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65A -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65A
KR20180002665A KR1020177032031A KR20177032031A KR20180002665A KR 20180002665 A KR20180002665 A KR 20180002665A KR 1020177032031 A KR1020177032031 A KR 1020177032031A KR 20177032031 A KR20177032031 A KR 20177032031A KR 20180002665 A KR20180002665 A KR 2018000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der
transmission
frame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91B1 (ko
Inventor
알렉산더 에이탄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paylo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는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다른 장치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고,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예를 들면,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0001] 본 출원은 2015년 5월 6일자로 미국 특허 상표국에 출원된 가출원 제 62/157,909 호, 및 2016년 4월 21일자로 미국 특허 상표국에 출원된 정식 출원 제 15/135,388 호의 이점 및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로인해 상기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0002]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channel bonding signaling)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요구되는 증가하는 대역폭 요건들의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부 방식들에서, 데이터는 60 GHz 범위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통해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예를 들면, 몇 기가비트들/s)로 무선으로 송신된다.
[0004] 다음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이러한 실시예들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모든 고려된 실시예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고,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추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전제부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5] 제 1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0006] 제 2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 제 3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8] 제 4 양상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09] 제 5 양상은 무선 노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송신을 위해 무선 노드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선 노드는 또한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0010] 제 6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제 1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고,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장치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0011] 제 7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 1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는 단계, 및 장치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2] 제 8 양상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제 1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 및 장치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3] 제 9 양상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장치에서, 수신하기 위한,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제 1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고,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장치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 안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14] 제 10 양상은 무선 노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노드는 또한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고,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무선 노드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0015]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0016]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단말의 블록도이다.
[0017]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0018]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헤더 내의 예시적인 필드들을 도시하는 표이다.
[0019] 도 5a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채널 본딩을 위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0020] 도 5b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4 개의 채널들을 본딩하기 위한, 도 5a의 프레임 구조의 확장을 예시한다.
[0021]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0022]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0023]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0024]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다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0025]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디바이스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0026]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벽하며,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제공된다. 본원에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이들과 결합되든, 본원에서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개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 이외에 또는 이에 추가로,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027]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시, 보기 또는 실례"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0028] 특정 양상들이 본원에 설명되어 있지만, 이러한 양상들의 많은 변화 및 치환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비록 바람직한 양상들의 일부 이점들 및 장점들이 언급되었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이점들, 용도들 또는 목적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바람직한 양상들의 이하의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들에 예로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개시를 제한하기보다는 본 개시의 단지 예시이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0029]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들을 비롯한 다양한 브로드밴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활용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상이한 시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게 허용할 수 있고, 각각의 시간 슬롯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에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는 변조 기법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활용한다. 이러한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에 따라,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IFDMA(interleaved 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LFDMA(localized 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EFDMA(enhanced FDMA)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를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0030] 본원에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컨대, 노드들)로 통합(예컨대, 이들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에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0031] "AP"(access point)는, 노드 B, "RNC"(Radio Network Controller), eNB(evolved Node B), "BSC"(Base Station Controller),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Base Station), "TF"(Transceiver Function),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RBS"(Radio Base Station)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공지될 수 있다.
[0032] "AT"(access terminal)는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국 또는 다른 어떤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성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STA"(Station),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일부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원에서 교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폰(예컨대,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 폰), 컴퓨터(예컨대,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컨대,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측위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그러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0033] 도 1은 액세스 포인트들 및 액세스 단말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를 예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10)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일반적으로 고정형 스테이션이며, 또한 기지국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고, 모바일 스테이션, 무선 디바이스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120)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즉, 순방향 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이고, 업링크(즉, 역방향 링크)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이다. 또한, 액세스 단말은 다른 액세스 단말과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커플링하고 그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0034]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의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업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액세스 단말(120)은 업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다운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송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0035]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10)는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 프레임 구축기(222), 송신 프로세서(224), 트랜시버(226),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30)(간략함을 위해 하나의 안테나가 도시됨)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또한,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34)를 포함한다.
[0036] 동작 시에,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5)로부터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인코딩된 데이터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심볼들로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상이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데이터를 (예컨대, LDPC(low-density parity check) 인코딩을 사용하여)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BPSK, QPSK, 16QAM, 64QAM, 64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서, 제어기(234)는 (예컨대, 다운링크의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어떤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에 전송할 수 있고,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특정된 MCS에 따라 데이터 소스(215)로부터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가, 데이터 스크램블링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과 같이, 데이터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프레임 구축기(222)에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한다.
[0037] 프레임 구축기(222)는 프레임(패킷으로도 또한 지칭됨)을 구성하고, 그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데이터 심볼들을 삽입한다. 프레임은 프리앰블, 헤더, 및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은,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120)이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STF(short training field) 시퀀스 및 CE(channel estimation)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페이로드 내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이를테면, 데이터의 길이 및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MCS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액세스 단말(120)이 데이터를 복조하고 디코딩하도록 허용한다. 페이로드 내 데이터는 복수의 블록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블록은 데이터의 일부 및 GI(guard interval)를 포함하여 수신기가 위상 추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프레임 구축기(222)는 프레임을 송신 프로세서(224)에 출력한다.
[0038] 송신 프로세서(224)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24)는 상이한 송신 모드들, 이를테면,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송신 모드 및 SC(single-carrier) 송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34)는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프로세서(224)에 전송할 수 있고, 송신 프로세서(224)는 특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0039] 트랜시버(22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30)을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프로세서(224)의 출력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를 들면, 아날로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예를 들면, 트랜시버(226)는 송신 프로세서(224)의 출력을 60 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로 상향변환할 수 있다.
[0040] 특정 양상들에서, 송신 프로세서(224)는 MIMO(multiple-output-multiple-in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양상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수의 안테나들(230)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26)(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4)는 착신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들(230)에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26)은 안테나들(230)을 통한 송신을 위한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개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004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120)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 프레임 구축기(262), 송신 프로세서(264), 트랜시버(266)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70)(간략함을 위해 하나의 안테나가 도시됨)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120)은 업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110)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에 (예컨대,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은 또한,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12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74)를 포함한다.
