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04U - Side mirro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ide mirro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04U
KR20180002804U KR2020170001313U KR20170001313U KR20180002804U KR 20180002804 U KR20180002804 U KR 20180002804U KR 2020170001313 U KR2020170001313 U KR 2020170001313U KR 20170001313 U KR20170001313 U KR 20170001313U KR 20180002804 U KR20180002804 U KR 201800028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in body
suction hole
outside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충호
한필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2020170001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804U/en
Publication of KR20180002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0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러를 지지하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을 형성하고, 자동차가 주행함에 따라 이 흡입 구멍을 통해 들어온 외기가 미러에 달라붙은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악천후에서 주행할 때도 충분하게 후방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한 흡입 구멍 주변에 가이드를 더 형성하고, 가이드가 외기를 미러의 반사 면에 부딪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물방울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흡입 구멍을 슬롯 형태로 길게 본체 상부에 형성하므로, 본체로 외기가 반사 면에 넓게 퍼지게 하면서도 제거된 물방울이 중력을 받아 바로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물방울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mirror, and as the automobile travels, the outside air entering through the suction hol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move water droplets sticking to the mirror, So that the rear view can be secured and the safe operation can be performed.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guide is configured to guide the outside air to hit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so that the water drop removing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slot, the water drops can be dropped downward by gravity while the outside air spreads widely on the reflection surface, thereby enhancing the water drop removal effect.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SIDE MIRROR FOR VEHICLE}SIDE MIRRO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러를 지지하는 본체에 흡입 구멍을 형성하고, 자동차가 주행할 때 외기가 이 흡입 구멍을 통해 본체 안으로 들어와서 미러의 반사 면을 향하게 구성하므로, 빗물이나 눈 그리고 이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rror for a vehicle, which has a suction hole formed in a main body for supporting a mirror and allows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hole when the automobile trave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ove rainwater, snow, and foreign matter, thereby enabling safe opera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자동차 문에 장착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운전자가 자동차 뒤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반사경을 말한다. 이에,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A side mirror for a car is a mirror that is attached to a car door so that a driver can easily see the situation that occurs behind the car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thereby enabling safe driving.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to 3 to assist in safe driving.

(특허문헌 1) (Patent Document 1) 한국등록실용Korea Registration Practice 제0478052호 No. 0478052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이드미러의 표면에 차선변경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안전영역과, 차선변경 불가를 알리는 경고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수단을 가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를 제공하여 운전미숙자가 차선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hav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safety zone indicating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on a surface of a side mirror and a warning line indicating that a lane change is impossible, Mirror is provide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change the lane.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660635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660635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프런트 도어에 각각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미러각도조절부와, 상기 케이싱 내면 타측에 설치되는 미러회동부와, 상기 미러각도조절부와 미러회동부에 상호 연결설치되어, 미러각도조절부와 미러회동부에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미러로 구성되며, 상기 미러각도조절부는 케이싱 내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축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일측면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가 일측면에 연결형성되고, 타측면으로 미러 일측이 삽입설치되기 위해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 케이싱 내면 일측에 미러각도조절부를 설치하고, 내면 타측에 미러회동부를 설치하되, 상기 미러각도조절부와 미러회동부에 일면은 평경, 타면은 곡경을 가진 미러를 연결설치하여 상호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 사각지대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미러를 회동함으로, 평경과 곡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시야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확보하여 용이하게 주차하거나 자동차를 후진하는데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상황을 주시하면서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측 지시등과 상호 연동하게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가 운행시에.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A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casing provided on a front door of a vehicle; a mirror angle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inner surface; a mirror turn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inner surface; The mirror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inner surface, and a mirror motor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shaft, And a coupling member including a rod and a rotary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d, the insertion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the mirror angle adjust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casings, and the mirror tur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A mirror having a plain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is connected to the mirror angle adjusting portion and the mirror turning portion, Since the driver can secure a wide field of vision by preventing mutua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the blind spot and at the same time, by selecting the plane and the curvature by rotating the mirror,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the vehicle while watching the situation more safely.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mirror can be adjusted so as to interact with the left and right indicator lamps,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operated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99021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699021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시계를 확인하는 사이드미러의 기본기능을 유지하면서 일부가 자동차 내부로 인입되어 고속주행시 공기의 흐름을 개선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되, 프론트도어를 기준으로 일부가 자동차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장착된 캡슐과, 반사면이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캡슐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면을 통해 빛을 반사시켜 자동차의 후방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모양을 비추는 미러; 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은 후면부가 자동차의 전방측으로 곡선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도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상기 프론트필러의 내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캡슐형 사이드미러를 제공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sule type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air resistance by improving the flow of air during high- To a capsule side mirror of an automobile which can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To this end, a capsule having a streamlined structure an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frame or the inside of the front pillar, wherein the capsul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utomobile with respect to the front door, A mirr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sule and reflecting the light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to illuminate the shap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automobile; Wherein the capsule has a body whose rear portion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and which is mounted inside the front door frame or inside the front pillar and in which the mirror is mounted, And a transparen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하지만, 기존 사이드미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existing side mirror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화창한 날씨처럼 사이드미러를 통해 자동차의 후방 시야를 잘 확보할 수 있을 때는 상관이 없으나,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릴 때처럼 주행 중 후방 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1) It does not matter when the rear view of the car can be secured well by the side mirror like in the sunny weather, but there is a case that the rear view field can not be secured sufficiently while driving as in the case of rain or snow.

