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552A -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 Google Patents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552A
KR20180002552A KR1020170122712A KR20170122712A KR20180002552A KR 20180002552 A KR20180002552 A KR 20180002552A KR 1020170122712 A KR1020170122712 A KR 1020170122712A KR 20170122712 A KR20170122712 A KR 20170122712A KR 20180002552 A KR20180002552 A KR 2018000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ffee
state
port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12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552A/en
Publication of KR2018000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is designed to allow a user to drink coffee prepared by injecting water into ground coffee beans. To this end,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comprises: a first main body storing the injected ground coffee beans and providing a first space for dripping; and a second main body providing a second space to store the dripped coffee after the 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passes through the ground coffee beans. The second main body allows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to be drunk without passing the first space, whil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Description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최근 들어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전문 매장과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coffee beans have been widely used instead of instant coffee due to their flavor and high quality. As a result, coffee shops and bean coffee aficionados are increasing in number.

그리고,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 원두커피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마시거나, 별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입하여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다.If you want to drink coffee beans at home or at the general office, use a separate grinding device to grind the beans, then add the powder to the filtration device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You can buy a machine and drink coffee beans.

그러나,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However, in places where a grinding apparatus and a filtration apparatus 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are provided, coffee beans can be consumed without using a coffee bean specialty store. However, in places where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filtration apparatus or the espresso coffee machine are not provided, It is impossible to consume coffee beans without using a coffee specialty store.

즉, 인스턴트커피의 경우에는 인스턴트커피와 컵 및 뜨거운 물을 구비함으로서 여행시나 그 외 실외의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기타 실외의 공간에서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That is, in the case of instant coffee, instant coffee, cups, and hot water are provided, so that instant coffee can be easily ingested at the time of traveling or other outdoors. However, the coffee beans are relatively bulky compared to instant coffee, Equipment 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it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consume coffee beans during traveling or other outdoor space.

이에 따라, 근래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시중에 판매 -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원두분쇄물은 별도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 - 되고 있으나, 여전히 커피 섭취자는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 그리고 커피잔 및 뜨거운 물이 담겨 진 보온병을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를 거친 원두액을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crushing device and the filtration device have been made compact, and the bean pulverized by the sale-crushing device has been separately sold on the market so that coffee lovers can carry it conveniently. However, It is troublesome to separately prepare the crushing device, the filtration device, and the thermos bottle containing the coffee cup and the hot wat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ean liquid through the crushing device and the filtration device to the coffee cu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te and flavor of the product is lost.

그리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커피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spresso coffee machines sold on the marke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expensiv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coffee beans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본원발명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673호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가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09-000673 'Tumbler with sieve container' is available.

본 발명은 목적은,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for preventing the troublesome preparation of a filtering device for producing drip coffee and a container for drinking of drip cof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ortable coffee drin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be able to drink coffee produced by injecting water into a bean pulverized product so that the bean pulverized material is stored and a first space for dripping A first main body for providing the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body for providing a second space for storing the dripped coffee after the 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passes through the bean pulverized material, So that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can be consum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spa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first body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body while the second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비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며,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는, 각각 상기 드립핑을 위한 시간 및 음용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re maintained for a time for the dripping and a time for drinking, respectively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연통조절부는, 제1 연통조절부 및 제2 연통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may include: And the position can be relatively changed based on the remaining 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1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nnection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a second connection space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wherein 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sp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sp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are disposed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광하협의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공간은, 상기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upper surface of a lower light-tight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on spac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on the basis of the other one to change its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first body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body while the second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block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ate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nnected and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re communicat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so that the 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passes through the bean pulverized material and then the dripped coffe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main body is connected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block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the first main body is changed in position to be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To allow the dripped coffee to be consu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for allowing the amount of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to be externally vi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의 중력 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본체의 상측에 치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indow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offset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on the basis of a case where the second main body is located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은, 선택적으로 연통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coffee drinking vessel for drinking coffee prepared by injecting water into a bean pulverized product, wherein the charged bean pulverized product is stored in a first space for dripping, A first body to provide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for providing a second space for storing dripped coffee after the water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passes through the bean pulverized material, And the communication state is selectively controll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first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while the first mai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unit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oublesome operation of separately preparing a filter for manufacturing drip coffee and a container for drinking drip coffee.

또한,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flavor and fragrance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fer of the drip coffee into the coffee mug.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acilitates cleaning and maximizes convenience and cleanliness for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제공되는 연통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a portable coffee drin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provided in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mmercial method of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제공되는 연통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control part provided in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P, 도 6 참조)는, 원두 분쇄물(P)에 뜨거운 물(W, 도 6 참조)을 부어 걸러낸 후 제조되는 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 드립퍼와 음용용기가 구현된 신개념의 텀블러일 수 있다.1 to 4, a portable coffee drinking vessel P (see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urs hot water W (see Fig. 6) into bean pulverized product P It is a new concept tumbler that can drink drip coffee that is manufactured afterwards, and it has a dripper and a drinking container.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는, 원두 분쇄물(P)에 물(W)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rinking coffee produced by injecting water W into bean pulverized product P, and comprises a first main body 110 and a second main body 120).

