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20U -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20U
KR20180001420U KR2020160006433U KR20160006433U KR20180001420U KR 20180001420 U KR20180001420 U KR 20180001420U KR 2020160006433 U KR2020160006433 U KR 2020160006433U KR 20160006433 U KR20160006433 U KR 20160006433U KR 20180001420 U KR20180001420 U KR 201800014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oove
circuit breaker
protrusion
hand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54Y1 (ko
Inventor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5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 어셈블리에 형성된 홈부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시키고, 샤프트가 홈부에 끼워졌을 때 돌기부를 통해 고정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THE OUTSIDE HANDLE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핸들장치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현상이 발생되어 부하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하여 배선 및 접속기기의 파괴 또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외부에 외부핸들장치를 연결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되는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의 외부핸들장치(20)는 배선용 차단기(10)에 부착되는 구동 어셈블리(21), 상기 구동 어셈블리(2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샤프트(23), 상기 샤프트(23)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외부에서 배선용 차단기(10)의 상태를 조절하는 핸들 어셈블리(2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의 외부핸들장치(20)는 상기 샤프트(23)의 일단이 상기 구동 어셈블리(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 어셈블리(25)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상기 핸들 어셈블리(25)에 구비된 핸들(25a)을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25a)에 연결된 상기 샤프트(23)가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21)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 어셈블리(21)에 연결된 상기 배선용 차단기(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3)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10)가 구비되는 배전반의 외함의 길이에 맞도록 절단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샤프트(23)를 상기 구동 어셈블리(21)에 수직한 상태로 조립되어야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외부핸들장치(20)의 경우 샤프트(23)를 절단했을 때 절단면이 경사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샤프트(23)를 구동 어셈블리(21)에 연결하면 샤프트(23)가 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배선용 차단기(10)의 온 또는 오프 조절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샤프트(23)가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샤프트(23)에 가해지면 샤프트(23)가 흔들려 연결된 각 부품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외부핸들장치(20)를 빈번하게 교체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핸들장치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고, 샤프트가 끼워지도록 홈부가 형성된 구동 어셈블리; 상기 홈부에 일단이 끼워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상기 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면 상기 샤프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의 상하방향 길이와 상기 돌기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의 내측면은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측으로 관통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볼트부가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홈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는 구동 어셈블리에 형성된 홈부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시키고, 샤프트가 홈부에 끼워졌을 때 돌기부를 통해 고정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부의 상하방향길이와 돌기부의 상하방향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돌기부를 통한 샤프트의 고정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의 외주면에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돌기부 수용홈을 형성시켜 샤프트가 홈부에 끼워졌을 때 돌기부가 돌기부 수용홈에 재차 끼워지도록 하여 돌기부를 통해 샤프트를 고정지지함과 동시에 샤프트가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되는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된 구동 어셈블리의 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된 구동 어셈블리의 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중 구동 어셈블리에 샤프트가 끼워져 돌기부를 통해 고정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되는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된 구동 어셈블리의 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된 구동 어셈블리의 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핸들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중 구동 어셈블리에 샤프트가 끼워져 돌기부를 통해 고정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구비되는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외부핸들장치(200)는 배선용 차단기(100)에 설치되는 구동 어셈블리(210),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에 연결되는 샤프트(230), 상기 샤프트(230)에 연결되는 핸들 어셈블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230)의 회전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를 온(ON) 또는 오프(OFF)로 동작하게 한다.
상기 샤프트(230)는 일단이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에 끼워져 볼트부(215)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에는 후술할 홈부(211)측으로 관통되도록 결합홈(217)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215)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217)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230)에 맞닿음으로서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샤프트(230)의 타단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250)에 끼워져 상기 핸들 어셈블리(250)에 구비된 핸들(250a)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를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에 연결된 상기 배선용 차단기(10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조절한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250)는 상기 샤프트(23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핸들 어셈블리(250)에 구비된 핸들(250a)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를 동작시킨다.
한편,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외부핸들장치(200)를 구성하는 구동 어셈블리(210)에는 사각형상의 홈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211)에는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3)는 상기 홈부(211)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끼워지면 측면에서 상기 샤프트(230)에 밀착되어 상기 샤프트(2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지지한다.
즉, 상기 샤프트(230)의 경우 절단하게 되면 절단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되고, 상기 샤프트(230)를 상기 구동 어셈블리(210)에 끼워넣게 되면 θ만큼 구동 어셈블리(210)와 경사지게 되는데,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끼워졌을 때 상기 돌기부(213)가 상기 샤프트(230)를 측면에서 고정지지할 뿐만 아니라 볼트부(215)를 통해 상기 샤프트(230)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수직으로 끼워져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홈부(211)의 상하방향 길이와 상기 돌기부(213)의 상하방향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 내에서는 일정길이 제외됨이 없이 항상 상기 돌기부(213)를 통해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이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30)에는 상기 돌기부(213)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부 수용홈(2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수용홈(231)은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에 끼워지면 상기 돌기부(213)가 재차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샤프트(230)가 상기 홈부(211) 내에서 흔들림없이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고안인 배선용 차단기(100)의 외부핸들장치(200)는, 배선용 차단기(100)에 구비되는 구동 어셈블리(210)에 형성된 홈부(211)에 다수개의 돌기부(213)를 형성시키고, 샤프트(230)가 홈부(211)에 끼워졌을 때 다수개의 돌기부(213)를 통해 측면에서 고정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30)가 소정각도 기울어지지 않고 구동 어셈블리(210)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홈부(211)의 상하방향 길이와 돌기부(213)의 상하방향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30)가 홈부(211)에 끼워졌을 때 홈부(211) 내에서는 돌기부(213)를 통해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230)의 외주면에 돌기부(213)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돌기부 수용홈(231)을 형성시켜 샤프트(230)가 홈부(211)에 끼워졌을 때 돌기부(213)가 돌기부 수용홈(231)에 재차 끼워지도록 하여 돌기부(213)를 통해 샤프트(230)를 고정지지함과 동시에 샤프트(230)가 홈부(211)내에서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100: 배선용 차단기 20, 200: 외부핸들장치
21, 210: 구동 어셈블리 23: 샤프트
25, 250: 핸들 어셈블리 25a, 250a: 핸들
211: 홈부 213: 돌기부
215: 볼트부 217: 결합홈
230: 샤프트 231: 돌기부 수용홈