[0042] 동작 시에,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소스(255)로부터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인코딩 및 변조)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상이한 MCS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 중 임의의 코딩 레이트로 데이터를 (예컨대, LDPC 인코딩을 사용하여) 인코딩할 수 있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BPSK, QPSK, 16QAM, 64QAM, 64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들 중 임의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서, 제어기(274)는 (예컨대, 업링크의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어느 MCS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전송할 수 있고,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소스(255)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정된 MCS에 따라 인코딩 및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는 데이터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프레임 구축기(262)에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한다.
[0043] 프레임 구축기(262)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을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삽입한다. 프레임은 프리앰블, 헤더, 및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은,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 및/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이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STF 시퀀스 및 CE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 이를테면, 데이터의 길이 및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데 사용된 MCS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의 데이터는 복수의 블록들 사이에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블록은,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이 위상 추적하는데 도움을 주는 GI(guard interval) 및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축기(262)는 프레임을 송신 프로세서(264)에 출력한다.
[0044] 송신 프로세서(264)는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64)는 상이한 송신 모드들, 이를테면, OFDM 송신 모드 및 SC 송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74)는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프로세서(264)에 전송할 수 있고, 송신 프로세서(264)는 특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0045] 트랜시버(26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70)을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프로세서(264)의 출력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예컨대, 트랜시버(266)는 송신 프로세서(264)의 출력을, 60 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로 상향변환할 수 있다.
[0046] 특정 양상들에서, 송신 프로세서(264)는 MIMO(multiple-output-multiple-in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20)은 다수의 안테나들(270)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66)(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착신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들(270)에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66)은 안테나들(270)을 통한 송신을 위한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개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0047]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10)는 수신 프로세서(242)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를 포함한다. 동작 시에, 트랜시버(226)는 신호를 (예컨대, 액세스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및 디지털로 변환)한다.
[0048] 수신 프로세서(242)는 트랜시버(226)의 출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프로세싱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한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11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예컨대, 액세스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수신 프로세서(242)는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STF 시퀀스를 사용하는 프레임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또한 AGC(automatic gain control) 조정을 위해 STF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또한 (예컨대,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CE 시퀀스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수신 프로세서(242)는 페이로드에서 GI(guard interval)들을 사용하여 위상을 추정할 수 있고,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추정된 위상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서 위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상 잡음은 액세스 단말(120)의 로컬 오실레이터로부터의 잡음 및/또는 주파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110)의 로컬 오실레이터로부터의 잡음에 기인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은 또한 채널로부터의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또한 프레임의 헤더로부터의 정보(예컨대, MCS 방식)를 복원하고, 정보를 제어기(234)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등화 및/또는 위상 잡음 감소를 수행한 후, 수신 프로세서(242)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할 수 있고,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복원된 데이터 심볼들을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에 출력할 수 있다.
[0049]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는 수신 프로세서(242)로부터의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기(234)로부터의 대응하는 MCS 방식의 표시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는 표시된 MCS 방식에 따라 데이터 심볼들을 복조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저장 및/또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246)에 출력한다.
[0050]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120)은 OFDM 송신 모드 또는 SC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 프로세서(242)는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프로세서(264)는 MIMO(multiple-output-multiple-in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수의 안테나들(230)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26)(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226)는 개개의 안테나(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디지털로의 변환)한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하기 위해 트랜시버들의 출력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005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120)은 수신 프로세서(282)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를 포함한다. 동작 시에, 트랜시버(266)는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및 디지털로 변환)한다.
[0052] 수신 프로세서(282)는 트랜시버(266)의 출력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하기 위해 출력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액세스 단말(120)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수신 프로세서(282)는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STF 시퀀스를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예컨대,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CE 시퀀스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또한 수행하고,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프로세서(282)는 페이로드 내의 GI들(guard intervals)을 사용하여 위상을 추정하고,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추정된 위상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또한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정보(예컨대, MCS 방식)를 복원하고, 정보를 제어기(274)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등화 및/또는 위상 잡음 감소를 수행한 후에, 수신 프로세서(282)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하고,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복원된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로 출력할 수 있다.
