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79A -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79A
KR20180000579A KR1020160078763A KR20160078763A KR20180000579A KR 20180000579 A KR20180000579 A KR 20180000579A KR 1020160078763 A KR1020160078763 A KR 1020160078763A KR 20160078763 A KR20160078763 A KR 20160078763A KR 20180000579 A KR20180000579 A KR 2018000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audio data
audio
wireless rout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147B1 (ko
Inventor
정낙주
서종균
박효상
Original Assignee
(주)유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테크 filed Critical (주)유비테크
Priority to KR102016007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04L65/6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를 인터넷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시켜주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오디오단자(150);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 기기(300)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110); 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과 음성이 함께 제공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장소 특성상 음성을 켤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으며, 특히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과 동기화 된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HOME ROUTER HAVING AUDIO TRANSMITTING FUNCTION AND AUDIO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IS ROUTER}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나 다른 A/V 기기들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들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공유기는 PC 가격의 급락으로 인하여 바야흐로 한 집안에 가족 한 명당 한 대씩 컴퓨터를 쓸 정도로 PC 보급률이 좋아져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노트북과 같은 보조용 컴퓨터의 보급과 스마트 폰의 빠른 보급, IPTV 셋탑박스와 스마트 TV 등 새로운 기기의 보급, 그 외 와이파이(Wi-Fi)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는 기기들의 증가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오디오 전송 관련 기술은 스마트 폰의 오디오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피커나 헤드셋을 이용하여 청취할 수 있는 기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나 오디오를 TV나 다른 기기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 기기 간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술에는 애플(Apple Inc.) 사의 Air Play와 같이 자신의 스마트 기기의 음성이나 영상을 다른 기기에 보낼 수 있는 기술들이 있다. 이와 같은 Air Play를 이용한 기술에는 스마트 폰의 오디오를 수신하여 연결된 스피커에서 출력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공공장소, 병원, 버스, 지하철 등에 설치된 TV나 전광판(Signage) 등은 장소 특성상 주로 영상만을 출력하고 음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공공장소의 TV 또는 전광판, 버스의 TV 등은 소음으로 인하여 영상만을 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용자들은 중요한 뉴스나 스포츠 중계 등을 관람할 때, 음성을 듣기를 원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음성 청취에 있어서 영상과의 동기화가 중요하므로 최소한의 지연 시간을 갖도록 구현하여야 함과 아울러, 하나의 오디오 출력 기기에 여러 명이 동시에 와이파이 또는 LAN으로 접속하여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4999호 (유무선 공유기, 2014.10.20. 등록)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자신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영상과의 동기화가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지연 시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하나의 입력 기기에 여러 명이 동시에 와이파이 또는 LAN으로 접속하여 수신할 수 있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 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를 인터넷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시켜주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오디오단자(150);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 기기(300)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접속을 관리하는 TCP 스레드(Thread)와 오디오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하는 UDP 스레드를 생성 및 처리하는 스레드처리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스마트 기기(300)에 전송하기 위해 인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스마트 기기(300)가 있는지 판단하되,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가 없는 경우 설정된 접속체크시간 후에 접속 상태를 다시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로 전송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대하여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인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되는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관리하고 접속되는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 개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300)가 있을 경우에만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은 다음, 읽어낸 오디오 데이터를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시지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에 메시지 버퍼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 개수 체크 단계에서, 만약 접속자 수가 0이면 미리 설정된 접속체크시간 후에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유무선 공유기(100)의 내부 프로그램이 TCP 서버로 소켓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 스마트 기기(300)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접속하는 스마트 기기(300)마다 별도의 소켓 지시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300) 접속 시에 전달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상기 소켓 지시자를 별도의 구조체 변수에 할당하는 단계; 기 저장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생성된 소켓 지시자를 인자로 전달하여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는 스마트 기기(300)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300) 스레드를 생성 단계 이후에, 전달받은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소켓 지시자를 변수에 저장하는 단계;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를 인자로 하여 실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UDP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접속 종료이면, UDP 스레드에 종료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UDP 스레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UDP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가 접속중인 상태라면, UDP 소켓을 생성하는 단계; TCP 접속에서 획득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메시지 버퍼를 체크하여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UDP 소켓을 이용하여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에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확인은 메시지 순서 번호를 판독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하고 있는 번호와 메시지 버퍼의 번호가 다르면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메시지 번호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과 음성이 함께 제공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장소 특성상 음성을 켤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으며, 특히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과 동기화 된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스마트 폰을 사용하므로 활용성이 뛰어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레드를 이용한 능동적인 접속 관리를 통해 공유기 내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저사양 공유기에서도 다중 접속된 스마트기기에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무선 공유기(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오디오 입력 및 인코딩 처리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스마트 기기(300) 접속 상태 모니터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무선 공유기(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공유기(100), 오디오 출력 장치(200)(2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300)를 포함한다.
