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81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81A
KR20180001781A KR1020160080639A KR20160080639A KR20180001781A KR 20180001781 A KR20180001781 A KR 20180001781A KR 1020160080639 A KR1020160080639 A KR 1020160080639A KR 20160080639 A KR20160080639 A KR 20160080639A KR 20180001781 A KR20180001781 A KR 2018000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gear
mobile terminal
shaft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민용
서종원
김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81A/en
Publication of KR2018000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a second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a first hook formed on the first body; a second hook coupled to the first hook on the second body; an operating gear including a gear hea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and a tooth part located on the inside; and an adjusting modul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ok and the operating gear and switch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gear to linear mo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The mobile terminal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by using the adjusting module and the operation gear to eliminate tolerance caused in an assembling process, and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커버를 생략한 유니바디의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inser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bile terminal of a universal body without a battery cover.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항시 휴대하게 되어 이동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깔끔한 외관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As the multimedia function is enhanced, the mobile terminal is always carried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mportance of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reasing, so that the user tends to prefer a neat appearance design.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시간이 길어지고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타입에 대한 니즈가 있다.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for a type in which a battery can be replaced due to a long usage time and a large amount of battery consumption due to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due to enhancement of a multimedia function.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커버를 생략한 유니바디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바디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이격공간을 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battery inser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bile terminal of a unibody in which a battery cover is omitted are capable of adjusting the spacing space so as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bodies from spreading.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제1 후크;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후크에 체결되는 제2 후크; 상기 제2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기어 헤드 및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부를 포함하는 조작기어; 및 상기 제2 후크와 상기 조작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후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A first body; A second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A first hook formed on the first body; A second hook coupled to the first hook on the second body; An operating gear including a gear hea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and a toothed portion located inside; And an adjusting modul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ok and the operating gear,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by switch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gear to a rectilinear motion.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어는 상기 결합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operation gear can be located i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기어헤드는 - 또는 +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ear head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f - or + shape.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뿔 형상의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뿔형상의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후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conical first bevel gear, the adjusting module includes a conical second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a first shaft tha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and moves the second hoo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축을 관통하고 내벽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된 제1 샤프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나선홈에 상응하는 제2 나선홈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 first shaft hole penetrating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bevel gear and having a first helical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thereof, the shaft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hole, and the second helic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lical groove, . ≪ / RTI >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판의 외측에 톱니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후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pinion gear having teeth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disk, and the adjusting module includes: a rack gear which moves in a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nd moves the second hook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뿔 형상의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뿔형상의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샤프트; 및 일측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 후크와 결합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구동바가 제1 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여 상기 제2 후크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conical first bevel gear, the adjusting module includes a conical second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bevel gear; A first shaft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And a link coupled to the first hook and one of the links coupled to the second hook, the link rotating upon movement of the drive bar in a first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hook in a second direction have.

상기 조작기어는 회전축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3 나선홈이 형성된 제2 샤프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2 샤프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기어가 회전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second shaft hole formed in a rotating shaft and having a third helical groove formed therein, and the adjus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hole, so that the operating gear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Shaft.

상기 제2 후크에 힘을 가하는 분리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분리버튼으로부터 힘을 인가받아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분리버튼을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하여 사익 제2 후크와 상기 제1 후크가 분리될 수 있다. Wherein the second hook includes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changed by receiving a force from the release butto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release button, the elastic member is deformed So that the second hook and the first hook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분리버튼은 상기 제1 바디의 좌우 측면에 노출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에 인가된 힘을 상기 제2 후크로 전달하는 가압부; 및 상기 누름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paration button comprises: a pressing part ex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body;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to the second hook; And a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as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조정모듈과 조작기어를 이용하여 제2 후크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 공정상 발생한 공차를 제거하여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의 결합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using the adjustment module and the operation gear to eliminate the tolerance generated in the assembling process.

또한, 배터리 커버가 없이 측면부터 배면까지 연속적인 면을 갖는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ase having a continuous surface from the side to the back without a battery cover can be used, and the appearance design can be improved.

