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02U -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 Google Patents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2602U KR20180002602U KR2020170000881U KR20170000881U KR20180002602U KR 20180002602 U KR20180002602 U KR 20180002602U KR 2020170000881 U KR2020170000881 U KR 2020170000881U KR 20170000881 U KR20170000881 U KR 20170000881U KR 20180002602 U KR20180002602 U KR 2018000260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contents
- operation button
- storage contain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2—Burettes; Pipettes mounted within a recepta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체결캡으로 닫을시 자바라관이 압축되면서 작동버튼을 자동으로 내장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시에는 체결캡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자바라관이 팽창되어 정량의 내용물을 스포이드파이프에 유입시킴과 동시에 작동버튼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도 내용물을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0)를 체결캡(20)으로 개폐토록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면서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스포이드파이프(40)를 통해 저장용기(10)내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토출시키도록 하는 자바라관(30)으로 이루어지는 스포이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20)의 외측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작동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내경에는 승강구간(a) 및 회전구간(b)을 가지는 슬라이드홈(52)이 형성되는 회전작동체(50)와; 상기 회전작동체(5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고,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외주연의 양측에는 슬라이드홈(52)에 체결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핀(6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를 향해 개구되는 다수의 절개홈(62) 및 외부연에는 작동버튼과 언더컷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턱(63)을 가지는 버튼홀더(60)와; 상기 버튼홀더(60)의 상부 체결되어 회전작동체(50)에 지지된채로 승강되면서 자바라관(30)을 가압작동시키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버튼홀더(60)의 걸림턱(63)과 결합되는 체결턱(71)을 가지는 작동버튼(70);을 갖추어 구성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drop-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push-button operation butt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injection port of a storage container is closed with a coupling cap, The bellows tube is inflated only by separating the fastening cap so that the contents of a predetermined amount are introduced into the eyedropper pipe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button is projec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rawn out without any other operation.
This is because the storage container 10 in which the liquid content is store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upling cap 20 and is kept in a vacuum state while being contracted and expand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bellows pipe (30)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in the mouthpiece (20) (50) in which a slide groove (52) having a rotation section (a) and a rotation section (b) is formed; A guide pin 6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actuator 50 so as to be coupled to the slide groove 52 and is guided by a plurality of A cutout groove 62 and a button holder 60 having an engagement protrusion 63 coupled to the operation button in an undercut manner; The button holder 6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holder 60 and is supported by the rotary actuator 50 so as to be operated to press the bellows tube 3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tton holder 60 And an operating button 70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71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71.
Description
본 고안은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체결캡으로 닫을시 자바라관이 압축되면서 작동버튼을 자동으로 내장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시에는 체결캡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자바라관이 팽창되어 정량의 내용물을 스포이드파이프에 유입시킴과 동시에 작동버튼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별도의 조작없이도 내용물을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drop-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push-button operation butt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injection port of a storage container is closed with a coupling cap, The bellows tube is inflated only by removing the fastening cap so that the contents of the predetermined amount are introduced into the eyedropper pipe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butt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rawn out without any operation, Type cosmetics container.
일반적으로 스포이드(spoid)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진공의 힘으로 흡입하였다가 원하는 위치로 다시 토출시켜 내용물을 옮기기 위한 분급(分給)수단의 기구로서, 각종 실험실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실험액, 약품 등을 분급하거나 또는 화장품이나 음식물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액상의 제품들을 분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spoid is a mechanism of a sorting means for sucking the contents of a liquid state by a vacuum force and then discharging it again to a desired position to transfer the contents. The spoiler is a device for dispensing a test solution, medicine, etc. in various laboratories and medical institutions It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sorting or classifying various liquid products such as cosmetics and foods.
상기와 같은 스포이드의 종래 구조를 일예를 살펴보면, 이는 자바라 타입의 스포이드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189404호를 들수 있으며, 이는 선단에 좁은 유입구를 가진 유리관과, 그 후단에 자바라형으로 이루어지는 튜브가 체결되고, 튜브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A conventional structure of the eyedropper is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89404 as a bellows-type eyedropper. The eyedropper includes a glass tube having a narrow inlet at the tip thereof, and a tube made of a bellows- And a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tube.
