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39A -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39A
KR20180000639A KR1020160079481A KR20160079481A KR20180000639A KR 20180000639 A KR20180000639 A KR 20180000639A KR 1020160079481 A KR1020160079481 A KR 1020160079481A KR 20160079481 A KR20160079481 A KR 20160079481A KR 20180000639 A KR20180000639 A KR 20180000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econdary battery
power
hybrid controller
dr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225B1 (ko
Inventor
이용우
김형근
박원엽
안정훈
Original Assignee
(주)자이언트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이언트드론 filed Critical (주)자이언트드론
Priority to KR102016007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2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64C2201/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5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02T5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2
    • Y02T90/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드론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2차 전지의 전력 사용여부 또는 2차 전지의 충전여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료전지와 2차 전지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무게대비 비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The hydrogen fuel cell drone equipped with the hybrid controll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에 수소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와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2차 전지의 전력 사용여부 또는 2차 전지의 충전여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료전지와 2차 전지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무게 대비 비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물체가 비행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양력이다.
한편, 드론은 프로펠러나 로터를 회전시켜 발생하는 추력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두어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기 타입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회전익기 타입은 고정익기 타입에 비해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이 적게 들고 호버링이라 불리는 제자리비행, 저속비행, 수직이착륙과 같은 고정익기로는 불가능한 비행동작이 가능하며, 따라서 장시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무인항공기에 적합한 비행타입으로 선호되고 있다.
한편, 드론의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드론에 구비되는 에너지원의 보유량의 증가가 필요하게 되었고, 배터리로 사용되는 2차 전지는 용량을 늘리게 되면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드론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드론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로터에서 비행을 위해 발생하는 양력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고, 따라서, 양력을 발생시키는 로터와 로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크기도 커지게 됨에 따라 전체적인 드론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 비행 및 임무수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음은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드론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405호는 무인헬리콥터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대용량의 배터리 대신에 최소 용량의 배터리와 내연기관을 함께 구비하여, 내연기관에서 생성된 전력을 통하여 탑재된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시키고, 비행은 내연기관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드론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과 비행하기 위한 동력이 별도로 구성되어 드론의 몸체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713호는 쿼드로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DMFC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드론에 구비된 각종 전자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2차 전지와 2차 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DMFC연료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DMFC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하되 2차 전지의 충전량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상착류 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405호는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 비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함께 구비된 내연기관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충전하도록 하였으나, 드론에 구비된 내연기관으로 인하여 동체에 떨림이 발생하게 되어 호버링과 같은 정지비행시 비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 감쇠 장치를 추가함으로 인하여 드론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어.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713호는 비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2차 전지와 연료전지를 함께 구비하되, 드론의 비행을 위한 동력부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2차 전지에 충전된 전력으로만 공급되고, 상기 2차 전지의 소모된 전력을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충전토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2차 전지의 충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상착륙을 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량이 불균일하게 되면, 시간당 2차 전지에 충전되는 전력량보다 소모되는 전력량이 더 많아지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2차 전지의 충전량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상착륙을 하게 되어 비행을 지속할 수 없어 연료전지에 남아 있는 연료를 사용하여 비행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할 수 있음에도, 에너지원의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비행거리가 구비된 에너지원에 비해 증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료전지와 2차 전지를 구비하되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도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405호(2011.09.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713호(2014.05.28)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기술은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배터리 또는 내연기관을 구비함에 따라 많은 무게가 증가하거나, 연료전지와 2차 전지를 구비하였으나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2차 전지에서만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에너지원의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구비된 에너지원에 비하여 비행거리가 증가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발생하여,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시하고자,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원의 공급을 2차 전지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에서도 공급하도록 하여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도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드론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2차 전지의 전력 사용여부 또는 2차 전지의 충전여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 전지 드론은 비행을 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연료전지와 2차전지를 에너지원으로 구비하되, 2차전지의 잔류 전력을 측정하여 소모된 전력에 대하여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통하여 충전하도록 하여 드론의 무게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고도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상기 2차 전지의 충전뿐만 아니라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구동부의 에너지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구비된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행 및 임무시간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력 공급시스템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컨트롤러의 작동 순서도.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에 관한 발명으로,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20)와 상기 드론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10)와 상기 연료전지(20)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20)와 상기 2차 전지(10)의 전력 사용여부와 2차 전지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 및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통하여, 종래의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키되 드론의 무게 또한, 많이 증가하였던 문제점과, 2차전지와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무게 증가를 감소시켰으나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비된 에너지원에 비해 비행 및 임무 시간이 충분히 늘어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연료전지(20)는
드론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연료전지(20)에 수소를 공급하게 되면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하게 되어 에너지를 발생하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료전지(20)는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반응을 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동력원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고,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켜 물을 만들면 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형태로 변환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20)의 구성은 전해물질 주위에 서로 맞붙어 있는 두 개의 전극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 중의 산소가 한 전극을 지나고 수소가 다른 전극을 지나게 되면, 전기 화학반응을 하게 되고 이때 전기와, 물, 열이 생성된다.
