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04U -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04U
KR20180002104U KR2020170001673U KR20170001673U KR20180002104U KR 20180002104 U KR20180002104 U KR 20180002104U KR 2020170001673 U KR2020170001673 U KR 2020170001673U KR 20170001673 U KR20170001673 U KR 20170001673U KR 20180002104 U KR20180002104 U KR 20180002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jector
pair
board
op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63Y1 (ko
Inventor
유용철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2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edge clamping, e.g. we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인이젝터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인이젝터의 조작 시 인이젝터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옵션 보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는 인접한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모따기된 모서리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부에 결합되고 슬롯이 형성되는 면판 및 상기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인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이젝터는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측부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리브와, 상기 고정 해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제2 리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OPTION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옵션 보드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전자 교환 시스템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기능 확장성이 용이한 전자 기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통상 기본적인 기능을 탑재한 본체와, 운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기능들을 구현한 복수의 옵션 보드(option board)를 포함하며, 복수의 옵션 보드 중에서 필요한 옵션 보드를 선택적으로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옵션 보드에는, 전자 기기에의 장착 시 옵션 보드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인이젝터(in-ejector), 고정용 스크류 등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옵션 보드에 구비되는 인이젝터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048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048호
상술한 옵션 보드는, 전자 기기에서의 안정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전자 기기의 본체에 신뢰성 높게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옵션 보드는 인이젝터에 의해서 확실하게 본체에 고정되고 본체로부터 고정 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인이젝터는 통상 용이한 조작을 위해 한쪽으로 치우쳐진 무게중심을 갖도록 옵션 보드에 구비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사용 도중 한쪽으로 치우쳐진 무게중심을 갖는 인이젝터가 그 자중으로 인해 임의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의 본체로부터 옵션 보드의 고정이 해제되어 옵션 보드와 전자 기기 간에 예기치 않은 접속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인이젝터가 자중으로 인해 회전하게 되면, 인이젝터의 손잡이 부분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나와 미관상 좋지 않으며, 손잡이 부분이 돌출되어 나오는 방향에서 케이블이 본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손잡이 부분에 케이블이 걸릴 수 있어 케이블을 원활하게 정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옵션 보드에 있어서는, 자중으로 인한 인이젝터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옵션 보드는 자중으로 인한 인이젝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인이젝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전자 기기의 본체에 고정되고, 전자 기기의 본체로부터 고정 해제된다. 이러한 인이젝터에 있어서, 예컨대 손잡이 부분이 과도하게 눌리게 되면 인이젝터의 일부분이 옵션 보드의 다른 부품이나 본체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이젝터를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하므로, 옵션 보드의 사용 시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옵션 보드는, 인이젝터의 조작 시 인이젝터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는 인이젝터를 구비한 옵션 보드로서, 인이젝터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옵션 보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인이젝터의 조작 시 인이젝터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옵션 보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러한 옵션 보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옵션 보드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는 인접한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모따기된 모서리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부에 결합되고 슬롯이 형성되는 면판 및 상기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인이젝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이젝터는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측부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리브와, 상기 고정 해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제2 리브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이젝터는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대향하는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측판부 각각에서 상기 손잡이부와 다른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사이에 상기 기판의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부분이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의 마주하는 내면에서 대칭적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사이의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인이젝터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는 상기 인이젝터 결합 구멍의 양측에서 정렬되는 기판 결합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옵션 보드는 상기 기판과 상기 인이젝터의 결합을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인이젝터 결합 구멍과 상기 기판 결합 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는 상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 사이에 상기 기판이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옵션 보드가 장착 및 장착 해제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술한 옵션 보드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옵션 보드가 장착되는 보드 수용부를 내부에 구비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 수용부에서 상기 옵션 보드는 상기 인이젝터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고정 해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측부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인이젝터의 상기 후크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옵션 보드가 상기 보드 수용부로 밀어 넣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크부와 맞대어지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이젝터가 전자 기기의 본체에 옵션 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에 있을 때, 인이젝터가 기판의 일부분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인이젝터가 그 자중으로 인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자 기기의 본체에 옵션 보드를 신뢰성 높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의 본체로부터 옵션 보드를 장착 해제시키기 위하여 인이젝터를 회전시키더라도, 인이젝터가 기판의 일부에 걸리게 되어 인이젝터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즉, 인이젝터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인이젝터가 옵션 보드의 다른 부품이나 본체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인이젝터의 손상이나 파손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이젝터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켜 인이젝터의 수리나 교체에 따른 옵션 보드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이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인이젝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고정 해제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옵션 보드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본체와 고정 해제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본체와 고정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이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인이젝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100)는 기판 조립체로서, 전자 교환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에 장착된다. 이러한 옵션 보드(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 기판(110)에 결합되는 면판(faceplate)(120) 및 인이젝터(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옵션 보드(100)는 기판(110)이 전자 기기에 대해 세워진 상태로 장착 및 장착 해제되는 구조를 가진다.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서, 소정의 두께(T)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판(110)은 좌측방(LSD)과 우측방(RSD)을 각각 향하는 한 쌍의 기판면(110S)과, 한 쌍의 기판면(110S)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110T)을 가진다. 한 쌍의 기판면(110S) 중 적어도 한쪽에는 다양한 회로 부품들이 실장된다.
