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63A -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63A
KR20180002063A KR1020170081800A KR20170081800A KR20180002063A KR 20180002063 A KR20180002063 A KR 20180002063A KR 1020170081800 A KR1020170081800 A KR 1020170081800A KR 20170081800 A KR20170081800 A KR 20170081800A KR 20180002063 A KR20180002063 A KR 2018000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housing
noise signal
signal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주)엠포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포러스 filed Critical (주)엠포러스
Publication of KR201800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2Devices for damping, suppressing, obstructing or conducting sound in acoustic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Neurosurger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worn on the head of a user includes: a housing which touches and surrounds an ear of the user to form a closed space; a microphon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models volume that is formed by a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and amplifies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and a speaker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ancel the noise signal.

Description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0001]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0002]

아래의 설명은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머리에 착용되어, 항공기, 대화, 코골이 등의 외부 소음 신호를 제거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removing external noise signals such as airplanes, conversations, snoring, etc., worn around the wearer's ear and worn on the head.

다양한 스마트 전자 장치의 출시 및 보급과 더불어, 이어폰은 이미 사람들의 일상 생활 중에서 매우 중요한 전자 장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소음 환경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정확성을 대폭 저하시킨다. Along with the launch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smart electronic devices, earphones have already been used as electronic components that are very important in people's daily lives. However, a complicated noise environment significantly degrades the accuracy with which a user uses the earphone to receive voice information.

이에, 소음 제거 기술이 적용된 이어폰의 수요 역시 신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능동 소음 제거(Active Noise Cancellation; ANC) 이어폰은 소음 신호를 제거 또는 저하시키는 소음 제거 회로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소음을 제거 또는 저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Therefore, the demand for earphone with noise reduction technology is also rapidly increa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ANC) Earphones have the function of eliminating or reducing the ambient noise of the user by incorporating a noise canceling circuit that eliminates or reduces noise signals.

그러나, 종래의 능동 소음 제거 이어폰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 중 임의의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획득하여 이를 기초로 소음 제거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ctive noise canceling earphone acquires a noise signal guided in any direction among the noise signals guided by the user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on the basis of the user, and performs the noise removing operation based on the obtained noise signal, The noise signal flowing into the ear of the user can not be properly removed.

따라서, 실제 소음 환경에서,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in an actual noise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effectively eliminating a noise signal flowing into a user's ear.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여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으로써, 실제 소음 환경에서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한다.On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that surrounds a user's ear and forms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a volume that is obtained when a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troduced into a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a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modeling, and a speak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ing signal for canceling the amplified noise signal in the amplification module,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a noise signal flowing into a user's ear in an actual noise environment Wear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들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와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한다.Specifically, one embodiment includes a microphone for acquiring a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housing for blocking a noise signal guid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guiding the microphon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 wearable noise canceller for effectively removing a noise signal flowing into a user's ear among noise signals.

다른 일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증폭 모듈과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한다.Other embodiments include an amplification module for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independently provided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n amplification module for blocking the noise signal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 except for on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which effectively removes noise signals introduced into a user's ear among noise signals guided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by including the hous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채,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worn on a user's head includes a housing which surrounds the user's ear and forms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A microphon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Modeling a volume of the noise signal,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when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nd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Amplification module; And a speaker disposed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amplification module ca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a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mplification module is capable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mplification module may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icrophone can obtain a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lock a noise signal guid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쇄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layer for preventing the canceling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from being micro-inflowed.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는, 상기 소음 신호와 구별되는 사운드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models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distinguished from the noise signal when the sound signal is outputted in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You can adjust and output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ise canceling method for a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covering a user's ear and forming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a microphone disposed in the housing, Acquiring a nois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ffset signal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채,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worn on a user's head includes a housing which surrounds the user's ear and forms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generated when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while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And a speaker disposed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module includes a volume which is obtained when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noise signal which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model a volume to be possessed when it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가 존재하는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 및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mplification module is capable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is present and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hav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lock a noise signal guid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은,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ise canceling method for a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surrounding a user's ear and forming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an amplif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Obtaining a noi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ffset signal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일측에 따르면,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determining that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 one direction Modeling the volume to be possessed when guided; And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sound signal has when the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flows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여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으로써, 실제 소음 환경에서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On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that surrounds a user's ear and forms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a volume that is obtained when a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troduced into a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a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modeling, and a speak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ing signal for canceling the amplified noise signal in the amplification module,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a noise signal flowing into a user's ear in an actual noise environment A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device can be proposed.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들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와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mbodiment includes a microphone for acquiring a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housing for blocking a noise signal guid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guiding the microphon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which effectively removes a noise signal flowing into a user's ear among noise signals.

