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87A -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87A
KR20180000587A KR1020160078793A KR20160078793A KR20180000587A KR 20180000587 A KR20180000587 A KR 20180000587A KR 1020160078793 A KR1020160078793 A KR 1020160078793A KR 20160078793 A KR20160078793 A KR 20160078793A KR 20180000587 A KR20180000587 A KR 2018000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ization
game
acquisition
occup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6007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587A/ko
Publication of KR2018000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들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직접 획득하는 과정을 게임하듯이통과하여 가상으로 해당 직업인이 되어 보도록 하는 기술로서, 플레이어가 선택한 하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예: 의사)을 플레이하면 플레이어(예: 학생)는 그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단계적으로 설정된 레벨_가상화게임(예: 레벨별 획득조건)을 진행하면서 해당 직업을 갖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 이겨내야 할 것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결국 학생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학생 자신이 그러한 과정을 감수하면서 그 직업을 장래에 택해야 하는 정도로 적성에 맞는지 미리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들이 게임하듯이 시간을 보내면서도 자신의 장래 희망 직업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Description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virtualization game service for career obtaining}
본 발명은 학생들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직접 획득하는 과정을 게임하듯이통과하여 가상으로 해당 직업인이 되어 보도록 하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선택한 하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예: 의사)을 플레이하면 플레이어(예: 학생)는 그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단계적으로 설정된 레벨_가상화게임(예: 레벨별 획득조건)을 진행하면서 해당 직업을 갖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 이겨내야 할 것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결국 학생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학생 자신이 그러한 과정을 감수하면서 그 직업을 장래에 택해야 하는 정도로 적성에 맞는지 미리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보통 학생들은 희망으로 특정 직업을 고민하게 될 때에는 대부분 그 직업인이 된 이후에 겪게 될 자신의 모습만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학생들이 그 직업인 되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 실제로 이겨 내야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학생들은 잘 생각하지 못하며, 부모님이나 지도 교사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그 결과, 학생들은 스스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에 대해 알아보지만 실제 겪어보기 전에는 제대로 알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한편, 위와 같은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프라인 상에서 자신의 희망 직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0-2004-0061079호 "미래직업을 주제로 한 장래희망 체험관"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개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지 여러 형태의 직업군에서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인이 어떤 모습으로 일하고 있는지를 직업별로 체험한다는 것으로서, 그 직업인이 되기 위해 실제 현실 세계에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고 또 어떻게 이겨내야 하는지 전혀 가늠할 수가 없다.
즉, 학생들은 어떤 직업인이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살아가는지는 예컨대, 드라마나 토론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여러 전문가(예: 의사, 변호사, 교수, 실내건축가 등)의 활동을 통해서도 쉽게 접하지만, 그 직업인이 되기 위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만 그 자리에 있는지는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 입장에서는 전혀 알 수 없다.
그렇다고 부모나 선생님이 자신의 자녀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군에 대해 자세히 알려 준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그 도움을 받으면서 학생들 자신이 직접 그 직업을 획득하는 과정을 통과하여 가상으로 해당 직업인이 되어 보도록 하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61079호 "미래직업을 주제로 한 장래희망 체험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81073호 "직업 메모리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01851호 "참여공연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직업체험교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95364호 "한자 교육 게임 제어방법 및 게임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그 도움을 받으면서 학생들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직접 게임하듯이 획득하는 과정을 통과하여 가상으로 해당 직업인이 되어 보도록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생 자신이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면서 자신이 애초에 희망하던 직업을 얻기 위해서 겪는 과정을 새로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생 자신이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면서 가상으로 여러 직군의 직업인이 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학생 자신이 미처 몰랐던 직업이 자신에게 오히려 맞는 희망 직업이 될 수도 있도록 안내해 줄 수 있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플레이어 클러스터링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해당 미성년자와 그 미성년자의 보호자를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하는 단계; (b)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요청에 따라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는 단계; (c)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직업획득 게임 상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중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d)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해당하는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될 미리 설정된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 (e)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다음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 (f)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의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해당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후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여 최후의 레벨-가상화게임까지 플레이하는 단계; (g)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응하는 직업인이 되었다는 결과메시지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단계 (b) 이전에,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에 해당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거쳐야 하는 획득조건 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g) 