기판(110)은 4개의 측부, 즉 제1 내지 제4 측부(111 내지 114)를 가진다. 제1 측부(111)와 제3 측부(113)는 기판(110)의 전방(FD) 및 후방(RD)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를 각각 포함하고, 제2 측부(112)와 제4 측부(114)는 기판(110)의 하방(LD 갖 및 상방(TD)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를 각각 포함한다. 즉, 제1 측부(111)에 있어서의 측면(110T)과 제3 측부(113)에 있어서의 측면(110T)이 서로 대향하고, 제2 측부(112)에 있어서의 측면(110T)과 제4 측부(114)에 있어서의 측면(110T)이 서로 대향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부(111)를 전방 측부, 제2 측부(112)를 하방 측부, 제3 측부(113)를 후방 측부 및 제4 측부(114)를 상방 측부라고 한다.
기판(110)의 후방 측부(113)에는, 기판(110)이 전자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후방(RD)으로 돌출하는 접속부(113A)가 구비된다.
기판(110)은 인이젝터(130)가 결합되는 전방 모서리 부분이 사면으로 모따기된 형상을 가진다. 즉, 기판(110)은 전방 측부(111)와 하방 측부(112) 사이에 모따기된 모서리부(115)(도 4 및 도 5 참조)를 가진다.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의 양측으로는 전방 측부(111)와 하방 측부(112)가 연결되고, 모따기된 모서리부(115)는 전방 측부(111)와 하방 측부(112) 각각에 대해 경사진다. 이러한 기판(110)에 있어서,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와 인접한 부분에는 인이젝터 결합 구멍(116)(도 4 및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옵션 보드(100)의 전방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인이젝터(130)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기판(110)의 전방 측부(111)와 상방 측부(114) 사이에도 모따기된 모서리부(115)가 형성된다. 옵션 보드(100)에는, 전자 기기에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위해 일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인이젝터(130)가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옵션 보드(100)의 전방 하단부에는 인이젝터(130)가 구비되지만, 옵션 보드(100)의 전방 상단부에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조의 인이젝터 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핀을 포함하는 핀 조립체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옵션 보드(100)나 기판(110)의 사이즈 등에 따라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의 전방 측부(111)에 대한 경사진 각도(α)(도 4 및 도 5)를 다르게 하여 기판(110)에 대하여 허용되는 인이젝터(130)의 회전 각도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α)를 작게 하여 기판(110)에 대하여 허용되는 인이젝터(130)의 회전 각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면판(120)은 기판(110)에 결합시킨 플레이트로서, 면판(120)을 통해 옵션 보드(100)를 전자 기기에 용이하게 밀어 넣거나 전자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러한 면판(120)의 전면(121)에는 외부에서 식별 및 판독이 용이하도록 식별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나 스위치 등과 같이 부품이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면판(120)의 전면(121)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U'자 형상과 같은 고리가 부착될 수 있다.
면판(120)는 장변(123)이 단변(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면판(120)에 있어서의 장변(123)의 길이는 기판(110)의 전방 측부(111)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면판(120)은 기판(110)의 전방 측부(111) 전체를 덮도록 기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면판(120)은, 그 전면(121)이 기판(110)의 기판면(110S)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기판(110)에 결합된다.
면판(120)에는 인이젝터(13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슬롯(125)이 형성된다. 옵션 보드(100)에는 한 쌍의 인이젝터(130)가 구비되어, 면판(120)에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인접하여 슬롯(125)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슬롯(125)이 면판(120)의 좌측방(LSD)의 장변부에서 직사각형으로 리세스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125)는 면판(120)을 관통하는 구멍과 같은 형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면판(120)에는, 옵션 보드(100)를 전자 기기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자 기기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용 스크류, 즉 한 쌍의 캡티브 스크류(captive screw)(126)가 상하로 배치되어 구비된다.