다른 일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증폭 모듈과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Other embodiments include an amplification module for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independently provided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n amplification module for blocking the noise signal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 except for one direction By including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pose a wearing-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that effectively removes noise signals introduced into a user's ear among noise signals guided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볼륨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볼륨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ume modeling process of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ise canceling method of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ume modeling process of a wearabl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ise reduction of a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lso,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view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머리에 착용된 채, 후술되는 소음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머리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대한 폐 공간(Closed space)(111)을 형성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예컨대, 헤드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earable noise re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noise removing ope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worn on a user's ears. For example, the wearable noise canceller 100 may b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headphone) that surrounds a user's e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o form a closed space 111 for the user's ear have.

이러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하우징(110), 마이크(120), 증폭 모듈(130) 및 스피커(140)를 포함한다.This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microphone 120, an amplification module 130, and a speaker 140.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대한 폐 공간(111)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복수의 방향들 각각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112, 113, 114) 중 하우징(110)에 대해 일 방향(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마이크(120)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112)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113, 114)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housing 110 serves as a frame that surrounds the user's ears and is closely contacted to form a closed space 111 for the user's ear. In particular,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noise signal (microphone 120) guided in one direction (toward the user's ea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among the noise signals 112, 113, 114 gu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noise signals 113 and 114 are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noise signal 112 guided by the noise signal.

따라서, 하우징(1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등은, 하우징(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112)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113, 114)을 차단하도록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110 may be different from the noise signals 113 and 114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noise signal 1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마이크(120)는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가 위치하는 소음 환경 아래, 하우징(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112)를 획득한다.The microphone 120 i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110 to obtain a noise signal 112 that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110 under a noisy environment where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is located.

이 때, 마이크(120)는 하우징(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112)를 정확하게 획득하도록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하우징(110)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crophone 120 is moved from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1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so as to accurately obtain a noise signal (a noise signal guid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s ear)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증폭 모듈(130)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된 채, 마이크(12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112)가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폐 공간(11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소음 신호(112)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112)를 증폭한다.The amplification module 130 may be configured to model the volume that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has when the noise signal 112 obtained by the microphone 120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while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nd amplifies the noise signal 112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112.

이 때, 증폭 모듈(130)은,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112)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 즉, 증폭 모듈(130)은, 소음 신호(112)가 폐 공간(111) 내에 유입되었을 때의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에 따라 소음 신호(112)의 증폭 게인을 조절함으로써, 소음 신호(112)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112-1)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ca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112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That is,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when the noise signal 112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111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111,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noise signal 112,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noise signal 112 to generate the amplified noise signal 112-1.

여기서,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112)가 하우징(110)의 폐 공간(11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112)의 볼륨이 모델링된다는 것은, 소음 신호(112)가 하우징(110)의 폐 공간(11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112)의 볼륨이 모델링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111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112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The modeling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112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means that the noise signal 112 is transmitted to the closed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May mean that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112 is modeled based on the travel path that is passed to the user's ear.

또한,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1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130)은, 하우징(1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112)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Further,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111 can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110.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112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110.

증폭 모듈(130)의 볼륨 모델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스피커(140)는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어, 증폭 모듈(130)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112-1)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112-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스피커(140)는 증폭 모듈(130)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112-1)의 극성을 반대로 변환하여 상쇄 신호(112-2)를 생성할 수 있다.The speaker 14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offset signal 112-2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112-1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 For example, the speaker 140 may reverse the polarity of the amplified noise signal 112-1 in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to generate the offset signal 112-2.

