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61U -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61U
KR20180002661U KR2020170000993U KR20170000993U KR20180002661U KR 20180002661 U KR20180002661 U KR 20180002661U KR 2020170000993 U KR2020170000993 U KR 2020170000993U KR 20170000993 U KR20170000993 U KR 20170000993U KR 20180002661 U KR20180002661 U KR 201800026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ard surface
foam
space
support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2020170000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661U/ko
Publication of KR20180002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이 개시되는 것으로,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폼보드(10)와, 상기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1보드체(20) 및 제2보드체(30)를 포함하는 복합판넬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2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1보드면(211)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대응되는 제2보드면(212)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연결하되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과;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1공간부(214)로 구비되고, 상기 제2보드체(3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이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3보드면(311)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대응되는 제4보드면(312)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연결하되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과;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2공간부(3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complex panel with multi-layer structured}
본 고안은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장재 또는 선반 또는 칸막이에 사용되는 판넬의 내구성 및 견고성은 물론 방음성과 보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가벼운 중량 및 습기에 강한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넬은 건물의 내장재는 물론 선반이나 칸막이 또는 장식장, 책상, 책꽂이와 같은 가구를 구비할 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사용용도에 따라 구조를 달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반의 경우에는 벽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는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판넬은 대개 합성목이라 불리우는 판넬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목으로 이루어진 판넬은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물기가 많은 공간에 설치될 경우에는 물기가 흡수되어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썩게 되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판넬은 무게가 무겁고 단열성은 물론 보온성과 방음성이 저하되어 사용용도에 제한을 두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사용되고 있는 판넬을 개선하기 위해 의 무거운 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허니콤 판넬이 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허니콤 판넬은 2개의 판재 사이에 얇은 벌집형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보강재로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허니콤 보강재에 의해 방음성은 물론 단열성과 가벼운 중량성에 의해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보강재를 벌집형으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PP보드를 생산하여 스티로폼을 발포시킨 후 PP보드와 스티로폼을 우레탄접착제로 합지한 판넬이 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합지판넬은 중량이 매우 무겁고 습기에 대단히 취약함은 물론 내구성과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28347호인 열경화성 수지 및 시멘트의 혼합물이 코팅된 종이 하니콤 내장재 및 이 하니콤 내장재가 내장된 판넬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7:3의 비율로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와 시멘트의 액상 혼합물에 종이 하니콤 내장재를 함침시키거나 이 혼합물을 종이 하니콤 내장재에 분사 코팅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327224호인 건축용 판넬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하 금속판재 사이에 올레핀계수지 압출발포성형폼을 일정두께로 가공하여 개입하고 접착시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열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키고는 있으나, 종래 판넬이 갖는 중량의 무거움이나 습기에 의한 썩거나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 및 내구성 및 견고성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28347호(2006.10.02.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27224호(2003.09.08. 등록)
본 고안은 내구성은 물론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중량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방음성과 보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은,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폼보드와, 상기 제1폼보드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1보드체 및 제2보드체를 포함하는 복합판넬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는, 상기 제1폼보드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1보드면과; 상기 제1보드면과 대응되는 제2보드면과; 상기 제1보드면과 제2보드면을 연결하되 제1보드면과 제2보드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벽과;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1공간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2보드체는, 상기 제1폼보드의 이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3보드면과; 상기 제3보드면과 대응되는 제4보드면과; 상기 제3보드면과 제4보드면을 연결하되 제3보드면과 제4보드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벽과;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2공간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지지벽은 상기 제1보드면과 제2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은 상기 제3보드면과 제4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는 각각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지지벽은 상기 제1보드면과 제2보드면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은 상기 제3보드면과 제4보드면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는 각각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보드체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1보드체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보드체는, 상기 제1폼보드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5보드면과; 상기 제5보드면과 대응되는 제6보드면과; 상기 제5보드면과 제6보드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중간보드면과; 상기 제5보드면과 제1중간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지지벽과; 상기 제6보드면과 상기 제1중간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3지지벽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4지지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드체는, 상기 제1폼보드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7보드면과; 상기 제7보드면과 대응되는 제8보드면과; 상기 제7보드면과 제8보드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중간보드면과; 상기 제7보드면과 제2중간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5지지벽과; 상기 제7보드면과 상기 제2중간보드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5지지벽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6지지벽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보드체 또는 제2보드체 중 어느 하나의 보드체의 표면에는 제2폼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폼보드의 표면에는 제3보드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제3보드체는, 상기 제2폼보드의 표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9보드면과; 상기 제9보드면과 대응되는 제10보드면과; 상기 제9보드면과 제10보드면을 사각 또는 삼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7지지벽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폼보드의 양측에 각각 제1보드체와 제2보드체가 구비되고 제1보드체와 제2보드체가 각각 지지벽 및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어 지지성은 물론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공간부에 의한 중량의 가벼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성은 