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01A -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01A
KR20180001401A KR1020160105428A KR20160105428A KR20180001401A KR 20180001401 A KR20180001401 A KR 20180001401A KR 1020160105428 A KR1020160105428 A KR 1020160105428A KR 20160105428 A KR20160105428 A KR 20160105428A KR 20180001401 A KR20180001401 A KR 2018000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ing
unit
housing
downlight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066B1 (ko
Inventor
유동걸
이우열
Original Assignee
유동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걸 filed Critical 유동걸
Publication of KR2018000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다운라이트 설치 공간에 다운라이트 기능과 함께 플라즈마 방전 원리를 통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집진필터 필요없이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라즈마 방전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유닛; 상기 공기청정 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과 공기청정 유닛 간,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과 커버 유닛 간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으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 유닛은 하부 측에 공기 유입공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플라즈마 방전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은 송풍팬, 및 상기 다운라이트 유닛과 공기청정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DOWN-LIGHT LIGHTING DEVICE HAIVNG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다운라이트 설치 공간에 다운라이트 기능과 함께 플라즈마 방전 원리를 통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집진필터 필요없이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영업장소의 실내공간에는 실내의 미려한 분위기 등을 조성하고 조명의 기능을 갖기 위하여 다수개의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위해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공기청정기와 조명기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초기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설치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며, 전력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조명장치에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 공기정화기능의 조명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1)가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그 상부몸체(2)의 상단 외주면에는 접속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모터(6)와 함께 설치된 흡입팬(7)의 하측에 필터가 마련되며, 하부몸체(3)의 내부에는 전구(11)가 구비되고 그 전구(11)의 외측으로 전등갓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1)는 상부몸체(2)에 구비된 접속구를 천정등에 마련되어 있는 소켓에 접속되도록 결합시킨 후에 전구(11)에 전원을 공급시켜 줌과 동시에 모터(6) 측에 전원을 공급하여 흡입팬(7)을 구동시켜 전구(11)를 발광시킴과 아울러 하측의 공기가 필터를 통해 상부로 흡입되면서 상부몸체(2)의 외부로 배출시켜 공기 청정의 기능을 겸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흡입팬의 구동에 따라 단순히 주변히 공기를 필터를 통해 정화시킨 후에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필터를 크게 제작하기에는 다소 곤란한 문제로 인하여 필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 주변에 있는 소량의 공기만을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자주 교체하지 않으면 필터가 쉽게 오염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의 분해능력을 가진 광촉매를 조명기구의 프레임측에 도포하고, 전구로부터 발생되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광촉매를 활성화시켜 공기중의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6565호(2006.09.13.)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15355G호(1994.07.20.)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744호(2005.07.27.)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다운라이트 설치 공간에 다운라이트 기능과 함께 플라즈마 방전 원리를 통한 공기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집진필터 필요없이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라즈마 방전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유닛; 상기 공기청정 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과 공기청정 유닛 간,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과 커버 유닛 간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으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 유닛은 하부 측에 공기 유입공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플라즈마 방전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은 송풍팬, 및 상기 다운라이트 유닛과 공기청정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은 소정 직경을 갖는 대경 하우징과 상기 대경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경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 하우징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 방전수단은 원통형 바디와, 상기 원통형 바디의 외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방전 띠, 및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도체 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방전 띠로 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발생회로부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LED 제어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V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판형 절곡체로 이루어지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게 제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팅 수단은 분리 가능한 암수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과 공기청정 유닛의 결합부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과 커버 유닛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열전도 차단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가정용 및 상업용 다운라이트의 타공 장소를 이용하여 설치하므로 간단하게 교체만으로 설치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조명과 공기 청정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2개의 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므로 미세먼지를 필터 없이 집진할 수 있고 냄새 및 유해 가스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은 필터를 쓰지 않기 때문에 소형 저소음 모터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잦은 필터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은 배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의 전기 커넥팅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청정 유닛의 하우징과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청정 유닛의 집진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은 배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의 전기 커넥팅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청정 유닛의 하우징과 집진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라즈마 방전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유닛(200);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송풍팬(310) 및 상기 다운라이트 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20)를 포함하는 커버 유닛(300);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 