또한, 스피커(140)는, 상쇄 신호(112-2)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신호는 소음 신호(112, 113, 114)와 구별되는 음성, 노래 등의 신호로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 요청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speaker 14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cancel signal 112-2, and may output the sound signal. At this time, the sound signal may be a voice, song, or the like, which is discriminated from the noise signals 112, 113, and 114, and is requested to be reproduced by the user.

또한, 스피커(14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사운드 신호가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폐 공간(111)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140 models the volume that the sound signal has when it is output in the closed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and outputs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to the modeling result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can be adjusted and output.

이와 같은 스피커(140)의 볼륨 모델링 과정은, 상술된 증폭 모듈(130)의 볼륨 모델링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상, 사운드 신호에 대한 볼륨 모델링 과정이 스피커(1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증폭 모듈(13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증폭 모듈(130)이 사운드 신호가 폐 공간(111)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1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이 스피커(140)로 전달됨으로써, 스피커(140)는 생성된 모델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speaker 140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amplifying module 130 described above. The volume modeling process for the sound signal is performed by the speaker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FIG.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that is obtained when the sound signal is output in the closed space 111,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111, The speaker 140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del and output the sound signal.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112)를 획득하는 마이크(120)와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113, 114)을 차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112, 113, 114)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112)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120 for obtaining a noise signal 1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By including the housing 110 blocking the signals 113 and 114,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noise signal 112 introduced into the user's ear among the noise signals 112, 113, and 114, respectively, can do.

또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스피커(140)에서 출력되는 상쇄 신호(112-2)가 마이크(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폐층(150)은, 상쇄 신호(112-2)뿐만 아니라, 스피커(140)에서 출력하는 모든 신호(예컨대, 사운드 신호)가 마이크(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layer 150 for preventing the cancel signal 112-2 output from the speaker 140 from flowing into the microphone 120. [ At this time, the shielding layer 150 can prevent not only the cancel signal 112-2 but also all signals (e.g.,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speaker 140 from flowing into the microphone 120. [

그러나 이러한 차폐층(150)은,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차폐층(150)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형태 및 구조를 조절하고, 마이크(120) 및 스피커(14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스피커(14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마이크(1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However, such a shielding layer 150 can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100. When the shielding layer 150 is not included in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adjusts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ousing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140 from flowing into the microphone 120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peaker 140.

이상, 상술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마이크(120), 증폭 모듈(130) 및 스피커(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체 전원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자체 전원부를 포함하지 않은 채, 외부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wearing-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elf-power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microphone 120, the amplification module 130, and the speaker 140, The power source may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portion without including its own power source portion. For example,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100 may be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user terminal, in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us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볼륨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ume modeling process of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200)에 포함되는 마이크(2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하우징(2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211)의 볼륨은, 동일한 소음 신호(212)가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실제 볼륨과 차이가 나게 된다.2, a noise signal 211 (a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20) obtained by the microphone 210 included in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volume when the same noise signal 212 is directed into the user's ear within the closed space 221 of the housing 220. [

예를 들어, 실제 소음 환경에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200)에 포함되는 마이크(2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211)의 볼륨이 "A"인 경우,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212)의 볼륨은 "AA"이게 된다.For example, in the actual noise environment, when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2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210 included i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200 is "A ",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220 Quot ;,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212 when heading toward the user '

이에,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200)에 포함되는 증폭 모듈(230)은, 마이크(2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211)의 볼륨 "A"과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212)의 볼륨 "AA" 사이의 관계를 미리 모델링하여, 볼륨 모델을 생성해둘 수 있다.The amplification module 230 included i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200 determines that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2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210 is higher than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211 acquired by the microphone 210, Quot; AA "of the noise signal 212 when the sound signal 212 is directed to the user's ear.

