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48U - 그림자 극장 조립체 - Google Patents
그림자 극장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148U KR20180001148U KR2020160005970U KR20160005970U KR20180001148U KR 20180001148 U KR20180001148 U KR 20180001148U KR 2020160005970 U KR2020160005970 U KR 2020160005970U KR 20160005970 U KR20160005970 U KR 20160005970U KR 20180001148 U KR20180001148 U KR 2018000114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small
- background
- unit
- sha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4—Arrangements for making sound-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2019/003—Shadow show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림자 극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단말기의 광원에 의한 그림자가 조사될 수 있는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연극 시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조립체; 상기 스크린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부에 그림자를 형성하여 배경을 구현하는 배경슬라이드; 상기 스크린조립체에서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배경슬라이드와 함께 상기 배경을 구성하는 배경소품; 시연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부에 그림자를 형성하는 캐릭터 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어린이들에게 동화를 시연해 줄 수 있는 그림자인형극 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향 및 광원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직접 제작시연이 가능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림자 인형극은 스크린에 광원을 비추고 평면의 배경이나 캐릭터의 그림자를 활용하여 연극을 구현하는 형태를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다.
종래의 그림자 인형극을 위한 상자나 일반적인 손인형이나 모형 인형을 통한 인형극을 위한 상자는 단순히 그림자 인형극이면 그림자 인형극, 일반 인형극이면 일반 인형극을 연출할 수 있는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만 제작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인형극을 연출하는 데 한계가 있고, 다양한 인형극을 체험해보기 위해서는 각각의 목적에 맞는 별도의 상자를 제작 또는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형극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원을 별도로 설치하고, 음향을 위한 음향출력장치(예를 들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오디오 등)를 별도로 두는 등 인형극을 구현하기에 필요한 장비들이 다수가 되어 가정에서는 쉽게 인형극을 구현하기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06881호(그림자 인형극 시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하여 음향 및 광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콘텐츠의 연극을 일부 구성만을 교체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에서도 손쉽게 그림자 인형극을 시연할 수 있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그림자 극장조립체는, 휴대용단말기의 광원에 의한 그림자가 조사될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하고, 연극 시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조립체; 상기 스크린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에 그림자를 형성하여 배경을 구현하는 배경슬라이드; 상기 스크린조립체에서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배경슬라이드와 함께 상기 배경을 구성하는 배경소품; 시연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에 그림자를 형성하는 캐릭터 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기 설정된 넓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경소품이 설치되는 소품설치부; 상기 소품설치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그림자가 비추어지며, 상기 소품설치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배경슬라이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상기 스크린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중앙이 관통하여 스크린창이 형성되는 전면스크린; 상기 전면스크린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스크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스크린과 연결된 일단에 상기 배경슬라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부착부가 구비되는 후면스크린; 상기 전면스크린의 하측에 상기 소품설치부가 연결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스크린과 상기 소품설치부는 상기 소품설치부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배경슬라이드는, 기본틀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와 동일한 면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을 형성하기 위한 배경부; 상기 필름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스크린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소품은, 소품형상을 구성하는 소품형상부와 상기 소품형상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소품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품고정부는 상기 소품설치부의 상면에 상기 스크린부와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소품접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소품이 상기 소품설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캐릭터스틱은, 캐릭터 형상의 캐릭터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탄성의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부를 조작하는 스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음성출력을 위한 출력부 및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극의 시연을 위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연극의 시연 장면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소품설치부에 상기 스크린부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부와 상기 휴대용단말기 사이에 이격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모두 들어올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경스크린부 및 배경소품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휴대용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교체함에 의해 다양한 콘텐츠의 그림자 연극을 시연할 수 있어 다양한 콘테츠의 구현을 위해 다수의 그림자 극장 조립체를 구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 휴대용단말기에서 광원 및 음향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림자 연극을 구현하기 위한 소품들의 개수가 줄어 가정에서도 쉽게 그림자 연극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전개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소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캐릭터 스틱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에 의해 연극이 시연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전개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소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캐릭터 스틱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에 의해 연극이 시연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크린 조립체의 전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경소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캐릭터 스틱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에 의해 연극이 시연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1000)는 