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점에서 일반전지와 비슷하지만, 연료전지는 반응물질인 수소와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게 되면 일반전지와 달리 충전이 필요 없게 되고, 연료가 공급되는 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전지(20)는 함께 구비된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대기중의 산소와 화학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상기 연료전지(20)에서 단위시간당 생성되는 전기의 량이 연료전지(20)의 전력이 된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은 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작동에 따라 후에 상세히 서술될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되어 상기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양력을 생성하는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에너지원으로 공급되거나, 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2차 전지(10)에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은 상기 드론에 구비된 촬영장치와 같은 보조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공급되거나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통신장비의 에너지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의 사용은 후에 상세히 서술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를 통하여 조절되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은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을 위하여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2차 전지(10)는
드론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2차 전지(10)에 충전된 전력은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되어 상기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양력을 생성하는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의 에너지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에 구비된 촬영장치와 같은 보조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공급되거나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통신장비의 에너지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전지(10)는 사용시 충전된 전력을 소모하게 됨에 따라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전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전지(10)가 충전되는 도중에도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의 사용 또는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 여부의 판단은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전지(10)로는 연축전지(납축전지), 니켈전지, 이온전지, 리튬이온전지, 폴리머전지, 리륨폴리머전지, 니켈 카드뮴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충전을 통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지들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는
상기 연료전지(20)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20)와 상기 2차 전지(10)의 전력 사용여부 또는 2차 전지(10)의 충전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에는 연료전지 입력부(32)가 구비되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고 있는 전력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는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직접적으로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이 출력 안정화 장치를 거쳐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에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의 전압과 전류의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연료전지(20)의 불량 여부 및 최대출력 등의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출력 안정화 장치는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 시켜 줌으로 상기 드론에 상기 연료전지(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공급될 때, 전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각 장치의 파손 또는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에는 2차 전지 입력부(31)가 구비되어 2차 전지(10)로 부터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2차 전지(10)의 전압과 전류를 분석하여 2차 전지(10)의 충전량을 분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는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와 상기 2차 전지 입력부(31)에서 분석한 정보들을 토대로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 에너지원으로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과 2차 전지(10)에 충전된 전력을 각각 또는 함께 공급하거나 2차 전지(10)의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전력의 사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에는 전력 비교부(33), 전력 제어부(34), 전력 출력부(35), 2차 전지 충전부(36)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는 전력 비교부(33)에서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와 2차 전지 입력부(31)의 각각의 전력 분석값과,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으로부터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요구되는 전력 분석값을 전송받아 비교 판단하여 상기 전력 제어부(34)에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력 비교부(33)는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서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요구되는 전력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최대 전력 허용치의 미만일 경우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사용되는 전력만 사용하여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을 작동시키는 연료전지 비행모드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력 제어부(34)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전력은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최대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만족하는 범위 내의 전력을 구동제어시스템(40)에서 요구하게 될경우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전력만으로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력 비교부(33)는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으로부터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요구되는 