면판(120)은, 기판(110)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전면(121)과 반대되는 후면에서 후방(RD)으로 돌출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는 면판(120)과 기판(110)과의 결합 시 기판면(110S)에 맞대어지며, 스크류 등에 의해 기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이젝터(130)는 옵션 보드(100)를 전자 기기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전자 기기로부터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용 부재이다. 이러한 인이젝터(130)는 기판(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면판(120)에 형성된 슬롯(125)을 통해 기판(110)에 대한 고정 위치(도 4 참조)와 고정 해제 위치(도 5 참조)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인이젝터(130)의 회전은, 옵션 보드(100)를 좌측방(LSD) 또는 우측방(RSD)에서 볼 때, 인이젝터(1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는 (옵션 보드의 전방 하단부에 결합된 인이젝터를 기준으로) 인이젝터(130)의 일부분, 즉 인이젝터(130)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부(134)가 상방(TD)을 향해서 최대한 밀어 올려지는 위치와 하방(LD)을 향해서 최대한 눌려지는 위치를 각각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이젝터(130)는 상기 고정 위치에서 기판(110)에 대한 회전, 즉 인이젝터(130)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판(110)의 일부분(구체적으로, 하방 측부(112))과의 걸림을 유발하는 한 쌍의 제1 리브(136)를 구비한다. 여기서, 인이젝터(130)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은, 인이젝터(130)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인이젝터(130)가 기판(110)의 일부분에 걸리지 않는 경우(예컨대, 인이젝터가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 있는 경우), 인이젝터(130)의 회전중심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손잡이부(134)의 무게로 인해 인이젝터(130)는 손잡이부(134)가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회전한다.
또한, 인이젝터(130)는 상기 고정 해제 위치에서 기판(110)에 대한 회전, 즉 인이젝터(130)의 조작 시 인이젝터(1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판(110)의 일부분(구체적으로, 모따기된 모서리부(115))과의 걸림을 유발하는 제2 리브(137)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의 인이젝터(130)는 몸체부(131)와, 몸체부(131)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134)와 한 쌍의 후크부(135)를 포함한다. 몸체부(131)는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132) 및 한 쌍의 측판부(132)의 일부분을 연결하는 테두리부(133)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34)는 테두리부(13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한 쌍의 후크부(135)는 한 쌍의 측판부(132) 각각으로부터 손잡이부(134)와 다른 외측 방향(대략, 손잡이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대칭적으로 대향한다. 인이젝터(130)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몸체부(131), 손잡이부(134) 및 한 쌍의 후크부(1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31), 손잡이부(134) 및 한 쌍의 후크부(135) 중 적어도 일부분은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다른 부분과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1)나 손잡이부(134)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과 금속 재료가 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인이젝터(130)를 일측방(도 2 및 도 3에서, X방향)에서 보면, 측판부(132)[또는, 몸체부(131)]는 3개의 가장자리부를 갖는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측판부(132)에 있어서, 3개의 가장자리부를 장변부(132A), 장변부(132A)와 직각을 이루는 단변부(132B) 및 장변부(132A)와 단변부(132B)를 연결하는 빗변부(132C)라고 하면, 테두리부(133)는 한 쌍의 측판부(132)의 장변부(132A)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기판(110)에 인이젝터(13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단변부(132B) 쪽과 상기 빗변부(132C) 쪽에서 개방되는 개구부를 통해 한 쌍의 측판부(132) 사이와 한 쌍의 후크부(135) 사이로 기판(110)의 모따기된 모서리부(115)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삽입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부(132)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기판(110)과의 결합을 위한 기판 결합 구멍(132H)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측판부(132) 사이와 한 쌍의 후크부(135) 사이에 상기 기판(110)의 일부분을 삽입할 때, 기판(110)에 형성된 인이젝터 결합 구멍(116)의 양측으로 기판 결합 구멍(132H)이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100)는 기판(110)에 인이젝터(13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40)는 정렬된 한 쌍의 기판 결합 구멍(132H)과 인이젝터 결합 구멍(116)에 끼워져 체결되는 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핀은, 일측 단부에 부싱이 결합될 수 있는 풀러 핀(puller pin)이나 일측 