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20U -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 Google Patents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20U
KR20180001620U KR2020160006759U KR20160006759U KR20180001620U KR 20180001620 U KR20180001620 U KR 20180001620U KR 2020160006759 U KR2020160006759 U KR 2020160006759U KR 20160006759 U KR20160006759 U KR 20160006759U KR 20180001620 U KR20180001620 U KR 201800016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exible
mounting bracket
conduit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영준
Original Assignee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620U/en
Publication of KR20180001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2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립하는 방식의 다운 라이트에 전선연결단자와 전선을 수용 및 보호하는 가요 전선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마운팅 브래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다운 라이트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복수 개의 카운터 싱크가 형성되고,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한쪽에 전선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부; 및 상기 수평판부의 다른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 전선관을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전선관구멍이 형성된 수직판부를 포함하는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ounting bracket capable of quickly and stably fixing a wire connecting terminal and a flexible wire for receiving and protecting a wire in a down ligh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ceiling and a light source is embedded therein.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ntersinks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ownlight to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wnlight, and the horizontal plate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 latching jaw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to fix a wire connection terminal thereto; And a vertical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and having a conduit hole formed horizontally in a center portion thereof for fixing the flexible conduit tube,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for a downlight.

Description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for a downlight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본 고안은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립하는 방식의 다운 라이트에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연결단자와 전선을 수용 및 보호하는 가요 전선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탈부착 및 고정할 수 있는 마운팅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light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light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for receiving a wire and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wire to a downlight in which a light source is embedded therein And a mounting bracket that can fastly and stably detach and fix a flexible wire to be protected.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선은 건축물을 시공 시 강관 또는 플라스틱관 등의 전선관을 배관하고, 그 내부에 전선을 통과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고 있다.Generally, the wiring of a building is constructed by piping a conduit pipe such as a steel pipe or a plastic pipe when constructing the building, placing the concrete after placing the wire in the pipe.

여기서 전선관은 배관의 능률을 기하기 위해 자유롭게 굽힐 수 있고 길이가 길어서 부속품의 종류가 적게 드는 이른바 가요 전선관(flexible conduit tub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Here, the so-called flexible conduit tube, in which the conduit can be freely b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ipe, and the length is long and the kinds of the accessories are small, is mainly used.

또한, 이러한 가요 전선관을 전기배선함 등에 연결할 때에는 관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uch a flexible conduit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ing box or the like, a tubular connector can be used to quickly and easily connect the flexible conduit.

도 1은 종래의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10)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관형의 한쪽 단부에는 전기배선함의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단턱(11) 및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단부에는 가요 전선관(F)을 감싸 조여서 고정하는 체결밴드(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FIG. 1 illustrates a connector 10 for a flexible wire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has a tubular one end formed with a latching step 11 and a male thread 12 which are inserted into a hole of an electric wiring box, And a fastening band 13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conduit F is integrally formed.

이로써 가요 전선관(F)을 전기배선함에 연결할 때에는 커넥터(10)의 체결밴드(13)에 전선이 삽입되는 가요 전선관(F)을 끼운 후, 체결밴드(13)가 가요 전선관(F)을 감싸 고정하는 상태를 이루도록 나사(S)를 조인 다음, 수나사부(12)를 전기배선함의 구멍으로 삽입하고 전기배선함의 내측에서 수나사부(12)에 너트(N)를 체결하여 전기배선함에 고정할 수 있다.Thus, when connecting the flexible wire F to the electric wiring box, the flexible wire F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and 13 of the connector 10, and then the fastening band 13 surrounds the flexible wire F, The male screw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electric wiring box and the nut N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portion 12 at the inside of the electric wiring box so as to be fixed to the electric wiring box .