간,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과 커버 유닛(300) 간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환형 하우징(110)과, 상기 환형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며, LED 발광부재(121)가 실장된 LED 회로기판(120), 및 상기 LED 회로기판(120) 상부에 구비되는 확산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은 하부 측에 공기 유입공(211)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구성되는 플라즈마 방전수단(220), 및 상기 하우징(210)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집진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210)은 2단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을 갖는 대경 하우징(210A)과 상기 대경 하우징(210A)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경 하우징(2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 하우징(210A)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공기 유입공(2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대경 하우징(210A)은 상기 공기 유입공(211)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통로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수렴되는 수렴부와 이 수렴부에서 다시 확산되는 확산부를 갖는 통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구멍을 형성시켜 공기유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공기를 압력차에 따라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경 하우징(210A)에 형성되는 유입통로는 도 4에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경 하우징(210A)과 소정 하우징(210B)을 연결하는 단차면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부분에 연통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플라즈마 방전수단(220)은 원통형 바디(221)와, 상기 원통형 바디(221)의 외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복수의 돌기(222a)가 형성된 방전 띠(222), 및 상기 하우징(210)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도체 띠(2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방전수단(220)의 원통형 바디(221)는 하우징(210)과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원통형 바디(221)와 하우징(210)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일 실시 형태로, 상기 원통형 바디(221)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221a)와 상기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결합 홈(21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홈(210a)은 결합 돌기(221a)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비 결합홈(210b)과, 상기 예비 결합홈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걸림턱이 형성되는 록킹홈(210c)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 돌기(221a)이 예비 결합홈에 삽입된 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록킹홈에 록킹되어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즈마 방전수단(220)은 후술하는 제어장치(320)를 구성하는 고압발생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 전류를 방전 띠(222)에 걸어주게 되면 방전 띠(222)의 돌기(222a)와 전도체 띠(223) 사이에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 부재(230)에 대하여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청정 유닛의 집진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집진 부재(230)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V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판형 절곡체로 이루어지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210)(소경 하우징(210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우징(210)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집진 부재(230)는 일단부는 하우징(2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말단인 타단부는 하우징(210)의 벽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판상 절곡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 부재(230)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L자형부와 상기 단면 L자형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면 V자형부로 이루어지는 판상 절곡체로 형성되되, 상기 단면 V자형부의 하부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 유닛(300)은 일면 개방된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착탈 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로, 상기 커버 유닛(300)은 일면 개방된 함체(301)와, 상기 함체(301)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송풍팬(310), 및 상기 함체(301)에 구비되는 제어장치(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320)는 상기 함체(3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LED제어회로부(321),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의 플라즈마 방전수단(220)으로 고압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고압발생회로부(322), 및 상기 제어장치(320)로부터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으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팅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커넥팅 수단은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및 제어신호 공급 케이블을 갖는 제1 커넥터(331), 및 상기 상단 커넥터(331)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커넥터(332)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기 커넥팅 수단은 각각 암수 커넥터로 이루어져 서로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팅 수단은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 그리고 공기청정 유닛(20)과 커버 유닛(300)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 간,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과 커버 유닛(300) 간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두 구성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회전가능한 후크와 상기 후크가 록킹 결합되는 록킹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는, 공기청정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LED 회로기판(120)을 구비하는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 및 제어장치(320)를 구비하는 커버 유닛(3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의 결합부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과 커버 유닛(300)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열전도 차단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는,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기청정 유닛(200)의 하우징(210)에 복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는, 하우징(210)을 구성하는 하우징(210)(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대경 하우징(210A))의 공기 유입공(21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하우징(210)과 원통형 바디(221) 사이로 공기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장치(320)는 고압발생회로부(322)로부터 발생한 고압을 방전 띠(222)에 걸어주어 방전 띠(222)의 방전돌기(222a)와 전도체 띠(223) 사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난다.
이때 미세먼지는 방전과정에서 미세먼지가 음이온화되어 전도체 띠(223)에 집진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도체 띠(223)에 먼지가 많이 집진되는 경우, 밑으로 흘러내려 먼지 집진 장소인 집진 부재(230) 내측에 쌓이게 된다. 이는 전원이 꺼지고 다시 시작할 때 내부의 먼지가 밖으로 순환되는 것을 막아 준다.
먼지가 집진되어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310)에 의해 환형 형태의 하우징 바디(221)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밑으로 내려가 순환하게 된다.
