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64U - 전자 기기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64U
KR20180001664U KR2020180001977U KR20180001977U KR20180001664U KR 20180001664 U KR20180001664 U KR 20180001664U KR 2020180001977 U KR2020180001977 U KR 2020180001977U KR 20180001977 U KR20180001977 U KR 20180001977U KR 20180001664 U KR20180001664 U KR 201800016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housing
terminal
cable
connecting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애영
Original Assignee
이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애영 filed Critical 이애영
Priority to KR202018000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664U/ko
Publication of KR20180001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케이블 장치는 제1 단부 하우징, 제2 단부 하우징 및 도선을 포함한다. 제1 단부 하우징은 제1 단부 하우징의 타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전자기기에 연결가능한 커넥팅 단자 및 제1 단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1 단부 하우징의 커넥팅 단자와 동일한 유형의 커넥팅 단자를 수용 가능한 커넥팅 단자 수용구를 포함한다. 제2 단부 하우징은 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가진다. 제2 단부 하우징의 상기 USB 단자는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타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도선은 제1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제1 단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단부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케이블{CABLE FOR ELECTRONIC DEVICES}
본 개시는 전자 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용 가능한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외관이 단순화 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설계시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물리적인 단자의 수가 감소되고 있다. 전자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용량의 대소와 무관하게 충전이 언제나 요구되므로, 최근 데이터 송수신 및/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1 개의 외부단자 수용구만이 제공되는 전자기기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1 개의 외부단자 수용구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경우, 예컨대, 충전 중에 이어폰과 같은 유틸리티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케이블을 제거한 뒤 유틸리티 장치의 단자를 전자기기의 외부단자 수용구에 연결해야 한다.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10-2006-0120303호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은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말의 타측 단부에 외부 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단부에 USB 잭, 이어마이크폰 단자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부를 가진다. 그러나, 외부 기기에 연결 하기 위한 단자는 컨트롤러부에 모두 구비되어 있으므로,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경우, 예컨대, 휴대 단말을 충전하는 한편, 휴대 단말 상에서 재생되는 영화를 보면서 이어폰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이어폰이 충전기와 가까이 있고, 휴대 단말과는 떨어져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 특히 휴대 전자기기에 연결할 수 있고, 충전 및 외부 장치의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가 제시된다. 케이블 장치는 제1 단부 하우징, 제2 단부 하우징 및 도선을 포함한다. 제1 단부 하우징은 제1 단부 하우징의 타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전자기기에 연결가능한 커넥팅 단자 및 제1 단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1 단부 하우징의 커넥팅 단자와 동일한 유형의 커넥팅 단자를 수용 가능한 커넥팅 단자 수용구를 포함한다. 제2 단부 하우징은 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가진다. 제2 단부 하우징의 상기 USB 단자는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타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도선은 제1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제1 단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단부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장치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환경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케이블 장치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장치의 일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장치를 다른 컴퓨팅 장치 또는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장치(110)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예시적인 환경은 케이블 장치(110), 전자기기(120), 유틸리티 장치(130) 및 전원 공급 장치(140)를 포함한다. 케이블 장치(110)는 제1 단부 하우징(112), 제2 단부 하우징(116), 제1 단부 하우징(112) 및 제2 단부 하우징(116)의 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제1 단부 하우징(112) 및 제2 단부 하우징(116)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제1 단부 하우징(112)과 제2 단부 하우징(1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도선(wire)(118)을 포함한다. 제1 단부 하우징(112), 도선(118) 및 제2 단부 하우징(116)은 도선(118)의 분기 없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선(118)은 직물,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피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 하우징(112)은 커넥팅 단지(113) 및 커넥팅 단자 수용구(114)를 포함한다. 커넥팅 단자(113)는 제1 단부 하우징(112)의 도선(118)이 연결되는 단부와는 대향하는 위치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커넥팅 단자(113)는 전자기기(120)의 단자 수용구(122)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커넥팅 단자(113)는 예컨대, 양면 접속 가능한 8핀 단자, A 타입 단자, B 타입 단자, C 타입 단자 또는 D 타입 단자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팅 단자 수용구(114)는 제1 단부 하우징(112)의 측면에 형성되며, 커넥팅 단자(113)와 동일한 유형의 단자를 수용가능할 수 있다.
도선(118)이 제2 단부 하우징(116)에 연결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하우징(116)의 단부로부터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17)가 돌출될 수 있다.
전자기기(120)는 단자 수용구(122)를 가질 수 있다. 전자기기(120)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블 장치(110)의 커넥팅 단자(113)는 전자기기(120)의 단자 수용구(122)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 장치(110)의 USB 단자(117)는 전원 공급 장치(1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자기기(120)에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자기기(120)가 충전될 수 있다.
전자기기(120)가 케이블 장치(11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장치(140)에 연결되는 한편, 유틸리티 장치(130)가 케이블 장치(110)의 제1 단부 하우징(112)에 있는 커넥팅 단자 수용구(114)에 연결될 수 있다. 유틸리티 장치(130)의 일 단부(132)는 단자 수용구(122) 또는 커넥팅 단자 수용구(114)에 연결가능한 유형, 즉, 단자(113)와 동일한 유형의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유틸리티 장치(130)의 타 단부(134)는 유틸리티 장치(130)의 유형에 따른다. 유틸리티 장치(130)는 예컨대, 이어폰, 헤드셋,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케이블 장치(110)를 이용하면, 전자기기(12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유틸리티 장치(130)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장치(110)가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커넥팅 단자(113)와 커넥팅 단자 수용구(115)를 하나의 하우징(112)에 형성함으로써 전자기기(120)와 유틸리티 장치(130)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제1 단부 하우징(112), 도전(118) 및 USB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단부 하우징(116)을 분기 없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장치(110)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케이블 장치(200)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장치(200)는 제1 단부 하우징(212), 도선(218) 및 제2 단부 하우징(216)을 포함한다. 제1 단부 하우징(212)은 제1 단부 하우징(212)의 일단부에 형성된 커넥팅 단자(213) 및 제1 단부 하우징(212)의 측면에 형성된 커넥팅 단자 수용구(214)를 포함한다. 제2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USB 단자(217)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장치의 일단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단부(300)는, 도 1의 제1 단부 하우징(112)의 내부 구성 또는 도 2의 제1 단부 하우징(114)의 내부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일단부(30)는 기판(310), 커넥팅 단자(320), 내부 회로(330) 및 커넥팅 단자 수용부(340)를 포함한다. 기판(310)은 연결 포트(312, 314, 31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단자(320)는 연결 포트(312)를 통하여 기판(3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팅 단자 수용구(340)는 연결 포트(314)를 통하여 기판(3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도선(도시되지 않음)은 연결 포트(316)를 통하여 기판(31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포트(312, 314, 316)는 내부 회로(330)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회로(330)는 연결 포트(316)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을 커넥팅 단자(320)로 전송하는 한편, 커넥팅 단자(32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커넥팅 단자 수용구(3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타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Claims (4)