즉, 미리 생성된 볼륨 모델은, 마이크(2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211)의 볼륨 "A"이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212)의 볼륨 "AA"로 변화되는 변화식 X를 나타낸다.That is, the volume model generated in advance is the volume signal of the noise signal 212 obtained when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211 acquired by the microphone 210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ear within the closed space 221 of the housing 220 Quot; AA "

따라서, 증폭 모듈(230)은, 마이크(210)에 의해 소음 신호(211)가 획득되는 경우, 미리 생성된 볼륨 모델을 활용하여, 소음 신호(211)가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계산한 뒤, 계산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211)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212)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oise signal 211 is obtained by the microphone 210, the amplification module 230 can utilize the volume model generated in advance, so that the noise signal 211 is transmitted to the closed space 221 of the housing 220, The amplified noise signal 212 can be generated by amplifying the noise signal 211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이 때, 볼륨 모델은, 하우징(220)이 형성하는 폐 공간(221)의 신호 전달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증폭 모듈(230)은 볼륨 모델을 미리 생성해둠에 있어서, 폐 공간(221)의 신호 전달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volume model is influenced by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221 formed by the housing 220, the amplification module 230 generates the volume model in advance in the closed space 221 ) Can be considered.

또한, 이러한 폐 공간(221)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211)가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증폭 모듈(230)은 소음 신호(211)가 하우징(220)의 폐 공간(22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211)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221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211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221 of the housing 220, Ca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211 based on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signal 211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221 of the housing 220. [

또한, 폐 공간(221)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22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230)은, 하우징(22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211)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Further,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221 can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220. The amplification module 230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211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22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ise canceling method of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통하여 후술되는 소음 제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that surrounds a user's ear to form a closed space, a microphone disposed in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and a speaker, Can be performed.

우선,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한다(310).First,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obtains a noi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310).

310 단계에서, 마이크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하우징 표면에 배치됨으로써, 하우징에 의해 차단되는 소음 신호들(하우징에 대한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을 제외한,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만을 획득할 수 있다.In step 310, the microphone is disposed on the housing surface, which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so that the noise signals (the noise signals guided in the remaining directions except for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nly the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can be obtained.

이어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증폭 모듈을 통하여,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한다(320).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then models (320)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will have when it enters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320 단계에서, 증폭 모듈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 즉, 증폭 모듈은, 소음 신호가 폐 공간 내에 유입되었을 때의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에 따라 소음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함으로써, 소음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320, the amplification module may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at is, the amplification module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when the noise signal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and adjus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del, So that the amplified noise signal can be generated.

여기서,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가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320 단계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passing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to the user's ear, so that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May mean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signal is passed to the user ' 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또한,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은, 320 단계에서,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Further,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can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The amplification module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그 다음,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증폭 모듈을 통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를 증폭한다(330).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then amplifies the noise signal (330)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그 후,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스피커를 통하여,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소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340).Thereafter,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device generates and outputs a noise signal that cancels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340).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340 단계에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스피커를 통하여, 소음 신호와 구별되는 사운드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운드 신호의 볼륨 모델링 과정은 상술된 소음 신호의 볼륨 모델링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n step 340,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models the volume that is produced when the sound signal distinguished from the noise signal is output in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speaker, The volume of the signal can be adjus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In this case,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sound signal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noise signal described abov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340 단계에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차폐층을 통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쇄 신호가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step 340,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can prevent the microphone from flowing a cancel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through the shielding layer.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머리에 착용된 채, 후술되는 소음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머리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대한 폐 공간(Closed space)(411)을 형성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예컨대, 헤드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performs a noise removing ope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wearer's ear wrapped around the wearer's head. For example, the wearable noise canceller 400 may b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headphone) that surrounds a user's e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o form a closed space 411 for the user's ear have.

이러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하우징(410), 증폭 모듈(420) 및 스피커(430)를 포함한다.This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400 includes a housing 410, an amplification module 420, and a speaker 430.

하우징(410)은,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대한 폐 공간(411)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410)은 복수의 방향들 각각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412, 412-1, 413, 414) 중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412)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412-1, 413, 414)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housing 410 serves as a frame that surrounds the user's ear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m to form a closed space 411 for the user's ear. In particular, the housing 410 includes a noise signal 412, 412-1, 413, 414 gu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guided in one direction (toward the user's ea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413, and 414, which are guided in the directions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sound signal 412, respectively.

