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13U - 휴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13U
KR20180001813U KR2020160007125U KR20160007125U KR20180001813U KR 20180001813 U KR20180001813 U KR 20180001813U KR 2020160007125 U KR2020160007125 U KR 2020160007125U KR 20160007125 U KR20160007125 U KR 20160007125U KR 20180001813 U KR20180001813 U KR 201800018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cover bottom
module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하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1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면광원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선광원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 상의 면광원 모드와 봉 형상의 선광원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으로 하부의 폭은 점차 좁아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 내부에 수용되는 LED 광원, 및 상기 커버버텀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LED 광원의 광 특성을 개선하는 광학판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폭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고, 각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으로 조명하거나, 각 광원모듈이 폭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서 선광원으로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명장치{Portable light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면광원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선광원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 소자(이하, 'LED' 라 함)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를 가지며,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빛에너지가 방출되는 광전 소자이다. LED는 일반 형광램프에 비하여 전력 소비가 적고, 밝기가 우수하며, 수명이 길어 각종 조명장치의 광원으로 형광램프를 대체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백색광의 LED가 개발되면서 그 적용분야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광고판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팅 광원뿐만 아니라, 실내 조명등, 가로등, 휴대용 조명장치(랜턴) 등의 광원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조명장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명부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조명부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여 그 방향을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손잡이부의 일측에 LED 광원이 체결되어 특정 방향만 조명할 수 있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10-1623804호(선행문헌)에는 조명방향을 전환하는 휴대용 랜턴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기 선행문헌의 휴대용 랜턴을 나타낸 도면으로 조명등이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선행문헌의 휴대용 랜턴은 본체(11)와, 본체의 측부를 따라 체결되는 다수의 조명등(12)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조명등(12)은 본체(11)의 하단부를 축으로 수직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랜턴은 (a)와 같이 조명등(12)이 본체(11)에 밀착된 상태(즉, 접힌 상태)에서는 봉 형상의 랜턴으로 사방으로 조명이 가능하고, (b)와 같이 각 조명등(12)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면 형상의 랜턴으로 일측(하측)으로 조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랜턴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광원 형태의 랜턴이나 면광원 형태의 랜턴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는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랜턴은 각 조명등(12)이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 형태로 조명되지만, 각 조명등이 본체로부터 방사 구조를 이루어 조명등(12) 사이에 큰 간격이 형성되므로, 그 사이는 암부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완전한 면광원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랜턴은 조명등이 접힌 상태에서는 휴대가 용이 하지만, 조명등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각 조명등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물체와 충돌되거나 간섭되므로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23804호(2016.05.18.등록, 휴대용 랜턴) 한국등록특허 10-1078229호(2011.10.25.등록, 조명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나의 완전한 면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광원모듈이 펼쳐진 면조명 모드에서도 휴대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광원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롤링 방식으로 쉽게 말리거나 펼쳐지면서, 선광원과 면광원으로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 상의 면광원 모드와 봉 형상의 선광원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으로 하부의 폭은 점차 좁아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 내부에 수용되는 LED 광원, 및 상기 커버버텀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LED 광원의 광 특성을 개선하는 광학판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폭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고, 각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으로 조명하거나, 각 광원모듈이 폭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서 선광원으로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조명장치는, 양 측면에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형성하면서 가장자리의 상기 광원모듈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회전 방향에 따라,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의 폭 방향 단부를 제1삽입구 또는 제2삽입구에 수용하여 다수의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가장 외측 광원모듈의 길이 방향 측부를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에 