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11U - 복합 터치 보드 - Google Patents

복합 터치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11U
KR20180000611U KR2020160004877U KR20160004877U KR20180000611U KR 20180000611 U KR20180000611 U KR 20180000611U KR 2020160004877 U KR2020160004877 U KR 2020160004877U KR 20160004877 U KR20160004877 U KR 20160004877U KR 20180000611 U KR20180000611 U KR 201800006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oard
area
touch area
quick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선
Original Assignee
안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예린 filed Critical 안예린
Priority to KR2020160004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11U/ko
Publication of KR20180000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06F3/042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using sweeping light beams, e.g. using rotating or vibrat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판서가 가능한 한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보드 상에 전자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터치 영역과, 일반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판서 영역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한 개의 보드로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의 두 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반사부재가 필요없는 광학계를 포함한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복합 터치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일반 필기구에 의해 판서가 가능한 일반칠판으로 기능하는 판서 영역, 지시물체의 위치가 인식되어 전자칠판으로 기능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상의 빠른 메뉴 실행을 위한 퀵메뉴 영역으로 구획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 일측에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터치 보드{Complex Touchable Board}
본 고안은 복합 터치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판서가 가능한 한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보드 상에 전자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터치 영역과, 일반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판서 영역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한 개의 보드로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의 두 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한 복합 터치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교나 학원 등에서 수업을 하거나, 회사 등에서 회의를 할 때 별도로 필기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판서를 할 수 있으며, 판서된 글자 또는 그림을 전자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근래 사용되는 전자칠판은 대부분 터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보드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보드의 일예로써, [문헌 1]에 전자칠판의 바탕화면 클릭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 칠판 전체에 터치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면 가격이 비싸지며, 터치 디스플레이를 일반 판서용 칠판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판서용 칠판을 따로 구비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상 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저항값의 변화를 인식하는 방법,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 광학모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하게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광학모듈을 이용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모듈을 이용한 터치 디스플레이의 물체 위치 인식장치에 관한 내용은 [문헌 2]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기 [문헌 2] 등에서 적용된 광학모듈을 이용한 물체 위치 인식장치는 광학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에 설치된 반사부재에 반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물체를 인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반사부재를 별도로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반사부재의 두께만큼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터치 영역의 범위를 변화시키기 어려우며, 터치와 판서를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반사부재가 있기 때문에 일반 칠판과 전자 칠판의 판서를 부드럽게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99660호(2014. 05. 27. 공고)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097992호(2011. 12. 26. 공고)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서가 가능한 한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보드 상에 전자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터치 영역과, 일반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판서 영역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한 개의 보드로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의 두 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반사부재가 필요없는 광학계를 포함한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복합 터치 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일반 필기구에 의해 판서가 가능한 일반칠판으로 기능하는 판서 영역, 지시물체의 위치가 인식되어 전자칠판으로 기능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상의 빠른 메뉴 실행을 위한 퀵메뉴 영역으로 구획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 일측에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의 상기 터치영역 형성모듈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은, 상기 보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보드와 평행한 방향으로 투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접근한 지시물체로부터 상기 투사광이 회귀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회전광학부;와 상기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 내 지시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복수의 제 1 기준위치 지정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상기 퀵메뉴 영역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복수의 제 2 기준위치 지정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퀵메뉴 영역 내 지시물체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퀵메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상기 퀵메뉴 영역은 상기 보드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퀵메뉴 선택 버튼이 구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상기 PCB 기판은, 입력된 퀵메뉴 실행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는 판서가 가능한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보드만 구비하면, 상기 보드 상에서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을 동시에 구비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두 종류의 칠판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드 상에 전자칠판으로 사용되는 터치 영역을 설정할 때 반사부재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사용하므로 보드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을 분리되지 않은 한 평면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판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영역은 위치와 크기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에 설치된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영역에 프로젝팅된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퀵메뉴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터치 보드에 설치된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영역에 프로젝팅된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퀵메뉴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도면의 위쪽을 복합 터치 보드의 상부, 아래쪽을 하부라고 하며, 상기 복합 터치 보드의 앞쪽을 상면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복합 터치 보드(1)는, 광학계를 이용한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서 영역이 설정되고, 전자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터치 영역(100),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서 상기 설정된 터치 영역(100)을 제외한 영역이며 일반칠판으로 사용가능한 판서 영역(200)으로 구분되며, 상기 판서 영역(200)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영역(100)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는 퀵메뉴 영역(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는 판형이면서, 일반 필기구를 이용하여 판서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칠판이다.