메탈 바디를 이용하는 경우 안테나 배치를 위해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을 이용해야하는 데 이 부분을 이용하여 바디를 2개로 분리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배터리 사용시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metal body, it is necessary to use a nonconductive material partly for the antenna arrangement. By using this part, the body can be separated into two parts and the battery can be replac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분리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조작기어와 조정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조작기어와 조정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조작기어와 조정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조작기어와 조정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operating gear and an adjusting modu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anipulation gear and the adjustment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anipulation gear and the adjustment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manipulation gear and the adjustment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A to 1C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2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2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server 10. [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2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2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2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8,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123 for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260)는 이동 단말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6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The interface unit 26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260, the mobile terminal 10 can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a part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time of departure for the basic functions (e.g., call incoming, outgoing, message reception, and originatio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B and 1C,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ere, the terminal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 as at least one aggregate.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측면과 배면을 커버하는 유니바디 형태의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which forms an appearance. A case of a unibody type in which a display portion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and covers the sid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can be used.

유니바디를 이용하는 경우 연속적인 외관을 제공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02)의 배면에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생략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When a unibody is used, a continuous appearance can be provided to provide a clean appearance, and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rear cover that engages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case 102. [

외관 디자인 개선을 위해 메탈소재의 이동 단말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메탈 소재가 측면만 감싸는 형태뿐만 아니라 배면까지 메탈 소재로 커버하는 케이스가 등장하고 있다. Metal mobile handsets are gaining popularity in order to improve appearance design. Metallic material covers not only the side, but also covers the metal case to the back.

다만, 배면의 케이스에 메탈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안테나의 성능이 저감되거나 노이즈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케이스에 메탈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수지부(1022)를 형성하여 안테나 신호가 상기 수지부(1022)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However, when a metallic material is used for the case on the rear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an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waves is reduced or noise is gener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a metallic material is used in the case, as shown in FIG. 1C, a resin part 1022 made of a partly non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so that an antenna signal passes through the resin part 1022 .

상기 수지부(1022)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적 측면, 안테나의 성능 측면을 고려하여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부와 일치시키면 전면 부분은 어차피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구분되므로 전면과 연속성을 가지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resin part 1022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 1C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erformance aspect of the antenna. As shown in FIG. 1B, when the bottom part of the display part 151 is aligned with the bottom part of the display part 151, the front part is separated by the display part 151, thereby providing an appearance having continuity with the front part.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위해 금속부(1021)을 먼저 형성한 후에 이중 사출 방식으로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수지부(1022)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수지부(1022)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체형의 제1 케이스(102)를 제공할 수 있다. A method of forming a resin part 1022 by firstly forming a metal part 1021 for a unified design and then injecting a synthetic resin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The case 102 can be provided.

이동 단말기(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222), 인터페이스부(2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 light output unit 154,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a microphone 222, an interface unit 26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222) 및 인터페이스부(2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1B and 1C,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not shown) A first camera 121a and a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a second operation unit 123b, a microphone 222 and an interface unit 260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a mobile terminal 10 having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a second camera 121b disposed on a rear surface thereof.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rather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exist in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a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by a touch method.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senses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may be a metal wire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isplay unit 151 can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A).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implemented as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 ≪ / RTI >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provided with an acoustic hole for emitt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acoustic output unit 152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structures.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made simpler because the holes that are formed independently for the apparent acoustic output are hidden or hidden.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a message reception, a call signal reception, a missed call, an alarm, a schedule notification, an email recept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terminate the light output when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or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a user input portion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 hav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 manner that the user operates the apparatus without touching the user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touch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receives a command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 152a or 152b The size of the sound, and the change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The rear input unit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input contents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ing, and the like, the size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like can be inputted.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uch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the rear input unit can be easily operated using the index fing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a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rear input unit can be realized. When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place of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display unit 151 can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마이크로폰(2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2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microphone 2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o receive stereophonic sound.