(2) 이처럼 주행 중 후방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고 운전할 때는 방향 전환을 할 때 다른 자동차와 추돌이나 충돌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한 후방 시야에 신경을 쓰면 전방 시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If the rear view is not secured during driving, when driving,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collision with another car and a collision when turning. Also, if the driver is concerned about the rear view through the side mirror, it can also affect the front view.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빗방울이나 눈 등이 표면에 잘 달라붙지 않거나 흘러내리게 하는 미러를 사용하거나, 미러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게 하는 제거제 등을 발라야 한다.(3) To solve this problem, use a mirror that does not stick to the surface of the raindrops or eyes and flow down, or remove the remover to prevent the mirror from getting water droplets.

(4) 이에, 이처럼 고가의 미러를 적용함에 따른 비용 상승의 문제가 생기거나, 제거제를 미러에 발라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제거제를 바르는 것을 잊어버리면 눈이나 비가 올 때 후방 주행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다시 생기기도 한다.(4) Thus, there is a problem of cost increase due to the application of such an expensive mirror, or it is troublesome to apply the remover to the mirror. In particular, if you forgot to apply a scavenger, you may get a problem that you can not ensure rear-drive safety when snow or rain.

한국등록실용 제0478052호 (등록일 : 2015.08.13)Korean Registration Practical Usage No. 0478052 (Registered on Aug. 2015) 한국등록특허 제1660635호 (등록일 : 2016.09.2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660635 (Registered on 2016.09.21) 한국등록특허 제1699021호 (등록일 : 2017.01.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699021 (Registered on July 17, 2017)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미러를 지지하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을 형성하고, 자동차가 주행함에 따라 이 흡입 구멍을 통해 들어온 외기가 미러의 반사 면에 붙어있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가의 미러를 사용하거나 빗물 제거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가 오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주행할 때도 충분히 후방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body for supporting the mirror, and as the automobile travels, the outside air entering through the suction hole can remove water droplets attached to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mirror for a vehicle that can securely operate a rearview mirror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rainy state without using an expensive mirror or using a rainwater remover or the like .

특히,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한 흡입 구멍 주변에 가이드를 더 형성하고, 가이드가 외기를 미러의 반사 면에 부딪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물방울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guide is configured to guide the outside air against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Therefore, There are other purposes for providing mirrors.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흡입 구멍을 슬롯 형태로 길게 본체 상부에 형성하므로, 본체로 외기가 반사 면에 넓게 퍼지게 하면서도 제거된 물방울이 중력을 받아 바로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물방울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slo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droplet from dropping downwardly while allowing the outside air to spread on the reflection surfac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ide mirr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미러(2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서, 상기 본체(100)에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외기가 안으로 들어와서 미러(200)의 반사 면(210)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11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tive side mirror comprising: a main body 100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vehicle; And a mirror 20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irror 200.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0 in which outside air enters into the main body 100 when the automobile travels, And at least one suction hole (110) for guiding the suction port (210) toward the suction port (210).