휴대용단말기(500)의 광원에 의한 그림자가 조사될 수 있는 스크린부(110)를 구비하고, 연극 시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조립체(100);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부(110)에 그림자를 형성하여 배경을 구현하는 배경슬라이드(200);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에서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배경슬라이드(200)와 함께 상기 배경을 구성하는 배경소품(300); 시연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부(110)에 그림자를 형성하는 캐릭터스틱(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림자 극장 조립체(1000)의 기본 골격은 스크린조립체(100)에 의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스크린조립체(100)는, 기 설정된 넓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경소품(300)이 설치되는 소품설치부(120);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일단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그림자가 비추어지며, 상기 소품설치부(120)를 향하는 면에 상기 배경슬라이드(2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크린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일단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상기 스크린부(110)가 설치되는 것으로 균형을 위해 상기 소품설치부(120)가 더 무겁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스크린조립체(100)는, 상기 스크린부(1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중앙이 관통하여 스크린창(110c)이 형성되는 전면스크린(110a); 상기 전면스크린(110a)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스크린(11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110)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스크린(110a)과 연결된 일단에 상기 배경슬라이드(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착부(150)가 구비되는 후면스크린(110b); 상기 전면스크린(110a)의 하측에 상기 소품설치부(120)가 연결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단차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스크린(110a)과 상기 소품설치부(120)는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지지부(110e)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종이 모재를 재단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용이성 및 생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스크린(110a)은 관객을 향하는 면에 해당하고 상기 후면스크린(110b)은 상기 소품설치부(120)를 향하는 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관객은 상기 전면스크린(110a)을 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창(110c)은 그림자가 형성되기 위한 스크린천(140)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크린천(140)은 흰색의 천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스크린(110a) 및 후면스크린(110b)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창(110c)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후면스크린(110b)은 상기 전면스크린(110a)의 상단에 연결되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절곡시 상기 후면스크린(110b)과 상기 전면스크린(110a)이 완전히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스크린(110b)과 상기 전면스크린(110a)은 상기 전면스크린(110a)의 양단에 돌출된 접착부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스크린(110a)의 양단 하측에는 지지부(110e)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0e)는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부(110)가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대하여 수직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양단 및 말단에는 단차부(1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30)은 순차적으로 절곡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단차부(130)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단차부(130)에 의해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내부 안의 소품설치를 위한 경계가 생겨 설치가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단차부(130)은 상기 후면스크린(110b)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스크린(110b)이 절곡되어 그 상단이 상기 소품설치부(120)를 향하게 되고, 상기 후면스크린(110b)의 단차부(130)은 상기 스크린부(110)과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차부(130)에서 상기 스크린부(110)와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휴대용단말기(5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홈(135)이 요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스크린부(110)에서 상기 소품설치부(120)를 향하는 면의 상단에는 슬라이드부착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착부(150)는 상기 배경슬라이드(2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경슬라이드(200)는, 기본틀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110)과 동일한 면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필름부(210); 상기 필름부(2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을 형성하기 위한 배경부(220); 상기 필름부(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부(110)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스크린접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경슬라이드(200)는 연극의 큰 테두리 배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투명재질의 필름부(210)는 광원이 통과하고, 상기 배경부(220)의 그림자 형상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110)에 배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부(210)는 상기 스크린천(14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부(1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경슬라이드(200)는 상기 스크린접착부(230)가 상기 슬라이드부착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은 벨크로에 의한 결합과 자석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경소품(300)은, 소품형상을 구성하는 소품형상부(310)와 상기 소품형상부(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소품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품고정부(320)는 상기 소품설치부(120)의 상면에 상기 스크린부(110)과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소품접착부(125)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소품(300)이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경소품(300)은 상기 배경슬라이드(200)와 함께 연극의 배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경소품(300)이 상기 배경슬라이드(200)와 이격된 위치에 있음으로 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소품접착부(125)와 상기 소품고정부(320)의 결합은 벨크로에 의한 결합과 자석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캐릭터스틱(400)은, 캐릭터 형상의 캐릭터부(410);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탄성의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4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부(410)를 조작하는 스틱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스틱(400)은 연극의 등장인물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부(410)는 등장인물의 형상이 되고, 시연자는 상기 스틱부(420)를 이동하여 연극을 시연하는 것이다.
