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41U - 꼬치 트레이 - Google Patents

꼬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41U
KR20180001041U KR2020160005776U KR20160005776U KR20180001041U KR 20180001041 U KR20180001041 U KR 20180001041U KR 2020160005776 U KR2020160005776 U KR 2020160005776U KR 20160005776 U KR20160005776 U KR 20160005776U KR 20180001041 U KR20180001041 U KR 201800010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bar
food
coo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조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진 filed Critical 조영진
Priority to KR2020160005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041U/ko
Publication of KR20180001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Abstract

꼬치 트레이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꼬치 트레이는, 조리음식에 바아(bar)가 끼워진 꼬치의 조리음식이 안착되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벽체; 및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후면을 형성하되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 및 상기 전방벽체와 함께 일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 후방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측을 향해 절취되어 상기 꼬치의 바아가 끼워져 자리배치됨은 물론 상기 바아에 끼워진 상기 조림음식을 인출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꼬치 트레이{Skewered food tray}
본 고안은, 꼬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bar)에 끼워진 조리음식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도록 한 꼬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꼬치(Skewered food)는 막대형 바아(bar)에 고기나 채소, 또는 어묵 등의 조리음식을 꽂아서 조리한 음식을 일컫는다. 꼬치는 핫도그 꼬치, 어묵 꼬치, 치킨 꼬치, 바비큐 꼬치 등의 여러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꼬치는 일정한 음식점에서 분식용이나 술안주로 팔기도 하지만 아주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고, 또한 부피가 작기 때문에 공원 등의 길거리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와 같은 꼬치의 경우, 조리음식의 끝 부분을 먹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손으로 잡는 부분의 안쪽 부분은 먹기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꼬치의 포장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꼬치 트레이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0-000868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025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025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444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bar)에 끼워진 조리음식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도록 한 꼬치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리음식에 바아(bar)가 끼워진 꼬치의 조리음식이 안착되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벽체; 및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후면을 형성하되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 및 상기 전방벽체와 함께 일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 후방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측을 향해 절취되어 상기 꼬치의 바아가 끼워져 자리배치됨은 물론 상기 바아에 끼워진 상기 조림음식을 인출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트레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는 상기 전방벽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단부는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로부터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단부는 아크(arc) 형상의 라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절취되면서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폭을 확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bar)에 끼워진 조리음식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는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꼬치(1)를 포장(또는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일종의 포장 용구(포장 박스)라 볼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꼬치(1)는 조리음식(2)에 바아(bar, 3)가 끼워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조리음식(2)은 고기나 채소, 또는 어묵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바아(3)는 긴 막대일 수 있으며, 그 단면은 원형이든 사각형이든 관계없다.
이와 같은 꼬치(1)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조리음식(2)에 한 종류 혹은 여러 종류의 소스가 뿌려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꼬치 트레이(100)가 사용될 경우,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꼬치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는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는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는 꼬치(1)의 조리음식(2)이 안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상에 조리음식(2)이 접촉되기 때문에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를 비롯하여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의 내면은 항균 또는 멸균 처리된 코팅면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는 가벼운 종이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에 이들의 내면은 항균 또는 멸균 처리된 코팅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위생상 유익할 뿐만 아니라 조리음식(2)의 수분에 의해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의 내면이 쉽게 젖어 찢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측방벽체(120)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벽체로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방벽체(130)는 한 쌍의 측방벽체(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후방벽체(140)는 한 쌍의 측방벽체(1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가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들은 일면, 즉 상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1처럼 꼬치(1)를 포장 또는 수납시키기에 유리하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꼬치 트레이(100)를 이루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종이로 제작될 수 있는데, 그 내면은 항균 또는 멸균 처리된 코팅면으로 이루어질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에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된다.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는 꼬치(1)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됨은 물론 바아(3)에 끼워진 조림음식(2)을 인출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즉 조림음식(2)의 앞쪽을 먹은 후에는 꼬치(1)의 바아(3)를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에 끼운 후, 자신을 향해 잡아당기면 조림음식(2)이 바아(3)의 앞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남은 조림음식(2)을 먹기가 편리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는 전방벽체(130)와 후방벽체(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구면으로부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측을 향해 절취되어 꼬치(1)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전방벽체(130)에 형성되고 있으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는 후방벽체(14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전방벽체(130)와 후방벽체(14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과 달리, 후방벽체(140)에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되거나 전방벽체(130)와 후방벽체(140) 모두에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된 꼬치 트레이(미도시)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는 전방벽체(13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꼬치(1)의 바아(3)가 정위치로 끼워지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의 단부(151)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배치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꼬치(1)의 바아(3)가 안정적으로 자리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100)에 따르면,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200) 역시, 전방벽체(2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2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2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250)의 단부(251)는 아크(arc) 형상의 라운드부를 형성한다. 이럴 경우는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가 유리할 수 있는데, 설사 각형을 갖더라도 바아(3)가 자리배치되는 데에 상당히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2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300) 역시, 전방벽체(3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3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가 형성된다.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의 단부(351)는 아크(arc) 형상의 라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의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절취되면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의 폭을 확장시키는 제1 및 제2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361,362)가 더 형성된다.