그런데 이와 같이 커넥터의 수나사부(12)에 너트(N)를 체결하여 전기배선함과 체결하는 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전기배선함 내부에 너트(N)를 조이기 위한 공구의 진입이 수월하지 않아 그 결합력이 상당히 떨어져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method of fastening the nut N to the screw portion 12 of the connector and fastening the nut N to the electric wiring box,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the tool for tightening the nut N in the electric wiring box is not easily inserted. There is an issue that can be easily released.

이에 따라 커넥터를 전기배선함과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방식이 새롭게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한번 결합하면 다시 분리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또 오결합(misconnecting)으로 인해 분리하여 재결합할 경우 그 결합력이 헐거워져서 전기배선함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데다 자칫 분리 과정에서 파손의 우려가 큰 한계가 있다.Accordingly, although a method of coupling the connector with the electric wiring box by interference fit has been newly proposed,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connector once, and when it is separated and recombined due to misconnecting, the coupling force is loosened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electric wiring box and there is a great limitation on the possibility of breakage in the separation process.

한편, 건축물의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부를 매립하여 전면부만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방식의 이른바 다운 라이트(down-light)는 광원부의 노출이 거의 없이 천장면에 잘 정돈되어 보이기 때문에 실내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온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특성상 최근 실내를 밝히는 조명 용도와 더불어 장식적인 효과를 고려한 인테리어 용도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so-called down-light metho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ceiling of a building and a light source is buried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o expose only the front part is displayed in the ceiling scene with almost no exposure of the light source par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widely used for lighting applications that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interior applications for decorative effects.

도 2는 종래의 다운 라이트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소켓(150)이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00)과, 천장에 지지 되는 하부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광원의 일부를 감싸고 빛을 아래 방향으로 집광하는 반사갓(500) 및 빛이 통과하는 커버(600)로 구성되어 있다.FIG. 2 illustrates a conventional down light, which includes an upper frame 100 to which the socket 150 is coupled, a lower frame 200 supported by the ceiling, and upper and lower frames 100 and 200, A reflection frame 500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light source and condenses the light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cover 600 through which the light passes.

그리고 연결프레임(300)의 양쪽에는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350)이 형성되어 있다.Clips (350) for fixing the ceiling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300).

그런데 이는 클립(35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천장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무게 및 실내온도의 변화 등으로 인해 고정력이 약해져서 천장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it is fixed to the ceiling due to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clip 350, the fixing force is weakened due to a change in weight and room temperature during long-term use, so that it may easily fall off from the ceiling.

또한,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연결단자를 상부프레임(100)에 나사못 등으로 직접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연결단자의 손상이나 노화 또는 사용수명의 초과할 경우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천장 내부의 높이 등과 같이 설치 장소의 여건이나 제약으로 인해 다운 라이트와 일체로 바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성 및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ing external wires is directly fixed to the upper frame 100 with screws or the like, maintenance or replacement work is very troublesome when the wire connecting terminal is damaged or aged or the service life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and flexibility due to the installation work are remarkably deteriorated when the installation can not be installed directly with the downlight due to the condition or restric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such as the height of the ceiling.