단부에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돌기가 구비되어 자동 잠금이 가능한 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 부재(140)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10)에 인이젝터(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리벳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이젝터(130)에서, 기판 결합 구멍(132H)은 측판부(132)에서 단변부(132B)와 빗변부(132C)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인이젝터(130)의 조작 시 가압력을 받는 손잡이부(134)는, 작은 가압력으로도 인이젝터(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인이젝터(130)의 회전중심인 기판 결합 구멍(132H)으로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34)는 빗변부(132C)의 연장방향을 따라 테두리부(133)로부터 연장한다. 또한, 한 쌍의 후크부(135)는, 그 갈고리 형태로 휘어진 선단 부분이 전자 기기에 용이하게 걸려 고정되거나, 전자 기기에 걸린 상기 선단 부분이 전자 기기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기판 결합 구멍(132H)에 인접한 단변부(132B)로부터 장변부(132A)와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와 같은 인이젝터(130)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리브(136)는 한 쌍의 후크부(135)의 마주하는 내면(135S)에서 대칭적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리브(137)는 테두리부(133)에서 한 쌍의 측판부(132) 사이의 몸체부(131)의 내측(기판의 삽입 공간)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130)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리브(136)는 기판(110)의 하방 측부(112)와 접촉한다. 즉, 한 쌍의 제1 리브(136) 각각의 일 측면(도 3에서, Y방향을 향하는 측면)과 하방 측부(112)의 측면(110T)이 면접촉한다. 따라서, 인이젝터(130)가 손잡이부(134)로 인해 회전중심에 대해 편향된 무게중심을 갖더라도, 인이젝터(13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리브(136)가 기판(110)의 하방 측부(112)에 걸리게 되므로, 인이젝터(130)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 즉 손잡이부(134)가 하방(LD)으로 처지게 되는 인이젝터(1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인이젝터(130)가 기판(110)에 대한 고정 위치에 있을 때, 테두리부(133)의 후방(RD)을 향하는 일부분에는 기판(110)의 전방 측부(111)가 맞대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에 대해 고정 해제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130)에 있어서, 제2 리브(137)는 기판(110)의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리브(137)의 몸체부(131)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면과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의 측면(110T)이 면접촉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34)에 힘을 가해 하방(LD)으로 누르더라도, 제2 리브(137)가 기판(110)의 모따기된 모서리부(115)에 걸리게 되므로, 인이젝터(13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인이젝터(1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 리브(136)는 기판(110)의 두께(T)보다 작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리브(136) 사이의 간격을 D라고 할 때, 상기 간격 D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utm00001
여기서, H1은 측판부(132)로부터 돌출하는 제2 리브(137)의 높이이고, H2는 후크부(135)로부터 돌출하는 제1 리브(136)의 높이이다(도 3 참조).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인이젝터(13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제1 리브(136)는 기판(110)의 하방 측부(112)에 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후크부(135)는 한 쌍의 제1 리브(136) 사이에 기판(110)이 끼움 또는 끼움 해제됨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인이젝터(130)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즉 한 쌍의 후크부(135) 사이에 기판(110)이 끼워질 때, 한 쌍의 제1 리브(136) 각각은 기판(1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기판면(110S) 각각에 접촉한다. 이 때에는, 한 쌍의 제1 리브(136) 사이의 간격이 기판(110)의 두께(T)와 같도록 한 쌍의 후크부(135)가 (인이젝터의 두께방향에서) 벌어진다. 인이젝터(130)가 고정 해제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회전하여 한 쌍의 후크부(135) 사이로부터 기판(110)이 빠지게 되면, 한 쌍의 후크부(135)는 한 쌍의 제1 리브(136)가 기판(110)의 하방 측부(112)에 걸릴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벌어지기 전의 원상태로 오므려진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보드(100)와, 적어도 하나의 옵션 보드(100)를 장착할 수 있는 보드 수용부(210)를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
옵션 보드(100)는 전자 기기(1000)에의 장착을 위해 본체(200)의 보드 수용부(210)로 밀어 넣어진 후 옵션 보드(100)에 구비되는 인이젝터(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옵션 보드(100)는 전자 기기(1000)로부터의 장착 해제를 위해 인이젝터(130)에 의해 본체(200)로부터 고정 해제되고, 본체(200)의 보드 수용부(210)로부터 꺼내어져 분리될 수 있다.