물론 방음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건물의 내장재나 보온재는 물론 선반의 판넬이나 칸막이와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고 습기에 의해 썩거나 하여 훼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은,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폼보드(10)와, 상기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1보드체(20) 및 제2보드체(30)를 포함하는 복합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보드체(20)와 제2보드체(3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공중합 수지를 압출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폼보드(10)는 스치로폼 또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제1보드체(20)와 제2보드체(30)를 열융착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용으로 사용하거나 칸막이 또는 건물의 내장재나 보온재, 가구와 같이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보드체(20)와 제2보드체(30)에 의해 경량성을 갖을 수 있어 운반 및 조립에 매우 용이하고, 보온성과 단열성은 물론 방음성이 뛰어나고 특히 내구성 및 지지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1보드체(2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1보드면(211)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대응되는 제2보드면(212)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연결하되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과,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1공간부(2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보드체(20)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에 의한 견고한 지지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보드체(3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이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3보드면(311)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대응되는 제4보드면(312)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연결하되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과,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2공간부(3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보드체(30)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에 의한 견고한 지지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용도로 사용되더라도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 또는 물건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한 지지성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보드체(20)의 복수개 제1지지벽(2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1공간부(214)와 제2보드체(30)의 복수개 제2지지벽(3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2공간부(314)에 의해 보온성은 물론 방음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건물의 내장재는 물론 단열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발포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폼보드(10)와 제1공간부(213)를 갖는 제1보드체(20) 및 제2공간부(314)를 갖는 제2보드체(30)에 의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 즉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습기에 강하기 때문에 물기가 존재하는 주방과 같은 공간의 선반용도나 가구용도로 사용하더라도 물기가 흡수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지지벽(213)은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313)은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는 각각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지지벽(213)과 제2지지벽(313)이 각각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 및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412)을 수직으로 연결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에 의해 내장재 또는 단열재로 사용할 경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에 잔류하는 공기층에 의해 보온성 및 방음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지지벽(213)은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313)은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는 각각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지지벽(3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에 의해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하중 분산에 의한 지지성 및 내구성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에 의해 내장재 또는 단열재로 사용할 경우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에 잔류하는 공기층에 의해 보온성 및 방음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은 제1보드체(20)와 제2보드체(30)의 구조를 각각 달리하여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접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213)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214)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30)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313)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314)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213)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214)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30)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313)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314)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보드체(2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5보드면(221)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대응되는 제6보드면(222)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제6보드면(222) 사이에 구비되는 제1중간보드면(223)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제1중간보드면(22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과, 상기 제6보드면(222)과 상기 제1중간보드면(223)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4지지벽(2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드체(3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7보드면(321)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대응되는 제8보드면(322)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제8보드면(322) 사이에 구비되는 제2중간보드면(323)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제2중간보드면(32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5지지벽(324)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상기 제2중간보드면(323)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5지지벽(324)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6지지벽(3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보드체(20)가 제5보드면(221), 제6보드면(222) 및 제1중간보드면(223)의 다단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각각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과 제4지지벽(225)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또한 제2보드체(30)가 제7보드면(321), 제8보드면(322) 및 제2중간보드면(323)의 다단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각각 복수개의 제5지지벽(324)과 제6지지벽(325)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과 제4지지벽(225)은 물론 제5지지벽(324)과 제6지지벽(325)이 서로에 대해 사이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하중에 대한 지지성은 물론 내구성 및 견고성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보드체(20) 또는 제2보드체(30) 중 어느 하나의 보드체의 표면에는 제2폼보드(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폼보드(40)의 표면에는 제3보드체(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3보드체(50)는, 상기 제2폼보드(40)의 표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9보드면(511)과, 상기 제9보드면(511)과 대응되는 제10보드면(512)과, 상기 제9보드면(511)과 제10보드면(512)을 사각 또는 삼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7지지벽(51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보드체(20)와 제1폼보드(10), 제2보드체(30), 제2폼보드(40) 및 제3보드체(50)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견고함과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되는 가구나 선반 또는 칸막이의 두께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함이 가능하다.