제1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361)를 잘라 절취하거나 제2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362)를 잘라 절취할 경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 원래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바아(3, 도 1 참조)의 두께가 두꺼워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350)에 끼워지지 않을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이때는 하나의 꼬치 트레이(300)만으로도 바아(3, 도 1 참조)의 두께가 다른 종류에 두루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꼬치 트레이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제1 및 제2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361,362)가 도시되었으나 제1 및 제2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361,362)는 1개 혹은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3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400) 역시, 전방벽체(4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4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4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450)의 단부에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450)의 다른 영역에 비해 부피가 큰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45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는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4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꼬치 트레이(400)에서 꼬치(1)가 쉽게 빠져 떨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4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500) 역시, 전방벽체(5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5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550)가 형성되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550)의 단부에는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5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551)에는 고무재질의 패드(555)가 덧대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이처럼 고무재질의 패드(555)가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551)에 배치될 경우,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스토퍼 기능의 단부홀(5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5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600) 역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610), 한 쌍의 측방벽체(620) 및 전방벽체(6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6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6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610)는 양 사이드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도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610)가 경사면을 형성할 경우, 꼬치(1)의 조리음식(2)이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610)의 중앙으로 잘 안내되면서 안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6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700) 역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710), 한 쌍의 측방벽체(720) 및 전방벽체(7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벽체(730)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7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710)는 2개의 파트(part)로 분리되어 P1 방향으로 접근되거나 P2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710)가 P2 방향으로 이격되면 내부 공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좀 더 큰 꼬치를 포장하기에 유리하다.
이때,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710)가 P2 방향으로 이격되면 그에 연동되어 전방벽체(730) 역시 늘어나야 하기 때문에 전방벽체(730)에는 주름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710)는 터널(712)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711)와, 제1 베이스부(711)의 터널(712)에 출입되는 제2 베이스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713)에는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삽입깊이 제한턱(714)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베이스부(713)는 삽입깊이 제한턱(714)이 접하는 위치까지만 제1 베이스부(711)의 터널(712)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7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800) 역시, 도 8과 마찬가지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810), 한 쌍의 측방벽체(820) 및 전방벽체(830)를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전방벽체(830)이 중앙에 꼬치(1, 도 1 참조)의 바아(3)가 끼워져 자리배치되는 장소로서의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8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주름부(8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810)가 P1 방향으로 접근되거나 P2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810)는 터널(812)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811)와, 제1 베이스부(811)의 터널(812)에 출입되는 제2 베이스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813)에도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삽입깊이 제한턱(8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 베이스부(813)의 단부에는 스토퍼 돌기(813a)가 형성되고, 제1 베이스부(811)의 내벽에는 다수의 스토퍼 돌기홈(811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스토퍼 돌기(813a)와 스토퍼 돌기홈(811a)이 형성되면, 스토퍼 돌기(813a)가 스토퍼 돌기홈(811a)에 삽입되는 위치만큼 단계적으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810)의 내부 공간이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8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9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를 포함하며, 전방벽체(130)에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900)에는 개구 차폐용 시트(970)가 더 마련된다.
개구 차폐용 시트(970)는 한 쌍의 측방벽체(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데, 꼬치 트레이(900) 내에 꼬치(1, 도 1 참조)가 수납된 이후, 꼬치 트레이(900)의 상부 개구를 덮음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개구 차폐용 시트(970)는 내부가 보일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시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9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0) 역시, 제9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110), 한 쌍의 측방벽체(120), 전방벽체(130) 및 후방벽체(140)를 포함하며, 전방벽체(130)에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000)에도 개구 차폐용 시트(1070)가 적용될 수 있는데, 개구 차폐용 시트(1070)의 단부에는 웨이트(108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개구 차폐용 시트(1070)의 단부에 웨이트(1080)가 마련되면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덮은 개구 차폐용 시트(1070)가 펄럭이면서 임의로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10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100) 역시, 제10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박스 구조를 이루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15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꼬치 트레이(1100)에도 개구 차폐용 시트(117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구 차폐용 시트(1170)의 단부와, 개구 차폐용 시트(1170)의 상대편인 측방벽체(120)에는 자석(1191,1192)이 마련된다.
이처럼 자석(1191,1192)이 마련되면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덮은 개구 차폐용 시트(1170)가 자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펄럭이면서 임의로 개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자석(1191,1192) 중 하나는 자력이 통하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꼬치 트레이(1100)가 적용되더라도 소스가 뒤범벅되거나 꼬치(1)가 짓눌리지 않도록 꼬치를 잘 포장할 수 있어 꼬치(1) 본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아(3)에 끼워진 조리음식(2)의 안쪽 부분을 편리하게 인출시켜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꼬치 2 : 조리음식
3 : 바아 100 : 꼬치 트레이
110 :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120 : 측방벽체
130 : 전방벽체 140 : 후방벽체
150 :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 151 : 단부

