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11U -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 Google Patents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11U
KR20180000911U KR2020160005547U KR20160005547U KR20180000911U KR 20180000911 U KR20180000911 U KR 20180000911U KR 2020160005547 U KR2020160005547 U KR 2020160005547U KR 20160005547 U KR20160005547 U KR 20160005547U KR 20180000911 U KR20180000911 U KR 201800009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laundry
collecting net
washing water
mat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이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영 filed Critical 이현영
Priority to KR2020160005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11U/ko
Publication of KR20180000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에서 떨어져 나와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려서 포집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에 잔류되는 이물질을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세탁물을 깨끗하게 세탁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탁기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세탁볼에 있어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바디(110,120)로 분할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10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102)과 연통되는 관통공(104)들이 형성된 볼형상의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중공(102)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된 이물질포집망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세탁수가 상기 바디(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에 걸려서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Washing ball}
본 고안은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에서 떨어져 나와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려서 포집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에 잔류되는 이물질을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세탁물을 깨끗하게 세탁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세탁볼은 세탁기로 세탁을 할 때 세탁물들이 엉키는 것을 방지를 위하여 세탁물과 함께 세탁조에 넣어 세탁하면 수류의 흐름을 타고 세탁물 사이를 자유롭게 떠다니면서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풀어 해쳐주고, 세탁물 표면에 접촉되어 세탁물의 때가 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세탁효율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세탁기의 세탁조에는 세탁물에서 떨어져 나와서 세탁수에 포함된 보풀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이물질포집망이 구비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이물질포집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포집망에 걸려서 이물질이 걸린다. 그런데 대부분의 이물질포집망은 세탁조의 내주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과정에서 세탁수가 이물질포집망으로 흘러 넘쳐 들어가는 경우에만 이물질이 포집되기 때문에 이물질 포집효과가 다소 떨어지므로 이물질이 세탁물에 거의 그대로 잔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45035호(2000. 07. 1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세탁수의 흐름에 따라 유동되어 다니면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기 때문에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어서 세탁물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포집된 이물질을 털어 내거나 또는 이물질이 포집된 망체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실용적인 새로운 구성의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바디(110,120)로 분할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10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102)과 연통되는 관통공(104)들이 형성된 볼형상의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중공(102)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된 이물질포집망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세탁수가 상기 바디(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에 걸려서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는 고정링체(210)와, 상기 고정링체(2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고정링체(2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거름막을 형성하는 망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의 기단부에는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안착되는 안착홈(10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바디(110,120)를 결합시키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상기 제1, 2바디(110,12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안착홈(106)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0)에는 외부와 구획되어 밀폐되는 보조챔버(130)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챔버(130)는 기단부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챔버캡(132)과, 상기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의 외주면에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캠버캡(132)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돌부(134)에 의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세탁물을 엉키지 않도록 하는 세탁볼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세탁볼의 바디에 이물질을 걸려서 포집하는 이물질포집망체가 구비되기 때문에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려서 포집하는 기능도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은 세탁볼이 세탁수의 흐름을 따라 유동되어 다지면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려서 포집하기 때문에 존의 세탁기의 세탁조에 고정된 이물질거름망에 비해 이물질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포집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세탁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탁물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세탁물을 한층 더 깨끗하게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세탁볼의 바디가 분할형성되기 때문에 바디를 분할하여 이물질거름망체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며, 이물질거름망체가 바디와 별체로 형성되어 바디에서 분리가능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이물질거름망체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한층 더 위생적이다.
뿐만 아니라 이물질거름망체가 세탁볼의 바디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경우에는 이물질거름망체가 세탁물과 접촉될 우려가 없으므로 이물질거름망체에 걸린 이물질이 세탁물로 옮겨 붙을 우려도 없다.
또, 세탁볼의 바디에 개폐가능한 보조챔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조챔버에 물을 넣어서 보조챔버가 중량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보조챔버에 아무것도 넣지 않아서 보조챔버가 부력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볼을 경량타입과 중량타입의 2가지 종류로 제작하지 않아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챔버에 물을 넣는 등의 작업을 통해 세탁볼을 중량타입 또는 경량타입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이물질거름망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10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102)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04)이 소정형태로 배열형성된 볼형상의 바디(100)와, 바디(100)의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바디(100)에 결합된 이물질포집망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볼이다.