[0053]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는 수신 프로세서(282)로부터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기(274)로부터 대응하는 MCS 방식의 표시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는 표시된 MCS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을 복조 및 디코딩하고, 복원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저장 및/또는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286)로 출력한다.
[0054]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은 OFDM 송신 모드 또는 SC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 프로세서(282)는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프로세서(224)는 MIMO(multiple-output-multiple-in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단말(120)은 다수의 안테나들(270)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66)(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266)는 개개의 안테나(27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디지털로의 변환)한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데이터 심볼들을 복원하기 위해 트랜시버들의 출력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005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또한 제어기(234)에 커플링된 메모리(236)를 포함한다. 메모리(236)는, 제어기(234)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기(234)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단말(120)은 또한 제어기(274)에 커플링된 메모리(276)를 포함한다. 메모리(276)는, 제어기(274)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기(274)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0056]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300)를 도시한다. 프레임(300)은 프리앰블(305), 헤더(310), 페이로드(315) 및 선택적인 빔포밍 트레이닝 필드(320)를 포함한다. 프레임(300)이 부가적인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프리앰블(305)은 STF(short training field) 시퀀스(330) 및 CE(channel estimation) 시퀀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STF 시퀀스는 수신기가 AGC(automatic gain control), 시간 동기화, 및 프레임의 나머지 및 가능하게는 후속 프레임들을 정확히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오프셋 제거(cancelation)를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STF 시퀀스는 STF 시퀀스의 끝을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골레이(Golay) 시퀀스(Ga128) 및 네거티브 골레이 시퀀스(-Ga128)를 포함할 수 있다. STF 시퀀스(330)가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골레이 시퀀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0057] CE 시퀀스(340)는 수신기가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CE 시퀀스(340)는 골레이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C 송신 모드에 대해, CE 시퀀스는 Gv512 시퀀스(다음의 연쇄된 골레이 시퀀스들(-Gb128, Ga128, -Gb128, -Ga128)로 구성됨)가 후속되고 Gv128 시퀀스(-Gb128과 동일함)로 끝나는 Gu512 시퀀스(다음의 연쇄된 골레이 시퀀스들((-Gb128, -Ga128, Gb128, -Ga128)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OFDM 송신 모드에 대해, CE 시퀀스는 Gu512 시퀀스가 후속되고 Gv128 시퀀스로 끝나는 Gv512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CE 시퀀스(340)가 위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골레이 시퀀스들이 CE 시퀀스(340)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0058] 헤더(310)는 프레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60 GHz 범위의 WLAN에 대한 IEEE 802.11ad 표준에 사용되는 헤더(310)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양상들이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예에서, 헤더(310)는 스크램블러 초기화 필드(350),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352), 길이 필드(354), 부가적인 PPDU 필드(356), 패킷 타입 필드(358), 트레이닝 길이 필드(360), 어그리게이션 필드(362), 빔 추적 요청 필드(364), 마지막 RSSI 필드(366), 턴어라운드 필드(368), 예비 필드(370) 및 HCS(head check sequence) 필드(372)를 포함한다. 필드들 중 일부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0059] 스크램블러 초기화 필드(350)는 초기 스크램블러 상태를 표시한다. MCS 필드(352)는 페이로드(315) 내의 데이터를 변조 및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MCS를 표시한다. 길이 필드(354)는 페이로드(315) 내의 데이터의 양을 (예를 들면, 옥텟 단위로) 표시한다.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길이 필드(354)는 또한 충돌 회피 목적들로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컴퓨팅하기 위해 비-타겟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닝 길이 필드(360)는 선택적인 빔포밍 트레이닝 필드(320)의 길이를 표시한다. 빔포밍 트레이닝 필드(320)는, 빔 스티어링이 송신된 신호를 수신기로 지향시키기 위해 송신기에서 사용되면, 빔-포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 RSSI 필드(366)는 TXVECTOR로부터의 파라미터 LAST_RSSI의 사본을 포함한다. 예비 필드(370)는 향후 사용을 위해 예비된 비트들(예를 들면, 4 비트들)을 헤더(310)에 포함한다. HCS 필드(372)는 헤더 비트들에 대한 체크섬을 제공한다. 도 4의 표는 헤더(310)의 각각의 필드에 대한 비트들의 수 및 시작 비트의 예들을 제공한다.
[0060] 페이로드(315)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리된다. 각각의 블록은 페이로드(315) 내의 GI(guard interval) 및 데이터의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블록 내의 GI는, 위상 추적에서 수신기를 돕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진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GI는 또한 주파수 도메인 등화(frequency domain equalization)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61] 위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도 3은 IEEE 802.11ad 표준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IEEE 802.11ad 표준의 계승자인 IEEE 802.11ay 표준은 더 높은 심볼 레이트들 및 더 높은 성상도들(constellations)을 갖는 CB(channel bonding)를 사용하여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d에서, 송신기는 60 GHz 대역의 4 개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IEEE 802.11ay는 CB(channel bonding)를 지원할 것이고, 이는 수신기가 증가된 스루풋을 위해 함께 본딩된 2 개 이상의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송신은 임의의 정의된 변조: OFDM, 광대역 SC(single carrier), 어그게이트 SC 또는 중복(duplicate)을 사용할 수 있다. CB에서, 송신은, 프로토콜 PHY 타임아웃들(예를 들면, SIFS)에 대해 작은, 사용될 수 있는 주어진 지연까지, 모든 본딩된 채널들 상에서 동시에 시작하고 종료한다. CB 모드의 모든 송신들(2 개 이상의 채널들)은 각각의 채널 상에서 STF+CE+헤더로 시작할 수 있다. 이들은, 신호가 수신기에서 충분한 전력으로 도착한다면, 본딩된 채널들 중 임의의 것으로 튜닝된 임의의 802.11ad 수신기 및 임의의 802.11ay 수신기가 헤더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802.11ad 호환 가능 송신들일 수 있는 송신들이다.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예를 들면, 2015년 4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147,479 호에서 발견될 수 있고, 상기 출원의 전체 명세서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0062] 도 5a는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500A)를 도시한다.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는 3-채널 본딩, 4-채널 본딩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500A)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채널들 상에서 중복으로 송신되는 프리앰블(505) 및 헤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들 각각은 1.76 GHz의 대역폭 또는 다른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프리앰블(505) 및 헤더(510)의 기본 구조는 백워드로 준수하도록(backwards compliant) IEEE 802.11ad 표준에 따를 수 있다. 이는,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802.11ad 수신기(본원에서 "레거시" 수신기로 지칭됨)가, (예를 들면, 충돌 회피 목적으로) 헤더(5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 1 채널 또는 제 2 채널을 리스닝(listen)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802.11ay 수신기들은 헤더(510)를 디코딩할 수 있다. 헤더(510)는, 범위-내 802.11ad 및 802.11ay 수신기들에 의한 수신을 위한 강건한 송신을 제공하기 위해 낮은 MCS(예를 들면, 헤더에 대해 802.11ad 표준에 지정된 MCS)를 사용하여 변조 및 인코딩될 수 있다.