그러나 이와 같은 스포이드의 구성은 자바라식으로 구성되는 압착튜브의 수축 팽창에 따라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이긴 하지만, 재질이 가지는 자체의 탄성력과 스프링의 탄성력만을 이용하는 구성임으로써 원활한 작동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압착튜브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임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져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structure of the eyedropper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mpression tube composed of the JAVA LASIK, but the structure using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itself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ssing tub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ressing tube is pressurized by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to cause a malfunction.
또한 또 다른 종래의 구성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099호를 들 수 있으며, 이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로 연장되는 관과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므로써 그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내용물을 관으로 흡입시키거나 토출시키도록 다단의 주름이 형성된 누름주머니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configuration is 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0454099, which is connected to a tube extending to the liquid content and deformed in shape by an external force, To form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suck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pipe.
상기 주름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한 정경사면과, 상기 정경사면의 끝점을 기준으로 비대칭되는 역경사면이 반복 형성되되, 상기 정경사면과 역경사면은 부등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누름주머니 구조에 의해 달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Wherein the wrinkles are repeatedly formed in a regular sloped surface formed so as to face downward from the top and a reverse sloped surface which is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d point of the regular sloped surface and wherein the regular sloped surface and the opposite sloped surface form an isosceles angle And is configured to be accomplished by a push-button structure of the conta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은 피스톤방식의 펌프 대신 자바라형의 누름주머니를 통하여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토록 하는 것이나, 이 역시 비사용시에는 작동버튼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예기치 못한 외력ㅇ p의해 언제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line registration design causes the contents to be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a press-through bag of a bellows type instead of a piston type pump, and since the operation butt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non-use, the user's carelessness or unexpected external force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could always cause a malfunction.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사용시에는 캡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별도의 누름작동을 행하여야만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것임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항상 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기도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o such a problem, when the cap is completely opened, the contents can be taken out only when a separat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raw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tents at all times.
또한 또다른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로서는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1169008호에 의해서도 제안된 바 있다.Further, another conventional eyedrop-type cosmetic container has been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s prior-art patent No. 10-1169008.
이는 저장용기 내의 저장물을 흡출하여 일정량씩 분급시키는 스포이드로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배출통로상에 펌프가 설치되면서 하부에는 내용물을 저장용기로 부터 흡출토록 하는 흡출관을 가지는 동체와, 상기 동체의 외측에서 전체적으로 감싸아 보호토록 하면서 케이스로 구성됨으로써 펌프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분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is is a syringe which draws the storage material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classifies the storage material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yringe has a pump body installed on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 lower body having a draft tube for drawing the contents from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lassifi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스포이드를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식으로 체결하여 저장용기의 마개의 기능과 더불어 스포이드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안전하게 저장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시에는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safely store and stor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y making the eyedropper detachably fastened to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to function as a stopper of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function of the eyedropper.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는 피스톤방식의 펌프로 구성되는 것임으로써 우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따른 제조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작동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patent is made up of a piston-type pump,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its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also the operation is not good due to complicated construction .
또한 비사용시에는 작동버튼이 항상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관 및 운반시 사용자의 부주의나 또는 전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물품과 접촉에 의해 눌러지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button is always protruded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not in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careless at the tim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or is pressed by other articles in unintended state, there wa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장용기에 체결캡을 결합시 작동버튼이 자바라관의 수축에 의해 회전작동체의 내부로 내장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나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해 오작동될 수 있는 현상을 배제하여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고, 또한 사용시에는 체결캡을 저장용기로 부터 분리하는 순간 자바라관이 팽창되면서 작동버튼이 돌출됨과 동시에 정량의 내용물이 인출됨으로써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mounting a fastening cap on a storage container by incorporating the operation button into the rotary actuator by the contraction of the bellows pipe, 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at the time of use, the operation button is protruded as the bellows tube is expanded,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tents is drawn out, And a push-and-drop operation button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pull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t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선된 스포이드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내용물을 저장토록 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체결캡과, 체결캡의 내측 상부에 체결되어 압축 팽창에 의해 흡입력과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자바라관과, 상기 자바라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저장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흡입, 토출토록 하는 스포이드파이프와, 상기 체결캡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토록 하는 회전작동체와, 상기 회전작동체의 내부에 체결되어 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작동버튼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버튼홀더와, 상기 버튼홀더와 결합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자바라관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버튼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roved eyedropper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therein; a coupling cap coupled to an upper opening of the storage container; A syringe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ellows pipe and adapted to suck and discharge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an outer pipe A button holder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operation body and is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operation body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operation button; And an operating button which is combined with the button holder to operate the bellows pipe by the pressing operation The.