유무선 공유기(100)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를 접속하여 외부 인터넷 망에 접속가능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오디오 단자를 구비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에 인코딩한 후 전송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오디오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100)는 세부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LAN 포트(120), WAN 포트(130), WIFI 안테나(140), 오디오단자(150), 전원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 기기(300)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LAN 포트(120)는 스마트기기를 LAN 접속하도록 포트를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WAN 포트(130)는 외부 인터넷 망이 접속되는 포트로 제공되며, WIFI 안테나(140)는 WI-FI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오디오단자(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는 단자이며,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전원 어댑터가 연결되어 유무선 공유기(100)의 각 부가 동작하도록 한다.
나아가, 유무선 공유기(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스레드처리부, 인코더, 메시지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레드처리부는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접속을 관리하는 TCP 스레드와 오디오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하는 UDP 스레드를 생성 및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들여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다.
메시지 버퍼는 스마트 기기(300)에 전송하기 위해 인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스레드처리부, 인코더 또는 메시지 버퍼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10)의 내부 모듈로 구현되거나 각각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제어부(110)의 내부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부분이므로, 본 발명이 특정한 모듈 구현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오디오 단자에 입력되어 스마트 기기(300)에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예컨대, 음성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는 라디오, 인터넷(Voip) 전화기 등의 오디오 출력 기기뿐만 아니라, 영상과 음성이 함께 제공되는 공공장소의 TV, 전광판, 스포츠 경기장 또는 콘서트 장과 같은 스타디움(Stadium)의 대형 스크린 등도 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장치로, 특히 유무선 공유기(100)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LAN, WIFI 등 유무선 접속이 가능한 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 패블릿(Phablet) 폰, 태블릿, 노트북형 컴퓨터, 데스크톱형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오디오 입력 및 인코딩 처리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대한 초기화를 한다(S100).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100)에서 인식하는 장치가 다르게 보여질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에 맞는 초기화를 수행한다.
초기화 후 오디오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인코딩하기 위해서 오디오 코덱(CODEC)을 초기화한다(S102). 예컨대, 오디오 코덱으로서, Opus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Opus 코덱은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가 개발한 손실 오디오 압축 포맷이며, RFC 6716으로 표준화된 오픈 포맷에 해당하는 것이다.
스마트 기기(300)(클라이언트)의 접속을 관리하고 접속되는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할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생성한다(S104).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 개수를 계수기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판단하고(S106),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300)가 있을 경우에만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들여 인코딩한다(S108, S110). 만약 접속자 수가 0이면 미리 설정된 접속체크시간 후에 다시 시도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는다.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서 10ms 또는 20ms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다음, 읽어낸 오디오 데이터를 Opus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한다.
인코딩한 데이터를 메시지 버퍼에 저장한다(S112). 여기서 저장한 버퍼는 글로벌 버퍼로서, 접속한 모든 스마트 기기(300)에서 데이터를 읽어가기 위해서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스마트 기기(300)(클라이언트) 접속은 TCP를 이용한다. 유무선 공유기(100)의 내부 프로그램이 TCP 서버로 소켓을 생성하고 초기화한다(S200). 최대 접속 스마트 기기(300) 개수는 설정 파일에 의해서 주어진다.
이후 스마트 기기(300) 접속을 대기한다(S202). 접속하는 모든 스마트 기기(300)는 여기에서 IP 주소와 접속 포트를 알 수 있다. 또한 접속하는 스마트 기기( 300)마다 별도의 소켓 지시자(Socket Descriptor)가 할당된다. 이후의 TCP/IP 통신은 이 소켓 지시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스마트 기기(300) 접속시에 전달된 스마트 기기(Client, 300) IP 주소와 생성된 소켓 지시자를 별도의 구조체 변수에 할당한다(S204).
기 저장한 스마트 기기(300) IP 주소와 생성된 소켓 지시자를 인자로 전달하여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는 스마트 기기(300) 스레드를 생성한다(S206).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스마트 기기(300) 접속 상태 모니터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달받은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소켓 지시자를 변수에 저장한다(S300).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를 인자로 하여 실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UDP 스레드를 생성한다(S302).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감시한다(S304). 접속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접속 종료이면, UDP 스레드에 종료 명령을 전달한다(S306).