[0063] 프레임 구조(500A)는 또한 제 1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확장된 헤더(520a) 및 제 2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확장된 헤더(520b)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헤더들(520a 및 520b)은 본딩된 채널들에 대한 송신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MCS, 데이터 길이, 송신 모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확장된 헤더들(520a 및 520b)은 타겟 수신기(목적지 수신기)에 대해 의도되고, 따라서 더 높은 효율을 위해 헤더(510)보다 더 높은 MCS를 사용하여 변조 및 인코딩될 수 있다. 확장된 헤더들에 대한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미국 가출원 제 62/147,479 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0064] 프레임 구조(500A)는 또한, 예를 들면, 광대역 SC(single carrier) 송신 모드에서 본딩된 채널들 상에서 송신되는 STF 필드(530), CE 필드(535) 및 페이로드(540)를 포함한다. STF 필드(530)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시간 동기화 및 주파수 포착에서 타겟 수신기(예를 들면, 802.11ay 수신기)를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골레이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CE 필드(535)는 채널 추정에서 타겟 수신기(예를 들면, 802.11ay 수신기)를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골레이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540)는 본딩된 채널들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는 BPSK, QPSK, 16QAM, 64 QAM, 64 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복수의 MCS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STF 필드(530), CE 필드(535) 및 페이로드(540)에 대한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은,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미국 가출원 제 62/147,479 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0065] 도 5a는 2-채널 본딩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500A)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고, 프레임 구조(500A)가 3-채널 본딩, 4-채널 본딩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는 도 5a의 프레임 구조(500A)의 확장인 4-채널 본딩에 대한 프레임 구조(500B)를 도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505) 및 헤더(510)(예를 들면, 레거시 802.11ad 프리앰블 및 헤더)는 4 개의 채널들 상에서 중복으로 송신될 수 있고, 페이로드(540)는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4 개의 채널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채널 본딩에 적합한 프레임 포맷들의 부가적인 예들은, 예를 들면, 위에서 논의된 미국 가출원 제 62/147,479 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0066] 충돌은, 매우 근접한 2 개 이상의 무선 노드들이 동시에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무선 노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사용에 관한 가능한 더 많은 정보를 가질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채널이 자유로운지 또는 다른 무선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지를 결정함). 반면에, 무선 노드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가능한 더 많이 수면 모드에 있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쟁 관심사로 인해, 무선 노드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수면 모드에 머물고, 무선 노드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활용 및 매체 이용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수면에서 웨이크 업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액세스 단말(120) 또는 액세스 포인트(110)일 수 있다.
[0067] 제 1 접근법에서, 한 쌍의 무선 노드들은, 무선 노드들 중 하나가 데이터를 다른 무선 노드로 송신하기를 원할 때, 핸드쉐이크 절차(handshake procedure) 동안에 RTS(request to send) 및 CTS(clear to send)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RTS 및 CTS는 송신을 위해 사용될 하나 이상의 채널들 및 송신의 듀레이션(예를 들면, TXOP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내의 제 3 무선 노드(예를 들면, AP 또는 AT)는 RTS 및/또는 CTS를 수신하고, RTS 및/또는 CTS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이 점유(예비)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 3 무선 노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이 RTS 및/또는 CTS로부터 사용될 듀레이션(예를 들면, TXOP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 3 무선 노드는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에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의 문제는, RTS 및/또는 CTS가 송신될 때 제 3 무선 노드가 온(on)일 기회들(및 따라서 제 3 무선 노드가 RTS 및/또는 CTS를 수신할 기회들)이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0068] 제 2 접근법에서, 무선 노드는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의 다른 무선 노드들에 의한 송신들을 감지(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들에 대해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에서의 문제는, 이러한 감지의 감도가 낮다는 것이다. 수신기들은, 가장 낮은 MCS(송신 모드: 변조 및 코딩을 포함함)에서 실제 수신기 감도를 초과하는 20dB 이상인 송신들을 검출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신호들이 간섭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적어도 20dB의 갭이 존재한다.
[0069] 제 3 접근법에서, 무선 노드는, 채널이 자유로운지(클리어)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 기간 동안에 채널을 리스닝한다. 채널을 리스닝하는 동안에, 무선 노드는 채널 상에서 다른 무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프레임(TXOP는 작은 기간(예를 들면, SIFS)에 의해 보통 분리되는 많은 프레임들로 보통 구성됨)의 시작을 직면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헤더를 디코딩하고, 이러한 프레임에 대해 이러한 채널의 매체 활용을 획득할 수 있다. 헤더 수신 감도는 매우 양호하다(예를 들면, 임의의 페이로드 MCS보다 상당히 더 양호함). 예를 들면, 무선 노드는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 듀레이션을 결정하고, 따라서 채널이 얼마나 많은 시간에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노드는 송신 듀레이션 동안에 수면으로 진행하도록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채널을 시도할 수 있다. 프레임이 종료된 후에, TXOP가 아직 완료되지 않는다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 노드는 다음 프레임 내의 헤더로부터 다음 프레임의 송신 듀레이션을 결정하고, 다음 프레임의 듀레이션 동안에 다시 수면하려 가는 식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되는 헤더가 레거시 802.11ad 헤더이고, 자신의 채널에 관한 정보만을 갖는다는 것을 제발 주목하라.
[0070] 802.11ay 통신이 당면한 난제는 송신들을 검출하기 위한 802.11ay 무선 노드의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0071] 제 2 이슈는, 802.11ay 무선 노드가 보통 하나의 채널("1차" 채널)을 캠프 온(camp on)한다는 것이다. 송신하기 전에, 무선 노드는 자신이 사용하려고 의도한 모든 채널들을 리스닝할 수 있지만, 다른 채널들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갖지 않는다. 어떠한 채널들이 자유로운지를 알기 위해 모든 채널들을 리스닝하도록 무선 노드에 요구하는 것은 특수 하드웨어, 특수 능력들을 요구할 수 있고,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0072] 위의 것을 해소하기 위해, CB(channel bonding) 정보는 프레임(예를 들면, 프레임의 레거시 헤더)에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CB 정보는 프레임이 특정 양상들에 따라 송신되는 채널들 전부를 표시한다. 무선 노드는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CB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무선 노드가 이러한 채널들 모두로 튜닝되지 않을지라도, 무선 노드가 사용될 채널들 모두를 이해(그리고 따라서 모든 채널들 상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허용한다.
