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60A -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560A KR20180000560A KR1020160078693A KR20160078693A KR20180000560A KR 20180000560 A KR20180000560 A KR 20180000560A KR 1020160078693 A KR1020160078693 A KR 1020160078693A KR 20160078693 A KR20160078693 A KR 20160078693A KR 20180000560 A KR20180000560 A KR 201800005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lution
- exposure
- smart terminal
- information
- ex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17 linear reg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하루동안 실외공간 활동 시 대기중 오염인자(예: 미세먼지, 자외선, 오존,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에 얼마나 노출된 것일까에 대한 누적 오염인자 지수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o ascertain the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index of how exposed to atmospheric pollutants (e.g., fine dust, ultraviolet rays, ozone,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during outdoor daytime activities.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환경데이터 제공서버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받게되는 오염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서,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단말이 이동하는 궤적에 대응하여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오염인자의 수치를 누적적으로 산출한 후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면 해당 사용자는 그 관리구간 내에서 실외공간 활동시 얼마만큼의 대기중 오염인자에 누적 노출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confirm the degree of contamination exposure that a user receives in everyday life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The number of pollution factors provided from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is calculated cumulatively corresponding to the locus of movement of the smart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during the period until the user reques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e user is able to know how much air pollution factor is accumulated in the outdoor space activity in the management zone.
본 발명에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누적하기 위한 관리구간은 구현예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또는 위치정보 등록(집, 회사)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 활동을 시작한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그동안 오염인자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지 정보를 요청할 때까지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산정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ction for accumulating the pollutant exposure information can be flexib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the pollutant until the user requests information on how much exposure to the pollutant was based on the time when the user started the activity through the GPS 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house, company) . ≪ / RTI >
최근, 사람들은 외출하기 전에 스마트폰을 통해 오염인자(예: 미세먼지, 자외선, 오존,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를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일상화가 되어 있다.In recent years, it is common for people to identify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ultraviolet rays, ozone,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in advance through a smartphone before going out.
그만큼, 오염인자에 대한 노출 여부가 건강을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This is because exposure to pollutants is known to greatly influence health.
보통, 현재의 오염인자에 대한 정보는 전국의 지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데, 뉴스매체나 스마트단말이 공공데이터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general, information on current pollutant factors is divided into regions of the nation, and news media or smart terminals can obtain and display the information from public data servers.
그런데, 개개인 각자는 실내에 하루종일 머무르거나, 실외에 하루종일 머무르거나, 실내와 실외를 번갈아 옮겨다니는 경우를 들 수 있다.However, each individual may stay indoors all day, stay outdoors all day, or alternate between indoor and outdoor.
여기서, 실외를 돌아다니는 경우에도 이동궤적과 시간이 제각각 모두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하루동안 오염인자에 노출되는 양과 오염인자의 종류는 제각각 다를 수 밖에 없다.Here, even when traveling around outdoors, since the movement locus and the ti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amount of exposure to the pollutant and the type of the pollutant factor are inevitably different.
그로 인해, 자신이 얼마나 많은 오염인자에 실제로 노출되고 있는지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know how many pollutants are actually exposed to them.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단말의 사용자가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실외공간 활동 시 각종의 대기중 오염인자(예: 미세먼지, 자외선, 오존,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에 얼마나 노출되었는지에 관한 누적 오염인자 지수를 해당 스마트단말을 통해 알려 주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terminal, a smart terminal,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smart terminal of the cumulative pollutant index of how much exposure to various atmospheric pollutants (eg, fine dust, ultraviolet rays, ozone,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during outdoor activiti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인자에 대한 노출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특정의 관리구간 이내라도 해당 스마트단말을 통해 알려 주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smart terminal of a contamination factor within a certain management interval when the exposure amoun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식별하고 그에 따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데이터를 구분 처리함으로써 환경데이터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지역별 오염인자 정보에 의존하여 서비스를 구축하더라도 신뢰도 높게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dentify whether a smart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and to divide data received from an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to thereby establish a service depending on local pollution factor information provided by an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The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with high relia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단말의 위치에 따라 그 사용자가 오염인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 누적으로 체크하여 알려주는 방법으로서, (a)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b)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c)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d)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 누적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e)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forming a user of a degree of exposure of a user to a pollutant factor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management period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smart terminal carried by a user, The agent periodically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 determining a target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c) acquiring, from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th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information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 generating a contamination factor cumulative exposure index for a contaminated smart terminal by accumulating pollutant exposure information in a specific management period; (e) displaying the contamination index cumulative exposure index on the contaminated exposure smart terminal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또한, 본 발명은 단계 (a)와 단계 (b) 사이에 수행되는, (b-1)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그 판단 결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지정하고 단계 (d)로 진행하는 단계; (b-3) 그 판단 결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단계 (c)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B-1) the contamina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which is performed between steps (a) and (b), determines whether the contaminated exposure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located in a second location; (b-2) i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doors,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signates the pollution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s a preset value and proceeds to step (d); (b-3) i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identified as being located outdoo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may proceed to step (c).