따라서, 하우징(4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등은,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412)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412-1, 413, 414)을 차단하도록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410 can be adjusted by the noise signals 412-1 and 412-2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noise signal 4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413, < / RTI > 414).

증폭 모듈(420)은 하우징(410) 내에 배치된 채,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가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소음 신호(412)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412)를 증폭한다.The amplification module 420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410 so that the noise signal 412-1 obtained by the microphone 440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noise canceller 400 may be generated by the housing 410 And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412 amplifies the noise signal 412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여기서, 마이크(440)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거나, 구비되는 마이크일 수 있다. 이에,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는,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412)와 볼륨의 차이가 나게 된다.Here, the microphone 440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400, and may be a microphone mounted on or attache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earable noise canceller 400, for example. Thus, the noise signal 412-1 obtained by the microphone 440 has a difference in volume from the noise signal 4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FIG.

따라서, 증폭 모듈(420)은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가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여,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412)를 예측한 뒤,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예측된 소음 신호)(412)가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The amplification module 420 may model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412-1 acquired by the microphone 440 will have when it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410, (Predicted noise signal) 4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is predicted in the closed space 411 formed by the housing 410 after the noise signal 412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410 is predicted You can model the volume that you have when you get in.

이 때, 증폭 모듈(420)은,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가 존재하는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가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으며,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예측된 소음 신호)(412)가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determines that the noise signal 412-1 obtained by the microphone 440 is received by the housing 410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wearable type noise- Which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411 formed by the housing 410 (Predicted noise signal) 412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411 formed by the housing 410.

즉, 증폭 모듈(420)은,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가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의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가 존재하는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에 따라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412)를 예측할 수 있다. 이어서, 증폭 모듈(420)은 예측된 소음 신호(412)가 폐 공간(411) 내에 유입되었을 때의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에 따라 소음 신호(412)의 증폭 게인을 조절함으로써, 소음 신호(412)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412-2)를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can detect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when the noise signal 412-1 obtained by the microphone 440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400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noise signal 412 exists and predict the noise signal 4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del.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then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when the predicted noise signal 412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411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411, The amplified noise signal 412-2 can be generated by amplifying the noise signal 412 by adjusting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noise signal 412 according to the amplification gain.

여기서,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412)가 하우징(410)의 폐 공간(41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412)의 볼륨이 모델링된다는 것은, 소음 신호(412)가 하우징(410)의 폐 공간(41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412)의 볼륨이 모델링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411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412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411 of the housing 410. The modeling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412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411 formed by the housing 410 means that the noise signal 412 is transmitted to the closed space 411 of the housing 410 May mean that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412 is modeled based on the travel path that is passed to the user ' s ear.

또한,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4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420)은, 하우징(41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412)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411 can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410.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412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410.

증폭 모듈(420)의 볼륨 모델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스피커(430)는 하우징(410) 내에 배치되어, 증폭 모듈(420)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412-2)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412-3)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스피커(430)는 증폭 모듈(420)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412-2)의 극성을 반대로 변환하여 상쇄 신호(412-3)를 생성할 수 있다.The speaker 430 is disposed in the housing 410 and generates and outputs an offset signal 412-3 that cancels the noise signal 412-2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 For example, the speaker 430 may reverse the polarity of the amplified noise signal 412-2 in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to generate the offset signal 412-3.

또한, 스피커(430)는, 상쇄 신호(412-3)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신호는 소음 신호(412, 413, 414)와 구별되는 음성, 노래 등의 신호로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 요청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speaker 430 may generate and output the offset signal 412-3, and may output a sound signal. At this time, the sound signal may be a sound, a song, or the like, which is discriminated from the noise signals 412, 413, and 414, and is requested to be reproduced by the user.

또한, 스피커(43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사운드 신호가 하우징(410)이 형성하는 폐 공간(411)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430 may output a sound signal by modeling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when the sound signal is outputted in the closed space 411 formed by the housing 410,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can be adjusted and output.