Claims (6)

  1.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되고, 샤프트가 끼워지도록 홈부가 형성된 구동 어셈블리;
    상기 홈부에 일단이 끼워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에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조절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상기 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면 상기 샤프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
    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하방향 길이와 상기 돌기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측면은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는,
    상기 홈부측으로 관통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볼트부가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홈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KR2020160006433U 2016-11-03 2016-11-0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KR200492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3U KR200492054Y1 (ko) 2016-11-03 2016-11-0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3U KR200492054Y1 (ko) 2016-11-03 2016-11-0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20U true KR20180001420U (ko) 2018-05-11
KR200492054Y1 KR200492054Y1 (ko) 2020-07-28

Family

ID=6216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33U KR200492054Y1 (ko) 2016-11-03 2016-11-0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5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44Y1 (ko) * 2003-11-04 2004-02-1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보조핸들 구조
KR101541217B1 (ko) * 2013-07-15 2015-08-03 윤여관 차단기 온 오프 개폐 스위치와 스위치 조작 핸들 연결용 샤프트 어댑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44Y1 (ko) * 2003-11-04 2004-02-1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보조핸들 구조
KR101541217B1 (ko) * 2013-07-15 2015-08-03 윤여관 차단기 온 오프 개폐 스위치와 스위치 조작 핸들 연결용 샤프트 어댑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54Y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1017B1 (en) Wall boxes providing adjustable support for a control device, apparatuses, and electrical device
US10256614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ies
US10510507B2 (en) Fuse unit
EP2988399B1 (en) Fastening system for a terminal box and electrical machine
KR101513210B1 (ko) 과전류 계전기
EP2858181A1 (en) Connector
KR20190056047A (ko) 냉각 팬
US10446337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EP3012851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closing resistor f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EP3188205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20160105170A (ko)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스위치
US9230763B2 (en) Relay assembly with fastening clip
KR20180001420U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장치
KR20180108701A (ko) 회전식 더블브레이크포인트 스위치 접촉시스템 접속 개량 구조
US8134092B2 (en) Circuit breaker cover attachment
RU2623500C1 (ru) Выключатель в литом корпусе
EP3371452B1 (en) Inverter board assembly for use with a hermetic compressor
JP2018156942A (ja) 安全技術に関する電子モジュール
US11088474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JP2017004874A (ja) 端子台
EP3782173B1 (en) Potentiometer for controlling electric circuit
KR101721106B1 (ko) 회로 차단기
JP6878158B2 (ja) 端子装置
KR200226073Y1 (ko) 계량기용 배전함 구조
KR20090063007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