상기 스틱부(420)는 투명재질의 탄성력을 가지는 일정 길이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극의 시연시 스틱부(420)가 상기 스크린부(110)에 그림자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캐릭터스틱(400)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캐릭터스틱(400)은 도 2에서 상기 스크린부(110)과 상기 소품접착부(125)의 사이 또는 상기 소품접착부(125)의 후방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휴대용단말기(500)는, 음성출력을 위한 출력부(미도시) 및 촬영을 위한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극의 시연을 위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연극의 시연 장면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단말기(500)는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상기 스크린부(110)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부(110)과 상기 휴대용단말기(500) 사이에 이격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 상기 스크린부(110)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모두 들어올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5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이동가능한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단말기(500)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시연 대상이되는 연극에 대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500)에는 시연 대상이되는 연극에 사용되는 음향, 음성 및 시연영상정보 등을 담은 연극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연극데이터는 상기 휴대용단말기(500)의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오는 음향, 음성 및 시연영상정보에 따라 시연자는 그림자 연극을 시연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연영상정보는 시연 대상의 연극의 음향, 음성 및 시연영상정보를 출력하여 연극의 시연에 필요한 음성정보가 출력됨과 동시에 시연자가 상기 시연영상정보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동작 등을 따라하도록 하여 연극시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광원을 휴대용단말기(500)에 있는 LED 광원을 사용하도록 하여, 광원과 음향출력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그림자 연극의 시연에 필요한 장비가 간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단말기(5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부(110)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지정에 의한 촬영도 가능하고 시연되는 연극의 스토리 상에서 일정 순간을 지정하여 카메라가 스크린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시연 순간의 스크린을 촬영하여 별도의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그림자 극장 조립체(10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연자는 스크린조립체(100)을 조립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스크린(110a)과 상기 후면스크린(110b)이 서로 겹쳐지도록 절곡시키고 상기 접착부를 통하 상호 결합을 시키고, 상기 스크린부(110)를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10e)를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접착시킴에 의해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을 조립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은 대략적으로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시연자는 상기 스크린조립체(100)에 상기 배경슬라이드(200) 및 상기 배경소품(300)을 각각 상기 스크린부(110) 및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결합시키고, 상기 휴대용단말기(500)를 상기 소품설치부(120)에 설치하여 광원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시연자는 상기 휴대용단말기(500)에서 제공되는 연극의 음향 정보에 따라 상기 캐릭터스틱(400)을 상기 소품설치부(120) 상에서 움직이면서 연극을 시연하게 된다.