이와 같은 스피커(430)의 볼륨 모델링 과정은, 상술된 증폭 모듈(420)의 볼륨 모델링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상, 사운드 신호에 대한 볼륨 모델링 과정이 스피커(43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증폭 모듈(42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증폭 모듈(420)이 사운드 신호가 폐 공간(411)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411)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이 스피커(430)로 전달됨으로써, 스피커(430)는 생성된 모델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speaker 430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described above. The volume modeling process for the sound signal is performed by the speaker 4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that is to be generated when the sound signal is output in the closed space 411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411, The speaker 430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del and output the sound signal.

이처럼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44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412-1)가 하우징(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증폭 모듈(420)과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하우징(410)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방향들로 각각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들(412, 412-1, 413, 414) 중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소음 신호(412)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noise signal 412-1 obtained by the independently provided microphone 440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0, (412, 412-1) guid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by including an amplification module (420) for modeling a volume that is guid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 housing (410) , 413, and 414 can effectively be removed.

이상, 상술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증폭 모듈(420) 및 스피커(4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체 전원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자체 전원부를 포함하지 않은 채, 외부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400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that supplies power to the amplification module 420 and the speaker 4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ower can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portion without including the self power source portion. For example,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400 may be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user terminal, in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user.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볼륨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ume modeling process of a wearable noi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5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5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의 볼륨은,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과 차이가 나게 되고,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은, 동일한 소음 신호(513)가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실제 볼륨과 차이가 나게 된다.5,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510, which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is equal to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to the housing 520 by the same noise signal 513,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volume at the time of heading to the user's ears in the user interface 521.

예를 들어, 실제 소음 환경에서, 마이크(5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의 볼륨이 "A"인 경우,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은 "AA"이게 되고,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513)의 볼륨은 "AAA"이게 된다.For example, in an actual noise environment, when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510 is "A ",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is Quot; AA ", and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3 when it is directed to the user's ear within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becomes "AAA ".

이에,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500)에 포함되는 증폭 모듈(530)은, 마이크(5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의 볼륨 "A"과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 사이의 관계 및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과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513)의 볼륨 "AAA" 사이의 관계를 미리 모델링하여, 볼륨 모델을 생성해둘 수 있다.The amplification module 530 included in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500 is connected to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510 and the volume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520 and the volume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AAA" of the noise signal 513 when heading toward the ear is modeled in advance, and a volume model can be created.

즉, 미리 생성된 볼륨 모델은, 마이크(5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의 볼륨 "A"이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로 변화되는 변화식 X와,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이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513)의 볼륨 "AAA"로 변화되는 변화식 X'를 나타낸다.That is, the volume model generated in advance is set so that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510 becomes equal to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The changing expression X that is changed and the noise signal when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that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ear within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To the volume "AAA"

따라서, 증폭 모듈(530)은, 마이크(510)에 의해 소음 신호(511)가 획득되는 경우, 미리 생성된 볼륨 모델을 활용하여, 소음 신호(511)가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될 볼륨을 예측한 뒤, 미리 생성된 볼륨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된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이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계산한 뒤, 계산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511)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51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 모듈(530)은 마이크(510)로부터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를 토대로, 변환식 X를 통하여,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을 예측하고, 변화식 X'를 통하여,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가 폐 공간(521) 내에 유입 될 때 갖게 되는 볼륨 "AAA"을 계산함으로써, 증폭된 소음 신호(513)를 생성할 수 있다.Thus, the amplification module 530 can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noise signal 511 is acquired by the microphone 510, the noise signal 511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edicted housing 520 is used as the volume of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The amplified noise signal 513 can be generated by amplifying the noise signal 511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For example, the amplification module 530 may calculate the volume "AA "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520, via the transformation X, based on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510 By calculating the volume "AAA" which is obtained when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521 through the variation equation X ' The noise signal 513 can be generated.