상기 바디(100)는 외주면에 소정형태로 관통공(104)들이 배열형성되고 내부는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형상의 제1, 2바디(110,120)로 분할형성된다. 이들 제1, 2바디(110,12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기단부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바디(110,120)를 결합시키면 제1, 2바디(110,120)의 내부에 중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04)들을 중공(102)과 연통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는 바디(100)의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제1, 2바디(110,1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이물질포집망체(200)는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 2바디(110,120)의 사출성형시에 망사원단을 제1, 2바디(110,120) 내주면에 부착되도록 인서트하여 제1, 2바디(110,120)의 성형됨과 동시에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제1, 2바디(110,12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통상적인 세탁볼의 사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세탁볼을 세탁기에 투입하고 세탁물을 세탁하는데, 세탁과정에서 세탁수는 상기 관통공(104)을 통해 바디(100) 내부, 즉, 바디(100)의 중공(102)으로 자유롭게 유입 및 배출된다. 그리고 세탁수가 바디(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시에 이물질포집망체(2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포집망체(20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포집망체(200)의 내, 외측에 걸려서 포집되므로 세탁 후에 이물질이 세탁물에 잔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본 고안에 의한 세탁볼을 세탁조의 움직임에 따라 세탁수 및 세탁물과 함께 유동되어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볼 본연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세탁볼은 세탁수와 함께 유동되지 때문에 기존에 세탁조에 고정된 타입의 이물질포집수단에 비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포집되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세탁볼을 재질을 다르게 하여 경량타입과, 상대적으로 중량인 중량타입 2종류로 제작하여, 세탁시에 다른 종류의 세탁볼을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경량타입 세탁불은 세탁시에 주로 세탁수에 부유되어 세탁수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며, 상대적으로 중량인 중량타입 세탁볼은 세탁물과 함께 세탁수에 잠겨서 세탁수에 부유되지 못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게 되므로 세탁수의 이물질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오염되면 제1, 2바디(110,120)를 열고 이물질포집망체(200)에 붙은 이물질을 떨어내고 다시 사용한다.
이상에서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바디(100)의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바디(100)에 고정결합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볼형상으로 성형되어 바디(100)의 중공(102)에 수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바디(100)와 분리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이물질포집망체(20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고정링체(210)와 고정링체(210)에 결합되는 망체(220)로 이루어지는데, 망체(220)는 상기 고정링체(210) 보다 크기가 큰 원형으로 마름질된 망사원단(222)의 단부에 고정링체(210) 보다 크기가 작은 고무링(224)이 결합되어 망사원단의 단부가 상기 고무링(224)에 의해 오므려져서 캡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망사원단(222)을 고정링체(210)에 끼우면 고정링체(210)의 내부를 망사원단(222)이 가로질러서 거름막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무링(224)에 의해 망사원단(222)이 고정링체(21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10)의 기단부에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안착되는 안착홈(106)이 형성되어, 이물질포집망체(200)를 상기 안착홈(106)에 안착시키고 제2바디(120)를 제1바디(110)에 나사결합시키면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제1, 2바디(110,120)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포집망체(200)가 바디(1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세탁수가 바디(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이물질포집망체(200)에 걸리더라도 이물질포집망체(200)에 포집된 이물질이 세탁물과 접촉될 우려가 없다.
경우에 따라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세탁물과 접촉되면 탈수 후에 이물질포집망체(200)에 포집된 이물질이 세탁물로 옮겨 붙을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이물질포집망체(200)가 바디(100) 내부에 위치되어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세탁물과 접촉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이물질포집망체(200)에 포집된 이물질이 세탁물로 옮겨 붙을 우려도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제1, 2바디(110.120)를 열고 이물질포집망체(200)를 꺼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사용하거나 이물질포집망체(200)의 망체(220)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에 고무링(224)이 구비된 망체(220)가 여분으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못 쓰는 스타킹을 망체(220) 대용으로 상기 고정링체(210)에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100)에 밀폐되도록 구획된 보조챔버(1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챔버(130)가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어 기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챔버캡(132)과, 제1바디(110)의 외주면에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챔버캡(132)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돌부(134)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물론, 상기 나사결합돌부(134)가 제2바디(12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캡(132)과 제1바디(110)의 나사결합돌부(134)를 겹합시키면 제1바디(110)의 외주면에 밀폐된 보조챔버(130)가 구획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조챔버(130)는 상기 보조챔버캡(132)이 바디(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챔버(130)가 개폐가능하기 때문에 부력체 또는 중량체로서의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보조챔버(130)에 아무것도 넣지 않고 보조챔버(130)를 비워두면 보조챔버(130)가 부력체로서의 기능을 하고, 보조챔버(130)에 물을 넣으면 보조챔버(130)가 중량체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세탁볼이 세탁과정에서 물에 지속적으로 잠기지 않고 부유되어 세탁수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챔버캡(132)에 아무것도 넣지 않고 보조챔버캡(132)과 제1바디(110)를 결합시켜서 사용한다.