특히, 상기 흡입 구멍(110)은 외기가 미러(200)의 반사 면(210) 앞으로 유입되게 본체(100)에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흡입 구멍(110)의 입구와 출구 측에 외부 공기가 반사 면(210)을 향하도록 가이드(120)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toward the reflection surface 210 of the mirror 200, 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guide 12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air is directed to the reflecting surface 210.

또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to be long in a slot shape.

마지막으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자동차에 장착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in body 100 mounted on the vehicle.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tomotiv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주행중 본체 안으로 들어온 외기로 미러의 반사 면에 붙은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1) Water droplets on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can be removed by the outside air entering the body during driving, thus enabling safe operation.

(2) 특히, 반사 면에 물방울 제거제를 바르는 등의 추가적인 동작이 없이도 주행할 때 생긴 외기 유입만으로도 쉽게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2)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water droplets even when the outside air flows when the vehicle travels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such as applying a water droplet removing agent to the reflecting surface.

(3) 또한, 본체에 가이드를 형성하므로, 외기가 본체 안으로 쉽게 유입되게 하고 유입된 외기는 반사 면을 향해 유동하게 하여 물방울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있어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준다. (3) Since the guide is formed in the main body, the outside air easily flows into the main body,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flows toward the reflection surface,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water drop removal effect, thereby greatly contributing to safe operation.

(4) 외기를 본체 안으로 유입하게 하는 흡입 구멍을 슬롯 형태로 길게 제작하므로, 외기가 넓게 본체 안으로 유입되면서 반사 면을 향하게 하므로, 넓게 퍼져 있는 물방울도 한 번에 쉽게 제거할 수 있다.(4) Since the suction hole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main body is made long in the form of a slo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reflection surface is directed, so that the water droplets spread widely can be easily removed at one time.

(5) 그리고, 상기 흡입 구멍은 사이드미러를 자동차에 장착했을 때 본체 상부에 형성하므로, 외기가 위에서 아래로 분출되게 하여 제거된 물방울이 그대로 아래로 흘러내리게 하여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5) Since the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when the side mirror is mounted on the automobile, the outside air is spr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removed water drops downward as it i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를 장착한 자동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를 보여주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 3]에서의 "B" 부분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showing a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3 for showing a gu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a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own desig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구성)(Configuration)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자동차 측면에 장착하는 본체(100), 그리고 이 본체(100)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미러(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a side mirr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a vehicle, and a mirror 20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

특히, 상기 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110)을 형성하고, 자동차가 주행할 때 이 흡입 구멍(110)을 통해 외기가 본체(100) 안으로 유입되게 구성하되, 유입된 외기가 미러(200) 면에 붙은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Particularly, at least on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hole 110 when the automobile travels, Water droplets on the (200) surface can be removed, so that the running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슬롯 형태로 길게 제작하므로, 순간 속도를 높이면서도 넓은 지역에 골고루 외가가 퍼질 수 있게 구성하여, 물방울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a long shape in a slot sha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ntaneous speed and evenly distribute the foreign matter in a wide area,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water drop removal effect.