여기서, 볼륨 모델 중 마이크(510)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511)의 볼륨 "A"이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로 변화되는 변화식 X과 관련된 볼륨 모델은,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500)가 존재하는 공간의 소음 환경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증폭 모듈(530)은, 볼륨 모델을 미리 생성해둠에 있어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500)가 존재하는 공간의 소음 환경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volume "A" of the noise signal 511 obtained by the microphone 510 is changed to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The volume model associated with X may be affected by the nois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500 is present. Accordingly, the amplification module 530 can consider the nois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ler 500 exists in generating the volume model in advance.

또한, 볼륨 모델 중 하우징(520)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512)의 볼륨 "AA"이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 내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할 때의 소음 신호(513)의 볼륨 "AAA"로 변화되는 변화식 X'과 관련된 볼륨 모델은, 하우징(520)이 형성하는 폐 공간(521)의 신호 전달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증폭 모듈(530)은 볼륨 모델을 미리 생성해둠에 있어서, 폐 공간(521)의 신호 전달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The noise signal 513 when the volume "AA" of the noise signal 512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20 of the volume model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ear within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Since the volume model related to the change expression X 'that is changed to the volume "AAA " of the housing 520 is affected by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521 formed by the housing 520,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521 in the case of generating in advance.

이러한 폐 공간(521)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512)가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증폭 모듈(530)은 소음 신호(512)가 하우징(520)의 폐 공간(52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512)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521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512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can be modeled based on the movement path in which the noise signal 512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521 of the housing 520. [

또한, 폐 공간(521)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52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530)은, 하우징(520)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512)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521 may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520. The amplification module 530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512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520.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oise reduction of a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통하여 후술되는 소음 제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n perform a noise removing method described below through a housing, a housing, and a speaker, which surrounds a user's ear and is closely attached to form a closed space.

우선,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한다(610).First,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obtains a noi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apparatus (610).

예를 들어, 610 단계에서, 마이크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거나 구비된 채,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마이크를 향하는 방향의 소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610, the microphone may acquire a noise signal in a direction toward the microphone in a space in which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while being mounted on or provide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

이어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증폭 모듈을 통하여,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한다(620).Subsequently,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models 620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will have when it enters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보다 구체적으로, 증폭 모듈은,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한 뒤(621),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622).More specifically, the amplification module models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621), and then the noise signal, which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622). ≪ / RTI >

621 단계에서, 증폭 모듈은,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갖는 볼륨을 예측할 수 있다.In step 621, the amplification module can predict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by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acquired by the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따라서, 622 단계에서, 증폭 모듈은, 621단계를 통해 예측된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Accordingly, in step 622, the amplification module can model the volume that the sound signal, which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redicted through step 621,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622 단계에서, 증폭 모듈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 즉, 증폭 모듈은, 소음 신호가 폐 공간 내에 유입되었을 때의 볼륨 변화에 대한 모델을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에 따라 소음 신호의 증폭 게인을 조절함으로써, 소음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622, the amplification module may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at is, the amplification module generates a model of the volume change when the noise signal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and adjust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model, So that the amplified noise signal can be generated.

여기서,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은, 소음 신호가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622 단계는, 소음 신호가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ignal passing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to the user's ear, so that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May mean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signal is passed to the user ' s ear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또한,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은,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증폭 모듈은, 622 단계에서,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할 수 있다.Further,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can be def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The amplification module may then model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그 다음,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증폭 모듈을 통하여,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소음 신호를 증폭한다(630).Then,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amplifies the noise signal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630).