한편,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 그리고 커버 유닛(300)은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커넥터(331)와 제2 커넥터(332)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팅 수단을 통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는 각 유니이 분리될 수 있어 사용 중에 먼지가 집진되면 다운라이트 조명유닛(100)과 공기청정 유닛(200) 및 커버 유닛(300)을 분리하고, 공기청정 유닛(200)의 하우징(210)과 플라즈마 방전 수단(220)의 원통형 바디(221)를 분리하여 하우징(210)의 집진 부재(230) 측에 쌓인 먼지를 물로 씻어내거나 특정 도구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공기청정 유닛(200)의 하우징(210)과 집진 부재(230)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어 집진 부재(23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하여 더욱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에 의하면, 가정용 및 상업용 다운라이트의 타공 장소를 이용하여 설치하므로 간단하게 교체만으로 설치될 수 있고, 조명과 공기 청정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2개의 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므로 미세먼지를 필터 없이 집진할 수 있고 냄새 및 유해 가스 제거가 가능하며, 필터를 쓰지 않기 때문에 소형 저소음 모터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잦은 필터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110: 환형 하우징
120: LED 회로기판
121: LED 발광부재
130: 확산판
200: 공기청정 유닛
210: 하우징
210A: 대경 하우징
210B: 소경 하우징
211: 공기 유입공
220: 플라즈마 방전수단
221: 원통형 바디
222: 방전 띠
223: 전도체 띠
230: 집진 부재
300: 커버 유닛
310: 송풍팬
320: 제어장치
321: LED 제어회로부
322: 고압발생회로부
331, 332: 커넥터

Claims (6)

  1.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라즈마 방전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유닛;
    상기 공기청정 유닛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유닛;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과 공기청정 유닛 간,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과 커버 유닛 간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으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 유닛은 하부 측에 공기 유입공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는 플라즈마 방전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유닛은 송풍팬, 및 상기 다운라이트 유닛과 공기청정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은 소정 직경을 갖는 대경 하우징과 상기 대경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경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 하우징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 방전수단은 원통형 바디와, 상기 원통형 바디의 외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방전 띠, 및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도체 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방전 띠로 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발생회로부 및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LED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는 상기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V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판형 절곡체로 이루어지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게 제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는 제2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팅 수단은 분리 가능한 암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라이트 조명유닛과 공기청정 유닛의 결합부 및 상기 공기청정 유닛과 커버 유닛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열전도 차단시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KR1020160105428A 2016-06-27 2016-08-19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KR101851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9835 2016-06-27
KR1020160079835 2016-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01A true KR20180001401A (ko) 2018-01-04
KR101851066B1 KR101851066B1 (ko) 2018-05-30

Family

ID=6099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28A KR101851066B1 (ko) 2016-06-27 2016-08-19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039A (zh) * 2018-04-24 2018-09-1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空气净化的led筒灯
KR20200030300A (ko) 2018-09-12 2020-03-20 장수영 실내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05Y1 (ko) * 2002-07-18 2002-11-18 이영기 음이온 공기청정기
KR100856708B1 (ko) 2008-05-26 2008-09-04 세양프라텍(주) 전기집진형 공기청정기
KR101523209B1 (ko) 2013-03-12 2015-05-28 주식회사 비투지코리아 전기집진장치
CN204285658U (zh) * 2014-12-09 2015-04-22 宁波欧莱科机电制造有限公司 吸顶式空气净化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039A (zh) * 2018-04-24 2018-09-1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空气净化的led筒灯
KR20200030300A (ko) 2018-09-12 2020-03-20 장수영 실내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066B1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120577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 기구
CN204739688U (zh) 空气净化器
CN202955527U (zh) 灯具
CN204611988U (zh) 包括uv发光二极管和光催化过滤器的紧凑型空气净化器
US20100091500A1 (en) Multi-function light and air filtration unit
JP2002373761A (ja) 空気清浄装置
CA2672535A1 (en) Filtration lighting system
KR101851066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KR200466988Y1 (ko) 엘이디 그릴 조립체를 구비하는 환풍기
CN204739687U (zh) 空气净化器
KR101077149B1 (ko) 공기순환 기능을 겸비한 음이온 발생 방열 엘이디 램프
CN218721370U (zh) 灯具
CN204730343U (zh) 空气净化器
CN215863931U (zh) 带照明功能的杀菌模组
CN210035228U (zh) 具有空气净化结构的照明灯具
CN213431995U (zh) 消毒风扇灯
CN218672536U (zh) 一种可外置、可拆卸的空气净化灯具配件
KR200204548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WO2005029652A1 (ja) ランプソケット
KR100477878B1 (ko) 램프형 공기 청정기
CN218529389U (zh) 一种基于光触媒的消毒杀菌装置及灯具
CN218495282U (zh) 光触媒灯具
CN219774382U (zh) 一种净化风扇
CN212673065U (zh) 负离子除菌除味天花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