인터페이스부(260)는 이동 단말기(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260 is a path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6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an earphone or an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g.,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 The interface unit 26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nd 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Such a camera can be named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can be taken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etter quality image can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a speakerphone mode in a call.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2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260.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hargeable through a wireless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다만, 유니바디형 케이스는 케이스를 분리할 수 없어 배터리를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유니바디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수지부(1022)와 금속부(204)가 접하는 위치를 분할하여 상측과 하측이 분리되는 2개의 바디로 구성한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e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uni-body type case and the battery can not be replaced. In order to provide a uni-body capable of replacing a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bodies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separated by dividing a position where the resin part 1022 and the metal part 20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분리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를 기준으로 2개의 바디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는 제1 바디(100)와 제1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2 바디(2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측에 제2 바디(200)가 위치하나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측에 제2 바디(2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151 divided into two bodies based on an end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cond body 1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The second body 20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2, the second body 2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econd body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

제1 바디(100)의 일측은 개방되며 타측은 막혀있고, 배터리(191)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용부가 상기 제1 바디(100) 일측을 통해 노출된다. 제1 바디(100)는 이동 단말기(10)의 좌우측면과 배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측면과 배면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유니바디 형태의 케이스(102)는 보다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battery 191 is inserted is expos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The first body 100 includes an integrated case 102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form continuous surfaces. The case 102 of the unibody type in which the sid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form a continuous surface has an advantage that a more clean appearance can be provided.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하여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바 형상의 이동 단말기(10)를 구성한다.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측 부분이고, 배면은 전술한 수지부(1022)의 하측 부분이다. The second body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 so tha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form a bar-shaped mobile terminal 10.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51 and the rear surface is the lower portion of the resin portion 1022 described above.

금속재질의 유니바디의 케이스를 구비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1)와 같은 다른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은 경계가 생기고, 안테나 성능을 위해 수지부(1022)를 포함하면, 수지부(1022)와 금속부(1021) 사이의 경계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경계에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경계를 위치시켜 경계부를 추가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Even when a case of a metal body having a uni-body is provided, a part where another member such as the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is bounded, and when the resin part 1022 is included for antenna performance,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positioned at the boundary so that a boundary portion may not be additionally formed.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배면의 배터리 커버를 분리하여 배면 방향에서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교환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0)에 배터리(191)를 고정하고 제1 바디(100)의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191)를 삽입한다.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 battery cover is detached and the battery is inserted in the back dire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battery 191 is fixed to the second body 200 The battery 191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body 100.

제2 바디(200)의 결합부(210)는 제2 바디보다 크기가 작아 제1 바디(100)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2 바디(200)의 결합부(210)가 길수록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body 200 is smaller in size than the second body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0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onger the engag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body 200 is,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배터리(191)를 제2 바디(200)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돌기(220)와 고정홈(22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220)는 제2 바디(200)에 고정되고 배터리(191)에 형성된 배터리 고정홈(225)에 고정돌기(220)가 삽입된다. 고정돌기(220)의 단부는 반원형이고, 고정홈(225)도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힘을 가하면 고정돌기(220)가 밀려서 상기 고정홈(225)에 체결되거나 상기 고정홈(225)에서 분리된다. The fixing protrusion 220 and the fixing groove 225 may be formed to fix the battery 191 to the second body 200. [ 2,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fixed to the second body 200 and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fixing groove 225 formed in the battery 191. As shown in FIG.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semicircular and the fixing groove 225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when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pressed,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push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5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25 .

고정돌기(220)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밀렸다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므로 소정의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이용하면 부분적으로 형상이 변화하며 고정홈(225)에 걸렸다가 빠질 수 있다. 고정돌기(220)는 배터리 교체에 따라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져 형상이 변화하므로 제2 바디(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별도의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고정홈(225)에 결합하는 돌기부분 이외에 L자 형상의 체결구조를 포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Since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pushed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can be used. For example, if a synthetic resin is used, the shape of the part may change, and the part may be caught in the fixing groove 225 and then be removed. The fixing protrusion 220 may have a separate fixing structure to stably engage with the second body 200 because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220 is repeatedly applied due to the battery change. That is, an L-shaped fastening structure other than the protrusions that engage with the fixing grooves 225, and may be formed in an F-shape as shown in FIG.