또한, 제1보드체(20)와 제1폼보드(10), 제2보드체(30), 제2폼보드(40) 및 제3보드체(50) 이외에 본 고안의 보드체와 폼보드의 개수를 달리하여 접합시켜 다층구조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제1폼보드(10)와 제1보드체(20) 및 제2보드체(30)를 서로 접착한 후 가장자리 둘레부를 몰딩처리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함은 물론, 제1보드체(20) 및 제2보드체(30)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 또는 색상을 갖는 시트지를 라미네이팅에 의해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폼보드 20 : 제1보드체
30 : 제2보드체 40 : 제2폼보드
50 : 제3보드체
211 : 제1보드면 212 : 제2보드면
213 : 제1지지벽 214 : 제1공간부
221 : 제5보드면 222 : 제6보드면
223 : 제1중간보드면 224 : 제3지지벽
225 : 제4지지벽
311 : 제3보드면 312 : 제4보드면
313 : 제2지지벽 314 : 제2공간부
321 : 제7보드면 322 : 제8보드면
323 : 제2중간보드면 324 : 제5지지벽
325 : 제6지지벽 511 : 제9보드면
512 : 제10보드면 513 : 제7지지벽

Claims (7)

  1.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폼보드(10)와, 상기 제1폼보드(10)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1보드체(20) 및 제2보드체(30)를 포함하는 복합판넬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2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1보드면(211)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대응되는 제2보드면(212)과;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연결하되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과;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벽(2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1공간부(214)로 구비되고,
    상기 제2보드체(3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이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3보드면(311)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대응되는 제4보드면(312)과;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연결하되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과;
    상기 복수개의 제2지지벽(313)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제2공간부(3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벽(213)은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313)은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는 각각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벽(213)은 상기 제1보드면(211)과 제2보드면(212)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벽(313)은 상기 제3보드면(311)과 제4보드면(312)을 연결하되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양단이 각각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간부(214) 및 제2공간부(314)는 각각 삼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213)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214)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30)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313)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314)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1보드체(20)에 구비되는 제1지지벽(213)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214)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드체(30)에 구비되는 제2지지벽(313)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공간부(314)는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2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5보드면(221)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대응되는 제6보드면(222)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제6보드면(222) 사이에 구비되는 제1중간보드면(223)과;
    상기 제5보드면(221)과 제1중간보드면(22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과;
    상기 제6보드면(222)과 상기 제1중간보드면(223)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3지지벽(224)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4지지벽(2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드체(30)는,
    상기 제1폼보드(10)의 일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7보드면(321)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대응되는 제8보드면(322)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제8보드면(322) 사이에 구비되는 제2중간보드면(323)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제2중간보드면(32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5지지벽(324)과;
    상기 제7보드면(321)과 상기 제2중간보드면(323)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5지지벽(324)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제6지지벽(32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드체(20) 또는 제2보드체(30) 중 어느 하나의 보드체의 표면에는 제2폼보드(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폼보드(40)의 표면에는 제3보드체(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드체(50)는,
    상기 제2폼보드(40)의 표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9보드면(511)과;
    상기 제9보드면(511)과 대응되는 제10보드면(512)과;
    상기 제9보드면(511)과 제10보드면(512)을 사각 또는 삼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7지지벽(51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KR2020170000993U 2017-03-02 2017-03-02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KR201800026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3U KR20180002661U (ko) 2017-03-02 2017-03-02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3U KR20180002661U (ko) 2017-03-02 2017-03-02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61U true KR20180002661U (ko) 2018-09-12

Family

ID=6358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93U KR20180002661U (ko) 2017-03-02 2017-03-02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66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24Y1 (ko) 2003-06-09 2003-09-19 영상산업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KR20040028347A (ko)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조아 차량 번호판 가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47A (ko)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조아 차량 번호판 가림 장치
KR200327224Y1 (ko) 2003-06-09 2003-09-19 영상산업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5366T3 (es) Elemento tipo sándwich.
EP3026186B1 (en)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sheathing board and wall and/or ceiling system
EP0144340B1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4426141B2 (ja) 遮音性サンドイッチ要素
US20090235599A1 (en) Laminated structural insulated panel with perforated foam cor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6109932A1 (en) High-strength and ultra lightweight panel
EP2674091A1 (en) Honeycomb-based high temperature structural damper
US20080148663A1 (en) Interior structural panel
US20060003155A1 (en) Composite core stiffened structures for lamination and tiling
US20090282778A1 (en) Composite-structure panel for buildings
US10794058B2 (en) Structural panel
KR100561246B1 (ko) 열융착성 재료로 이루어진 허니콤 구조체
KR20160017724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100868880B1 (ko) 철도 차량용 패널
EP1840290B1 (en) Composite-structure panel for buildings
KR20180002661U (ko)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KR20180002580U (ko)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판넬
US20200171780A1 (en) Composite panel made of multiwall polycarbonate sheet covered by laminate layer
US20050275124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230141832A1 (en) Composite stiffener
JP2013067973A (ja) 建材パネル
EP1795338A1 (en) Composite material coated panel for use in the building and furnishing sector
NL2028452B1 (en) Reinforced multi-layered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reinforced multi-layered panel
JPH0726105Y2 (ja) 多穴コア材
KR101261623B1 (ko) 골판지 스트립이 감겨진 지관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