그리고, 상기 흡입 구멍(110)은 자동차 측면에 장착한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본체(100) 안으로 들어간 외기가 불어내는 물방울이 미러(200)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한 것이다.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moun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so that water droplets blown into the main body 100 can flow naturally down to the mirror 200.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에는 가이드(120)를 추가로 더 구성하므로, 본체(100)로 들어온 외기가 미러(110)를 향하도록 안내하여 물방울 제거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Finally, since the body 100 further includes a guide 120, the outside air entering the body 100 can be guided toward the mirror 110 so that water drop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removed.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130"은 본체(100)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미러(200)를 지지하여, 이 미러(200)가 운전자의 체형에 알맞게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수동 또는 자동 조절장치를 나타내고, 화살표는 외기의 흐름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 conventional technique which is fix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supports the mirror 200, so that the angle of the mirror 200 can be adjusted so as to check the rear of the mirror 200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body shape And the arrow indicates the flow of the outside air.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한쪽에는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도록 미러(200)를 장착한다. 이때, 미러(200)는 본체(100) 안쪽에 장착한 조절장치(130)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위치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has a container shape as a whole as shown in Figs. 1 to 4, and the mirror 2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mirror 200 is installed in the adjusting device 130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river can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angle, and the like according to his / her body shape.

한편,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110)을 형성한다. 흡입 구멍(110)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주행 방향으로 생기는 바람의 영향으로 외기가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게 하고, 본체(100) 안으로 들어온 외기가 미러(200)를 향하게 하여 그 반사 면(210)에 붙은 물방울이나 이물 등을 제거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반사 면(210)은 주행할 때 자동차 후방을 볼 수 있게 자동차 후방의 사물을 비춰주는 거울면을 말한다.Meanwhile, the main body 100 forms at least one suction hole 110 on the outer periphery, as shown in [FIG. 2] to [FIG. 4]. The suction hole 110 allows the outside air to enter into the main body 100 by the influence of the wind gener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the automobile travels and the outside air entering into the main body 100 faces the mirror 200, To remove the water droplets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vehicle body. Here, the reflecting surface 210 refers to a mirror surface that illuminates an object behind the automobile so that the rear of the automobile can be seen when driving.

이에, 상기 흡입 구멍(1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체(100) 안으로 들어온 외기가 상기 반사 면(210)을 향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so that outside air entering the main body 100 can be directed to the reflective surface 210 as shown in FIGS. 3 and 4.

이처럼 형성하는 흡입 구멍(110)은 본체(100)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흡입 구멍(110)으로 외기 유입이 어렵거나 외기가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반사 면(210) 쪽으로 향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The suction hole 110 formed in this manner may be difficult to flow into the suction hole 110 depending on the shape and shape of the main body 100 or may not be directed toward the reflecting surface 210 even when the outside air enters into the main body 100 .

이에, 본 고안은,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가이드(120)를 형성하여 외기가 본체(100) 안으로 들어와서 반사 면(110)에 부딪힐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가이드(120)는 흡입 구멍(110)의 입구와 출구 측에 각각 폭 단면이 "ㄱ"자나 꺾인 형태로 형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곡률진 단면 형태로 형성하여 외기 유동에 따른 흐름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a guide 120 is formed o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outside air enters into the main body 100 and is guided to the reflective surface 110 It is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performed. In the drawing, the guide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cross-section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suction hole 110, respectively. However, the guide 120 is formed in a curved cross-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resistor so as to minimize the resistance.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도 2]와 같이, 슬롯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좁은 틈새 사이로 넓게 외기가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게 구성하므로, 외기가 넓은 범위에 걸쳐 강하게 분사되는 효과를 통해 물방울이나 눈 그리고 이물 등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lot shape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outside air is widely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between the narrow gaps so that the effect of removing the water droplets, snow, and foreign matter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ffect that the outside air is injected strongly over a wide range.

이러한 흡입 구멍(110)은 본체(100)에 하나를 형성하면 슬롯 형상의 길이가 커져서 본체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외기의 압력 등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미리 정한 개수만큼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다. 도면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세 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When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length of the slot shape is increased to weaken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uction hole 110 may be damaged due to external air pressure or the like. . In the drawing, three suction holes 110 are formed.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도 3]과 같이, 본체(100)를 자동차에 장착했을 때 이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is mounted on a vehicle, as shown in FIG. 3 .