수용하여 다수의 광원모듈이 말린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은 접힘 가능한 베이스 부재 일면에 접합되면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버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 측부에 형성되는 끼움 홈과 타 측부에 형성되는 끼움 편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 수단은 이웃하는 커버버텀의 끼움 홈과 끼움 편의 결합으로 상기 광원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은 이웃하는 각 광원모듈이 힌지 부재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 부재가 톱니 구조로 서로 맞물리는 제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힌지 부재에 의한 상기 광원모듈의 자유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각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체 면으로 빛이 출사되는 판 상의 면광원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돌출 구조물이 없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각 광원모듈이 롤링 방식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방사상으로 빛이 출사되는 봉 형상의 선광원 조명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주요부인 광원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주요부인 광원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는 다수의 광원모듈이 연결되며, 도 2와 같이 광원모듈(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 모드로 사용되거나 도 3과 같이 둥글게 접힌 상태에서 방사상의 선광원 모드로 사용된다. 이러한 휴대용 조명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광원모듈(100)이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각 광원모듈(100)은 폴딩(folding)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광원모듈(100)은 커버버텀(110) 내부에 LED 광원(120)이 수용되며, LED 광원(120) 상부에는 광학판(130)이 배치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버텀(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으로,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LED 광원(120)을 수용한다. 커버버텀(110)은 다수의 광원모듈(100)이 서로 말리는 형상으로 접힐 수 있도록 단면은 하부의 폭이 좁은 역반원형, 역삼각형 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광원을 수용하기 용이하고 빛의 출사각에 대응되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광원(120)은 휴대용 조명장치 즉, 각 광원모듈(100)의 발광원으로 커버버텀(110) 내부에서 커버버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LED 광원(120)은 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실장된 LED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LED는 기판 즉, 커버버텀(110)의 폭과 길이에 따라 적절한 수가 실장될 수 있다. LED 광원(120)은 도 4의 (a)와 같이 그 자체로 커버버텀(110)에 수용될 수 있지만, LED의 출사각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4의 (b)와 같이 확산렌즈(140)가 LED 상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광학판(130)은 LED 광원(120)에서 출사되는 빛을 집광 또는 확산시키 광 특성을 제어하는 광학 플레이트로서, 프리즘 시트나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판(130)은 LED 광원(120)과는 소정의 광학 거리(optical distance)를 확보하면서 커버버텀(110) 상부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원모듈(100)을 그 자체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져, 선광원의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면광원의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광원모듈(100)은 폭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폭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때, 광원모듈(1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광원모듈(100)들이 폴딩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어야 하며, 이하에서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조명장치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5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각 광원모듈(100)이 베이스 부재(200)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200)는 실리콘 시트, 고무 시트, 가죽 시트 등과 같이 폴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이들 베이스 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200)는 다수의 광원모듈(100)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 커버버텀의 배면에 합지되면서 광원모듈(100)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된 각 광원모듈(100)은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베이스 부재(200)에 접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각 광원모듈(100)은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조명장치는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300)는 다수의 각 광원모듈(100)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를 고정시켜 면광원 또는 선광원의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부재(300)는 적어도 다수의 광원모듈(100)이 연결되는 전체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이루는 프레임으로, 양 측에는 오목한 제1 삽입구(310)와 제2 삽입구(320)가 형성되면서 단면이 'H' 형상을 이룬다. 고정 부재(300)는 가장 외측의 광원모듈(100)에 체결되며, 광원모듈(100)의 길이 방향 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고정 부재(300)는 광원모듈(100)의 단부에서 도 6의 (a)와 같이 다수의 광원모듈(100)이 연결되는 폭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도 6의 (b)와 같이 광원모듈(1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 부재(300)가 (a)와 같이 광원모듈(100)의 폭 방향으로 회전할 때, 다수의 광원모듈(100)은 펼쳐진 상태에서 각 단부가 제1 삽입구(310)에 삽입되면서 면광원 형태가 고정된다. 또한, 고정 부재(300)가 (b)와 같이 광원모듈(1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광원모듈(100)은 서로 접힘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외측의 광원모듈(100) 측부가 각각 제1 삽입구(310) 및 제2 삽입구(320)에 삽입되면서 접힌 상태(즉, 둥글게 말린 상태)의 선광원 형태가 고정된다.