본 발명에서 단계 (b-1)은,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시간에 따른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가 실내로 미리 설정된 특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가 지하철 노선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지리적 이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를 초과함을 식별하면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GPS 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step (b-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geometrically analyzes the movement trajectory according to time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located outdoors or outdoors;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preset in a room;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ubway line;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eographical movement speed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speed; And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fails to effectively receive the GPS signal.
또한, 본 발명에서 단계 (d)는,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실시간으로 누적함으로써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도출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림이벤트를 생성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오염인자 과다 노출에 대응하는 행동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누적 시간이 특정의 관리구간에 도달하면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riving the cumulative impression index of the pollutant factor at the current point in the contaminant-exposed smart terminal by accumulating th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generates a notification event and displays the notification event on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when the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the pollution factor at the presen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providing the user with an action guide corresponding to the pollutant overexposure when the cumulative exposure factor of the pollutant factor at presen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accumulated exposure index of the pollutant factor to the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the pollutant factor for the pollutant-exposed smart terminal when the accumulation time reaches a specific management se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각종 오염인자에 얼마나 노출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반영하여 생활 환경을 개선하도록 노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now how much a user is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in daily lif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y to improve a liv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pollut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데이터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지역별 오염인자 정보를 활용하더라도 비교적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latively reliable service can be provided even if the local pollution facto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is utiliz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위치가 일상적으로 이동하는 특정 지점(예: 집, 회사)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지하철 노선에 대응하는 경우, 사용자의 지리적 이동속도가 소정의 임계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등에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염인자에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양을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pecific point (for example, a house or a company) where a user's position is routinely moved, when the posi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a subway line, when the geographical moving speed of the use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speed The user can determine the amount of the actual exposure to the pollutant factor relatively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표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표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관리구간 내에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누적하여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식별하여 구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실시간으로 도출하면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geometric analysis of a movement trajectory of a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ometric analysis of a movement trajectory of a contamination-expose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umulating pollutant exposure information in a specific managemen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ss of a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a location of a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from indoor or out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a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pollutant factors in re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의 위치에 따라 그 사용자가 오염인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누적으로 체크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exposure of a user to a pollutant fac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llution-exposed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 간의 정보 전달을 인터페이스하는 오염정보 제공서버(300)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pollution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예: GPS 값)를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로 전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pollution
이어서,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정보를 판단하고, 그 타겟영역 정보에 대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질의하는 메시지('타겟영역 오염질의 메시지')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예: 기상청, 환경공단 등의 서버; 400)에 전달한다. 이때,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는 기상청이나 환경공단 등이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사설 환경 측정데이터 공급 서비스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가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pollution
여기서, '타겟영역 정보'는 오염정보 제공서버(300)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오염인자 노출 수치를 질의하기 위해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에 전달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타겟영역 정보'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에서 채택되는 데이터 형식에 대응하여 정의되는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예: GPS 값)와 등가의 데이터일 수도 있고 행정구분(예: 우편번호)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Here, the 'target area information' refers to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ollution
그리고 나서,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타겟영역 오염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그로부터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획득한다.Then, the pollution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에 대하여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누적함으로써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사용자가 해당 관리구간(예: 오늘 하루)동안 얼마나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한다.The pollution
이때,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누적하기 위한 관리구간은 구현예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24시간을 기준으로 새벽 0:00 부터 그날 밤 24:00 까지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앱 메뉴를 통해 설정하는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GPS 또는 위치정보 등록(집, 회사)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 활동을 시작한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그동안 오염인자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지 정보를 요청할 때까지의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ction for accumulating the pollutant exposure information can be flexib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it can be defined as a time interval from 0:00 am to 24:00 that night based on 24 hours a day. It may also be defined as a time period set by a user through an app menu. Also, it may be defined as a time interval from when the user starts the external activity through the GPS or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house, company) until when the user requests information about how much the user has been exposed to the pollution factor.