KR20-0450313 Y1(2010.09.14)Y2 (2010.09.14) KR20-0385916 Y1(2005.05.26)KR20-0385916 Y1 (2005.05.26) KR10-2016-0113506 A(2016.09.29)KR10-2016-0113506E (2016.09.29) KR10-1081383 B1(2011.11.02)KR10-1081383 B1 (2011.11.02) KR10-1063021 B1(2011.08.31)KR10-1063021 B1 (Aug. 31, 2011)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운 라이트에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연결단자와 전선을 수용 및 보호하는 가요 전선관을 연결하는 기존의 구조 및 방식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와 가요 전선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또 전선연결단자의 파손 시나 노화 및 사용수명의 초과 시 등에 그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설치 장소의 여건이나 높이 제약 등 제반 사정에 따라 전선연결단자의 설치 위치 및 가요 전선관의 고정 위치를 임의로 간편하게 변경하여 설치 공간의 사정에 최대한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운 라이트가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예기치 않게 이탈되더라도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다운 라이트용 마운팅 브래킷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olv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wire to the downlight and the flexible wire for receiving and protecting the wire, taking the above matters into consider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ecurely fix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lexible electric wire for the down light and to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is broken or aged and the service life is exceed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flexible electric wire can be arbitrarily changed arbitrarily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height restriction and the height restriction,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installation space. Moreover, Even if they fail, they remain suspended from the ceiling, Of seeking to develop a downlight mounting bracket that can be made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was constantly research efforts devoted shell height was conceived as a result of the present design.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다운 라이트에 전선연결단자와 가요 전선관을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다운 라이트가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예기치 않게 이탈되더라도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system which can easily and stably fix a wire connecting terminal and a flexible cable to a down light, and that, even when the down light is unintentionally or unexpectedly detached from the ceiling, To maintain a hanging condition on the mounting bracket.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object and purpose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object and purpos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다운 라이트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복수 개의 카운터 싱크(counter sink)가 형성되고,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한쪽에 전선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부; 및 상기 수평판부의 다른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 전선관을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전선관구멍이 형성된 수직판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nter sinks ar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ownlight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light, and a thin plate A horizontal plate formed into a shape; A latching jaw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to fix a wire connection terminal thereto; And a vertical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and having a conduit hol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for fixing the flexible conduit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plate portion for down light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portion Present bracket.

이로써 본 고안은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립하는 방식의 다운 라이트에 전선연결단자와 가요 전선관을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운 라이트가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예기치 않게 이탈되더라도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fix a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a flexible conduit in a simple and stable manner to a down ligh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ceiling and a light source is embedded therein, You can keep hanging on the ceiling even if it leaves unexpectedl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가요 전선관의 단부에는 수나사부를 갖는 커넥터가 장착되고, 상기 전선관구멍은 상기 커넥터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절삭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수직판부의 좌굴을 방지하고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티프너(stiffener)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가요 전선관을 더욱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having an externally threaded portion is mounted at an end of the flexible conduit, and the conduit hole is formed with a threaded hole in which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connector is cut, The stiffener for preventing the buckling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and for increasing the strength and rigidity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between the vertical plate portions so that the flexible conduit can be fixed more quickly and stably, It can be maintained firmly.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의 실시 태양은, 천장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립하는 방식의 다운 라이트에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연결단자와 전선을 수용 및 보호하는 가요 전선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means and construc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wire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ing a wire to a down light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ceiling and a light source is buried therei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tably fix the flexible conduit which receives and protects the electric wir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the work.

또한, 전선연결단자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연결단자의 손상이나 노화 및 사용수명의 초과 등에 따른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의 여건이나 높이 제약 등 제반 사정에 따라 전선연결단자의 설치 위치 및 가요 전선관의 고정 위치를 설치 공간의 사정에 최대한 적합하게 임의로 변경하여 다운 라이트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이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can be easily and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perform the replacement work due to the damage of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the aging, the service life, etc.,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flexible electric wire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installed in the down light so that th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work can be made much easier and easier.

더구나 가요 전선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운 라이트가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예기치 않게 이탈되더라도 가요 전선관에 의해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여 단락이나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onduit can be firmly fixed, the down light can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by the flexible conduit even if the ceiling is un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detached from the ceiling,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short-circuiting or falling.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운 라이트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전선연결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전선연결단자와 가요 전선관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wire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own ligh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 light and a flexible wire tub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 light and a flexible wir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connection terminal is mounted to explain a use state of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 light and a flexible wire tub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a flexible wire are mounted to explain a use state of a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 light and a flexible wire tub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interpreted as a concept conform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ed in a way that i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technical field.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1)은 크게 수평판부(20), 걸림턱부(30), 수직판부(40), 스티프너(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6,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a down light and the flexible wiring tube mounting brack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 a horizontal plate portion 20, a latching jaw portion 30, a vertical plate portion 40, , And a stiffener (50).