특히 본 고안은 작동버튼을 출몰식으로 구성한 것으로, 비사용시에는 작동버튼이 내장되어 외력에 의해 오작동될 수 있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토록 하는 것이고, 이와는 달리 사용시에는 저장용기로부터 스포이드를 분리하는 순간 작동가능한 상태로 작동버튼이 오픈됨과 동시에 정량의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에 자동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mpletely eliminate the phenomenon that malfunctions due to external force are built-in due to the built-in operation butto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not used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not used. In contrast,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he actuation button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of the predetermined amount are automatically sucked into the eyedropper pipe.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체결캡을 체결시에는 작동버튼이 회전작동체로 삽입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오작동될 수 있는 현상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When the fastening cap is fastened to the storag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form in which the operation button is inserted into the rotary actuator, so that the appearance is simple and beautiful, and a phenomenon in which a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a user's mistake or carelessness,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즉, 비사용시에는 작동버튼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동버튼을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 또는 예기치 못한 여러 가지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현상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not in use, the operation button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ut is kep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is basically blocked by the user's mistake, inattention or various unexpected external for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s.
또한 사용시에는 체결캡을 저장용기로 부터 분리하는 순간, 작동버튼과 자바라관이 상승되면서 스포이드파이프의 내부로 정량의 내용물이 흡입됨으로써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bellows pipe are lift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eyedrop pip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can be easily withdrawn .
특히 본 고안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자바라관을 사용함에 따라 내용물의 흡입과 토출이 안정되고도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부터 내용물의 정량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부드러운 작동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ellows tube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are stabilized and uniformly performed, thereby enabling not only the use of the contents to be used in a fixed quantity but also the use of a metal coil spring It is possible to expect smooth opera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composition and assembl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2에서 부품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사용전의 상태를 보인 정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회전작동체를 회전시켜 작동버튼을 돌출시킨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저장용기로부터 분리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Fig.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a part cu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rotary operatio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o project the operation butt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state of use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5 이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1 to 4 are views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yringe-typ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5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100)는 크게 구분하여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용기(10)와, 저장용기(10)의 개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캡(20)과, 체결캡(20)의 내측 상부에 체결되어 압축 팽창에 의해 흡입력과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자바라관(30)과, 상기 자바라관(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저장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흡입, 토출토록 하는 스포이드파이프(40)와, 상기 체결캡(20)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토록 하는 회전작동체(50)와, 상기 회전작동체(50)의 내부에 체결되어 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작동버튼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버튼홀더(60)와, 상기 버튼홀더(60)와 결합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자바라관(30)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버튼(70)으로 구성된다.The eyedrop-shaped