그 후,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스피커를 통하여,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소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640).Thereafter,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generates and outputs a noise signal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640).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640 단계에서,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스피커를 통하여, 소음 신호와 구별되는 사운드 신호가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운드 신호의 볼륨 모델링 과정은 상술된 소음 신호의 볼륨 모델링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n step 640,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models the volume that is produced when the sound signal distinguished from the noise signal is outputted in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speaker, The volume of the signal can be adjus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of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In this case,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sound signal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olume modeling process of the noise signal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7)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채,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 A wearable noise removing device for wearing on a user's head,
A housing for covering a user's ear and forming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A microphon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Modeling a volume of the noise signal,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when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nd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Amplification module; And
A speaker disposed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Wherein the noise elimination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nd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의 폐 공간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nd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 travel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 s ears through the closed space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크기, 형태, 재질 또는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nd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size, shap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phone
And obtains a noise signal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using includes:
And blocks the noise signal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상쇄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층
을 더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ielding layer for preventing the canceling signal outputted from the speaker from being micro-
Further comprising: a wearer of the wear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소음 신호와 구별되는 사운드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서 출력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며 출력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aker includes:
Modeling a volume of a sound signal distinguished from the noise signal when the sound signal is outputted in a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Wearable type noise cancel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type noise eliminating device comprises:
And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마이크,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
1. A method for removing noise in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which surrounds a user's ear and forms a closed space, a microphone disposed in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and a speaker,
Obtaining a nois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Generating an offset signal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the offset signal;
Wherein the noise elimination device is a noise canceling device.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채,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고,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 A wearable noise removing device for wearing on a user's head,
A housing for covering a user's ear and forming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therewith;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generated when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while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An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modeled result; And
A speaker disposed in the housing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ancel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Wherein the noise elimination device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 volume of a sound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when the noise signal is guided in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noise signal which is guid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re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A modeling, wearable noise cancell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은,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가 존재하는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 및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의 신호 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을 모델링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nd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wearable noise canceling device is present and th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를 차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using includes:
And blocks the noise signal guided in the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one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earable type noise eliminating device comprises:
And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의 귀를 감싸며 밀착되어 폐 공간(Closed space)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증폭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의 볼륨이 모델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소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증폭 모듈에서 증폭된 소음 신호를 상쇄시키는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
1. A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a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ousing a user's ear and forming a closed sp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an amplification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speaker,
Obtaining a noi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wearable type noise removing device;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mplifying the noise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modeling the volume of the noise signal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Generating an offset signal canceling the nois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the offset signal;
Wherein the noise elimination device is a noise cancel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모듈을 통하여, 상기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획득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일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소음 신호가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폐 공간 내에 유입될 때 갖게 되는 볼륨을 모델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has when entering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module,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obtained by the microphone is guid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And
Modeling the volume that the noise signal that is guided in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space formed by the housing
Wherein the noise elimination device is a noise canceling device.
KR1020170081800A 2016-06-28 2017-06-28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KR2018000206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85 2016-06-28
KR20160081185 2016-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63A true KR20180002063A (en) 2018-01-05

Family

ID=6100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800A KR20180002063A (en) 2016-06-28 2017-06-28 Wearable noise cancell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0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0720B1 (en)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JP5114611B2 (en) Noise control system
US8184823B2 (en) Headphone device, sound reproduction system, and sound reproduction method
EP2202998B1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CN111133505A (en) Parallel Active Noise Reduction (ANR) and flow path through listening signal in acoustic devices
US200800048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Enhancement
JP2017521902A (en) Circuit device system for acquired acoustic signals and associated computer-executable code
WO2008138349A3 (en) Enhanced management of sound provided via headphones
US201300946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audibility, localization and intelligibility of sounds, and comfort of communication devices worn on or in the ear
US11553286B2 (en) Wearable hearing assist device with artifact remediation
US10636405B1 (en) Automatic active noise reduction (ANR) control
US11438711B2 (en) Hearing assist device employing dynamic processing of voice signals
EP2830324B1 (en) Headphone and headset
US11395086B2 (en) Listening optimization for cross-talk cancelled audio
WO2015010722A1 (en) Headphone, earphone and headset
JP2014512758A (en) Pair type microphone to remove noise
ATE435572T1 (en) HEARING AID WITH NOISE CANCELL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20137654A1 (en) Sound input/output device, hearing aid, sound input/output method, and sound input/output program
US20180005623A1 (en) Voice Enhancing Device with Audio Focusing Function
US105293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ackground sounds in a noisy environment
CN113574593A (en) Tun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tuning system
EP2575376B1 (en) Headset and earphone
JPWO2020036058A1 (en) Signal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s, and programs
KR101924594B1 (en) Method for cancelling noise of active noise cancelling pillow and active noise cancelling pillow
KR20140006394A (en) Noise reduction processing device of earphone and head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