연극이 진행됨에 따라 배경들을 변경할 때는 그에 맞는 상기 배경슬라이드(200) 및 상기 배경소품(300)을 교체함에 의해 진행하면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그림자 극장 조립체
100 : 스크린조립체
200 : 배경스크린 300 : 배경소품
400 : 캐릭터스틱 500 : 휴대용단말기
200 : 배경스크린 300 : 배경소품
400 : 캐릭터스틱 500 : 휴대용단말기
Claims (7)
- 휴대용단말기의 광원에 의한 그림자가 조사될 수 있는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연극 시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조립체;
상기 스크린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부에 그림자를 형성하여 배경을 구현하는 배경슬라이드;
상기 스크린조립체에서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배경슬라이드와 함께 상기 배경을 구성하는 배경소품;
시연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스크린부에 그림자를 형성하는 캐릭터 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기 설정된 넓이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경소품이 설치되는 소품설치부;
상기 소품설치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그림자가 비추어지며, 상기 소품설치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배경슬라이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상기 스크린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중앙이 관통하여 스크린창이 형성되는 전면스크린;
상기 전면스크린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스크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스크린과 연결된 일단에 상기 배경슬라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부착부가 구비되는 후면스크린;
상기 전면스크린의 하측에 상기 소품설치부가 연결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스크린과 상기 소품설치부는 상기 소품설치부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슬라이드는,
기본틀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와 동일한 면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을 형성하기 위한 배경부;
상기 필름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스크린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소품은,
소품형상을 구성하는 소품형상부와 상기 소품형상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소품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품고정부는 상기 소품설치부의 상면에 상기 스크린부와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소품접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경소품이 상기 소품설치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스틱은,
캐릭터 형상의 캐릭터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탄성의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캐릭터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부를 조작하는 스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음성출력을 위한 출력부 및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극의 시연을 위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연극의 시연 장면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소품설치부에 상기 스크린부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부와 상기 휴대용단말기 사이에 이격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에 모두 들어올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극장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970U KR200487225Y1 (ko) | 2016-10-17 | 2016-10-17 | 그림자 극장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970U KR200487225Y1 (ko) | 2016-10-17 | 2016-10-17 | 그림자 극장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148U true KR20180001148U (ko) | 2018-04-25 |
KR200487225Y1 KR200487225Y1 (ko) | 2018-08-23 |
Family
ID=6207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970U KR200487225Y1 (ko) | 2016-10-17 | 2016-10-17 | 그림자 극장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22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770955C1 (ru) * | 2021-09-02 | 2022-04-25 | Наталья Андреевна Андреева | Книга театра теней с устойчивыми экранными страницами и способ её использования |
US11796157B2 (en) | 2021-11-29 | 2023-10-24 | Chase A. Behmke | Interchangeable shadow making flashlight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883Y1 (ko) * | 2006-06-15 | 2006-08-28 | 강우영 | 그림자 인형극용 시연세트 |
KR200443847Y1 (ko) * | 2008-10-28 | 2009-03-16 | 손채수 | 휴대용 인형극 무대기구 |
-
2016
- 2016-10-17 KR KR2020160005970U patent/KR20048722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883Y1 (ko) * | 2006-06-15 | 2006-08-28 | 강우영 | 그림자 인형극용 시연세트 |
KR200443847Y1 (ko) * | 2008-10-28 | 2009-03-16 | 손채수 | 휴대용 인형극 무대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225Y1 (ko) | 2018-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49399B2 (en) | Background imagery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 |
KR20070111495A (ko) | 준 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05411B1 (ko) | 몰입식 올인원 pc 시스템 | |
KR200487225Y1 (ko) | 그림자 극장 조립체 | |
US10384144B2 (en) | Travel case for portable Pepper's Ghost Illusion setup | |
KR101538660B1 (ko) | 입체영상장치 | |
JP2017083551A (ja) | 映像投影装置、舞台装置および映像投影方法 | |
US9989775B2 (en) | Dual-sided pepper's ghost illusion | |
CN114303104A (zh) | 全息显示装置和使用方法 | |
CN106959731A (zh) | 沉浸式一体电脑显示器系统 | |
WO2016111092A1 (ja) | 展示装置および映像展示方法 | |
US3070920A (en) | Puppet like figure and animation apparatus | |
CN209765260U (zh) | 全息投影设备及全息投影系统 | |
CN211702217U (zh) | 一种投影仪 | |
CN203773905U (zh) | 一种用于激光演示的盒体 | |
TWM576194U (zh) | 舞臺演出設備 | |
US9645404B2 (en) | Low-profile bounce chamber for Pepper's Ghost Illusion | |
CN217847374U (zh) | 一种多媒体透景画壁展示系统 | |
RU189220U1 (ru) | Ширма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кукольного театра | |
JPH08227105A (ja) | 多面形ディスプレイの作成方法及び装置 | |
CN209542972U (zh) | 儿童立体影像播放设备 | |
CN206097536U (zh) | 地震成因投影装置 | |
CN105469725B (zh) | 一种带有水幕的激光演示盒体 | |
KR20190127356A (ko) |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184339B1 (ko) | 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