도 3a 및 3b는 도 2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후크(106, 206)를 이용한다. 한 쌍의 후크(106, 206) 중 제1 후크는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제2 후크(206)는 형상 또는 위치가 변형 가능하여, 한 쌍의 후크(106, 206)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2. FIG. Hooks 106 and 206 are used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hook of the pair of hooks 106 and 206 is fixed so as not to change its shape and the second hook 206 is deformable in shape or position so that the pair of hooks 106 and 206 are fastened or disengaged .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후크(106)는 제1 바디(100)에 위치하고 제2 후크(206)는 제2 바디(200)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나 제1 후크(106)가 제2 바디(200)에 제2 후크(206)가 제1 바디(100)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후크(106)와 제2 후크(206)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고 그 반대편으로는 단차가 형성된다. Although the first hook 106 is located o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hook 206 is located on the second body 2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econd hook 206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body 100 in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have inclined surfaces at least on one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step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106)는 제1 바디(100)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제2 후크(206)도 제1 바디(100)와 결하는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후크(206) 또는 제1 후크(106) 중 일측에만 경사면이 형성되면 충분하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hook 106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acing one open side of the first body 100, and a step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 second hook 206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100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second hook 206 or the first hook 106.

제1 후크(106)의 경사면은 개방된 일측에서 멀어질수록 더 돌출되기 때문에 제2 후크(206)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제1 후크(106)의 돌출된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게 되며, 제2 후크(206)의 탄성부재(2063)는 상기 미는 힘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Since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hooks 106 protrude further away from the open side of the first hooks 106, the second hooks 206 are engaged with the first hooks 106 as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proceeds. 106, and the elastic member 2063 of the second hook 206 is deformed in shape by the pushing force.

본 실시예의 제2 후크(206)는 코일형상의 스프링을 탄성부재(2063)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 형상 이외에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063)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2 후크(206)가 제1 후크(106)의 경사면을 이동하여 제1 후크(106)의 단차부에 도달하면 상기 미는 힘이 사라지고 탄성부재(2063)는 다시 제2 후크(206)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106)의 단차부에 제2 후크(206)가 체결된다. The second hook 206 of this embodiment has a coil-shaped spring having an elastic member 2063, and an elastic member 2063 such as a leaf spring may be used in addition to a coil shape. When the second hook 206 mov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hook 106 and reaches the step of the first hook 106, the pushing force disappears and the elastic member 2063 returns the second hook 206 to the original And the second hook 206 is fasten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hook 106 as shown in FIG. 3A.

체결된 제1 후크(106)와 제2 후크(206)를 분리하기 위해 제1 바디(100)는 분리버튼(10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버튼(107)은 도 3a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누름부(1072)와 상기 누름부(1072)에서 이동 단말기(10) 내측으로 연장된 가압부(1071) 그리고 가압부(1071)의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누름부(1072)에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1073)을 포함한다.The first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button 107 for separating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from each other and the release button 107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As shown in the drawing, a pressing portion 107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0, a pressing portion 1071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1072 to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an extension of the pressing portion 1071 And a spring 1073 for applying a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107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1072 is moved.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072)를 누르면 가압부(1071)의 단부가 상기 제2 후크(206)를 눌러 상기 제1 후크(106)의 단차부에 체결된 제2 후크(206)가 분리되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도 3b와 같이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portion 1072, the end of the pushing portion 1071 presses the second hook 206 to release the second hook 206 fastened to the step of the first hook 106,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separated as shown in FIG. 3B.

이동 단말기(10)의 조립 과정에서 각 부품의 공차가 누적되면 최종적으로 제2 후크(206)와 제1 후크(106)의 위치가 잘 안 맞아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 사이에 공차가 발생할 수 있어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중에 제2 후크(206)의 위치가 변형되어 제1 후크(106)와 제2 후크(206)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1 후크(106)와 제2 후크(206)의 위치가 불일치하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이 안되거나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When the tolerances of the parts are accumulated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positions of the second hook 206 and the first hook 106 are not perfectly matched so tha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re is a problem that a defect rate is high. Also,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206 may be deformed during use, so that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may not fit each other. If the positions of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not be coupled or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not be coupled. There arises a problem in that a problem arises.

