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56A -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756A
KR20180000756A KR1020160078356A KR20160078356A KR20180000756A KR 20180000756 A KR20180000756 A KR 20180000756A KR 1020160078356 A KR1020160078356 A KR 1020160078356A KR 20160078356 A KR20160078356 A KR 20160078356A KR 20180000756 A KR20180000756 A KR 20180000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ing
sensor
server
harmful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이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6007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756A/ko
Publication of KR2018000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장치를 고정형, 이동형, 휴대형으로 분류하고, 유해물질 센서에 더하여 위치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센싱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정도를 확인 할 수 있고,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 이상이라면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유해물질에 대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SYSTEM FOR MONITORING HARMFUL SUBSTANCES WITH SENSOR}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해물질 측정 시 위치 검출을 함께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여 유해물질 정보를 제공하고,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 이상인 경우 알람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된 위치 또는 이동 중에도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정도를 알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사람의 조작 없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유해물질 센서를 이용하여 각 종 유해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데, 센서가 고정되어 있다면,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정도를 알 수 있으나, 센서의 위치가 이동한다면, 유해물질 센서만으로는 어느 위치에서 측정된 유해물질인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0488호, 2009년 08월 26일 공개(명칭: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가축의 질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센싱 장치에 유해물질 센서 이외에 위치 측정을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유해물질 측정 및 위치 측정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기 지정된 특정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센서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더라도 해당 위치의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알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해물질 센서 및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 장치;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별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는, 기 설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센싱 장치, 임의 장소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센싱 장치,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센싱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연결된 복수의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는 패킷의 헤더부에 기록하고,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기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게이트웨이로부터 복수의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와 결합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위치정보처리부; 상기 수신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기 설정된 위치, 유해물질 안전 기준, 상기 분석한 현재 위치 및 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해물질 센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측정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를 맞추어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방법은 복수의 센싱 장치를 통해 유해물질 노출 상태 및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를 통해 측정한 유해 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를 맞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수신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 장치에 유해물질 센서에 더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센서를 부가함으로써, 고정된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센싱 장치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더라도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기 저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서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게이트웨이(200)을 통해 연결되는 센싱 장치(100)와 서버(300) 및 서버(300)와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5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10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서버(300)와 연동하여 유해물질 노출 상태 및 현재 위치를 측정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센싱 장치(100)는 기 설정된 위치 또는 임의 위치에 복수 개 존재하고,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센싱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며, 유해물질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센싱한다.
게이트웨이(200)는 복수의 센싱 장치(100)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3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포맷 혹은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가공하여 서버(3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200)는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인 지그비(Zigbee)를 기반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Wi-Fi)와 같은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복수의 센싱 장치(100)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를 인식하며, 복수의 센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패킷으로 서버(3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센싱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는 패킷의 헤더부에 기록하고,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기록하여 서버(300)에 전송한다.
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전송 받은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와 같은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서버(300)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망(400)은 서버(300)와 단말(50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40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단말(500)는 통신망(400)을 경유하여 서버(300)에서 분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리자는 단말(500)을 통해 서버(300)가 제공하는 현재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와 같은 분석 정보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술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위치 측정 센서(130), 유해물질 센서(14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00)는 기 설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센싱 장치, 임의 장소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센싱 장치,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센싱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위치 측정 센서(130)는 센싱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GPS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와 같은 위치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고정형이나 이동형 센싱 장치의 경우에는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위치 측정 센서(13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형 센싱 장치인 경우에는 센싱 장치의 위치가 특정된 것이 아니고, 관리자가 휴대하여 임의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센싱 장치(1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위치 측정 센서(130)를 통해 수집된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유해물질 센서(140)는 해당 위치에서의 유해물의 노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2), 중금속 등과 같은 각종 유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며, 검출할 수 있는 유해물질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0)는 위치 측정 센서(130) 및 유해물질 센서(140)를 통해 센싱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를 매핑하여 주기를 맞추어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특정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므로, 유해물질 센싱 정보와 위치 정보는 매핑되어 함께 게이트웨이(200)로 전송된다.
통신부(120)는 게이트웨이(200)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무선 통신 방식,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는 서버제어부(310), 서버통신부(320), 위치정보처리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통신부(32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센싱 장치(100)와 서버(300) 간의 데이터 전송 및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300)와 단말(5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유선,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현재 위치는 저장부(340)에 기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거나, 또는 위치 측정 센서(130)를 통해 수집하여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처리부(330)에서 분석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 측정 센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GPS 센서나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와 같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데, 위치 측정 센서(130)를 통해 수집한 센싱 장치(100)의 가속도, 방위각, 위도, 경도와 같은 위치 정보를 위치정보처리부(330)에서 분석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위치, 예를 들면 실제 주소나, 지도 상의 위치 등으로 처리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제어부(310)에 제공한다.
특히, 휴대형 센싱 장치인 경우에는 저장부(340)에 기 저장된 위치가 존재하지 아니하고, 관리자의 이동에 따라 현재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위치정보 처리부(330)의 분석에 따라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서버제어부(310)는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제어부(310)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수신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분석 정보로써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해물질 센싱 정보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2), 중금속 등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유해물질이 포함된다.
서버(300)는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되어 센싱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현재 위치는 위치정보처리부(330)로부터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위치로 변환되어 제공 받으므로, 서버제어부(310)는 현재 위치에서, 해당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분석을 통해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관리자는 해당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제어부(310)는 분석 결과가,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노출 정도가 저장부(340)에 기 저장된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싱 정보를 분석하고 센싱 장치(100) 및 서버(30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40)는 센싱 장치(100)의 형식에 따른 식별 정보, 고정형 또는 이동형 센싱 장치인 경우에는 센싱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 위치 별 유해물질 안전 기준 등이 저장된다.
또한, 위치정보처리부(330)를 통해 분석된 현재 위치와 해당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센싱 정보의 분석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센싱 장치(100) 및 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기 저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센싱 장치(100)의 형식은 고정형(Fixed), 이동형(Movable), 휴대형(Portable)로 구분되어 그에 따른 식별 정보가 저장되고, 센싱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기 설치된 장소가 함께 저장된다. 휴대형인 경우에는 관리자의 위치에 따라 계속 위치가 변경되므로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위치정보처리부(330)의 분석에 따른 현재 위치가 저장된다.
아울러, 서버제어부(310)를 통해 분석된 유해물질 농도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위치 별 유해물질 안전 기준이 저장된다. 지하철 역, 버스 정류소, 놀이터 등과 같이 측정하는 장소에 따라 유해물질 안전 기준은 상이하므로, 위치 별로 평균적인 유해물질 안전 기준이 저장된다. 기 저장된 유해물질 안전 기준과 서버제어부(310)에서 분석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서버제어부(310)는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장치(100)의 위치 측정 센서(130) 및 유해물질 센서(140)를 통해 유해물질 노출 상태와 위치 정보를 센싱한다(S 501).
유해물질 센싱 정보와 위치 정보는 매핑되어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며, 서버(300)의 위치정보처리부(33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위치로 변환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제어부(310)에 전송한다(S 503).
서버제어부(310)는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분석정보로써 제공한다(S 505). 이러한 분석 정보는 단말(500)을 통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분석된 유해물질 농도가 저장부(340)에 기 저장된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 507 ~ 509). 이러한 알람 기능을 통해 관리자는 단말(500)을 이용하여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곳의 위치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 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 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싱 장치에 유해물질 센서에 더하여 위치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센싱 장치의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를 확인 할 수 있고,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 이상이라면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유해물질에 대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센싱 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위치 측정 센서 140: 유해물질 센서 200: 게이트웨이
300: 서버 310: 서버제어부 320: 서버통신부
330: 위치정보처리부 340: 저장부 400: 통신망
500: 단말

