내의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회로는 상술한 과열방지부(150)로 대치할 수 있으며, 과열방지부(150)가 온도조절부(320)의 내부에 일체로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temperature regulator 32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circuit (not shown) inside the dial 321 to manual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d 12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It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control circuit may be replaced with the overheating preventing unit 150, and the overheating preventing unit 150 may be integrally dispos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ling unit 320. [

상기 램프(322)는 적어도 2이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단색 LED가 복수개 배열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lamp 322 includes at least two LEDs capable of expressing at least two colors.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single-color LED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may be arrang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110) 내부에 삽입설치된 발열봉(120)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제2충진재(140)에 의해 물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수중히터(100)가 공급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The underwater hea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the inflow of water by the second filler 140 having the heating bar 120 inserted in the body 11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underwater heater 100 with high reliability can be supplied.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1충진재(130)에 의해 발열봉(120)이 몸체(110) 내에 삽입설치되어도 제2충진재(140)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부(115)가 일전 간격을 갖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를 통해 배출되는 발열 온도의 비율이 고른 수중히터(10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space portion 115 in which the second filler 140 can be injected is formed to have a gap of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if the heat generating rod 1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by the first filler 13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nderwater heater 100 with a uniform ratio of heat output through the body 110.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격판(111)을 통해 다수의 몸체(110)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 설치부재(200)와 발열하는 몸체(11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odies 11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late 111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one,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member 200 and the heating body 11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nderwater heater.

또한, 몸체의 내부에 발열봉이 배치됨으로서 물과 직접 접촉에 의해 발열봉에 녹이 발생하거나 발열봉과 직접 맞닿은 설치부재의 내부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eating bar is disposed inside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ing bar from being rusted by direct contact with water, or the inside of the mounting member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ba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rned.

또한, 연장케이블을 통해 온도조절부가 설치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 협소하거나 굴곡진 위치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temperature adjust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member through the extension cabl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or curved position.

나아가, 상기 파지부재에 의해 발열봉이 내부에 배치된 몸체가 설치부재의 내주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히터걸이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body,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eating bar by the gripp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heater hanger is not necessary.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110) 내부에 상호 다른 온도로 발열되는 복수의 발열봉(120a)(120b)이 구비되고 인접한 발열봉(120a)(120b) 사이에 온도변화에 따라 일단이 발열봉에 맞닿거나 떨어지면서 일측의 발열봉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바이메탈 절환부(180)가 구비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which generate heat at mutually different temperatures, are provided in the body 110, and the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are heated And a bimetal switch 180 for supplying or blocking electricity to one side of the heat generating ro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r falling off from the heat generating rod.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10)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발열봉(120a)(120b)이 배치되되, 상기 발열봉(120a)(120b)은 각각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최대 온도가 상호 다른 온도로 발열되게 이루어진다.12,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ody 110. The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o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is gen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즉, 일예로서 어느 일측의 발열봉(120a)의 적정 발열온도가 60℃ 일때 타측의 발열봉(120b)의 적정 발열온도는 100℃로 발열되는 것으로, 설치부재(200)의 내부 온도를 양측 발열봉의 적정 발열온도값의 평균값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proper heat generating temperature of one of the heat generating rods 120a is 60 占 폚, the proper heat generating temperature of the other heat generating rods 120b is 100 占 폚,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t the average value of the appropriate heating temperature values of the rods.

이때, 적정 발열온도값이란 발열봉이 발열시 과열되지 않는 범위의 온도를 지칭하며 이는 다양한 환경(설치부재의 면적, 설치부재에 수용된 물의 양, 수용된 물의 필요한 온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적정 발열온도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oper heating temperature value refers to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heating rod does not overheat upon heating, which can be controlled by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the area of the mounting member,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member, The above-mentioned appropriate heat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바이메탈 절환부(180)는, 인접한 발열봉(120a)(120b)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어느 일측의 발열봉(120a)의 리드선(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발열봉(120b)의 리드선(121)에 접하도록 배치된다.The bimetal switch 180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lead wire 121 of one of the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t generating rods 120b And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121.

이때, 고정되는 일단은 인접한 발열봉(120a)(120b) 중 적정 발열온도가 타 발열봉(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발열봉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xed ends is fixed to the heat generating bar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heat generating rods 120a among the adjacent heat generating rods 120a and 120b.

즉, 상기 바이메탈 절환부(180)는 온도변화에 따라 휘어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접한 발열봉(120a)(120b) 중 적정 발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발열봉(120a)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적정 발열온도가 높게 형성된 타측의 발열봉(120b)을 발열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bimetal selector 180 includes a bimetal that is bent or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response to a temperature change. The bimetal selector 180 includes a heating bar 120a having a relatively low heating temperature, The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other heat-generating rod 120b whose one end is fixed and the relative heat-generating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이를 통해 설치부재(2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급격하게 높아지거나 반대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몸체(110)의 온도가 과열되는 경우 발열봉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ody 110 is overhea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rod is shut off to overheat the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the accident.