이러한 누적공차를 보상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사용상 변형을 보상하여 사후 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2 후크(20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모듈(231, 232)을 포함한다. 조정모듈(231, 232)은 회전력을 인가받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제2 후크(206)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차를 보상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206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umulative tolerance to reduce the defect rate and to compensate for the use distortion to reduce the post-repair cost.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change the linear motion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and move the second hook 206 upward or downward or right and left to compensate for the tolerance.

상기 조정모듈(231, 232)은 제2 후크(206)의 위치를 변형하도록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를 구동하기 위해 일측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정모듈(231, 232)을 제어하는 조작기어(230)를 포함한다.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include gear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s 206 and one side is exposed outward to drive the gears so that the user controls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nd an operation gear 230.

조작기어(230)는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은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 또는 + 형상의 홈이 형성된 기어헤드(2301)를 포함하고, 제2 바디(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부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조작기어(230)를 회전시키면 조작기어(230)의 톱니부와 조정모듈(231, 232)의 기어가 맞물려 회전하고 조정모듈(231, 232)은 이를 제1 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The manipulation gear 230 includes a gear head 2301 having a-or-shaped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 portion thereof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rotated by a user using a driver, and a gear head 2301, which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And includes serrations.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gear 230,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230 and the gears of the adjusting modules 231 and 232 are engaged and rotated, and the adjusting modules 231 and 232 convert it into a linear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의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베벨기어를 이용할 수 있다. 베벨기어는 원뿔형상의 기어로 2개의 원뿔형상의 기어가 맞물려 회전하여 회전축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조작기어(230)의 톱니부를 제1 베벨기어(2302)라 하고 조정모듈(231, 232)의 기어를 제2 베벨기어(231)라 하면, 제1 베벨기어(2302)는 이동 단말기(10)의 가로방향을 축으로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231)는 이동 단말기(10)의 세로방향을 축으로 회전한다.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peration gear 230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vel gear can be used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to linear motion. The bevel gear is a conical type gear, and two conical type gears can be rota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 teeth of the manipulation gear 230 are referred to as a first bevel gear 2302 and the gears of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re referred to as a second bevel gear 231. The first bevel gear 2302, And the second bevel gear 231 rotates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제2 베벨기어(231)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홀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232)는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제2 베벨기어(231)의 회전시 제1 샤프트홀 내측에 형성된 나선이 회전하므로 제1 샤프트(232)는 제1방향(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샤프트(232)는 상기 제2 후크(206)와 연결되어, 제2 후크(206)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shaft 232 passing through the first shaft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bevel gear 231 is formed with a spiral groove on the outer side an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haft hole when the second bevel gear 231 rotates The formed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shaft 23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figure). The first shaft 2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206 so that the second hook 206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조작기어(230)의 기어헤드(2301)는 결합부(210)에 위치하여 결합부(210)에 노출되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시 기어헤드(23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1 샤프트(232)의 단부가 직접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작하는 경우 제1 샤프트(232)가 외측으로 돌출되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결합시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제1 샤프트(232)가 내측으로 인입되면 사용자가 이를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샤프트(232)는 제2 바디(200) 내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The gear head 2301 of the operation gear 230 is positioned at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exposed to the coupling portion 210.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engag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end of the first shaft 232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shaft 232 protrudes outwar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shaft 232 is pulled inwar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shaft 232. Therefore, a separat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Since the first shaft 232 moving in the linear direction moves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shaft 232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의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벨기어 이외에 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제2 후크(20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peration gear 230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of the mobile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206 can be adjusted by using a rack pinion gear in addition to the bevel gea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어(230)는 원판의 외측에 톱니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231, 232)을 상기 피니언 기어의 톱니와 맞물려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랙기어(235)를 포함한다. 5, the operating gear 230 includes a pinion gear having teeth formed outside the disk, and the adjusting modules 231 and 232 ar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pinion gear to linear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gear 235.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는 제1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제2 후크(206)가 이동하는 데, 제2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제2 후크(206)를 이동할 수 있는 조정모듈(231, 232)과 조작기어(230)를 구비할 수 있다. 4 and 5 show that the second hook 206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hook 206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adjustment in which the second hook 206 can be moved in the left- Modules 231 and 232, and an operating gear 230, as shown in FIG.