상기 복합 터치 보드(1)는 가시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화이트보드로 구성되어 보드마카로 판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블랙보드로 구성되어 분필로 판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판서가능한 상기 복합 터치 보드(1)를 하나만 구비하면,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소에는 일반칠판으로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전자칠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터치 영역(100)은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으로, 상기 터치 영역 설정 모듈(110)은 손가락이나 지시봉과 같은 지시물체의 표면이 적외선을 반사하는 점에 착안하여 화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사상의 투사광을 조사하면서 반사광이 수신된 경우 회전광학부의 회전각을 연산하여 화면상에서 지시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며, 이때 회전광학부의 회전각은 후술하는 구동모듈 또는 광모듈의 회전각을 의미한다.
상기 회전광학부의 회전각을 이용하여 지시물체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식은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46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9799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59032호 등의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공지기술이거나 통상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에 반사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반사부재에 반사된 광을 이용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터치 영역 설정 모듈(110)의 경우 반사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상기 터치 영역(100)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먼저,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면의 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설치위치는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의 상면이면 어디든지 가능하나, 상기 터치 영역(100) 설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을 참고로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은 크게 한 쌍의 회전광학부(111)와, 상기 회전광학부(111)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100)에 접근한 지시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치영역(100)에 접근한 지시물체는 손가락, 전용 지시펜, 및 지시봉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광학부(111)는 각각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와 평행한 방향으로 광을 투사하고,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 접근하는 지시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기 터치 영역(100) 내부에서 상기 지시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구성은 전술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공지된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일예로서 후술하는 도3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광학부(111)는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와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모듈(114)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투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광을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광모듈(112,113), 및 상기 구동모듈(114)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투사광을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하고 상기 지시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광모듈(112,113)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모듈(112,113)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 설치되어 투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2)과, 상기 발광모듈(112)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거울(116)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모듈(113)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은 상기 구동모듈(114)이 미리 정해진 기준 위치에 도달하는 시각인 기준시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위치 스캔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홀센서나 동작센서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위치 스캔부(115)가 상기 구동모듈(114)의 측면 일측에 설치된 표식장치(115a)와, 상기 표식장치(115a)를 인식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115b)로 구성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고로 상술한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을 이용한 상기 터치 영역(100)의 설정 과정 및 터치 인식 방법을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사용자는 먼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영역(100) 설정을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포함된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행된다.
즉,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상기 터치 영역(100)을 형성하는 좌상점(X1), 우상점(X2), 우하점(X3), 좌하점(X4)의 네 개의 위치 중 적어도 세 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시하면, 상기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의 회전광학부의 회전각을 연산하여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고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상기 터치 영역(100) 내에서 이동하는 지시물체의 위치를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회전각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어부(400)는 지시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하면, 위치 스캔부(115)와 회전각 연산모듈(430)을 이용하여 회전광학부(111)마다 상기 지시물체에 대한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광학부(111)는 소정 주기(T)로 회전하면서 투사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 스캔부(115)는 상기 표식장치(115a)가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위치 감지 센서(115b)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회전 광학부(111)가 상기 기준 위치에 도달하는 시각인 기준시(즉, t0)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회전 광학부(111)가 반사광을 수신하는 위치의 회전각을 연산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감지 센서(115b)가 홀 센서로 구성되고 표식장치(115a)는 자석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회전각 연산모듈(430)은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기준시(t0), 이로부터 얻은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회전 주기(T)와 상기 반사광을 수신한 시각(즉, 수광신호가 출력된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수광신호를 출력한 회전광학부(111)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인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 스캔부(115)가 시각 t0 와 t0+T 에서 회전광학부가 상술한 기준 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상기 지시물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수광모듈(113)이 수신한 시각(즉, 수광신호가 출력된 시간)이 t 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시각 t에서의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회전각 θ1은 아래의 [수학식 1]로 구해질 수 있다.
