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11U -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11U
KR20180001011U KR2020160005717U KR20160005717U KR20180001011U KR 20180001011 U KR20180001011 U KR 20180001011U KR 2020160005717 U KR2020160005717 U KR 2020160005717U KR 20160005717 U KR20160005717 U KR 20160005717U KR 20180001011 U KR20180001011 U KR 201800010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seated
support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99Y1 (ko
Inventor
윤건훈
Original Assignee
윤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건훈 filed Critical 윤건훈
Priority to KR2020160005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9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실내 바닥에 소정 높이로 바닥판을 설치할 때에 있어서, 이 바닥판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건물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 베이스판이 결합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닥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바닥판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 지지부는; 상기 포스트에 나사결합하는 센터봉; 상기 센터봉의 상단에 그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바닥판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4개의 서포트바가 각각 십(十)자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바안착홈과, 각 바안착홈마다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탭공이 마련되며; 상기 서포트바는 유(U)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서 상면에는 바닥판이 안착되는 바닥판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나사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는 고정나사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 하판에는 고정나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Description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Plate}
본 고안은 바닥판 지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건물의 실내 바닥에 소정 높이로 바닥판을 설치할 때에 있어서, 이 바닥판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업무용 건물은 바닥 인테리어에 있어서 주거용 건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그 대표적인 이유는 상업용 건물에는 전화선, 컴퓨터 신호선 기타 각종 장비용 전력공급선 등이 각자의 사무실의 배치에 맞게끔 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닥판을 설치하는 시공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식은 각종 선을 깨끗하면서도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작업자의 자리배치 등에 아무런 제한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사무실 이전시 바닥판이 재활용될 수 있다는 것도 큰 이점이 된다.
그리고 바닥에 각종 배관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바닥판의 설치높이는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바닥판의 종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많은 종류의 바닥판이 제안되기도 하며, 이러한 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판 지지기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바닥판의 종류의 다양성은 바닥판의 재질의 다양성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판 지지기구에 요구되는 것은 설치 내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경제성을 갖춘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바닥판 지지기구가 지속적으로 안출되고 있으며 본 고안도 그 일환으로 제안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4-000364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0-0008853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7447호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바닥판 지지기구를 제공하되,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나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건물 바닥판 지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건물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 베이스판이 결합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닥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바닥판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 지지부는;
상기 포스트에 나사결합하는 센터봉; 상기 센터봉의 상단에 그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바닥판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4개의 서포트바가 각각 십(十)자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바안착홈과, 각 바안착홈마다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탭공이 마련되며;
상기 서포트바는 "
Figure utm00001
" 형태로 절곡된 각재로서 상면에는 바닥판이 안착되는 바닥판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나사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는 고정나사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 하판에는 고정나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바 상면에는 완충시트가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바안착홈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바의 하판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타공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포트바가 상기 안착판에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나며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건물 바닥판 지지기구가 제공된다. 안착판에 서포트바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서포트바를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서포트바가 안착홈에 안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바닥판이 유동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의 설치상태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의 서포트바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의 일부 설치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의 설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바닥판 지지기구를 이용한 바닥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건물 바닥판 지지기구는 건물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0)와, 포스트(10)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닥판(50)을 안착시키기 위한 바닥판 지지부(20)를 포함한다.
포스트(10)의 하단부에는 건물 바닥에 면접촉되는 베이스판(11)이 결합된다. 베이스판(11)은 미도시된 앵커볼트에 의해 건물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포스트(10)는 상단에 암나사가 가공된 파이프(12)를 포함한다. 센터봉(13)이 포스트의 파이프(12) 상단에 나사결합한다.
안착판(21)이 센터봉(13)의 상단에 그에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다. 센터봉(13)과 파이프(12)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안착판(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14는 로크너트로서 안착판(21)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센터봉(13)과 안착판(21)은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한다. 즉 센터봉(13)의 상단 중심에 결합홈(13a)이 마련되며, 리벳(15)이 이 결합홈(13a)에 끼워진 상태에서 타격에 의해 강하게 압착됨으로써 안착판(21)과 센터봉(13)을 결합시킨다. 물론 안착판(21)에는 결합홈(13a)과 같은 위치에 오도록 센터공(21a)이 리벳(15)이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타공된다.
기다란 막대 형태의 서포트바(30)가 안착판(21)의 상면에 안착된다. 하나의 안착판(21)에 4개의 서포트바(30)가 십(十)자 형태로 걸쳐지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즉 4개의 서포트바(30)의 가장자리가 십(十)자 형태로 하나의 안착판 위에 걸쳐진다. 서포트바(30)는 고정나사(36)에 의해 안착판(21) 위에 고정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안착판(21)에는 서포트바(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4개의 서포트바(3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바안착홈(22)이 마련된다. 그리고 각 바안착홈(22)에는 고정나사(36)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탭공(23)이 마련된다. 바안착홈(22)은 2~ 3 mm 의 깊이로 마련되며, 폭은 서포트바(30)의 폭에 대응된다.
서포트바(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utm00002
" 형태로 일정하도록 절곡 형성된 각재이다. 서포트바(30)의 양단부는 안착판(2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가 마련된다.
서포트바(30)의 상면에는 바닥판(50)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판받이(33)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의 결합부에는 고정나사를 끼우기 위한 고정나사공(31)이 유(U)자 형태로 타공되어 있다. 서포트바(3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나사(36)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는 고정나사받이(32)가 절곡 형성된다. 고정나사받이(32)는 고정나사(36)의 헤드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바닥판받이(33)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프레스로 성형된다.
하나의 서포트바(30)에는 2장의 바닥판(50) 가장자리 부분이 얹히도록 되어 있다. 서포트바(30)는 바둑판처럼 좌우로 연속 설치되며, 바닥판은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서포트바(30) 위에 얹혀 고정된다. 서포트바(30) 상면에는 완충시트(40)가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완충시트(40)는 접착제에 의해 서포트바(30) 상면에 고정되며 패킹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완충시트(40)는 바닥판(50)이 들썩이는 경우에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바닥판과 서포트바(30)의 밀착성을 좋게 한다.
바닥판의모서리에는 고정공(52)이 타공되며, 안착판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고정판고정나사(51)가 체결되기 위한 제2탭공(25)이 마련된다. 서포트바(30) 위에 얹어진 바닥판(50)은 바닥판고정나사(51)에 의해 안착판(21) 위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바안착홈(22)에는 가이드돌기(2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트바(30)의 하판 양쪽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돌기(2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4)이 타공 형성된다(도 3 참조). 이들 가이드수단은 서포트바(30)가 상기 안착판(21)에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즉 가이드돌기(24)가 가이드홈(34)에 끼워지면 서포트바(30)가 안착판의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그대로 고정나사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0 : 포스트 11 : 베이스판
12 : 파이프 13 : 센터봉
20 : 바닥판 지지부 21 : 안착판
22 : 바안착홈 23,25 : 제1,2탭공
24 : 가이드돌기 30 : 서포트바
31 : 고정나사공 32 : 고정나사받이
33 : 바닥판받이 34 : 가이드홈
40 : 완충시트 50 : 바닥판
51 : 바닥판고정나사