상기 저장용기(10)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화장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상부에는 나사가 형성되는 주입구(11)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또한 상기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에는 체결캡(20)이 나사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체결캡(20)은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와 결합되는 너트를 가지면서 외주연에는 상향으로 개구되는 가이드공(21)이 서로 대향되게 구비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는 회전작동체(50)가 언더컷 방식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 안내될 수 있는 체결홈(22)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체결캡(20)의 상부측으로는 자바라관(30)이 체결고정되는 것으로, 이 자바라관(30)은 복원력이 매우 우수한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 중 그 어느 하나로 형성되므로써 그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자바라관(30)은 탄성복원력과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와 중심부에는 체결캡(20)과 결합을 위한 플랜지(31)와 다단의 주름(32)이 형성되고, 개구되는 내경에는 스포이드파이프(4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홈(33)이 갖추어져 구성된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자바라관(30)은 작동버튼(70)의 외력에 의해 주름(32)이 한번 수축되었다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되므로 스포이드파이프(40)를 통하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외력이 해소되면 주름(3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복귀스프링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The
또한 상기 스포이드파이프(40)는 상,하 관통되는 길다란 관체로 형성되면서 그 상단부는 플랜지를 갖추어 자바라관(30)의 고정홈(33)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고정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하단부는 저장용기(10)의 저장공간내의 바닥면에 이르는 지점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체결캡(20)의 외측에는 외측캡에 해당되는 회전작동체(50)가 체결되어 이에 지지된채로 정,역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회전작동체(5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내경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턱(51)이 구비되어 체결캡(20)의 외주연에 체결홈(22)과 언터컷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이에 지지된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의 상부에는 슬라이드홈(52)이 형성되어 후술할 버튼홀더(60)와 결합된다.The
이때 슬라이드홈(52)은 버튼홀더(60)의 가이드핀이 체결되어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직을 이루는 승강구간(a)과 수평을 이루어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구간(b)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버튼홀더(60)는 회전작동체(50)의 내경에 체결되어 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 또는 승강작동되면서 상부에는 작동버튼(70)이 체결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하부측에는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핀(61)이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로 절개되는 절개홈(62)을 갖추어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며, 외주연의 상부측에는 작동버튼(70)이 언더컷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걸림턱(63)이 형성된다.The
이러한 버튼홀더(60)는 그 상부에 작동버튼(70)이 체결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작동버튼(70)과 회전작동체(50)의 회전 또는 승강되는 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가이드핀(61)은 회전작동체(50)의 슬라이드홈(52)에 체결되어 승각구간(a) 및 회전구간(b)을 따라 슬라이드 됨으로써 작동버튼(70)의 승강과 회전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동력을 상호 전달하기 위함이고, 절개홈(62)은 상부로 개구되게 구성됨에 따라 버튼홀더(60)를 조립시 내측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복귀됨으로써 조립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며, 걸림턱(63)은 작동버튼(7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작동버튼(70)은 회전작동체(50)의 상부에서 버튼홀더(60)에 체결되어 누름작동에 따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작동체(50)의 내경에서 승강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의 내경에는 체결턱(71)이 형성되어 버튼홀더(60)의 걸림턱(63)과 언더컷방식으로 체결고정된다.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사용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4에서 보듯이 저장용기(10)의 내부에 액체 상태의 화장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그 주입구(11)가 스포이드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1 and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liquid cosmetic is contained in the
이러한 상태는 작동버튼(70)이 회전작동체(5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오작동의 우려가 전혀없이 안전한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가 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저장용기(10)내에 저장된 화장품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용기(10)를 개방하기 전에 회전작동체(50)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회전작동체(50)의 회전에 의해 버튼홀더(60)가 회전구간(b)을 따라 회전된 후, 승강구간(a)에 도달하는 순간 수축되어있던 자바라관(30)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 상승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버튼(70)을 밀어올려 상승시키게 된다.When the cosmetics stored in the
이때 작동버튼(70)은 하강한 상태에서 상승되므로써 누르고 있던 자바라관(30)을 놓게 되는 것이고, 이에 자바라관(30)은 수축된 상태에서 주름(32)의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어져 그 내부의 체적이 커지게 되어 진공압력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저장용기(1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40)의 내부로 흡입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태는 도5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작동버튼(70)이 상부로 돌출되어 오픈됨과 동시에, 저장용기(1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화장품이 스포이드파이프(40)의 내부로 일정량만큼 흡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5, when the