Figure utm00001
이때, 상기 회전 주기(T)는 상기 구동모듈(114)의 특성값으로 미리 정해진 값이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위치 스캔부(115)의 출력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상기 반사광을 수신한 시각(즉, 시각 t)은 통상의 신호처리 기술에 의하여 수광모듈(113)의 출력인 수광신호와 이에 대응되는 타이머부(450)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상기 회전광학부(111)의 회전각이 연산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시한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상기 터치 영역(100) 내에서 상기 반사광을 반사한 지시물체의 좌표(위치)를 연산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터치 영역(100) 내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을 이용한 상기 터치 영역(100) 초기 설정 및 터치 인식 과정은 언제든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100)을 수정하거나 재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술한 터치 영역(100) 지정 위치(X1,X2,X3,X4) 초기 설정 과정 수행에 의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터치 영역(100)은 전자 칠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의 발광모듈(112)에서 투사된 광이 상기 터치 영역(100) 내에서 움직이는 손가락이나 지시봉과 같은 지시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것을 수광모듈(113)에서 수광하는 방식으로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 영역(100) 외부에서 인지된 움직임은 상기 제어부(400)에서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영역(100)에 손가락 또는 지시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수행된 판서 동작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서 인식하여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상기 터치 영역(100)은 기존의 전자 칠판과는 달리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설정된 상기 터치 영역(100)의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에 투사하여 상기 설정된 터치 영역(1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하지만, 반드시 프로젝터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조명 또는 상기 보드 상에 상기 터치 영역(100)의 위치 및 크기를 표시할 수 있는 부재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영역(100)의 위치 및 영역의 크기가 변할 때 상기 프로젝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크기도 변화하여야 하므로, 상기 프로젝터의 줌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로젝터 본체의 방향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서 영역(200)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의 상면 중에서 상기 설정된 터치 영역(100)을 제외한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판서 영역(200)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의 상면 전체를 의미하며,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이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판서 영역(200)은 상기 터치 영역(100)을 제외하고 비전자적으로 판서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상기 판서 영역(200)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가 화이트 보드라면 마커팬을 이용하고, 블랙보드라면 분필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판서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여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 내의 광모듈의 발광모듈(112)에서 투사된 광은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의 전 영역으로 투사되지만, 상기 설정한 터치 영역(100) 내부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이 인식하여 활용하며, 상기 판서 영역(20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서 인식하더라도 상기 설정한 터치 영역(100) 내부에서 반사된 빛이 아니므로 상기 제어부(400)에서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판서 영역(200)에 판서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는 퀵메뉴 영역(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퀵메뉴 영역(300)은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자주 사용하는 메뉴 또는 펜 색깔, 펜 종류, 펜 굵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 칠판 상의 판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빠르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실행 메뉴 및 판서 방법을 미리 설정해두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퀵메뉴 영역(300)은 상기 터치 영역(100) 내에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퀵메뉴 영역(300)을 상기 판서 영역(200) 내에 구비하여 상기 터치 영역(100)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퀵메뉴 영역(300)은 상술한 상기 터치 영역(100)이 설정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영역 설정 모듈(110)을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에 설치 시, 먼저 지시된 좌표 X1,X2,X3,X4에 의해 결정된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100)으로 설정되며, 이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한번 더 터치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두번째로 지시된 좌표 X5,X6,X7,X8에 의해 결정된 영역은 상기 퀵메뉴 영역(300)으로 설정되며, 상기 각 영역의 설정은 상기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른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은 상기 터치 영역(100)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퀵메뉴 영역(300)을 설정하는데 동시에 사용되어 퀵메뉴영역 설정모듈로서도 기능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 설정 모듈(110)과 같이 광학계를 이용한 상기 퀵메뉴영역 설정모듈을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상기 터치영역 설정 모듈(110)에서 투사된 광이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전체 영역에 투사되므로 한 개만 구비되어도 가능하다.