수평판부(20)는 마치 직사각형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운 라이트의 상부에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복수 개의 카운터 싱크(21)가 형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plate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hin plate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countersinks 2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downlight with screws or the like.

걸림턱부(30)는 다운 라이트의 전원공급장치(SMPS 등)와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선연결단자(T)를 고정하기 위해 수평판부(20)의 길이 방향 한쪽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latching jaw 3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20 to fix a wire connecting terminal 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ower supply (SMPS or the like) of the down ligh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

여기서 걸림턱부(30)는 전선연결단자(T)의 임의적인 탈부착이 용이하고, 슬라이딩 끼움 방식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정면상에서 볼 때 마치"┏ ┓"와 같은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선연결단자(T)의 하부는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Here, the latching jaw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il having a shape similar to "┏ ┓"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wire connecting terminal T can be arbitrarily detached and attached,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connecting terminal 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and is formed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rail.

즉, 걸림턱부(30)는 전선연결단자(T)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전선 연결 과정이나 점검 또는 교체 및 유지보수가 훨씬 수월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since the engaging jaw 30 is formed so as to be easy and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terminal T,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process, inspection, replacement and maintenance can be made much easier and convenient.

한편, 전선연결단자(T)의 한쪽은 3개의 전선으로 다운 라이트의 전원공급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고, 그 반대쪽은 삼상 3선식 전선과 원터치 끼움 방식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한번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down light by three electric wires, and the other sid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ree-phase three-wire type electric wire by a one- .

수직판부(40)는 수평판부(20)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수평판부와 직교하도록 세워진 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요 전선관(F)을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전선관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The vertical plate portion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0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and has a conduit hole 41 formed horizontally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for fixing the flexible conduit F, Respectively.

여기서 가요 전선관(F)의 단부에는 외주연에 수나사부(S)를 갖는 커넥터(C)가 장착되어 있고, 전선관구멍(41)은 커넥터(C)의 수나사부(S)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절삭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or C having the male screw portion S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lexible wiring conduit F. The female screw hole of the female screw hole S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S of the connector C is cut As shown in Fig.

즉, 전선관구멍(41)은 암나사를 갖는 나사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을 수용 및 보호하는 가요 전선관(F)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C)와 나사 결합으로 한층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운 라이트가 자중이나 진동 등의 외력을 받아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얘기치 않게 이탈되더라도 가요 전선관(F)이 마운팅 브래킷(1)을 통해 다운 라이트를 2차적으로 잡아주어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단락이나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nduit hole 41 is formed by a screw hole having a female thread, it can be fixed more quickly and stably by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C mounted on the end of the flexible wire F that receives and protects the wire So that even if the down light receives an external force such as self weight or vibration and is un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displace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ceiling, the flexible conduit F secondarily catches the down light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short circuit or falling by keeping the ceiling suspended.

또한, 전선관구멍(41)의 위치 즉, 수평판부(20)의 상면에서부터 그 중심까지의 높이는 전선(W)이 전선연결단자(T)에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부(30)에 장착된 전선연결단자(T)의 전선(W) 삽입부가 갖는 높이보다 약간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position of the conduit hole 4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0 to the center thereof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0 to the engaging jaw portion 30 so as to more stably connect the electric wire W to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T Is formed to be positioned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serted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W)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T).

스티프너(50)는 수직판부(40)의 좌굴을 방지하고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 수평판부(20)와 수직판부(30)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stiffener 50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0 and the vertical plate portion 30 for preventing buckling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40 and increasing strength and rigidit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1)은 전선연결단자(T)와 가요 전선관(F)의 탈부착이 용이 및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전선연결단자(T)의 손상 또는 노화 등으로 인한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다.Since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down light and the flexible wire tube mounting brack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T and the flexible wire F,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wire connecting terminal T due to damage or aging.