도 6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의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의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은 제2 방향으로 제2 후크(206)가 이동하는 실시예이다. 6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peration gear 230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of the mobi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0) and adjustment modules (231, 232)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gear 230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shown in Figs. 6 and 7 are examples in which the second hook 206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조작기어(230)와 조정모듈(231, 232)에서 제1 샤프트(232)가 직접 제2 후크(206)에 결합하지 않고 링크(236)를 통해 결합한다. 링크(236)의 일측은 제1 샤프트(232)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2 후크(206)와 결합하며, 제1 샤프트(232)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236)가 회전하여 제2 후크(206)는 제2 방향(도면상 가로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 that the first shaft 232 in the operating gear 230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shown in Fig. 4 does not directly couple to the second hook 206, Lt; / RTI > One side of the link 236 is engaged with the first shaft 232 and the other side is engaged with the second hook 206. When the first shaft 23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hook 206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drawing).

제2 후크(206)가 너무 인입되면, 제1 후크(106)와 체결되지 않아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체결이 불안정하고, 제2 후크(206)가 너무 돌출되면 제1 후크(106)와 분리되지 않아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와 분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도 6의 조작기어(230)를 사용자가 돌려 제2 방향으로 제2 후크(20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hook 206 is pulled too far,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unstable because the first hook 106 is not engaged and the second hook 206 is excessively proj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from each other because the first hook 106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106 and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gear 230 in Fi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ns 206.

또는 도 7과 같이 조작기어(230)는 기어헤드(2301)의 반대편에 나선홈이 형성된 제2 샤프트홀이 형성되고, 조정모듈(231, 232)은 상기 제2 샤프트홀에 삽입되는 제2 샤프트(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237)는 제2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므로 제2 샤프트(237)와 연결된 제2 후크(206)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7, the manipulation gear 230 is formed with a second shaft hole formed with a spiral groov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ear head 2301,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re formed on the second shaft 223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hole, (237). Since the second shaft 237 linearly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hook 206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237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이상에서는 탄성부재(2063)를 포함하는 제2 후크(206)와 조정모듈(231, 232)이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후크(106)에 조정모듈(231, 232)이 연결되어 제1 후크(106)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후크(106)와 제2 후크(206)의 사이의 위치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Although the second hook 206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2063 and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ok 106,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ok 106 The positional error between the first hook 106 and the second hook 206 can be compens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hook 10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이처럼 조정모듈(231, 232)과 조작기어(230)를 이용하여 제2 후크(206)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 공정상 발생한 공차를 제거하여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 사이의 결합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206 using the adjustment modules 231 and 232 and the operation gear 230, The reliabil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increased.

또한, 배터리 커버가 없이 측면부터 배면까지 연속적인 면을 갖는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ase having a continuous surface from the side to the back without a battery cover can be used, and the appearance design can be improved.

메탈 바디를 이용하는 경우 안테나 배치를 위해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을 이용해야 하는 데 이 부분을 이용하여 바디를 2개로 분리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 배터리 사용시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metal body, it is necessary to use a nonconductive material partly for the antenna arrangement. By using this par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battery by separating the body into two pieces,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battery usage tim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동단말기 100: 제1 바디
102: 제1 케이스 1021: 금속부
1022: 수지부 104: 미들 프레임
106: 제1 후크 107: 분리버튼
1071: 가압부 1072: 누름부
1073: 탄성부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91: 배터리 200: 제2 바디
206: 제2 후크 2063: 스프링
210: 결합부 220: 고정돌기
225: 고정홈 230: 조작기어
2301: 기어헤드 2302: 제1 베벨기어
231: 제2 베벨기어 232: 제1 샤프트
235: 랙기어 236: 링크
237: 제2 샤프트 260: 인터페이스부
10: mobile terminal 100: first body
102: first case 1021: metal part
1022: resin part 104: middle frame
106: first hook 107: release button
1071: pressing portion 1072:
1073 elastic part 110 wireless communication part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191: Battery 200: Second body
206: second hook 2063: spring
210: engaging part 220:
225: Fixing groove 230: Operation gear
2301: gear head 2302: first bevel gear
231: second bevel gear 232: first shaft
235: Rack gear 236: Link
237: second shaft 260: interface part