상기 제1 본체(110)는 원두 분쇄물(P)에 주입된 뜨거운 물(W)을 걸러 낼 수 있는 필터(F)가 배치되기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10 may provide a first space S1 in which a filter F capable of filtering hot water W injected into the bean pulverized product P is disposed.

상기 필터(F)는 드립핑을 구현하기 위한 공지의 필터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filter (F) is a known filter for implementing dripping,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공간(S1)에 상기 필터(F)가 배치되면,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F)에 원두 분쇄물(P)이 적정량 주입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드립핑이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filter F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an appropriate amount of ground beans P can be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filter F, and dripping can proceed thereafter.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1 공간(S1)에 주입된 물(W)이 상기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여 추출되는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120 has a second space S2 for storing dripped coffee in which the water W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S1 is extracted through the bean pulverized product P .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detachably connected.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어느 하나에 돌기를 구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 등을 구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crew fastening method, or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on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a groove or the like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separation.

한편,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S1)을 경유하지 않고 음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to be consum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space S1 in a state where the second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 can do.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연통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30.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은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상태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일종의 구획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paces S1, And may be a kind of partition memb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을 연통시키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을 비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in a state where the second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1 state to a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상태는 드립핑이 가능하여 제2 공간(S2)에 드립핑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는 드립핑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공간(S2)에 추출된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state may be a state capable of dripping to extract coffee dripped into the second space S2, and the second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coffee is dripped into the second space S2 after the dripping is completed So that the extracted dripped coffee can not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S1.

결국,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드립핑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는 드립핑이 완료된 후 음용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state may be maintained for a time for the dripping, and the second state may be maintained for a time for drinking after the dripping is completed.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연통조절부(132)와 제2 연통조절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two or more components and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2 and a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4, for example.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위치 변화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상태 변화가 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13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 part 134 may be relatively positional based on the other one and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 Or a state change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여기서,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연결되는 제1 연결공간(S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공간(S3)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ing part 13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space S3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S1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S3) may be formed through.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S2)과 연결되는 제2 연결공간(S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공간(S4)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regulator 134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space S4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S2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May be formed through.

상기 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2 연결공간(S4)은, 대략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adial direc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1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상기 제2 연결공간(S4)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드립핑이 가능하여 제2 공간(S2)에 드립핑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dripping is enabled to extract coffee dripped in the second space S2. It can be in a state where it can be done.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상기 제2 연결공간(S4)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더 이상의 드립핑이 진행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The second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and the dripping can not proceed further.

한편,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상광하협의 상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필터(F)로부터 걸러져 생산되는 드립핑된 커피는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의 중앙으로 수렴하게 된 후, 상기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2 연결공간(S4)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되게 된다.The dripped coffee produced from the filter F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132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 part 132,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formed at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adjustment portion 134, (S2).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상태 변화는,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한 슬라이딩 위치 변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state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may be realized by a change in the slid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on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ing unit 13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adjusting unit 134 .

구제적으로, 드립핑이 완료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제2 연통조절부(134)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연결공간(S3)은 상기 제2 연결공간(S4)과 어긋나게 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adjusting part 132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adjusting part 134 so that the dripping is completed and the state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is shift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by rotation.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은 서로 완벽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핑된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It is possible to drink the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refrige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mmercial use of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드립핑을 위해 제1 본체(110)의 제1 공간(S1)의 개폐를 조절하는 일종의 커버인 제1 개폐부(112)를 상기 제1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다.5 (a),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which is a kind of cov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pace S1 of the first body 110 for dripp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 .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112)는 상기 제1 본체(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112)에는 실링 및 견고한 장착을 위해 탄성 재질의 고무링(R, 도 2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112 may be mounted on the first body 1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may be provided with elastic rubber rings R, 2) can be installed.

상기 제1 개폐부(112)는 일부가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면 및 상기 제1 개폐부(112)의 일부의 외면에는 견고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요철 형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may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in order to realize a solid mounting.

다만, 상기 제1 개폐부(112)와 상기 제1 본체(110)의 연결은 억지끼움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체결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and the first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e interference fit type, and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 screw fastening method can be applied.

도 5(a)와 같이 제1 개폐부(112)를 제1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는 필터(F)의 커버(C)를 오픈한다.5 (a),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in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5 (b), the filter F arranged in the first space S1 Open the cover (C).

상기 필터(F)의 커버(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커버(C)가 없어도 무방하다.The cover C of the filter F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the cover C may be omitted.

상기 필터(F)의 커버(C)가 오픈되면, 상기 필터(F)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한다.When the cover (C) of the filter (F) is opened, an appropriate amount of ground beans (P) is put into the filter (F).