게다가 천장 등 설치 장소의 여건이나 높이 제약 등 제반 사정에 따라 전선연결단자(T)의 설치 위치 및 가요 전선관(F)의 고정 위치를 그 설치 공간의 사정에 최대한 적합하게 임의로 변경 및 조정하여 다운 라이트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이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T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flexible electric wire F are arbitrarily changed and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work can be made much simpler and easier.

더욱이 전선관구멍(41)에 가요 전선관(F)의 커넥터(C)를 직접 나사 결합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가요 전선관(F)의 커넥터(C)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너트로 체결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운 라이트가 천장의 설치 면에서 의도하지 않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이탈되더라도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여 단락사고나 낙하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The connector C of the flexible conduit F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nduit hole 41 by a screw connection so that the connector C of the flexible conduit F is fastened with a separate nut In addition, the down light can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even if the down light is removed from the ceiling by unintentional or unexpected situations,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accident or falling accident.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1)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down light and the flexible wire tube mounting brack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in which a thermoplastic plastic is injected and molded in a metal mold.

즉, 합성수지제로 일체로 제조 및 가공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not only the cost can be reduced by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tegrally with the synthetic resin, but unnecessary thick parts can be lighter by maintaining the hollow and rib forming, and at the same time, can maintain a constant strength.

아울러 종래와 달리 전선연결단자(T)와 가요 전선관(F)을 나사못이나 너트 등으로 일일이 조여서 조립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설치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T) and the flexible wire tube (F) by tightening them with screws or nuts can be minimized, thereby shortening the installation time and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stably and stably.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수평판부 21: 카운터 싱크
30: 걸림턱부 40: 수직판부
41: 전선관구멍 50: 스티프너
T: 전선연결단자 F: 가요 전선관
C: 커넥터 S: 수나사부
20: Horizontal plate 21: Countersink
30: latching jaw 40: vertical plate
41: conduit hole 50: stiffener
T: Wire connection terminal F: Flexible conduit
C: Connector S: Male thread

Claims (2)

다운 라이트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복수 개의 카운터 싱크가 형성되고,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한쪽에 전선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부; 및
상기 수평판부의 다른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 전선관을 고정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전선관구멍이 형성된 수직판부;
를 포함하는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
A plurality of countersink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ownlight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light, a horizontal plate portion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 latching jaw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to fix a wire connection terminal thereto; And
A vertical plate part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art and having a conduit hole formed horizontally in the middle part thereof for fixing the flexible cable conduit;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 전선관의 단부에는 수나사부를 갖는 커넥터가 장착되고,
상기 전선관구멍은 상기 커넥터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절삭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수직판부의 좌굴을 방지하고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티프너가 일체로 형성된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having a male screw portion is mounted on an end of the flexible wire,
Wherein the conduit hole is formed with a screw hole in which a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connector is cut,
And a stiffener integrally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and the vertical plate portion to prevent buckling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and increase strength and rigidity, and a flexible conduit mounting bracket.
KR2020160006759U 2016-11-21 2016-11-21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KR2018000162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59U KR20180001620U (en) 2016-11-21 2016-11-21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59U KR20180001620U (en) 2016-11-21 2016-11-21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20U true KR20180001620U (en) 2018-05-31