Claims (8)

  1.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해물질 센서 및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 장치;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별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는,
    기 설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센싱 장치, 임의 장소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센싱 장치,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센싱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연결된 복수의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는 패킷의 헤더부에 기록하고,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기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5. 게이트웨이로부터 복수의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와 결합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위치정보처리부;
    상기 수신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로써,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기 설정된 위치, 유해물질 안전 기준, 상기 분석한 현재 위치 및 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유해물질 노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해물질 센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측정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를 맞추어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장치.
  8. 복수의 센싱 장치를 통해 유해물질 노출 상태 및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싱 장치를 통해 측정한 유해 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를 맞추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수신한 유해물질 센싱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센싱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센서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유해물질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로써, 현재 위치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및 시간 대별 유해물질 농도에 대한 통계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78356A 2016-06-23 2016-06-23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00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6A KR20180000756A (ko) 2016-06-23 2016-06-23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6A KR20180000756A (ko) 2016-06-23 2016-06-23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56A true KR20180000756A (ko) 2018-01-04

Family

ID=6099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56A KR20180000756A (ko) 2016-06-23 2016-06-23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00B1 (ko) * 2018-11-23 2020-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색섬유를 이용한 유해물질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00B1 (ko) * 2018-11-23 2020-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색섬유를 이용한 유해물질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4903B1 (en) Correlation of sensory inputs to identify unauthorized persons
CN105849744B (zh) 用于分布式临床实验室的系统和方法
US9978251B2 (en) Wireless location-bas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hazardous and non-hazardous conditions
US8769688B2 (en)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 computer loc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US20140244198A1 (en) Calibration of a chemical senso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276292B2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US11531082B2 (en) Device location network
RU200611777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ообщения о происшествии, сбора информации о происшестви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происшествия и оповещения о происшествии
CN112634484B (zh) 设备巡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86503B (zh) 一种量化的病原体微生物安全风险指标的监测系统及方法
US11259195B1 (en) Security camera drone communication coupling to control and computing station
CA2989010A1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device pairing via a short-range pairing mechanism
KR20150095269A (ko) 적응제어기능을 가지는 usn 센서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생애주기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Sigg et al. Passive, device-free recognition on your mobile phone: tools, features and a case study
KR20140055175A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00756A (ko)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162985A1 (en) Occupancy monitoring for a remote short term housing rental
CN110650449A (zh) 监控装置和系统
US20140091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safety communication
WO2017070815A1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Strohmayer et al. Wifi csi-based long-range through-wall human activity recognition with the esp32
KR20160090049A (ko) 차량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2690B1 (ko)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N111258242A (zh) 环境监控设备
JP3235729U (ja) ガス検出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