이때,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즉, 제1 상태로, 제1 연결공간(S3)과 제2 연결공간(S4)이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Lt; / RTI >

도 6(a)를 참조하면, 적정량의 원두 분쇄물(P)이 필터(F)에 투입되면, 뜨거운 물(W)을 상기 필터(F)에 주입한다.6A, hot water W is injected into the filter F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bean pulverized product P is put into the filter F. As shown in FIG.

주입된 물(W)은 상기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기 시작하며, 드립핑된 커피는 필터(F)를 통과한 후, 제1 연결공간(S3)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제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연통된 제2 연결공간(S4)을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게 된다.The injected water W starts to pass through the bean pulverized product P and the dripped coffee passes through the filter F and is collec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S3) and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여기서, 상기 제1 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S2)으로의 드립핑된 커피의 유입은 제2 본체(120)가 제1 본체(11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므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flow of the dripped coffee from the first space S1 into the second space S2 is locat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You can.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통조절부(13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연결공간(S3)을 제2 연결공간(S4)과 어긋나게 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시킨다.When the dripping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 (b), the first communication space adjusting unit 13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space S3 is shift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space S4, To the second state.

그리고, 제1 공간(S1)을 폐쇄하기 위해 제1 개폐부(112)를 제1 본체(110)에 삽입시킨다.T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main body 110 to close the first space S1.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본체(110)가 상기 제2 본체(1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위치 변화되어 배출부(124)를 통해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음용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7A to 7C,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1 are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130, When the communication of the second space S2 is cut off, the first main body 110 is moved to be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120, so that the dripped coffee Lt; / RTI >

여기서, 상기 배출부(124)는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is cut off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30, the discharge unit 124 may discharge the drip As a component for causing the poured coffee to be discharged, all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상기 배출부(124)를 통한 드립핑된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122)를 제2 본체부(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part 120 for drinking of the dripped coffee through the discharge part 124. [

상기 제2 개폐부(122)는 상기 제2 본체(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개폐부(122)에는 실링 및 견고한 장착을 위해 탄성 재질의 고무링(R)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ody 12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a rubber ring R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for sealing and solid mounting .

상기 제2 개폐부(122)는 일부가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면 및 상기 제2 개폐부(122)의 일부의 외면에는 견고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요철 형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120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order to realize a solid mounting.

다만, 상기 제2 개폐부(122)와 상기 제2 본체(120)의 연결은 억지끼움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체결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2 and the second body 120 is not limited to the interference fit type, and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 screw fastening method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한 윈도우(126)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have a transparent window 126 that allows the amount of dripped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to be externally visible.

상기 윈도우(126)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의 중력 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본체(120)의 상측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용 시 잔존하는 커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윈도우(126)는 음용 시 제2 본체(120)의 하측에 치우치게 배치됨 - .The window 1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120 on the basis of the case where the second body 120 is located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amount of coffee remaining at the time of the drinking oper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more accurately. The window 126 is biased downwardly of the second body 120 when drink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 - 예를 들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실링을 위한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 추가 등 - 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1 addition of an elastic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nd the like are thu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reveals its belonging.

100: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10: 제1 본체
120: 제2 본체
130: 연통조절부
100: Portable coffee drink container
110:
120:
130:

Claims (1)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A portable coffee drink container which enables drinking of coffee produced by injecting water into bean pulverized water.
KR1020170122712A 2017-09-22 2017-09-22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201800025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12A KR20180002552A (en) 2017-09-22 2017-09-22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12A KR20180002552A (en) 2017-09-22 2017-09-22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94A Division KR101787271B1 (en) 2016-06-29 2016-06-29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52A true KR20180002552A (en) 2018-01-08

Family

ID=6100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12A KR20180002552A (en) 2017-09-22 2017-09-22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5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882B1 (en) hand drip coffee tumbler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CN102215725B (en) For the preparation of system of coffee beverage and associated method
KR100897948B1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1428669B1 (en) Potable drip coffee maker
AU735073B3 (en) Cup plunger
US9320383B2 (en) French press blender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KR101787271B1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20100069615A (en)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JP202151879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extracts from suspensions
KR20180002552A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2062169B1 (en)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1651519B1 (en) Portable drip coffee extracting device
US20200008605A1 (en) Infusion assembly, containment vessel provided with such an infusion assembly, kit for assembling the same,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manufacturing, operating and use associated thereto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101804326B1 (en) Portable dripping set of coffee
KR101753751B1 (en) Potable coffee maker
CN107224168A (en) A kind of cup mouth rotary type dual-purpose cup
KR20180129043A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CN209899119U (en) Flow rate adjusting assembly and brewing device with same
KR101544308B1 (en) canister grinder
KR102221396B1 (en) Dripper and portable drinking tumbler
KR102057924B1 (en) Portable hand drip extraction equipment of bottle type
KR101584181B1 (en) Hand drip coffe tumb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