UDP 스레드를 종료한다(S308).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스레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UDP 소켓을 만든다(S400). 오디오 데이터는 ACK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약간의 손실이 발생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UDP로 통신하도록 소켓을 생성한다.
TCP 접속에서 획득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주소를 설정한다(S402). UDP는 TCP와 달리 연결을 확정하지 않고도 특정 주소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메시지 버퍼를 체크하여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S404).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의 확인은 메시지 순서 번호로 확인할 수 있다. 저장하고 있는 번호와 메시지 버퍼의 번호가 다르면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메시지 번호를 갱신한다(S406).
UDP 소켓을 이용하여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에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408).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가 없으면 기 설정된 검사대기시간 후에 다시 검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유무선 공유기 110 : 제어부
120 : LAN 포트 130 : WAN 포트
140 : WIFI 안테나 150 : 오디오단자
160 : 전원부 200 : 오디오 출력 장치
300 : 스마트 기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를 인터넷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시켜주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오디오단자(150);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 기기(300)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접속을 관리하는 TCP 스레드와 오디오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하는 UDP 스레드를 생성 및 처리하는 스레드처리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스마트 기기(300)에 전송하기 위해 인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버퍼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
  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스마트 기기(300)가 있는지 판단하되,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가 없는 경우 설정된 접속체크시간 후에 접속 상태를 다시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무선 공유기(100);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로 전송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5.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100)에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대하여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인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되는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관리하고 접속되는 스마트 기기(300)별로 별도의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 개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300)가 있을 경우에만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읽은 다음, 읽어낸 오디오 데이터를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시지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에 메시지 버퍼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 개수 체크 단계에서, 만약 접속자 수가 0이면 미리 설정된 접속체크시간 후에 다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300) 접속 관리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유무선 공유기(100)의 내부 프로그램이 TCP 서버로 소켓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 스마트 기기(300)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접속하는 스마트 기기(300)마다 별도의 소켓 지시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300) 접속 시에 전달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상기 소켓 지시자를 별도의 구조체 변수에 할당하는 단계; 및
    기 저장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생성된 소켓 지시자를 인자로 전달하여 접속 상태를 모니터하는 스마트 기기(300)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300) 스레드를 생성 단계 이후에,
    전달받은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와 소켓 지시자를 변수에 저장하는 단계;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를 인자로 하여 실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UDP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접속된 스마트 기기(300)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접속 종료이면, UDP 스레드에 종료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UDP 스레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DP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기기(300)가 접속중인 상태라면, UDP 소켓을 생성하는 단계;
    TCP 접속에서 획득한 스마트 기기(300)의 IP 주소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
    메시지 버퍼를 체크하여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UDP 소켓을 이용하여 접속한 스마트 기기(300)에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새로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확인은 메시지 순서 번호를 판독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하고 있는 번호와 메시지 버퍼의 번호가 다르면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메시지 번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100)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KR1020160078763A 2016-06-23 2016-06-23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KR10185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63A KR101852147B1 (ko) 2016-06-23 2016-06-23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63A KR101852147B1 (ko) 2016-06-23 2016-06-23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79A true KR20180000579A (ko) 2018-01-03
KR101852147B1 KR101852147B1 (ko) 2018-04-25

Family

ID=610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63A KR101852147B1 (ko) 2016-06-23 2016-06-23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47B1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729B2 (en) Method for sharing resource of a videoconference using a video conferencing system
US104254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rendering of multimedia content
US20180115612A1 (en)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US8149711B2 (en) Data stream control for network devices
US10178185B2 (en) Load-balanced, persistent connection techniques
JP2021527366A (ja) 統合会議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932210B2 (en)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21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ference signal, video conference terminal, and mobile device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WO2015074445A1 (zh) 多路无线显示方法及装置
CN111092898B (zh) 报文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8681659B2 (en) Ethernet equipment utilizing catalogs and continuity checks to enhance UPnP and AVB applications
EP30599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content adaptation, and central server and device
CN112019792A (zh) 会议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101852147B1 (ko) 오디오 전송 기능이 있는 유무선 공유기, 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CN112770078A (zh) 一种视频会议终端融合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JP2021190751A (ja) サーバ装置、サーバ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104649A (zh) 多媒体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服务器和存储介质
US11950019B2 (en) Mobile terminal and hub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14675A (ko)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방법
US20130222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audio service
US20140379867A1 (en) Rui system, rui server, rui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913626A (zh) 一种实现从源端显示屏到目的端显示屏的镜像功能的设备
WO2017111183A1 (ko) 휴대용 무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미러링 제공 방법
US92884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plit endpoints in video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