[0073] 특정 양상들에서, CB 정보는 프레임(예를 들면, 프레임(500A 또는 500B))의 확장된 헤더(52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확장된 헤더(520)는, 프레임이 어드레싱되는 수신기(타겟 수신기)에 대해 주로 의도될 수 있다. 송신기와 타겟 수신기 간의 링크가 양호하거나 매우 양호하면, 확장된 헤더는 효율을 위해 더 높은 MCS로 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MCS가 더 높을수록, 매체를 감지하려고 시도하고 덜 호의적인 채널 조건들을 가질 수 있는 이웃 무선 노드들(비-타겟 무선 노드들)이 CB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충돌 회피 목적으로 CB 정보가 이웃 무선 노드에 의한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낮은 MC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0074] 이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 양상들에서, CB 정보는, 레거시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가 802.11ad 무선 노드들의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레거시 헤더에 포함된다. 레거시 헤더가 낮은 MCS를 사용하기 때문에, CB 정보를 레거시 헤더에 배치하는 것은 802.11ay 무선 노드가 탁월한 감도로 CB 정보를 수신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법은 낮은 MCS를 사용하도록 확장된 헤더(520)에 요구하지 않고, 이는 확장된 헤더(520)의 효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0075] 또한,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는 사용되는 각각의 채널 상에서 중복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채널들 중 하나만으로 튜닝되는 무선 노드가 CB 정보를 수신하고 따라서 이러한 채널이 사용되고 있다고 결정할 뿐만 아니라 사용되고 있는 모든 채널들을 결정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점에서, 무선 노드는 CB에 포함되지 않는 채널들 중 하나로 스위칭하도록 선택하고, 이를 사용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무선 노드는 채널이 자유로운 것을 체크하기 위해 완전한 모니터링 기간을 여전히 수행해야 할 수 있음)
[0076] 특정 양상들에서, CB 정보는,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 1 부분은 본딩된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고, 제 2 부분은 본딩된 채널들의 수를 표시한다. 함께, CB 정보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본딩된 채널들이 인접하다고 가정하면, 수신기가 본딩된 채널들을 결정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0077] 일 예에서, 송신기는 최대 4 개의 채널들(1 내지 4로 라벨링됨)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CB 정보의 제 1 부분은 본딩 세트에서 제 1 (최소 인덱스) 채널의 인덱스를 지정하기 위한 2 비트들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CB_first 로 표기된다. 제 2 부분은 CB의 길이(1...4)를 지정하기 위한 2 비트들을 포함한다. 송신이 본딩 없이 단지 하나의 채널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의 값이 요구된다. 제 2 부분은 CB_size 로 표기된다.
[0078] 아래의 표 1은 CB_ first 에 대한 인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CB_first 비트 코딩
채널 1 00
채널 2 01
채널 3 10
채널 4 11
[0079] 아래의 표 2는 CB_ size 에 대한 인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CB_size 비트 코딩
채널 1 00
채널 2 01
채널 3 10
채널 4 11
[0080] 다른 예에서, 송신기는 최대 8 개의 채널들(1 내지 8로 라벨링됨)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CB 정보의 제 1 부분은 본딩 세트에서 제 1 (최소 인덱스) 채널의 인덱스를 지정하기 위한 3 비트들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CB_first 로 표기된다. 제 2 부분은 CB의 길이(1...4)를 지정하기 위한 3 비트들을 포함한다. 송신이 본딩 없이 단지 하나의 채널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의 값이 요구된다. 제 2 부분은 CB_size 로 표기된다.
[0081] 아래의 표 3은 CB_ first 에 대한 인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CB_first 비트 인코딩
채널 1 000
채널 2 001
채널 3 010
채널 4 011
채널 5 100
채널 6 101
채널 7 110
채널 8 111
[0082] 아래의 표 4는 CB_ size 에 대한 인코딩의 예를 도시한다.
CB_size 비트 인코딩
채널 1 000
채널 2 001
채널 3 010
채널 4 011
채널 5 100
채널 6 101
채널 7 110
채널 8 111
[0083] CB 정보를 SC(single carrier) 레거시 헤더에 배치하기 위한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0084] 특정 양상들에서, 최대 4 개의 채널들에 대한 CB 정보는 2 개의 예시적인 옵션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레거시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에 배치(삽입)될 수 있다. 제 1 옵션에서, CB 정보는, 4 개의 여분의 비트들(44...47)을 가질 수 있는 예비 필드(370)에 배치(삽입)된다. 이러한 옵션에서, 모두 4 개의 여분의 비트들은 CB 정보에 사용될 수 있다.
[0085] 제 2 옵션에서, CB 정보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하나는 예비 필드(370)에 배치(삽입)되어, 다른 목적으로 예비 필드(370)에 2 비트들을 남겨둔다. CB 정보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다른 하나는 헤더의 길이 필드(354)의 2 개의 최하위 비트들에 배치(삽입)될 수 있다. 802.11ay 송신에서, 레거시 헤더의 길이는 802.11ay 페이로드 길이를 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길이는,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NAV(송신의 듀레이션)를 컴퓨팅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송신 듀레이션이 FFT 및 LDPC 블록들로 양자화되기 때문에, LSB들은 송신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서 조작될 수 있다.
[0086] 특정 양상들에서, 길이 필드는 수신기에서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해 부가적인 변화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수신기에서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6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방법(600)은 송신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0087] 610에서, NAV는 오리지널 길이 값으로 컴퓨팅된다. 오리지널 길이 값은 길이 값의 2 개의 LSB들 내의 CB 비트들이 없는 길이 값이다.
[0088] 620에서, 오리지널 길이 값의 2 개의 LSB들은 CB_size CB_first 중 하나로 교체된다. CB_size CB_first 중 다른 하나는 예비 필드(370)에 배치될 수 있다.
[0089] 630에서, NAV는 수정된 길이 값으로 재컴퓨팅된다. 이는 NAV 컴퓨테이션에 대한 CB_size 또는 CB_first 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0090] 640에서, NAV가 CB_size 또는 CB_first 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NAV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91] 650에서, 단계(630)의 NAV가 단계(610)의 NAV보다 더 큰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수정된 길이 값은 655에서 제 2 수정된 길이 값을 획득하기 위해 4만큼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92] 단계(630)의 NAV가 단계(610)의 NAV보다 더 크지 않다면(즉, 단계(610)의 NAV 미만이면), 수정된 길이 값은 660에서 제 2 수정된 길이 값을 획득하도록 4만큼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93] 본 개시가 도 6의 예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고, 단계들의 순서들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가 방법(600)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면, 단계들의 순서는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수정될 수 있다.
[0094] 특정 양상들에서, 최대 8 개의 채널들에 대한 CB 정보는 레거시 헤더에 배치(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들에서, CB 정보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하나는 예비 필드(370)에 배치(삽입)되어, 다른 목적으로 예비 필드(370)에 하나의 비트를 남겨둔다. CB 정보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다른 하나는 헤더의 길이 필드(354)의 3 개의 최하위 비트들에 배치(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B_size 는 예비 필드의 비트 위치들(44, 45 및 46)에 배치될 수 있고, CB_first 는 길이 필드(354)의 3 개의 LBS들에 배치될 수 있거나 그 역도 가능하다.