또한, 관리구간은 하나만 설정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24시간을 기본 관리구간으로 설정해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활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중간에 임의로 오염인자 누적노출 정보를 요청한 시점을 임시 관리구간으로 설정한 구현예를 들 수 있다.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임시 관리구간에 대해 산정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제공한 이후라도 실외활동 시간은 관리구간 개시 시점(예: 실외노출 개시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누적시켜 기본 관리구간 또는 이후의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제 2 임시 관리구간에 대한 오염인자 노출 지수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ction is not limited to being set to one, but may be set to a plurality of management sections.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24 hours a day is set as a basic management interval, a point in time when a user requests arbitrary contamination factor cumulative exposure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a user starts an external activity is set as a temporary management interval.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continuously accumulates the outdoor activity tim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management zone (for example, the start time of the outdoor exposure) even after providing the accumulated exposure index of the pollutant factor calculated for the temporary management zone, And generates a pollutant exposure index for the second temporary management interval according to the request.
그리고, 오염정보 제공서버(300)는 그 생성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별로 제공한다.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은 자신에 대해 제공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소리, 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 영상 중 어느 하나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e pollution
본 발명에서는 해당 위치에 대한 오염인자 식별을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때와 실외에 있을 때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lution factor identification for the location is divided and processed when the user is indoors and outdoor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와 직접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정보를 판단하고, 그 타겟영역 정보에 대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질의하는 메시지('타겟영역 오염질의 메시지')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에 전달한다.The pollution
이때,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100)을 통해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타겟영역 오염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획득한다.At this time, the pollution
이어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누적함으로써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사용자가 해당 관리구간 동안 얼마나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한다. 이때,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누적하기 위한 관리구간이 구현예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관리구간이 복수 개로 설정될 수도 있다는 점은 제 1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The pollution
그리고,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획득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전달받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은 그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소리, 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e pollution-exposed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표시한 예시도이다.FIG. 3 and FIG. 4 are diagrams illustrating geometric analysis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contamination-exposed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시간에 따른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한다.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이러한 기하학적 분석 결과로부터 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이동궤적이 여러 지점을 경유함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경계를 갖는 "A 영역" 내에서 이루어진다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contamination-exposed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이동궤적이 소정의 경계를 갖는 "B 영역" 내부를 벗어나 "B 영역" 외부로 이어진다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contamination-exposed
본 발명에서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즉,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오염인자의 수치를 자체 센서를 통해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가정한다. 그런데, 환경데이터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오염 수치는 실외에만 유효하고 실내 공간에 대해서는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보아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pollution factor for the location of the contamination-exposed smart terminal 210 (i.e., the location of the user) is obtained from an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rather than securing it through its own sensor. However, the pollution value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is valid only for outdoor use, and it should be regarded as virtually meaningless for the indoor space.
그에 따라,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될 때에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pollution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 22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될 때에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가 제공하는 오염 수치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 곤란하다. 즉, 본 명세서에서 '실내'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가 제공하는 오염수치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공간(예: 건물, 차량, 지하철 등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pollution-exposed
이러한 경우에는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각 오염인자 별로 실내에 대해 미리 설정한 수치를 활용할 수 있다. 매우 낮은 값을 설정할 수도 있고, 해당 지역에 대해 미리 확보한 평균치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아예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만일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0'으로 설정하였다면 해당 지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이후 과정은 실질적으로 스킵(skip)하고 처음으로 복귀하는 것이나 결과적으로는 다름없다.In this case, the pollu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관리구간 내에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일정 관리구간 동안 누적하여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누적하기 위한 관리구간은 구현예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의 그래프는 새벽 0:00 부터 그날 밤 24:00 까지의 하루 24시간을 관리구간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umulating contamination factor exposure information in a specific managemen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certain management period to calculate a cumulative exposure factor of pollution factors. FIG. The management interval for accumulating the pollutant expo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lexib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raph of FIG. 5 shows that 24 hours a day from 0:00 dawn to 24:00 that night is managed As shown in Fig.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예: 하루 동안) 누적하여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한다.The pollution
여기서, 관리구간(24h)를 구간 1(d1)으로부터 구간 4(d4)에 이르기까지 시계열적으로 살펴보면, 구간 1(d1)은 새벽에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사용자가 집 내부에 있는 경우로서 오염인자 노출정보가 편의상 '0'으로 설정된 상황을 나타낸다.If the user of the