전력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최대량보다 적다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외한 여분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2차 전지(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전력 출력부(35)에서 후에 상세히 서술될 2차 전지 충전부(36)로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 비행모드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력 제어부(34)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전력 비교부(33)는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에서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요구되는 전력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최대량보다 많을 경우,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을 측정하고 방전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되는 전력과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을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함께 공급하여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을 작동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비행모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력 제어부(34)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비교부(33)는 상기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을 방전 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긴급상황으로 인지하여 상기 드론을 긴급 비행모드로 작동시켜 비상착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전력 제어부(34)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긴급 비행모드에는 낙하산과 같은 안전장치들이 작동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긴급 비행모드는 상기 2차 전지(10)의 방전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연료전지(20)의 전력 생산량도 고려하여 작동하게 되며, 상기 연료전지(20)의 전력 생산량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는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만으로 비상착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제어부(34)는 상기 전력 비교부(33)에서 전달된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성된 전력과 상기 2차 전지(10)에 충전된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론의 구동제어시스템(4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가 상기 연료전지 비행모드로 작동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의 전력이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비행모드로 작동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의 전력이 전력 출력부(35) 및 상기 2차 전지 충전부(36)로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이브리드 비행모드로 작동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의 전력과 상기 2차 전지(10) 입력부의 전력이 함께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긴급비행 모드로 작동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의 전력만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2차 전지 입력부(31)의 전력만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제어부(34)에서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의 전력과 상기 2차전지 입력부의 전력을 상기 전력 출력부(35)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은 물리적인 구성을 통하여 접촉 및 단락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회로구성을 통하여 회로 내부의 접촉 및 단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물리적인 구성을 통한 접촉 및 단락이라 함은, 기계적인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드론 내부에 구비된 전선 등을 조작하여 상기 전력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력 출력부(35)는 상기 연료전지 입력부(32)와 상기 2차 전지 입력부(31)에서 공급된 전력을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되, 공급된 전력의 불안정 및 역전압과 같은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전기적 불안 요소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전지 충전부(36)에서는 상기 2차 전지(10)를 충전하는 충전 비행모드 일 때, 상기 2차 전지 입력부(31)의 출력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2차 전지(10)를 충전하는 중에 2차 전지(10)의 충전된 전력이 상기 2차 전지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전 및 공급되는 것을 회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동제어시스템(40)은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하여 연료전지(20)의 전력 또는 2차 전지(10)의 전력이 각각 또는 함께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제어시스템(40)으로는, 로터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위치확인을 위한 GPS 등의 장치들이 포함되고, 상기 드론이 임무수행을 위하여 장착한 촬영장치 등의 보조장비들을 작동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들도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전지(20)와 2차 전지(10)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드론의 무게가 많이 늘어나지 않아도 비행 및 임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를 구비하여 구동제어시스템(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구비된 연료전지(20)와 2차 전지(10)의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래의 하이브리드 드론에 비해 비행 및 임무시간이 증가하며,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착륙과 같은 동작을 하도록 구성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내연기관이 구비됨이 없어 떨림이 발생하지 않아 비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10 : 2차 전지 20 : 연료전지
30 : 하이브리드 컨트롤러
31 : 2차 전지 입력부 32 : 연료전지 입력부
33 : 전력 비교부 34 : 전력 제어부
35 : 전력 출력부 36 : 2차 전지 충전부
40 : 구동제어시스템

Claims (2)

  1.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에 구비되어 연료탱크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20);
    상기 드론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10);
    상기 연료전지(20)의 상태정보와 상기 2차 전지(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료전지(20)와 상기 2차 전지(10)의 전력 사용여부 또는 2차 전지(10)의 충전여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의 판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시스템(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러(30)에는