이전에, (p-1)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서 획득조건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p-2) 직업별 가상체험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한 획득조건 정보를 기초로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대해 테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p-3)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로부터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 클리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단계 (e) 또는 단계 (f)는, (q-1)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이 종료된 후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을 결정하는 획득옵션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q-2)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q-3)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획득옵션 정보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p-1)은,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획득옵션 정보의 선택이벤트에 대응하는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p-2)는,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스마트단말에 표시한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기초로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대해 테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단계 (p-3)를 수행하기 전에, (p-31)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 클리어를 도와주는 아이템의 구매옵션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p-32)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플레이어 클러스터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p-33)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의한 구매 아이템의 사용 조작을 식별함에 따라 테스트정보에 대한 보조마법사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한편, 단계 (a)는,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외부로부터 보호자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그 보호자 계정을 설정하는 단계;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보호자 계정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미성년자에 대한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을 설정하는 단계;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보호자 계정과 차일드 계정을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b)는, (b-1)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플레이어 클러스터를 통한 직업획득 게임의 활성화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단계 (b-1) 이후에,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차일드 계정과 보호자 계정 간에 메시지 송수신을 내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q-2)는,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p-32)는,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그 도움을 받으면서 학생들 자신이 희망하는 직업을 직접 게임하듯이 획득하는 과정을 통과하여 가상으로 해당 직업인이 되어 보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 자신이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면서 자신이 애초에 희망하던 직업을 얻기 위해서 겪는 과정을 새로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 자신이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면서 가상으로 여러 직군의 직업인이 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학생 자신이 미처 몰랐던 직업이 자신에게 오히려 맞는 희망 직업이 될 수도 있도록 안내해 줄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들이 게임하듯이 시간을 보내면서도 자신의 장래 희망 직업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들이 자신이 무엇을 희망하는지 알기 위해 많은 시간을 방황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위한 게임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게임에 속하는 직업획득 서브게임을 나열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업획득 서브게임의 게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업획득 서브게임의 게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위한 게임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게임에 속하는 직업획득 서브게임을 나열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녀(차일드)와 부모(보호자)는 각각 자신의 스마트단말(210,220)에 직업획득 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전용 S/W인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를 설치한 후 플레이어 클러스터링을 요청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로부터 해당 자녀(차일드)와 부모(보호자)를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와 직업획득 게임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업획득 관리서버(300)를 구비할 수 있다.
직업획득 관리서버(300)는 '직업획득 게임'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해 두고 해당 직업을 얻기 위한 최신 정보의 수집에 따라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직업획득 게임'에는 직업의 종류(예: 의사, 공무원, 검사, 변호사, 정치인, 물리학박사)에 따라 '직업획득 서브게임'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직업획득 서브게임'(예: 공무원)에는 그 공무원 직업을 얻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 단계적으로 거쳐서 이겨내야 하는 '획득조건 정보'(예: 공무원 시험일정, 시험과목, 평균적인 수험기간, 학원 정보, 교재 정보, 강사 정보, 연수 프로그램 등)가 복수 개의 '레벨_가상화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획득조건 정보'는 직업획득 관리서버(300)의 정보 수집능력에 따라 상세하게 세분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업획득 서브게임의 게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요청에 따라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한 상태에서 '직업획득 게임' 상에 미리 설정된 여러 개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중 하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1'(예: 의사)을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선택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그 '직업획득 서브게임 1'에 해당하는 직업인(의사)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될 복수 개의 '레벨_가상화게임' 중 최초의 '레벨_가상화게임 1'을 플레이한다.
여기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복수 개의 '레벨_가상화게임'에 해당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거쳐야 하는 '획득조건 정보'를 복수 개의 '레벨_가상화게임' 별로 미리 설정해 둔다.
그리고, '레벨_가상화게임 1'이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조건 정보 1'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는데, '획득조건 정보 1'의 예로서, 의대 입학 조건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설명한 의대 입학 조건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1'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이렇게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 1'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지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다음 단계의 게임으로서 '레벨_가상화게임 2'를 플레이한다.