Family

ID=6229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59U KR20180001620U (en) 2016-11-21 2016-11-21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620U (e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933U (en) * 1995-12-29 1997-07-29 Connector mounting bracket
JP2000062530A (en) * 1998-08-24 2000-02-29 Ichikoh Ind Ltd Lamp base structure
KR200385916Y1 (en) 2005-03-17 2005-06-03 김영길 Reclamation-type lighting lamp
KR200396150Y1 (en) * 2005-05-16 2005-09-20 이명우 A Plug In-Power Unit
KR20070040998A (en) * 2005-10-1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03046U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보림전자 Earth teminal structure
KR20090010512U (en) * 2008-04-11 2009-10-15 안효숙 Electric connector
KR20100070638A (en) * 2008-12-18 2010-06-28 권순석 Light mounting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450313Y1 (en) 2008-11-12 2010-09-20 오길식 Ceiling laying type light that equip fireproof cap
KR101063021B1 (en) 2011-03-29 2011-09-06 피닉스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eiling downlight
KR101081383B1 (en) 2011-06-02 2011-11-08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Ceiling embedded type led lighting lamp
KR20120135811A (en) * 2011-06-07 2012-12-17 양우석 Electric all-in-one waterproof switch
KR101381398B1 (en) * 2013-08-22 2014-04-04 주식회사 디에스이 A cable terminal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 pole
KR200475729Y1 (en) * 2013-07-09 2014-12-29 주식회사 케이비텍 Coupling unit for module of LED-converter
KR20160113506A (en) 2015-03-19 2016-09-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LED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933U (en) * 1995-12-29 1997-07-29 Connector mounting bracket
JP2000062530A (en) * 1998-08-24 2000-02-29 Ichikoh Ind Ltd Lamp base structure
KR200385916Y1 (en) 2005-03-17 2005-06-03 김영길 Reclamation-type lighting lamp
KR200396150Y1 (en) * 2005-05-16 2005-09-20 이명우 A Plug In-Power Unit
KR20070040998A (en) * 2005-10-1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or
KR20090003046U (en)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보림전자 Earth teminal structure
KR20090010512U (en) * 2008-04-11 2009-10-15 안효숙 Electric connector
KR200450313Y1 (en) 2008-11-12 2010-09-20 오길식 Ceiling laying type light that equip fireproof cap
KR20100070638A (en) * 2008-12-18 2010-06-28 권순석 Light mounting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063021B1 (en) 2011-03-29 2011-09-06 피닉스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eiling downlight
KR101081383B1 (en) 2011-06-02 2011-11-08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Ceiling embedded type led lighting lamp
KR20120135811A (en) * 2011-06-07 2012-12-17 양우석 Electric all-in-one waterproof switch
KR200475729Y1 (en) * 2013-07-09 2014-12-29 주식회사 케이비텍 Coupling unit for module of LED-converter
KR101381398B1 (en) * 2013-08-22 2014-04-04 주식회사 디에스이 A cable terminal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 pole
KR20160113506A (en) 2015-03-19 2016-09-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LED lighting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156154호(2013.03.06.)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396B2 (en) Junction box for regressed light module
KR101731680B1 (en) Ceiling light Mounting and Separating Device
PT1933434E (en) Suspendend electrical ducting system with stirrups
KR101589365B1 (en) Lighting device
KR100641814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Duct
KR20180001620U (en) Mounting bracket of wire connecter and flexible conduit tube for down-light
US8913778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a fall of a speaker device from a main appliance
KR20080062659A (en) Ballast stabilizer
KR101457349B1 (en) Screw compression type cable connection device of underground low pressure cable
KR101268194B1 (en)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KR100607035B1 (en) Electric terminal box for ceiling of apartment house
KR102094658B1 (en) Tightening Method for FRP Insulation Cross Arm and Tightening Structure of Bracket for Cutout Switch Combining with It
KR200396734Y1 (en) Mold race way
KR101561533B1 (en)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cable tray
CN107461619B (en) Lamp and lamp assembly thereof
KR101834537B1 (en) Ceiling fixture for Lights
KR100917998B1 (en) Coupling device of lighting apparatus
KR100493456B1 (en) Connector for fixing wiring pipe
JP6756183B2 (en) Lighting fixtures for hanging, connectors and lighting systems
JP2017195167A (en) Lighting fixture
KR101522389B1 (en) Raceway for installing lighting apparatus or CCTV camera
JP6593746B2 (en) Light source unit and lighting apparatus
KR200320811Y1 (en) Connector for electric wire inserting pipe connect
KR101636019B1 (en) A ground terminal
CN104456473A (en) Mountable connector box for electr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