[0095] 802.11ay 송신에서, 레거시 헤더 내의 길이는 802.11ay 페이로드 길이를 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길이는, 아래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단지 NAV(송신의 듀레이션)를 컴퓨팅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된다. 송신 듀레이션이 FFT 및 LDPC 블록들로 양자화되기 때문에, LSB들은 송신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서 조작될 수 있다.
[0096] 특정 양상들에서, 길이 필드는 수신기에서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해 부가적인 변화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수신기에서 NAV 컴퓨테이션의 변화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7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방법은 송신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0097] 710에서, NAV가 오리지널 길이 값으로 컴퓨팅된다. 오리지널 길이 값은 길이 값의 3 개의 LSB들 내의 CB 비트들이 없는 길이 값이다.
[0098] 720에서, 오리지널 길이 값의 3 개의 LSB들은 CB_size CB_first 중 하나로 대체된다. CB_size CB_first 중 다른 하나는 예비 필드(370)에 배치될 수 있다.
[0099] 730에서, NAV가 수정된 길이 값으로 재컴퓨팅된다. 이는 NAV 컴퓨테이션에 대한 CB_size 또는 CB_first 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00100] 740에서, NAV가 CB_size 또는 CB_first 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NAV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101] 750에서, 단계(730)의 NAV가 단계(710)의 NAV보다 더 큰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수정된 길이 값은 755에서 제 2 수정된 길이 값을 획득하기 위해 8만큼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102] 단계(730)의 NAV가 단계(710)의 NAV보다 더 크지 않다면(즉, 단계(710)의 NAV 미만이면), 수정된 길이 값은 760에서 제 2 수정된 길이 값을 획득하도록 8만큼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수정된 길이 값은 송신의 듀레이션 및 CB_size 또는 CB_first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헤더의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다.
[00103] 본 개시가 도 7의 예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고, 단계들의 순서들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가 방법(700)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면, 단계들의 순서는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수정될 수 있다.
[00104] 본 개시가 위에 제공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된다. 예를 들면, CB 본딩 정보는 최대 4 개의 채널들에 대한 4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고, 각각의 비트는 대응하는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다른 예에서, CB 본딩 정보는 최대 8 개의 채널들에 대한 8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고, 각각의 비트는 대응하는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CB 본딩 정보가 예비 필드와 길이 필드(354)의 최하위 비트들 간에 상이한 방식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된다. 예를 들면, CB 본딩 정보의 임의의 1, 2, 3 또는 4 비트들은 길이 필드(354)에 배치될 수 있고, 남아있는 비트들이 예비 필드(370)에 배치된다.
[00105]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802.11ay 무선 노드는, 채널 상에서 송신하기 전에 채널이 자유로운지(클리어)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 기간 동안에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선 노드가 모니터링 기간 동안에 다른 무선 노드로부터 프레임의 시작을 수신하면, 무선 노드는 프레임에 사용되는 채널들 모두를 결정하기 위해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로부터 CB 정보를 리트리브(retrieve)할 수 있다. 헤더는 낮은 MCS를 사용하는 레거시 헤더일 수 있고, 낮은 MCS는 CB 정보가 이웃 무선 노드에 의해 수신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무선 노드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헤더의 예비 필드(370) 및/또는 헤더의 길이 필드(354)의 최하위 비트들로부터 CB 정보를 리트리브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노드는 CB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에 대한 채널들 모두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노드는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헤더를 수신함으로써 프레임에 대한 채널들 모두를 결정할 수 있다.
[00106] 무선 노드는 또한 길이 필드 내의 길이 값을 사용하여 NAV를 컴퓨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노드는 802.11ad 표준 또는 다른 알고리즘에 따라 NAV를 컴퓨팅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CB 정보에 표시된 채널들이 컴퓨팅된 NAV의 듀레이션 동안에 점유(예비)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노드는 채널들과 연관된 NAV 타이머를 컴퓨팅된 NAV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무선 노드는, NAV 타이머가 제로로 카운트 다운될 때까지 점유된 채널들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노드는 NAV의 듀레이션 동안에 채널들을 사용하는 것(예를 들면,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00107] 802.11ad 무선 노드는 또한, 채널 상에서 송신하기 전에, 채널이 자유로운지(클리어)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 기간 동안에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선 노드가 모니터링 기간 동안에 다른 무선 노드로부터 채널 상의 프레임의 시작을 수신하면, 무선 노드는 헤더(예를 들면, 헤더(310 또는 510))의 길이 필드(354)로부터 길이 값을 리트리브하고, NAV 값을 컴퓨팅할 수 있다. 헤더는, 802.11ad 무선 노드가 길이 값을 리트리브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레거시 헤더일 수 있다. 이는, 802.11ad 무선 노드가 데이터 자체를 디코딩할 수 없을지라도, 채널이 다른 무선 노드에 의해 사용될 것이라는 것을 802.11ad 무선 노드가 알도록 허용한다. NAV를 컴퓨팅한 후에, 802.11ad 무선 노드는 NAV의 듀레이션 동안에 채널(즉, 헤더가 수신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00108] 위의 예에서, 802.11ad 무선 노드는 CB 정보를 디코딩할 수 없다. 따라서, 802.11ad 무선 노드는 단지, 헤더가 수신된 채널이 사용되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802.11ad 무선 노드는 헤더 내의 CB 정보를 이해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업데이트된 802.11ad 무선 노드는 CB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에 사용되는 채널들 모두를 결정하고, NAV의 듀레이션 동안에 채널들 모두를 사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00109]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동작들(800)을 예시한다. 동작들(800)은, 예를 들면, 무선 노드(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액세스 단말(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10] 810에서, 프레임이 생성되고, 프레임은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00111] 820에서, 프레임은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출력이다.