그리고, '레벨_가상화게임 2'가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조건 정보 2'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는데, '획득조건 정보 2'의 예로서, 의대 커리큘럼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설명한 의대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2'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이렇게 또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 2'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지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다음 단계의 게임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한편,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에서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으로 진행할 때 복수 개의 루트(예: 의대에서의 과 선택, 인턴/레지던트 이수 여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그 복수 개의 루트를 '획득옵션 정보'로서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데, '획득옵션 정보'의 예로서, 외과/내과/성형외과/산부인과 등의 사항, 인턴/레지던트 과정에 대한 사항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획득옵션 정보'로서 표시된 사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그 '획득옵션 정보'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 n'을 플레이한다.
여기서, '레벨_가상화게임 n'가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는데, '획득옵션조건 정보'의 예로서, 산부인과 커리큘럼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설명한 산부인과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n'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이렇게 단계적으로 게임을 진행하여 최종의 '레벨_가상화게임 n+k'가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조건 정보 n+k'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획득조건 정보 n+k'를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획득조건 정보 n+k'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n+k'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그 결과,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직업획득 서브게임 1'에 대응하는 직업인(예: 산부인과 의사)이 되었다는 결과메시지를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게임을 종료한다.
한편, [도 4]에 기재된 '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k'는 자연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업획득 서브게임의 게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요청에 따라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한 상태에서 '직업획득 게임' 상에 미리 설정된 여러 개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중 하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2'(예: 공무원)을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선택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그 '직업획득 서브게임 2'에 해당하는 직업인(공무원)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될 복수 개의 '레벨_가상화게임' 중 최초의 '레벨_가상화게임 1'을 플레이한다.
그리고, '레벨_가상화게임 1'이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조건 정보 1'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는데, '획득조건 정보 1'의 예로서, 공무원 시험의 일반 요강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설명한 공무원 시험의 일반 요강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1'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이렇게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 1'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지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다음 단계의 게임으로서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한편,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에서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으로 진행할 때 복수 개의 루트(예: 행정고시/외무고시/기술고시/5급/7급/9급 등의 선택 사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그 복수 개의 루트를 '획득옵션 정보'로서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데, '획득옵션 정보'의 예로서, 행정고시/외무고시/기술고시/5급/7급/9급에 대한 사항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획득옵션 정보'로서 표시된 사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그 '획득옵션 정보'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 n'을 플레이한다.
여기서, '레벨_가상화게임 n'이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는데, '획득옵션조건 정보'의 예로서, 7급공무원 시험과목에 대한 사항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설명한 7급공무원 시험과목에 대한 설명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설명한 내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n'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이렇게 단계적으로 게임을 진행하여 최종의 '레벨_가상화게임 n+k'가 플레이 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획득조건 정보 n+k'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획득조건 정보 n+k'를 잘 이해하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그 '획득조건 정보 n+k'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그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이를 정답으로 식별함에 따라 '레벨_가상화게임 n+k'에 대한 미션 클리어가 이루어졌다고 식별한다.
그 결과,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직업획득 서브게임 2'에 대응하는 직업인(예: 7급공무원)이 되었다는 결과메시지를 해당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게임을 종료한다.
한편, [도 5]에 기재된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나타내고, 'k'는 자연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로부터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플레이어 클러스터링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해당 미성년자와 그 미성년자의 보호자를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한다.
여기서, 플레이어 클러스터에는 하나이상의 보호자 계정과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 계정은 법률적 부모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법률적 부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육자(예: 학교 선생님, 학원 교사 등)도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보호자 계정은 성년자로 제한함으로써 차일드 계정을 받은 미성년자가 자신의 친구를 보호자로 계정 받을 수 없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외부로부터 보호자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그 보호자 계정을 설정하고 그 보호자 계정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미성년자에 대한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보호자 계정과 그 설정된 차일드 계정을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한다.
여기서, 보호자와 자녀가 함께할 수 있는 게임으로서 자녀가 게임에 로그인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야만 하도록 게임 내에서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보호자 계정은 플레이어 클러스터 내의 차일드 계정을 활성화 내지 비활성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갖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차일드 계정은 플레이어 클러스터 내의 보호자 계정에서 활성화 해주어야 직업획득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며 보호자 계정에서 해당 차일드 계정을 비활성화하면 직업획득 게임에 참여가 제한된다.
예컨대, 차일드가 휴대하는 스마트단말(210)과 보호자가 휴대하는 스마트단말(220)에 각각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를 설치하면, 차일드가 자신의 스마트단말(210)을 통해 직업획득 게임을 함에 있어서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부터 보호자의 참여(예: 도움)가 가능하고 아룰러 보호자의 의지(예: 교육 방침, 결제 선택)에 따라 차일드의 게임 참여를 제한할 수 있다.