또한, 광원모듈(100)은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수단(330)이 더 구비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110)은 서로 연결되는 일 측의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끼움 홈(331)이 형성되고, 타 측의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끼움 홈(331)에 삽입되는 끼움 편(33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원모듈(100)은 (a)와 같이 면광원 형태에서 일 측 커버버텀(110)의 끼움 편(332)이 이웃하는 타 측 커버버텀(110)의 끼움 홈(331)에 삽입되고, 이들을 끌어당기는 베이스 부재(200)의 탄성에 의하여 삽입 상태가 유지되면서 면광원 형태가 고정된다. 또한, (b)와 같이 베이스 부재(200)의 탄성보다 큰 외력에 의하여 끼움 편(332)을 끼움 홈(33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광원모듈(100)을 접어 선광원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휴대용 조명장치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각 광원모듈(100)이 힌지 부재(400)를 매개로 연결된다. 힌지 부재(400)는 이웃하는 광원모듈(100)을 힌지 구조로 체결시키며, 힌지 부재(400)는 커버버텀(110)의 가장자리 양 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커버버텀(110)에 형성되는 힌지 부재(400)에 의하여 이웃하는 각 광원모듈(10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광원모듈(100)은 힌지 부재(400)에 의하여 서로 펼쳐지면서 면광원 형태를 구현하거나, 서로 접히면서 선광원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에도 면광원 또는 선광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6의 실시예와 같은 고정 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 부재(400) 내부에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340)이 더 구비된다. 제2 고정수단(3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 부재(400)가 톱니 구조로 서로 맞물리면서 자유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고정수단(3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톱니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강제 외력이 작용할 때만 면광원 또는 선광원 형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고정수단(340)을 구성하는 톱니 구조는 그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각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체 면으로 빛이 출사되는 판 상의 면광원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돌출 구조물이 없어 휴대가 간편한 장점을 나타내며, 각 광원모듈이 접힌 상태에서는 방사상으로 빛이 출사되는 봉 형상의 선광원 조명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광원모듈
110 : 커버버텀 120 : LED 광원
130 : 광학판 140 : 확산렌즈
200 : 베이스 부재
300 : 고정부재
310 : 제1 삽입구 320 : 제2 삽입구
330 : 제1 고정수단 340 : 제2 고정수단
400 : 힌지 부재

Claims (6)

  1. 판 상의 면광원 모드와 봉 형상의 선광원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으로 하부의 폭은 점차 좁아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 내부에 수용되는 LED 광원, 및 상기 커버버텀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LED 광원의 광 특성을 개선하는 광학판을 구비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폭 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고, 각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에서 면광원으로 조명하거나, 각 광원모듈이 폭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서 선광원으로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양 측면에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형성하면서 가장자리의 상기 광원모듈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회전 방향에 따라,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의 폭 방향 단부를 제1삽입구 또는 제2삽입구에 수용하여 다수의 광원모듈이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가장 외측 광원모듈의 길이 방향 측부를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에 수용하여 다수의 광원모듈이 말린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은,
    접힘 가능한 베이스 부재 일면에 접합되면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커버버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 측부에 형성되는 끼움 홈과 타 측부에 형성되는 끼움 편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 수단은 이웃하는 커버버텀의 끼움 홈과 끼움 편의 결합으로 상기 광원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광원모듈은,
    이웃하는 각 광원모듈이 힌지 부재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힌지 부재가 톱니 구조로 서로 맞물리는 제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힌지 부재에 의한 상기 광원모듈의 자유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명장치.
KR2020160007125U 2016-12-07 2016-12-07 휴대용 조명장치 KR201800018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25U KR20180001813U (ko) 2016-12-07 2016-12-07 휴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25U KR20180001813U (ko) 2016-12-07 2016-12-07 휴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3U true KR20180001813U (ko) 2018-06-19

Family

ID=6274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25U KR20180001813U (ko) 2016-12-07 2016-12-07 휴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81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29B1 (ko) 2011-05-20 2011-11-03 한태규 조명장치
KR101623804B1 (ko) 2013-05-20 2016-05-25 손대업 휴대용 랜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29B1 (ko) 2011-05-20 2011-11-03 한태규 조명장치
KR101623804B1 (ko) 2013-05-20 2016-05-25 손대업 휴대용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451B1 (ko) Led 가로등 반사판
US9644800B2 (en) LED linear lamp with up and down illumination
US8833978B2 (en) Traffic signal light device
US8632234B1 (en) LED and fiber optic ring pathway light
KR20110109767A (ko) 발광 장치 및 그 렌즈
WO2008035693A1 (fr) Lampe à diodes électroluminescentes
JP2011515816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装置
US2010027790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for street lighting with adjustable emission angle
KR20200002186A (ko) 라인형 led 조명 기구
ATE510169T1 (de) Tragbare leuchte
ATE547668T1 (de) Leuchte mit blendenteilen
US20100277920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for street lighting
JP4203553B2 (ja) フラッドライト
KR20180001813U (ko) 휴대용 조명장치
KR101018977B1 (ko) 형광등 타입의 엘이디 램프
KR100552927B1 (ko) 엘이디 조명등
US20110110082A1 (en) Gain Structure For Improving Luminance Of Road Lamp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JP2006225071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KR101921469B1 (ko) 관형 엘이디 램프
KR20070062003A (ko) 광색 변화되는 조명 광고판
KR101380691B1 (ko) 자유설치형 천막 조명등
KR200475486Y1 (ko) 조명등 커버
JP2015076263A (ja) 折り畳み式照明器具
JP3095393U (ja) 発光ダイオードを具えた懐中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