이어서 화전작동체(50)를 더 회전시켜 첨부된 도6 에서 보듯이 체결캡(20)으로 하여금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를 개방시킨 후, 스포이드의 스포이드파이프(40)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옮겨서 도면 도7에서 보듯이 작동버튼(70)을 누르게 되면,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버튼(70)이 버튼홀더(60)를 누름과동시에 자바라관(30)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같이 자라바관(30)이 가압됨에 따라 스포이드파이프(40)의 내부에 흡입되었던 내용물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6,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스포이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저장용기(10)내의 내용물을 계속해서 더 인출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스포이드파이프(40)를 저장용기(10)내의 내용물에 침지시키고, 이어서 작동버튼(70)을 눌렀다가 놓아서 자바라관(30)과 스포이드파이프(40)내에 진공압력을 작용시켜 내용물을 흡인한 다음, 필요로 하는 위치로 옮겨서 다시 작동버튼(70)을 눌러주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When the contents of the
이와는 달리 더이상의 사용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버튼(70)을 누른 상태에서 체결캡(20)을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에 닫은 후, 개방의 역순으로 회전작동체(50)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체결캡(20)이 나사체결되어 저장용기(10)의 주입구에 체결되고, 이어서 계속되는 회전작동체(50)의 회전력에 의해 버튼홀더(60)가 승강구간(a)에서 벗어나 회전구간(b)을 통하여 회전됨으로써 작동버튼(70)을 회전작동체(50)의 내부로 원위치시키게 된다.When the
즉, 작동버튼(70)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그 하부에 일체형으로 조립된 버튼홀더(60)가 역시 동일한 간격으로 하강하면 승강구간(a)의 최하단점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작동체(50)의 회전력에 의해 버튼홀더(60)의 가이드핀(61)이 회전구간(b)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작동버튼(70)과 버튼홀더(60)를 하강시켜 작동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본 고안은 자바라관(30)이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이고, 부드러운 작동과 더불어 내용물을 흡입하는 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흡입과 토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부터 내용물의 정량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저장용기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 항상 정량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100:화장품용기
10:저장용기
11:주입구
20:체결캡
21가이드공
22:체결홈
30:자바라관
31:플랜지
32:주름
33:고정홈
40:스포이드파이프
50:회전작동체
51,63:걸림턱
52:슬라이드홈
a:승강구간
b:회전구간
60:버튼홀더
61:가이드핀
62:절개홈
63:걸림턱
70:작동버튼
71:체결턱100: Cosmetic container 10: Storage container
11: inlet 20: fastening cap
21 guide ball 22: fastening groove
30: Bellows tube 31: Flange
32: Wrinkle 33: Fixing groove
40: eyedropper 50: rotating actuator
51, 63: engaging jaw 52: slide groove
a: Lift section b: Turn section
60: Button holder 61: Guide pin
62: incision groove 63:
70: operation button 71: fastening jaw
Claims (1)
상기 체결캡(20)의 외측에 체결되어 정,역회전 작동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내경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턱(51)이 구비됨과 동시에, 승강구간(a) 및 회전구간(b)을 가지는 슬라이드홈(52)이 형성되는 회전작동체(50)와;
상기 회전작동체(5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고,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외주연의 양측에는 슬라이드홈(52)에 체결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핀(6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를 향해 개구되는 다수의 절개홈(62) 및 외부연에는 작동버튼과 언더컷 방식으로 결합되는 걸림턱(63)을 가지는 버튼홀더(60)와;
상기 버튼홀더(60)의 상부 체결되어 회전작동체(50)에 지지된채로 승강되면서 자바라관(30)을 가압작동시키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버튼홀더(60)의 걸림턱(63)과 결합되는 체결턱(71)을 가지는 작동버튼(70);을 갖추어 회전작동체(50)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버튼(70)이 출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The container 10 is opened and closed by a coupling cap 20. The container 10 is shrunk and expand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and the container 10 is opened through the eyedropper pipe 40, (30)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in the mouthpiece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ner diamet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stopping protrusion 51 and is provided with a lifting section a and a rotating section b, A rotary actuator (50) in which a slide groove (52) is formed;
A guide pin 6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actuator 50 so as to be coupled to the slide groove 52 and is guided by a plurality of A cutout groove 62 and a button holder 60 having an engagement protrusion 63 coupled to the operation button in an undercut manner;