이는, 상부에 형성한 흡입 구멍(110)을 통해 본체(100) 안으로 들어온 외기가 위에서 아래로 반사 면(210)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물방울이나 이물이 자연스럽게 중력 방향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게 하여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outside air entering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hole 110 formed at the upper part is configured to be spr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ward the reflecting surface 210 so that water droplets or foreign matter naturally flows downward along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remov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주행 중 발생한 외기로 미러의 반사 면에 달라붙은 이물이나 물방울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이처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foreign objects and water droplets which are stuck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by the outside air generated during travel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and improve the driving safety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structure.

100 : 본체
110 : 흡입 구멍
120 : 가이드
200 : 미러
210 : 반사 면
100:
110: suction hole
120: Guide
200: mirror
210: reflective surface

Claims (4)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미러(2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서,
상기 본체(100)에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외기가 안으로 들어와서 미러(200)의 반사 면(210)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구멍(11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 main body 100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hicle; And a mirror (20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positionally adjustable,
Wherein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tion hole (110) for guiding the outside air into the mirror (200) to face the reflecting surface (210) when the vehicle runs.
제1 항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외기가 미러(200)의 반사 면(210) 앞으로 유입되게 본체(100)에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흡입 구멍(110)의 입구와 출구 측에 외부 공기가 반사 면(210)을 향하도록 가이드(120)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toward the reflecting surface 210 of the mirror 200,
Wherein a guide (120) is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so that external air is directed to the reflection surface (210) at the entrance and exit sides of the suction hole (110).
제1 항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hole (110)
Wherein the side mirror is elongated in a slot shape.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흡입 구멍(110)은,
자동차에 장착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uction hole (110)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mounted on an automobile.
KR2020170001313U 2017-03-21 2017-03-21 Side mirror for vehicle KR2018000280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13U KR20180002804U (en) 2017-03-21 2017-03-21 Side mirr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13U KR20180002804U (en) 2017-03-21 2017-03-21 Side mirro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04U true KR20180002804U (en) 2018-10-02

Family

ID=6386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13U KR20180002804U (en) 2017-03-21 2017-03-21 Side mirro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804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52B1 (en) 2002-12-17 2005-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ggage fixing net for automobile
KR101660635B1 (en) 2015-03-24 2016-09-28 구희관 Side Mirror for Vehicle
KR101699021B1 (en) 2014-10-23 2017-01-23 김영수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52B1 (en) 2002-12-17 2005-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ggage fixing net for automobile
KR101699021B1 (en) 2014-10-23 2017-01-23 김영수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KR101660635B1 (en) 2015-03-24 2016-09-28 구희관 Side Mirr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9900B (en) Vehicle side viewing mirror
EP2243665B1 (en) Rear view unit with airbag
EP2308727B1 (en) A blow device for rear view mirror of a vehicle
EP2308728A1 (en) Air-blowing device for automobile back windscreen
KR20180002804U (en) Side mirror for vehicle
US7232175B2 (en) Wind, rock and bug deflector
KR200457975Y1 (en)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glass of vehicles
KR20200141898A (en) Air side mirror
CN208881926U (en) A kind of device for tailstock water-mist-proof
JP5346139B1 (en) Rainy spoiler
KR200350429Y1 (en) Two wheel Motor Cycle Jet Spoiler.
KR101699021B1 (en) Capsule type side mirror of vehicle
JP2014181008A (en) Vehicle water drop removal device
EP1236615A1 (en) Vehicule with front-oriented brake signaling system
CN104172639B (en) Blow rain demist eye-protective device
CN109263730A (en) A kind of tailstock waterproof splinter device
JP5357357B1 (en) Rainy spoiler
JP3024056U (en) Compressed air injection type water drop elimination rearview mirror
KR0112833Y1 (en) Out side mirror structure for a car
KR20150071416A (en) Side mirror module
CN106828315A (en) A kind of backsight camera lens according to full vehicle body
KR980007545U (en) Outside rearview mirror to prevent water condensation
ES2221460T3 (en) VEHICLE PROVIDED WITH A REAR VIEW MIRROR.
KR20060026106A (en) The front seat or the driver's seat de contaminant
KR200377079Y1 (en) Rear view mirror for occupant in the car, characterized by having an eye-guided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