Claims (3)

  1. 건물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 베이스판이 결합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닥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바닥판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 지지부는;
    상기 포스트에 나사결합하는 센터봉; 상기 센터봉의 상단에 그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바닥판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에는 상기 서포트바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4개의 서포트바가 각각 십(十)자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바안착홈과, 각 바안착홈마다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탭공이 마련되며;
    상기 서포트바는 "
    Figure utm00003
    " 형태로 절곡된 각재로서 상면에는 바닥판이 안착되는 바닥판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에는 고정나사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는 고정나사받이가 절곡 형성되며, 양쪽 가장자리 하판에는 고정나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 상면에는 완충시트가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안착홈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바의 하판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타공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포트바가 상기 안착판에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KR2020160005717U 2016-10-04 2016-10-04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KR200489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17U KR200489499Y1 (ko) 2016-10-04 2016-10-04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17U KR200489499Y1 (ko) 2016-10-04 2016-10-04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11U true KR20180001011U (ko) 2018-04-12
KR200489499Y1 KR200489499Y1 (ko) 2019-06-26

Family

ID=6196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17U KR200489499Y1 (ko) 2016-10-04 2016-10-04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5B1 (ko) * 2018-08-06 2019-05-07 주식회사 마루다움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KR102007622B1 (ko) * 2019-03-13 2019-08-05 제희문 고하중 면진 이중마루
KR20200067028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조은데코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391B2 (ja) * 1988-11-04 1995-07-19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フロアパネルの支持装置
KR20100008853U (ko) 2009-02-27 2010-09-06 장진 슬림형 엘이디 램프
KR20140003640U (ko) 2012-12-06 2014-06-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빌지 배수 시스템
KR101658951B1 (ko) *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억세스 플로어의 프레임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5391B2 (ja) * 2017-11-16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岐器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391B2 (ja) * 1988-11-04 1995-07-19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フロアパネルの支持装置
KR20100008853U (ko) 2009-02-27 2010-09-06 장진 슬림형 엘이디 램프
KR20140003640U (ko) 2012-12-06 2014-06-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빌지 배수 시스템
KR101658951B1 (ko) *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억세스 플로어의 프레임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5B1 (ko) * 2018-08-06 2019-05-07 주식회사 마루다움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KR20200067028A (ko)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조은데코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KR102007622B1 (ko) * 2019-03-13 2019-08-05 제희문 고하중 면진 이중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99Y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499Y1 (ko) 건물의 바닥판 지지기구
US20150330068A1 (en) Floor drain
US20050226683A1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ounting rails
KR20200021443A (ko)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2147395B1 (ko) 이격거리 조절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CN108222545B (zh) 一种预制楼板支撑装置
KR102375574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US20080053019A1 (en) Modular Decking System
JP2009030415A (ja) 鋼製床パネルを用いた床構造体
JP4666153B2 (ja) 枠状据付台
KR20070057112A (ko) 에코-마루바닥 시공시스템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AU2006326913A1 (en) Connector
KR20120111825A (ko) 지하이중벽용 경량철골 고정장치
KR200388497Y1 (ko) 높이조절식 마루틀
KR101627343B1 (ko) 건축물 지붕에 다양한 형상의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JP4005585B2 (ja) ボード取付用金物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486822Y1 (ko) 이중 바닥 시스템
CN109750812A (zh) 一种装配式集成干挂墙板系统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21290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딥데크용 전기 배선 박스
JP6623328B1 (ja) ゴルフパッテイング練習の補助具溝型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