    전력 비교부(33), 전력 제어부(34), 전력 출력부(35), 2차 전지 충전부(3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KR1020160079481A 2016-06-23 2016-06-23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KR10190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81A KR101904225B1 (ko) 2016-06-23 2016-06-23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81A KR101904225B1 (ko) 2016-06-23 2016-06-23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39A true KR20180000639A (ko) 2018-01-03
KR101904225B1 KR101904225B1 (ko) 2018-10-05

Family

ID=6100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481A KR101904225B1 (ko) 2016-06-23 2016-06-23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2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20A (ko) * 2018-05-17 2019-11-27 한국기계연구원 비행체의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장치
WO2020046011A1 (ko) * 2018-08-31 2020-03-05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모듈 탑재 구조
CN110877741A (zh) * 2018-09-06 2020-03-1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供电装置、应用其的飞行工具及其供电方法
CN111186316A (zh) * 2020-01-09 2020-05-22 上海华普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的氢燃料电池集成系统
KR20210016183A (ko) * 2019-08-01 2021-02-15 메디케어 유한회사 드론, 드론용 낙하산 키트 및 드론의 제어방법
KR20220068319A (ko) * 2020-11-18 2022-05-26 에스퓨얼셀(주) 무인 비행체
KR20230050542A (ko) * 2021-10-07 2023-04-17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전력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무인 비행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151A (ko) 2019-06-11 2020-12-22 백종훈 연료전지 케이스
KR102287434B1 (ko) * 2020-06-11 2021-08-09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수소 연료전지 드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20B1 (ko) * 2013-08-06 2015-04-08 한국기계연구원 무선 조종 대상체의 전원 공급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20A (ko) * 2018-05-17 2019-11-27 한국기계연구원 비행체의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장치
WO2020046011A1 (ko) * 2018-08-31 2020-03-05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연료전지 파워팩 일체형 드론의 모듈 탑재 구조
CN110877741A (zh) * 2018-09-06 2020-03-1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供电装置、应用其的飞行工具及其供电方法
CN110877741B (zh) * 2018-09-06 2022-01-2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供电装置、应用其的飞行工具及其供电方法
US11444301B2 (en) 2018-09-06 2022-09-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 supply device, flying tool using sam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KR20210016183A (ko) * 2019-08-01 2021-02-15 메디케어 유한회사 드론, 드론용 낙하산 키트 및 드론의 제어방법
US11485501B2 (en) 2019-08-01 2022-11-01 Do Hyun Na Drone, parachute kit for drone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ones
CN111186316A (zh) * 2020-01-09 2020-05-22 上海华普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的氢燃料电池集成系统
KR20220068319A (ko) * 2020-11-18 2022-05-26 에스퓨얼셀(주) 무인 비행체
KR20230050542A (ko) * 2021-10-07 2023-04-17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전력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무인 비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225B1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225B1 (ko) 하이브리드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소연료전지 드론
CN108432076B (zh) Uav混合电力系统和方法
US10099794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ing hybrid-electric propulsion system
US11365012B2 (en) Fuel cell powered aircraft with a cathode convertible between oxygen and air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2100704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ltering power during flight
US20160304214A1 (en) Emergency power sources for propulsion systems
CN110001975A (zh) 一种电动无人机组合供电装置、方法及系统
WO2018103576A1 (zh) 无人飞行器
WO2017030034A1 (ja) 発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人航空機
US119390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distribution in a drone aircraft
CN103754373A (zh) 有线电源多旋翼无人飞行器
US11522372B1 (en) Charger for an electric aircraft with failure monitoring and a method for its use
GB2542921A (en) Electrical power supply on a vehicle
KR20130122558A (ko) 쿼드로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dmfc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2923B1 (ko) 연료전지의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79741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시스템을 이용하는 수직이착륙 항공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7470B1 (ko) 하이브리드 드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683059A (zh) 飞行器
US11852689B2 (en) Connector for charging an electric aircraft and a method of use for a connector for charging an electric aircraft
KR102009772B1 (ko) 하이브리드 드론 및 그의 제어방법
JP7094232B2 (ja) マルチコプタ
KR102583265B1 (ko) 무인 비행체의 전력 시스템 및 이를 갖는 무인 비행체
KR20190131720A (ko) 비행체의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장치
TWM623459U (zh) 具燃料電池之單旋翼無人機動力系統
TW202229110A (zh) 具燃料電池之單旋翼無人機動力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