[00112]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동작들(900)을 예시한다. 동작들(900)은, 예를 들면, 무선 노드(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액세스 단말(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13] 910에서, 프레임은 장치에서 수신되고, 프레임은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00114] 920에서, 복수의 채널들은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930에서, 시간 듀레이션은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컴퓨팅된다. 940에서, 장치는 적어도 컴퓨팅된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이 방지된다.
[00115]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1000)를 예시한다. 디바이스(100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액세스 단말(12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싱 시스템(1020),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에 커플링된 메모리(1010)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싱 시스템(10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프로세싱 시스템(1020)으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020)의 예시적인 구현들은 아래에서 제공된다. 디바이스(1000)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1020)에 커플링된 송신/수신기 인터페이스(103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30)(예컨대, 인터페이스 버스)는 RF(radio frequency) 프런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226 또는 266))에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16] 특정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20)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 또는 260)), 프레임 구축기(예컨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송신 프로세서(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24 또는 264)), 및/또는 제어기(예컨대, 제어기(234 또는 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20)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로의) 무선 송신을 위해 인터페이스(1030)를 통해 RF 프런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226 또는 266))에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00117] 특정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20)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 프로세서(예컨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예컨대,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 또는 284)), 및/또는 제어기(예컨대, 제어기(234 또는 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20)은 인터페이스(1030)를 통해 RF 프런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226 또는 266))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위에서 논의된 양상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따라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00118] 액세스 단말(120)의 경우에서,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싱 시스템(1020)에 커플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는 (예컨대,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싱 시스템(1020)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1040)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되기 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받을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생략될 수 있다.
[00119]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의 무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송신 프로세서(224 또는 264), 트랜시버(226 또는 266), 및 송신/수신 인터페이스(1030)를 포함한다.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2 정보를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1 정보의 제 1 부분을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정보의 제 2 부분을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헤더를 인코딩 및 변조하기 위한 수단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프로세싱 시스템(1020), 송신 프로세서(224 또는 264) 및 송신/수신 인터페이스(1030)를 포함한다.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하고, 제 1 값은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에 대응한다. 제 2 값을 획득하기 위해 제 1 값의 N 개의 최하위 비트들을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2 값에 기초하여 제 2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1 송신 듀레이션 및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대략 동일하면 제 2 값을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제 1 송신 듀레이션보다 더 크면,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3 값을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하고, 제 3 값은 제 2 정보 및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제 1 송신 듀레이션 미만이면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3 값을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프레임 구축기(222 또는 26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하고, 제 3 값은 제 2 정보 및 제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00120]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트랜시버(226 또는 266),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및 송신/수신 인터페이스(1030)를 포함한다.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장치가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헤더로부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제 1 정보의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 및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제 1 정보의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제어기(234 및 274) 및 프로세싱 시스템(1020)을 포함한다.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헤더를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프로세싱 시스템(1020), 및 송신/수신 인터페이스(1030)를 포함한다.
[00121]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단은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서 동작들이 예시되는 경우에, 이들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카운터파트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0012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정"은 광범위한 액션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결정"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유도, 검사, 검색(예컨대,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검색),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컨대, 정보 수신), 액세스(예컨대,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정,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123]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지칭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일한 엘리먼트의 임의의 조합(예컨대,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다른 순서)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24]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25]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몇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00126]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한 순서가 특정되지 않으면, 특정한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00127]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 내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적인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기계-판독가능 매체,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네트워크 어댑터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도 1 참조)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는 또한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버스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고, 이것들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00128] 프로세서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비롯해서 버스 및 일반 프로세싱의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들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로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언급되든지 간에,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29]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와 별개의 프로세싱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가 쉽게 인지할 바와 같이,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은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송신선,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별개인 컴퓨터 제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범용 레지스터 파일들에서 흔히 있듯이,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00130]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기능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기계-판독가능 매체들의 적어도 부분을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를 갖는 범용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두가 외부 버스 아키텍처를 통해 다른 지원 회로와 함께 링크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액세스 단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회로, 및 단일 칩으로 통합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의 적어도 부분을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gated logic),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회로, 또는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기능성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지할 것이다.
[00131]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 있거나,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예로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으로 로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캐시 내로 명령들 중 일부를 로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범용 레지스터 파일로 로딩될 수 있다. 아래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참조하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명령들을 실행할 때, 이러한 기능성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132]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IR; infrared),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유형의(tangible)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양상들에 대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33] 따라서, 특정 양상들은 본원에서 제시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이 저장된(그리고/또는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134]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할 때 액세스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컨대,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컨대, RAM, ROM, 물리적 저장 매체, 이를테면, CD(compact disc)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액세스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디바이스에 저장 수단을 커플링시키거나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00135] 청구항들이 위에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수정들, 변화들 및 변동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0)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송신을 위해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 상기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헤더에 위치됨 ― ;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N은 정수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은 인접한(contiguous),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인코딩 및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 상기 제 1 값은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에 대응함 ― ;
    제 2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값의 N 개의 최하위 비트들을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으로 대체하고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2 값에 기초하여 제 2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및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동일하면 상기 제 2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은 제 1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은 제 2 NAV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초과하면,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미만이면,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9.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헤더에 위치됨 ― ;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는 단계 ― N은 정수임 ― ;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은 인접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는 단계 ― 상기 제 1 값은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에 대응함 ― ;