도 12에 도시된 바로는 배치되는 발열봉이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더 배치될 수 있다.12, a pair of heat generating rod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disposed, but this is an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ods may be disposed as needed.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본 고안에 따른 수중히터
110: 몸체 111: 이격판
113: 관통공 115: 공간부
117: 커버 120: 발열봉
121: 리드선 130: 제1충진재
140: 제2충진재 150: 과열방지부
151: 온도센서 160: 파지부재
161: 환형고리 162: 끼움홈
162a: 끼움부 162b: 탄성부
163: 연결봉 170: 바이메탈스위치
180: 바이메탈절환부 200: 설치부재
310 : 연장케이블 320 : 온도조절부
Z: 전체구간 Z1,Z2,Z3: 주입제한구역
100: Under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111:
113: through hole 115:
117: Cover 120:
121: lead wire 130: first filler
140: second filler 150: overheat prevention part
151: Temperature sensor 160:
161: annular ring 162: fitting groove
162a: fit portion 162b:
163: connecting rod 170: bimetal switch
180: bimetal switch part 200: installation member
310: extension cable 320: temperature control unit
Z: Whole section Z1, Z2, Z3: Injection restricted zone

Claims (5)

관 형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삽입설치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설치부재(20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발열봉(120);
상기 발열봉(120) 외면과 상기 몸체(110) 내면 사이에 공간부(11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에 충진되는 제1충진재(130);와,
상기 공간부(115)에 충진되되 일정시간 이후에 경화하여 상기 몸체(110) 내에 삽입된 상기 발열봉(120)을 고정하고, 상기 설치부재(2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충진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각도조절이 용이한 플렉시블 형태로 이루어진 연장케이블(310); 및
상기 연장케이블(31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발열봉(120)의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히터.
A tubular body 110;
A heating rod 120 inserted into the body 110 and provided to be able to generate heat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contained in the mounting member 200;
A first filler 130 filled in the body 110 to form a space 115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rod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heating rod 120 is filled in the space 115 and harden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fix the heating rod 120 inserted into the body 110 and water contained in the mounting member 200 flows into the body 110 A second filler 140 that blocks entry of the second filler 140,
An extension cable 310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body 110 and having a flexible shape for easy adjustment of the angle; And
And a temperature regulator (3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cable (310) and controlling a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d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외경이 상기 몸체(110)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가 상기 설치부재(2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이격판(111)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판(111)은 상기 몸체(110)가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천공형성되되 상기 몸체(110)에 고정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110)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히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dy (110)
And a separator plate 11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to prevent the body 11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attachment member 200,
At least one through hole 113 through which the body 1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pacing plate 111 and is fixed to the body 110 o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the water heater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진재(130)는
상기 제2충진재(140)보다 먼저 상기 몸체(110)에 인입되어 상기 발열봉(120) 상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입자(粒子) 형태를 가지되 열전도율이 있는 모래 또는 마그네사이트(magnes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히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ler (130)
At least one of sand or magnesite having a particle shape and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110 before the second filler 140 and insert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rod 120 And the water heater is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진재(140)는
상기 몸체(110)에 액상으로 주입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화하는 실리콘을 사용하되 상기 몸체(110) 내부에 시간 차이를 두고 복수의 층으로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히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iller material (140)
Wherein the silicone is injected into the body (110) in a liquid state and cu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harden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with a time difference within the body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몸체(110)의 외경에 비해 큰 지름의 내경을 갖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웃한 고리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두고 형성된 파지부재(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히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dy (110)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member (160)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the gripping member (160) having adjacent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KR2020170001489U 2017-03-23 2017-03-23 Immersion heater KR2018000283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89U KR20180002837U (en) 2017-03-23 2017-03-23 Immersion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89U KR20180002837U (en) 2017-03-23 2017-03-23 Immersion 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37U true KR20180002837U (en) 2018-10-04

Family

ID=638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489U KR20180002837U (en) 2017-03-23 2017-03-23 Immersion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83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902B1 (en) Water heater
KR101233284B1 (en) Portable immersion heaters with a fire prevention function
RU2018130656A (en) AEROSOL-GENERATED PRODUCT HAVING A LOT OF FUSES
US10717416B2 (en) Washer fluid heating device
JP2005132087A (en) Injection molding nozzle equipped with embedded type heater and detachable heater
KR20180002837U (en) Immersion heater
ES2640642T3 (en) Method to connect plastic pipes and a structure to connect them
KR200485309Y1 (en) Immersion heater
JP2005044740A (en) Under-liquid heater with built-in low-liquid heating sensor
JP5730801B2 (en) Underwater heater
KR20170003216U (en) Immersion heater
KR100707965B1 (en) A structure of warm water pipe have a safety device
JPH09121717A (en) Heater for water tank and attachment tool for preventing overheat
JP4162634B2 (en) Permanent equipment
KR200485310Y1 (en) Immersion heater
JP2020518995A5 (en)
KR101496611B1 (en) Electric heat cable having a bimetal thermal switch
JP3843220B2 (en) Cartridge heater with thermal fuse
KR200168695Y1 (en) The heater protector
JP2004270954A (en) Fluid heating device
KR100722680B1 (en) Heater fo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injection mold and the manufactuering method thereof
US1124548A (en) Electric heating attachment for radiators.
KR100385648B1 (en) Safety device of heater for an aquarium
KR102117105B1 (en) Portable immersion heaters
KR101912656B1 (en) Submersible type indirect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