본체(200)는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드 수용부(210)는 전방(FD)을 향해 개방된다. 본체(200)는, 보드 수용부(210)에 옵션 보드(100)를 밀어 넣거나 또는 보드 수용부(210)로부터 옵션 보드(100)를 당겨 빼낼 때, 옵션 보드(1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 레일(220)를 그 내부에 구비한다. 복수의 가이드 레일(220)은 서로 평행하고, 그 각각이 보드 수용부(210)에서 전후방향(FD/RD)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보드 수용부(210) 내에서, 기판(110)은 하방 측부(112)가 복수의 가이드 레일(220)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0)는 서로 마주하는 바닥부와 천정부 모두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220)을 구비한다. 따라서, 보드 수용부(210)에 옵션 보드(100)를 밀어 넣을 때, 기판(110)의 하방 측부(112)는 물론 상방 측부(114)도 가이드 레일(220)에 끼워진 상태로 옵션 보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인이젝터(130)를 조작하여 회전시킬 때 한 쌍의 후크부(135)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걸림부(231)를 복수 개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한 쌍의 인이젝터(130)를 구비하는 옵션 보드(100)에 대응하여, 지지 플레이트(230)는 본체(200)의 바닥부와 천정부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가이드 레일(220)은 지지 플레이트(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30)는, 본체(200)의 보드 수용부(210)를 향해 옵션 보드(100)과 과도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옵션 보드(100)의 인이젝터(130)와 맞대어질 수 있는 스토퍼(232)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231)는 인이젝터(130)의 회전반경에 맞춰 지지 플레이트(23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진입구(231A)와, 진입구(231A) 아래에서 인이젝터(13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크부(135)의 선단부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후방(RD)을 향해 돌출하는 걸림 돌기(231B)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00)는 보드 수용부(210) 내에서 전방(FD)을 향하는 후면부에 복수의 접속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옵션 보드(100)가 전자 기기(1000)에 장착될 때, 접속구(240)에는 기판(110)의 후방 측부(113)에 구비되는 접속부(113A)가 삽입되어 기판(110)과 전자 기기(10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200)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구(240)는 하나의 메일 보드(25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옵션 보드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본체와 고정 해제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본체와 고정 위치에 있는 인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에 옵션 보드(100)를 장착하기 위해서, 옵션 보드(100)의 하방 측부(112) 및 상방 측부(114)는 상하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20)에 각각 끼워지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옵션 보드(100)는 전자 기기(1000)의 본체(200)의 내측, 즉 보드 수용부(210)를 향해 밀어 넣어진다. 이때, 인이젝터(130)는 기판(110)에 대해 고정 해제 위치에 있다.
옵션 보드(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30)에 면판(120)이 맞대어질 때까지 충분히 밀어 넣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후방을 향하는 인이젝터(130)의 한 쌍의 후크부(135)가 진입구(231A) 상에 위치하게 되고, 한 쌍의 후크부(135)의 선단부는 스토퍼(232)에 맞대어질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옵션 보드(100)를 보드 수용부(210)로 세게 밀어 넣더라도, 후크부(135)와 스토퍼(232)의 접촉으로 인해 옵션 보드(100)가 보드 수용부(210) 내로 더 이상 밀어 넣어지지 않으므로, 접속구(240)에 삽입되는 접속부(113A)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구(231A)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크부(135)는, 인이젝터(130)의 손잡이부(134)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작 시 진입구(231A) 내로 회전하여 걸림 돌기(231B)에 걸리게 된다(도 11 참조). 인이젝터(130)의 한 쌍의 후크부(135)가 걸림 돌기(231B)에 걸리도록 조작(도 10에 표시된, R1 방향으로 회전시킴)한 후 캡티브 스크류(126)를 조여 옵션 보드(100)를 본체(200)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옵션 보드(100)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옵션 보드(100)의 장착 해제는, 옵션 보드(100)의 장착과 반대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체(200)에 나사 결합된 캡티브 스크류(126)를 풀어 본체(200)로부터 나사 결합을 해제시킨 후, 인이젝터(130)를 조작(도 11에 표시된, R2 방향으로 회전시킴)하여 한 쌍의 후크부(135)가 걸림 돌기(231B)로부터 걸림 해제시키고, 옵션 보드(100)를 보드 수용부(210)로부터 꺼내어지도록 당겨 옵션 보드(100)의 장착 해제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옵션 보드(100)를 통해 전자 기기(1000)를 각 기능별로 모듈화시킬 수 있어서, 전자 기기(1000)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전자 기기(1000)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유지하고 보수하는데 있어 유용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에 따르면, 전자 기기(1000)에 옵션 보드(100)를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인이젝터(13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무리한 조작에 의해 인이젝터(130)가 손상이나 파손되도록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자 기기(1000)를 신뢰성 높게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옵션 보드 110: 기판
111: 제1 측부(전방 측부) 112: 제2 측부(하방 측부)
115: 모따기된 모서리부 120: 면판
125: 슬롯 126: 캡티브 스크류
130: 인이젝터 131: 몸체부
132: 측판부 132H: 기판 결합 구멍
133: 테두리부 134: 손잡이부
135: 후크부 136: 제1 리브
137: 제2 리브 140: 체결 부재
200: 본체 210: 보드 수용부
220: 가이드 레일 230: 지지 플레이트
231: 걸림부 232: 스토퍼
1000: 전자 기기

Claims (10)

  1. 인접한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모따기된 모서리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부에 결합되고 슬롯이 형성되는 면판 및
    상기 기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인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이젝터는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측부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리브와, 상기 고정 해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제2 리브를 구비하는