단계 (S12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요청에 따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한다.
여기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플레이어 클러스터를 통한 직업획득 게임의 활성화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차일드 계정과 보호자 계정 간에 메시지 송수신을 내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차일드 계정의 스마트단말(210)이 로그인하여 플레이어 클러스터 내의 보호자 계정의 스마트단말(220)에 게임 진행을 위해 문의메시지를 전송하면 보호자 계정의 스마트단말(220)이 로그인하여 해당 게임의 활성화에 동의하는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는 것이다.
한편,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기 전에 미리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에 해당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거쳐야 하는 획득조건 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단계 (S13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직업획득 게임 상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중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한다.
단계 (S14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해당하는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될 미리 설정된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먼저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서 획득조건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다.
즉, 해당 레벨_가상화게임에서 획득조건 정보로부터 해당 직업인기 되기 위한 해당 단계의 조건(예: 의대의 커리큘럼, 공무원 시험과목, 평균적인 수험기간 등)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을 통해 설명한다.
그리고 나서, 직업별 가상체험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그 설명한 획득조건 정보를 기초로 테스트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테스트정보는 단순한 게임 형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질문하는 문제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직업별 가상체험 에이전트(100)는 하나의 레벨_가상화게임에서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으로 넘어갈 때 그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 종류(예: 공무원인 경우 9급/7급/5급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레벨_가상화게임이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중 동급 단계에서 복수의 레벨_가상화게임이 발생하는 경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그에 따른 획득옵션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하여 플레이어 클러스터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면 그 획득옵션 정보(예: 공무원 중 7급)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이때,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경우에 비로소 그 획득옵션 정보(예: 공무원 중 7급)에 대응하는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차일드(자녀)가 어떤 직업을 선택하는지에 대해 보호자(부모)의 도움 내지는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해당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 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테스트정보를 표시할 때 획득옵션 정보(예: 7급 공무원의 시험과목, 선발인원 등)를 기초로 한다.
단계 (S15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다음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앞서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 테스트정보에 대응하여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로부터 응답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 클리어를 식별하고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한다.
여기서, 미션 클리어는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한 테스트정보에 대응하여 그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응답메시지(예: 정답)을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제공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그 플레이어 클러스터는 해당 레벨_가상화게임을 통과한 것으로 식별하여 다음 단계의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다.
단계 (S16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의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해당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후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여 최후의 레벨-가상화게임까지 플레이한다.
단계 (S17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응하는 직업인이 되었다는 결과메시지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출력한다.
한편, 각각의 레벨_가상화게임이 진행되는 중에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테스트정보(예: 문제)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제공함과 아울러 아이템의 구매옵션을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표시한 테스트정보에 대응하여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미션 클리어를 위한 응답메시지(예: 정답)를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에 제공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때,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로부터 해당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가 발생하면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한다.
여기서도,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는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매이벤트를 실제로 결제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부모)가 동의하는 경우에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보호자는 차일드로부터 내부적으로 송수신하는 문의메시지를 확인한 후 아이템의 구매없이 부모의 조언으로 해결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굳이 아이템의 구매결제를 위해서는 보호자의 동의를 구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100)가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의한 해당 아이템의 사용 조작을 식별함에 따라 테스트정보에 대한 보조마법사 정보를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200)에 실행시킨다.