Claims (4)

  1. 조리음식에 바아(bar)가 끼워진 꼬치의 조리음식이 안착되는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벽체;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벽체; 및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의 후면을 형성하되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상기 한 쌍의 측방벽체 및 상기 전방벽체와 함께 일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 후방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체와 상기 후방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 측을 향해 절취되어 상기 꼬치의 바아가 끼워져 자리배치됨은 물론 상기 바아에 끼워진 상기 조림음식을 인출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되는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는 상기 전방벽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단부는 상기 조리음식 안착용 베이스로부터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단부는 아크(arc) 형상의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절취되면서 상기 바아 자리배치겸용 인출홈부의 폭을 확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확장용 절취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트레이.
KR2020160005776U 2016-10-06 2016-10-06 꼬치 트레이 KR201800010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76U KR20180001041U (ko) 2016-10-06 2016-10-06 꼬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76U KR20180001041U (ko) 2016-10-06 2016-10-06 꼬치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41U true KR20180001041U (ko) 2018-04-16

Family

ID=6207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76U KR20180001041U (ko) 2016-10-06 2016-10-06 꼬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041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85Y1 (ko) 1987-06-27 1990-09-22 주식회사 금성사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장치
KR20060002550A (ko) 2004-07-02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마스크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070002543A (ko)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케이싱
KR20130004446U (ko) 2012-01-10 2013-07-18 유혜정 한지 판재를 포함하는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85Y1 (ko) 1987-06-27 1990-09-22 주식회사 금성사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장치
KR20060002550A (ko) 2004-07-02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마스크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070002543A (ko)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케이싱
KR20130004446U (ko) 2012-01-10 2013-07-18 유혜정 한지 판재를 포함하는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7602S1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s
USD583659S1 (en) Package for food products
USD926510S1 (en) Barbecue grill
USD597353S1 (en) Portion of an embossed shelf edge in shelf unit
USD881634S1 (en) Appliance for cooking eggs and other foodstuffs
USD896893S1 (en) Ridged foam dart
USD898831S1 (en) Ridged foam dart
USD927918S1 (en) Outdoor cooking station
USD897872S1 (en) Wireless barbecue thermometer
USD939227S1 (en) Winged sofa with angled legs
USD571133S1 (en) Portion of an embossed shelf edge in shelf unit
USD493677S1 (en) Food storage device
USD533460S1 (en) Packaging for food products
USD427680S (en) Spiral vaso-occlusion coil
USD885115S1 (en) Steak cooker
USD433592S (en) Microwave cooking tray
USD926516S1 (en) Meat slicer
USD424312S (en) Feeding seat
KR20180001041U (ko) 꼬치 트레이
USD896109S1 (en) Wireless barbecue thermometer
USD887835S1 (en) Packaging for carrying pet food
KR101462567B1 (ko) 음식물 포장상자
USD432415S (en) Packaged food carton
USD604538S1 (en) Portion of an embossed shelf edge
USD904041S1 (en) Winged sofa with square le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89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8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6

Effective date: 2018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