    옵션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이젝터는
    대칭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대향하는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측판부 각각에서 상기 손잡이부와 다른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후크부 사이에 상기 기판의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부분이 삽입되는, 옵션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의 마주하는 내면에서 대칭적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사이의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옵션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인이젝터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는 상기 인이젝터 결합 구멍의 양측에서 정렬되는 기판 결합 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옵션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인이젝터의 결합을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인이젝터 결합 구멍과 상기 기판 결합 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는 핀을 포함하는, 옵션 보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는 상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옵션 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브 사이에 상기 기판이 끼워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옵션 보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옵션 보드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옵션 보드가 장착되는 보드 수용부를 내부에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수용부에서 상기 옵션 보드는 상기 인이젝터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측부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한 쌍의 후크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옵션 보드가 상기 보드 수용부로 밀어 넣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크부와 맞대어지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0170001673U 2016-12-29 2017-04-04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04948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7664 2016-12-29
KR2020160007664 2016-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04U true KR20180002104U (ko) 2018-07-09
KR200494863Y1 KR200494863Y1 (ko) 2022-01-17

Family

ID=6290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73U KR200494863Y1 (ko) 2016-12-29 2017-04-04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19U (ko) * 1995-10-25 1997-05-26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이젝터
KR19980068415U (ko) * 1997-05-31 1998-12-05 유기범 통신기기의 유니트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보드 장탈착장치
KR19990005279U (ko) * 1997-07-14 1999-02-05 송재인 인쇄회로기판용 이젝터장치
KR200233839Y1 (ko) * 1998-12-26 2001-08-07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이젝터고정장치
KR200307048Y1 (ko) 2002-12-23 200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보드어셈블리의 후크 방식의 전면판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19U (ko) * 1995-10-25 1997-05-26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이젝터
KR19980068415U (ko) * 1997-05-31 1998-12-05 유기범 통신기기의 유니트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보드 장탈착장치
KR19990005279U (ko) * 1997-07-14 1999-02-05 송재인 인쇄회로기판용 이젝터장치
KR200233839Y1 (ko) * 1998-12-26 2001-08-07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이젝터고정장치
KR200307048Y1 (ko) 2002-12-23 200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보드어셈블리의 후크 방식의 전면판 착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3Y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766B2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6222736B1 (en) Computer with component installation handle
US8582287B2 (en) Drive carrier with pivoting handle
US20060134953A1 (en) Electronic module latching mechanism
US6266248B1 (en) Lockable latch and switch actuator assembly for a circuit card
CN107765785B (zh) 具有免工具开启装置的机箱
WO1989010681A1 (en) Printed board unit inserting and withdrawing mechanism for electronic circuit devices
US7303170B2 (en) Mounting apparatus
US7630212B2 (en) Handle for a riser card assembly
US7531268B2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715209B2 (en) Expansion card retention assembly
US6493215B1 (en) Keyboard device fixed on a portable computer
US20140211423A1 (en) Electronic module shelf assembly and methods
US774666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
US6704205B1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8246373B2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
US20130020185A1 (en)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50231923A1 (en) Ejector for motherboard
US7604305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pivoting covers
US8424932B2 (en) Locking assembly and electronic enclosure using same
US8251408B2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6430056B1 (en) Simple screwfree locking structure for computer interface card and shield plate of interface card socket
US7573726B1 (en) Latch assembly
US6483696B1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20180002104U (ko) 옵션 보드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