  1.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로서,
    제1 단부 하우징;
    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가지는 제2 단부 하우징; 및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단부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되는 도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타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전자기기에 연결가능한 커넥팅 단자; 및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상기 커넥팅 단자와 동일한 유형의 커넥팅 단자를 수용 가능한 커넥팅 단자 수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상기 USB 단자는 상기 제2 단부 하우징의 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인,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커넥팅 단자 수용구로부터 상기 도선이 연결되는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넥팅 단자 수용구로부터 상기 제1 단부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인,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단자는 양면 접속 가능한 8핀 단자, A 타입 단자, B 타입 단자, C 타입 단자 또는 D 타입 단자인 것인,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것인, 전자기기용 케이블 장치.
KR2020180001977U 2018-05-04 2018-05-04 전자 기기용 케이블 KR201800016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7U KR20180001664U (ko) 2018-05-04 2018-05-04 전자 기기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7U KR20180001664U (ko) 2018-05-04 2018-05-04 전자 기기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64U true KR20180001664U (ko) 2018-06-05

Family

ID=6259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77U KR20180001664U (ko) 2018-05-04 2018-05-04 전자 기기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6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651B2 (en) Multifunctional connection cord for multimedia device
KR101195649B1 (ko)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US20070239924A1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udio-and-video signals with USB connector
CN110933549A (zh)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充电系统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CN204793526U (zh) 磁吸数据线以及磁吸连接头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US9293865B2 (en) High digital bandwidth connection apparatus
EP2383860B1 (en) Rapid charging apparatus
CN201075214Y (zh) 一种usb通用数据线
KR20180001664U (ko) 전자 기기용 케이블
US8986051B2 (en) Socket connector, plug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4179437U (zh) 信号转接线
US747976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charging ports
US20120071086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eparable communications elements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75489Y1 (ko)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KR20160102678A (ko) 휴대형 다기능 충전 배터리팩
CN205986257U (zh) 一种新型蓝牙耳机
CN212013013U (zh) 耳机组件及音频充电线
CN215734750U (zh) 可插拔的蓝牙耳机及充电盒
CN105530559A (zh) 蓝牙耳机
CN101674343A (zh)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充电器
US20170055355A1 (en) Protective case
US9496737B2 (en) Charge devices and charge systems
CN213754883U (zh) 一种可用移动终端充电的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