    제 2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값의 N 개의 최하위 비트들을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으로 대체하는 단계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2 값에 기초하여 제 2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및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동일하면 상기 제 2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은 제 1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은 제 2 NAV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초과하면,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미만이면, 상기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송신을 위해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헤더에 위치됨 ― ;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 ― N은 정수임 ― ;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은 인접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인코딩 및 변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값에 기초하여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값은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에 대응함 ― ;
    제 2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값의 N 개의 최하위 비트들을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으로 대체하기 위한 수단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2 값에 기초하여 제 2 송신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및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동일하면 상기 제 2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은 제 1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은 제 2 NAV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을 초과하면,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듀레이션이 상기 제 1 송신 듀레이션 미만이면, 상기 제 3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2 값을 특정량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3 값을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 ― 상기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헤더에 위치됨 ― ;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기 위한 명령 ― N은 정수임 ― ;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에서 무선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26.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프로세싱 시스템;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송신을 위해 상기 무선 노드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 상기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헤더에 위치됨 ― ;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에 삽입하고;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N은 정수이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
  2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retrieve)하고;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고;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고;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고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상기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복조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장치에서,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하는 단계;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는 단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는 단계;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는 단계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는 단계; 및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상기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복조 및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5.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수단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상기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수를 표시하는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보다 더 낮은 MCS를 사용하여 상기 헤더를 복조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9.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장치에서, 송신을 위해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
    상기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명령;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명령;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명령;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기 위한 명령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기 위한 명령; 및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상기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40.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수신기; 및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송신을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될 복수의 채널들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송신의 시간 듀레이션을 표시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리트리브하고;
    상기 헤더의 예비 필드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리트리브하고;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리트리브하고;
    상기 헤더의 길이 필드의 N 개의 최하위 비트 위치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리트리브하고 ― N은 정수임 ― ;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듀레이션을 컴퓨팅하고, 적어도 컴퓨팅된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상기 무선 노드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
KR1020177032031A 2015-05-06 2016-04-22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KR10191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7909P 2015-05-06 2015-05-06
US62/157,909 2015-05-06
US15/135,388 US9876604B2 (en) 2015-05-06 2016-04-21 Channel bonding signaling to in-range devices
US15/135,388 2016-04-21
PCT/US2016/029039 WO2016178836A1 (en) 2015-05-06 2016-04-22 Channel bonding signaling to in-rang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65A true KR20180002665A (ko) 2018-01-08
KR101919391B1 KR101919391B1 (ko) 2018-11-16

Family

ID=5591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031A KR101919391B1 (ko) 2015-05-06 2016-04-22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76604B2 (ko)
EP (1) EP3292727B1 (ko)
JP (1) JP6337220B1 (ko)
KR (1) KR101919391B1 (ko)
CN (1) CN107580759B (ko)
BR (1) BR112017023607B1 (ko)
CA (1) CA2979911C (ko)
ES (1) ES2741804T3 (ko)
HU (1) HUE044546T2 (ko)
WO (1) WO20161788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64A1 (ko) * 2018-08-10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링크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의 링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6981A1 (en) * 2015-07-23 2017-01-26 Laurent Cariou Centralized channel access for primary and secondary channels in a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10511368B2 (en) * 2016-07-21 2019-1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0177040A1 (zh) * 2019-03-01 2020-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606118B2 (en) * 2020-08-27 2023-03-14 Connectify, Inc. Data transfer with multiple threshold 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8072B1 (en) * 1999-03-19 2005-03-15 Broadcom Corporation Home phone line network architecture
US7082117B2 (en) * 2002-08-12 2006-07-25 Harris Corporation Mobile ad-hoc network with intrusion detec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GB0228396D0 (en) * 2002-12-05 2003-01-08 Synad Technologies Ltd Terminating frame reception
US7039412B2 (en) * 2003-08-08 2006-05-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on multiple frequency channels in a frequency agile network
US20130294445A1 (en) * 2003-11-03 2013-11-07 Rockstar Consortium Us Lp Flexible channel bonding
US7616698B2 (en) * 2003-11-04 2009-11-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nd method
WO2006000955A1 (en) 2004-06-24 2006-01-0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 method for signaling thestatus of a subcarrier in a mc network and a method for adaptively allocating the subcarriers in a mc network
KR100586886B1 (ko) * 2004-08-13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782844B1 (ko) * 2006-01-12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채널 본딩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GB2449252B (en) * 2007-05-14 2012-05-16 Toshiba Res Europ Ltd Multichannel MAC in wireless networks
KR101536773B1 (ko) * 2008-07-31 2015-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파워 세이브 멀티-폴 절차와이를 위한 psmp 프레임 포맷, 및 이를 지원하는스테이션
US8798029B2 (en) * 2008-08-06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Ultra wideband assisted initial acquisition
KR101556170B1 (ko) * 2009-03-03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498280B2 (en) * 2009-03-27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head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1638917B1 (ko) * 2010-02-09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ppdu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959915B (zh) 2010-06-11 2015-08-12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确定信道带宽的方法和装置
US20120044361A1 (en) * 2010-08-20 2012-02-2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Tap Units Having Reverse Path Burst Mode Detection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of Identifying Reverse Path Noise Sources and Reducing Reverse Path Noise Funneling
US9225509B2 (en) * 2010-11-02 2015-12-2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7867B1 (ko) * 2011-06-03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및 단말
US9426261B2 (en) * 2013-05-15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frames
US9698945B2 (en) * 2014-09-30 2017-07-0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Long-term evolution unlicensed (LTE-U)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existence mechanism
EP3242485A4 (en) * 2014-12-31 2018-08-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10219274B2 (en) * 2015-04-23 2019-02-26 Marvell World Trade Ltd. Channel bonding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64A1 (ko) * 2018-08-10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링크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의 링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43809B2 (en) 2018-08-10 2024-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link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lurality of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91B1 (ko) 2018-11-16
CA2979911A1 (en) 2016-11-10
CA2979911C (en) 2019-05-21
HUE044546T2 (hu) 2019-10-28
ES2741804T3 (es) 2020-02-12
US9876604B2 (en) 2018-01-23
US20160329986A1 (en) 2016-11-10
WO2016178836A1 (en) 2016-11-10
EP3292727A1 (en) 2018-03-14
BR112017023607B1 (pt) 2024-02-20
JP6337220B1 (ja) 2018-06-06
CN107580759A (zh) 2018-01-12
EP3292727B1 (en) 2019-05-15
JP2018524842A (ja) 2018-08-30
CN107580759B (zh) 2018-11-30
BR112017023607A2 (pt)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7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frames
JP6833946B2 (ja) サブキャリアの再チャネル化
KR101919391B1 (ko) 범위 내 디바이스들로의 채널 본딩 시그널링
US20160330059A1 (en) Distributed pilots for single carrier transmission
US20170207905A1 (en) Fly feedback
KR101929999B1 (ko)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데 있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8150B1 (ko)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US20160212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multip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in a physical protocol data unit
US20190268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reuse
US20170311329A1 (en) Reconciling different spatial reuse m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