Claims (10)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형성된 제1 후크;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후크에 체결되는 제2 후크;
상기 제2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기어 헤드 및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부를 포함하는 조작기어; 및
상기 제2 후크와 상기 조작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후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A first body;
A second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A first hook formed on the first body;
A second hook coupled to the first hook on the second body;
An operating gear including a gear hea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and a toothed portion located inside; And
And an adjusting modul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ok and the operating gear and switch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gear to a linear mo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일측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어는 상기 결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operating gear is located at the coupl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헤드는 - 또는 +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ar head is formed with a - or +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뿔 형상의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뿔형상의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후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conical first bevel gear,
The adjustment module
A conical second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bevel gear; And
And a first shaft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hook in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축을 관통하고 내벽면에 제1나선홈이 형성된 제1 샤프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나선홈에 상응하는 제2 나선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irst shaft hole passing through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bevel gear and having a first helical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shaft includes a second helical groove inserted in the first shaft hol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lical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판의 외측에 톱니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후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pinion gear having teeth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disk,
Wherein the adjus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rack gear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hook in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pinion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어의 톱니부는 원뿔 형상의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뿔형상의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샤프트; 및
일측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 후크와 결합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구동바가 제1 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여 상기 제2 후크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conical first bevel gear,
The adjustment module
A conical second bevel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bevel gear;
A first shaft that moves in a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And
One side engaged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other side including a link coupled with the second hook,
Wherein the link rotates when the driving bar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hook in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어는 회전축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3 나선홈이 형성된 제2 샤프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모듈은 상기 제2 샤프트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기어가 회전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gear includes a second shaft hole formed in a rotating shaft and having a third helical groove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Wherein the adjustment module includes a second shaft inserted in the second shaft hole and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gear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에 힘을 가하는 분리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분리버튼으로부터 힘을 인가받아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분리버튼을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하여 사익 제2 후크와 상기 제1 후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button for applying a force to the second hook,
The second hook includes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changed by a force from the release button,
Wherein when the user presses the separation button, the elastic member is deformed so that the second hook and the first hoo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버튼은
상기 제1 바디의 좌우 측면에 노출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에 인가된 힘을 상기 제2 후크로 전달하는 가압부; 및
상기 누름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lease button
A pressing part ex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body;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to the second hook; And
And a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ase.
KR1020160080639A 2016-06-28 2016-06-28 Mobile terminal KR201800017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39A KR20180001781A (en) 2016-06-28 2016-06-2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39A KR20180001781A (en) 2016-06-28 2016-06-2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81A true KR20180001781A (en) 2018-01-05

Family

ID=6100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639A KR20180001781A (en) 2016-06-28 2016-06-2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50B1 (en) Mobile terminal
KR102206242B1 (en) Mobile terminal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20160003499A (en) Proximity illumination sensor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50124710A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101727512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50698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719A (en) Mobile terminal
KR20160112497A (en) Mobile terminal
US9525763B1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166834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1147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018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204A (en)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20170084444A (en) Mobile terminal
KR20180001781A (en) Mobile terminal
KR101575503B1 (en) Mobile terminal
KR102179824B1 (en) Mobile terminal
KR20180020652A (en) Mobile terminal
KR20160150543A (en) Mobile terminal
KR101727513B1 (en) Mobile terminal
KR101562592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06438A (en) Mobile terminal
KR101587178B1 (en) Mobile terminal
KR101578013B1 (en) Earphone plug accessory and te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