여기서, 보조마법사는 예컨대, 테스트정보에 대해 힌트를 제공하는 힌트마법사,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자신의 스마트단말(200)에 응답메시지를 입력하는 마감시간 진행 속도를 조금 느리게 진행하는 마법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
200 : 플레이어 클러스터 스마트단말
210 : 차일드 스마트단말
220 : 보호자 스마트단말
300 : 직업획득 관리서버

Claims (7)

  1. (a)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직업획득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플레이어 클러스터링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해당 미성년자와 그 미성년자의 보호자를 하나의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는 단계;
    (c)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직업획득 게임 상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직업획득 서브게임 중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d)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특정의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해당하는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될 미리 설정된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
    (e)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최초의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다음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
    (f)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상기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의 미션을 완수하였다는 해당 미션 클리어를 식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후 단계의 레벨-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여 최후의 레벨-가상화게임까지 플레이하는 단계;
    (g)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가 상기 직업획득 서브게임에 대응하는 직업인이 되었다는 결과메시지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에 해당 직업인이 되기 위해 단계적으로 거쳐야 하는 획득조건 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g) 이전에,
    (p-1)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복수의 레벨-가상화게임 중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서 상기 획득조건 정보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p-2) 상기 직업별 가상체험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한 상기 획득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대해 테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p-3)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로부터 상기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 클리어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또는 상기 단계 (f)는,
    (q-1)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하나의 상기 레벨_가상화게임이 종료된 후 다음 단계의 상기 레벨_가상화게임을 결정하는 획득옵션 정보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q-2)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조작에 따른 상기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q-3)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획득옵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레벨_가상화게임을 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p-1)은,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획득옵션 정보의 선택이벤트에 대응하는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p-2)는,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스마트단말에 표시한 상기 획득옵션조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대해 상기 테스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p-3)를 수행하기 전에,
    (p-31)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테스트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레벨-가상화게임에 대한 미션 클리어를 도와주는 아이템의 구매옵션을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p-32)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로부터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p-33)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에 의한 상기 구매 아이템의 사용 조작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테스트정보에 대한 보조마법사 정보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실행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외부로부터 보호자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그 보호자 계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보호자 계정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미성년자에 대한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하나이상의 차일드 계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보호자 계정과 상기 차일드 계정을 하나의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를 통한 상기 직업획득 게임의 활성화 요청을 식별함에 따라 상기 직업획득 게임을 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 이후에,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는 상기 차일드 계정과 상기 보호자 계정 간에 메시지 송수신을 내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q-2)는,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획득옵션 정보에 대한 선택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p-32)는,
    상기 직업획득 가상화 에이전트가 상기 보호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아이템에 대한 구매이벤트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 클러스터의 스마트단말에 해당 구매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78793A 2016-06-23 2016-06-23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0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93A KR20180000587A (ko) 2016-06-23 2016-06-23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93A KR20180000587A (ko) 2016-06-23 2016-06-23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87A true KR20180000587A (ko) 2018-01-03

Family

ID=6100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93A KR20180000587A (ko) 2016-06-23 2016-06-23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6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패러렐월드 가상현실을 이용한 공존 직업 체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becelaere et al. The effectiveness of adaptive versus non‐adaptive learning with digital educational games
Deng et al. Digital game‐based learning in a Shanghai primary‐school mathematics class: A case study
US20180126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knowledge transfer with a game
Gordillo et al. Evaluating an educational escape room conducted remotely for teaching software engineering
Aubeux et al. Educational gaming for dental students: Design and assessment of a pilot endodontic‐themed escape game
Rudolphi-Solero et al. A team-based competition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o learn radiology within the virtual world Second Life
Lewiss et al. SonoGames: an innovative approach to emergency medicine resident ultrasound education
Alharthi Assessing Kahoot's Impact on EFL Students' Learning Outcomes.
Behnke Gamification in introductory computer science
dos Reis Lívero et al. Playfulness in the classroom: Gamification favor the learning of pharmacology
Somerville et al. Student trajectory aspiration research (STAR): A study of aspirations, enablers and barriers to further education in the Blacktown Learning Community
Romero-Hernandez et al. The courtesy of Spain: Theater for the new generations
KR20180000587A (ko) 직업획득 가상화 게임서비스 제공 방법
Obikwelu Evaluating scaffolding in serious games with children
Kwon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prompting instrument to support learning within the diffusion simulation game
Rose et al. MAGPIES: Math & girls+ inspiration= success: Creating and implementing a virtual math circle for girls
Mukazi Simulations as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s to Enhance Student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Shah et al. Breast imaging bingo: an educational game to supplement the traditional assessment style
Stanton Effects of Minecraft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teaching geometry at the fifth-grade level
Hussei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nline Gamified Assessment Environment
Tinsley et al. Increasing Student Self-Efficacy in Aphasia Through a Simulated Escape Room
Oltman Exploring a Curriculum-embedded, Constructivist-inspired, Augmented Reality Game within an Early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ts Influence on Student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and 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s
Liu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of Teachers from Game Users to Game Designers
Mohd Sivan Integrating Games In Classroom Instruction: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ule
Jacks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