The button holder 6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holder 60 and is supported by the rotary actuator 50 so as to be operated to press the bellows tube 3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tton holder 60 And an operating button (70)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71) for fastening the operating button (70) to the operating button (7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operating body (50) Vess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881U KR200487644Y1 (en) | 2017-02-22 | 2017-02-22 |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881U KR200487644Y1 (en) | 2017-02-22 | 2017-02-22 |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602U true KR20180002602U (en) | 2018-08-30 |
KR200487644Y1 KR200487644Y1 (en) | 2018-10-16 |
Family
ID=6340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0881U KR200487644Y1 (en) | 2017-02-22 | 2017-02-22 |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644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5985B1 (en) * | 2021-02-03 | 2021-09-01 | (주)연우 | Discharging container |
KR20220101840A (en) * | 2021-01-12 | 2022-07-19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
KR102477894B1 (en) * | 2022-10-11 | 2022-12-16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Spoid-type Echo Auto Dropp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321B1 (en) | 2020-05-11 | 2020-07-29 | 이성환 | The spuit type cosmetic contai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4653A (en) * | 2010-08-10 | 2012-02-20 | (주)연우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KR101162644B1 (en) * | 2011-09-23 | 2012-07-09 | 최종서 | Cap for vessel of cosmetics |
KR200474769Y1 (en) * | 2013-08-21 | 2014-10-16 | (주)톨리코리아 | Rotary and up down type cosmetic container |
KR20160126566A (en) * | 2015-04-24 | 2016-11-02 | 주식회사 대웅제약 | Automatic spuit type cap and automatic spuit type vessel comprising the same |
-
2017
- 2017-02-22 KR KR2020170000881U patent/KR200487644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4653A (en) * | 2010-08-10 | 2012-02-20 | (주)연우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KR101162644B1 (en) * | 2011-09-23 | 2012-07-09 | 최종서 | Cap for vessel of cosmetics |
KR200474769Y1 (en) * | 2013-08-21 | 2014-10-16 | (주)톨리코리아 | Rotary and up down type cosmetic container |
KR20160126566A (en) * | 2015-04-24 | 2016-11-02 | 주식회사 대웅제약 | Automatic spuit type cap and automatic spuit type vessel comprising the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1840A (en) * | 2021-01-12 | 2022-07-19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
KR102295985B1 (en) * | 2021-02-03 | 2021-09-01 | (주)연우 | Discharging container |
WO2022169097A1 (en) * | 2021-02-03 | 2022-08-11 | 주식회사 연우 |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
KR102477894B1 (en) * | 2022-10-11 | 2022-12-16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Spoid-type Echo Auto Dropper |
WO2024080641A1 (en) * | 2022-10-11 | 2024-04-18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Pipette-type auto dropp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644Y1 (en) | 2018-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7644Y1 (en) | Eyedropper-type cosmetic container with push-button action button | |
JP6843293B1 (en) | Discharge container for contents | |
KR101789573B1 (en) |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 |
US20170238675A1 (en) |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 |
KR102150366B1 (en) | Spuit type cosmetic comtaimers | |
KR200484156Y1 (en) |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having quantitative extraction function | |
US10046349B2 (en) | Trigger-type pump dispenser | |
US20140209206A1 (en) | Dropper assembly | |
CN109051295A (en) | A kind of structure of container with external spring vacuum pump | |
KR101722531B1 (en) | Pumping type cosmetic case | |
KR101387624B1 (en) | Lip-gloss cosmetic container of button type operate pump silicone material | |
KR101355654B1 (en) | Cosmetics container of nozzle type | |
KR102011701B1 (en) | A button retractable typed container | |
WO2017084626A1 (en) | Distributor and container comprising distributor | |
CN113271811A (en) | Cosmetic container with retractable button | |
KR101288327B1 (en) | Pop-Up Dropper | |
KR20190000556A (en) | cosmetic tool and cosmetic vessel | |
CN208979438U (en) | A kind of container with external spring vacuum pump | |
KR200465590Y1 (en) | Cosmetic vessel of spuit type | |
KR101599612B1 (en) | container cap usable quantitative absorbing contents | |
KR20160126566A (en) | Automatic spuit type cap and automatic spuit type vessel comprising the same | |
JPH08169479A (en) | Dispenser for muddy paste -form substance | |
KR101271151B1 (en) | Cosmetics container | |
BRPI0717543A2 (en) | FLUID PRODUCT DISTRIBUTION DEVICE | |
KR101454748B1 (en) | 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