그리고 세탁볼이 세탁과정에서 세탁물과 함께 물에 침수되어 세탁수에 부유되지 못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챔버캡(132)에 물을 담고 보조챔버캡(132)과 제1바디(110)를 결합시켜서 세탁볼을 상대적으로 중량화시켜 사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다수개의 세탁볼을 동시에 사용하되, 일부 세탁볼의 보조챔버(130)에만 물을 넣고 사용하여, 일부 세탁볼은 세탁수에 부유되고 일부 세탁볼은 세탁수에 잠겨서 세탁수에 부유되는 이물질과 세탁수에 잠겨있는 이물질이 모두 다 효과적으로 걸러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세탁볼을 중량타입과 경량타입의 2종류로 제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사용시에 보조챔버(130)를 이용하여 중량타입과 경량타입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바디 102. 중공
104. 관통공 106. 안착홈
110. 제1바디 120. 제2바디
130. 보조챔버 132. 보조챔버캡
134. 나사결합돌부 200. 이물질포집망체
210. 고정링체 220. 망체
222. 망사원단 224. 고무링

Claims (4)

  1. 세탁기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세탁볼에 있어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바디(110,120)로 분할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10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102)과 연통되는 관통공(104)들이 형성된 볼형상의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중공(102)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공(104)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100)에 결합된 이물질포집망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세탁수가 상기 바디(100)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에 걸려서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는 고정링체(210)와, 상기 고정링체(21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고정링체(2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거름막을 형성하는 망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의 기단부에는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안착되는 안착홈(10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바디(110,120)를 결합시키면, 상기 이물질포집망체(200)가 상기 제1, 2바디(110,12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안착홈(10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에는 외부와 구획되어 밀폐되는 보조챔버(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130)는 기단부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챔버캡(132)과, 상기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의 외주면에서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캠버캡(132)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돌부(13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KR2020160005547U 2016-09-25 2016-09-25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KR201800009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47U KR20180000911U (ko) 2016-09-25 2016-09-25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47U KR20180000911U (ko) 2016-09-25 2016-09-25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1U true KR20180000911U (ko) 2018-04-04

Family

ID=6196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47U KR20180000911U (ko) 2016-09-25 2016-09-25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6890A1 (de) * 2019-04-24 2020-10-29 Technotrade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iltereinrichtung
CN111962267A (zh) * 2019-05-20 2020-11-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035A (ko)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용 오물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035A (ko)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용 오물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6890A1 (de) * 2019-04-24 2020-10-29 Technotrade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iltereinrichtung
CN111962267A (zh) * 2019-05-20 2020-11-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及其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6326A1 (en) Fiber catcher and method of removing fibers
US20040149666A1 (en) Filtering system for a pool or spa
WO2017173215A1 (en) Fiber catcher and method of removing fibers
ATE307251T1 (de) Filterelement in einer beckenreinigungsvorrichtung
KR20180000911U (ko) 이물질 거름기능을 가지는 세탁볼
JP2013509980A (ja)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KR20120011542A (ko) 세탁볼
KR102111343B1 (ko) 김 세척수 재활용 장치
KR100732412B1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척기
TWI798462B (zh) 洗衣機
BR102012030892A2 (pt) Sistema de filtragem para máquina lavadora de roupas
US5565097A (en) Micro-screen filter device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10006367U (ko) 세탁볼
JPH03127602A (ja) 特に水泳プールのための液体濾過装置
CN208668546U (zh) 一种防堵塞的洗脸池
KR200431218Y1 (ko) 초음파 세척기
CN105442270A (zh) 用于洗衣机的水阀及其制造方法
KR200252410Y1 (ko) 물걸레 세척통
US20230337772A1 (en) Method and textile used for collecting microplastics from water
JP2021185936A (ja) 吸い込み収毛器
KR102491783B1 (ko) 식기세척기용 거름망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20146111A (ko) 세탁 배수의 이물질 포집 장치
KR102542836B1 (ko) 초음파 식기세척기
JP2008284443A (ja) ストレ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