상기 터치 영역(100)과 상기 퀵메뉴 영역(300)에서 인식된 터치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각각 다른 터치로 인식하여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설정된 퀵메뉴 영역(300)을 동일한 간격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영역 내에 터치가 인식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뉴를 실행한다.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퀵메뉴 영역(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어디든지 설정할 수 있으나, 공간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터치 영역(100)보다는 상기 판서 영역(200) 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퀵메뉴 영역(300)이 설정 시, 사용자가 구획된 영역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된 메뉴를 상기 판서 영역(200)에 미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퀵메뉴 영역(300)을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보드 영역(200) 상 어느 한 곳에 상기 인쇄된 메뉴를 부착한 뒤, 상기 인쇄된 메뉴의 영역과 일치하도록 모서리 부분의 네 좌표를 지시하여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 상기 퀵메뉴 영역(300)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인쇄된 메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퀵 메뉴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퀵 메뉴 영역(300)을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의 어느 한곳에 고정식으로 인쇄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아니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형태의 퀵메뉴 바(310)를 따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퀵메뉴 바(310)는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면 중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PCB 형태의 퀵메뉴 바(310)는 이동식으로 구성될 경우 상술한 인쇄된 메뉴의 탈부착과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서 영역(200) 상 어느 한 곳에 탈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퀵메뉴 바(310)는 탈부착을 위해서 상기 PCB 퀵메뉴 바(310)의 후면에 자석 등이 마련되어 자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 지정된 위치에 결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퀵메뉴 바(310)에서 선택된 메뉴의 신호는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의 제어부(400)에서 인식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메뉴 통신모듈(3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퀵메뉴 통신모듈(312)은 상기 퀵메뉴 바(310)에 형성되어 있는 퀵메뉴 버튼(311)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실행하고자 하는 메뉴의 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등의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퀵메뉴 통신모듈(312)을 구비하는 대신 상기 퀵메뉴 바(310)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이 도선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PCB 형태로 구성된 퀵메뉴 바(310)의 경우에도 상기 퀵메뉴 영역(300)과 같이 고정식으로 상기 복합 터치 보드(1) 상의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식 퀵메뉴 바(310)의 경우에도 이동 가능한 퀵메뉴 바(310)와 마찬가지로 퀵메뉴 통신모듈(312)을 구비하여 무선통신으로 선택된 메뉴의 신호를 전달하거나, 도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복합 터치 보드(1)는 판서가 가능한 보드를 한 개만 구비하면, 평소에는 일반 판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는 터치영역 설정모듈(110)을 상기 복합 터치 보드(1)에 설치하여 전자칠판과 일반칠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1 : 복합 터치 보드 100 : 터치 영역
110 : 터치영역 설정모듈 111 : 회전광학부
112 : 발광모듈 113 : 수광모듈
114 : 구동모듈 115 : 위치 스캔부
200 : 보드 영역 300 : 퀵메뉴 영역
310 : 퀵메뉴 바 311 : 퀵메뉴 버튼
312 : 퀵메뉴 통신모듈 400 : 제어부

Claims (5)

  1. 일반 필기구에 의해 판서가 가능한 일반칠판으로 기능하는 판서 영역, 지시물체의 위치가 인식되어 전자칠판으로 기능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상의 빠른 메뉴 실행을 위한 퀵메뉴 영역으로 구획되는 보드;와
    상기 보드 일측에 상기 터치 영역을 설정하는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터치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은,
    상기 보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에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보드와 평행한 방향으로 투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접근한 지시물체로부터 상기 투사광이 회귀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하여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회전광학부;와
    상기 수광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영역 내 지시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복수의 제 1 기준위치 지정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터치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메뉴 영역은 상기 터치영역 설정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복수의 제 2 기준위치 지정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퀵메뉴 영역 내 지시물체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퀵메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터치 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퀵메뉴 영역은 상기 보드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퀵메뉴 선택 버튼이 구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터치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은,
    입력된 퀵메뉴 실행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터치 보드.
KR2020160004877U 2016-08-23 2016-08-23 복합 터치 보드 KR201800006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77U KR20180000611U (ko) 2016-08-23 2016-08-23 복합 터치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77U KR20180000611U (ko) 2016-08-23 2016-08-23 복합 터치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11U true KR20180000611U (ko) 2018-03-06

Family

ID=6164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77U KR20180000611U (ko) 2016-08-23 2016-08-23 복합 터치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4015B2 (en) 2018-12-24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writing across a plurality of layers displayed on a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4015B2 (en) 2018-12-24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writing across a plurality of layers displayed on a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4541A1 (en) Information input/output apparatus, information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duct
WO2010137277A1 (en) Optical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TWI571769B (zh) 非接觸輸入裝置及方法
US8890842B2 (en) Eraser for use with optical interactive surface
US20100097212A1 (en) Dynamic information projection for a wall sensor
US20120293555A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EP3032375B1 (en) Input operation system
US10042464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ouchscreen device for detect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047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20180000611U (ko) 복합 터치 보드
EP2988194B1 (en)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US9044995B2 (en) Reflection frame-equipped sheet
CN111813232A (zh) Vr键盘和vr办公装置
JP6569259B2 (ja) 位置検出装置、表示装置、位置検出方法、及び、表示方法
JP2572879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ータ入力装置
US9170685B2 (en) Object location determination
JP2010102378A (ja) 入力制御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CN111782059A (zh) Vr键盘和vr办公装置
JP4538610B2 (ja) 情報入出力システム
JP5623966B2 (ja) 可搬可能な電子黒板システムにおける再帰性反射材の設置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64083A1 (en) Optical touch systems
US201903480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40044525A (ko) 모션 센서 카메라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109624A (ko) 전자칠판의 판서 위치 인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650B1 (ko) 무선 광 마우스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