구간 1(d1)와 구간 2(d2) 사이에는 오전에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출함에 따라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하였다.The pollution
구간 2(d2)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사용자가 점심식사를 위해 실내에 진입함에 따라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편이상 '0'으로 설정하였다.In the interval 2 (d2), as the user carrying the contamination-exposed
구간 2(d2)와 구간 3(d3) 사이에는 점심식사 후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를 돌아다님에 따라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하였다.The pollution
구간 3(d3)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사용자가 커피숍 등의 실내에 진입함에 따라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편이상 '0'으로 설정하였다.In section 3 (d3), as the user carrying the contamination-exposed
구간 3(d3)와 구간 4(d4) 사이에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상태로 식별되었지만,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오염인자 노출정보로 볼 때 상대적으로 오염이 적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The user who carries the contamination-exposed
구간 4(d4)는 저녁에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사용자가 집에 돌아와 있는 경우로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이를 식별하여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편이상 '0'으로 설정하였다.Section 4 (d4) is a case where the user of the
여기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도 5]에서와 같이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을 휴대한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일정 관리구간(24h) 동안 누적시키면 해당 시간동안 사용자가 노출된 오염인자의 총합을 도출할 수 있는데,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라고 부른다. 이는 [도 5]에서 그래프의 적분에 대응된다.Here, the pollution
한편, 바람직하게는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관리구간(24h) 내에서 실시간으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하는데, 특정의 시간(t1)에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함을 식별하게 되면 알림이벤트를 생성하여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그 알림이벤트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림이벤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오늘 하루 이미 너무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어버렸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Preferably, the pollu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인자 노출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ss of a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10, S120) : 먼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로는 GPS 값이 사용될 수 있다.Steps S110 and S120: 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ollution
이때,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정보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타겟영역 정보는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가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에 대하여 오염인자 노출 수치를 질의하기 위해 예컨대 오픈 API를 통해 전달하는 위치 정보의 포맷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pollution
단계 (S130)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그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획득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그 타겟영역 정보에 대한 타겟영역 오염질의 메시지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에 전송하고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로부터 그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오염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타겟영역 오염응답 메시지로부터 그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획득한다.Step S130: The pollution
단계 (S140, S150)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도 5]에서와 같이 그 획득한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 누적함으로써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이렇게 생성한 해당 관리구간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소리, 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 영상 중 어느 하나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teps S140 and S150: The pollution
이때,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사용자가 해당 관리구간 동안, 예컨대 오늘 하루동안 얼마나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The pollutant cumulative exposure index is an index indicating how many pollutants are exposed to the user of the pollution-exposed
한편,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특정의 관리구간(예: 하루 24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함을 식별하는 경우에는 그 즉시(예: 오후 3시 30분) 알림이벤트를 생성하여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그 알림이벤트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림이벤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오늘 하루 이미 너무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어버렸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mination
[도 7]은 본 발명에서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식별하여 구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의 프로세스는 [도 6]의 순서도에서 단계 (S110)과 단계 (S120) 사이에 삽입되어 수행되는 과정에 해당된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the loc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단계 (S111) : 먼저,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tep S111: First, the pollution
본 발명에서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즉,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오염인자의 수치를 자체 센서를 통해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가정한다. 그런데, 환경데이터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오염 수치는 실외에만 유효하고 실내 공간에 대해서는 사실상 무의미하므로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pollution factor for the location of the contamination-exposed smart terminal 210 (i.e., the location of the user) is obtained from an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rather than securing it through its own sensor. Incidentally, the pollution value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is effective only for outdoor, and it is virtually meaningless for the indoor space, so that it is indoors or outdoors.
본 발명에서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다섯 가지 구현예를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ve example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mination-exposed
첫번째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시간에 따른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the pollution
두번째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가 실내로 미리 설정된 특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의 전용 앱 메뉴에서 자신의 집과 사무실 위치를 등록한 경우를 들 수 있다.Second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세번째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위치정보가 미리 확보하여 저장해둔 지하철 노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지하철 내부에 있는 것이어서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irdly, when the pollution
네번째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의 지리적 이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속도(예: 30 km/h)를 초과함을 식별하면 그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은 실내, 좀더 정확히는 이동수단(예: 차량, 기차)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urth, when the pollution
다섯번째로,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GPS 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ifthly, when the pollution-exposure managing
단계 (S112)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외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실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오염 수치가 유효할 것이므로 단계 (S120)으로 진행한다.Step S112: The pollution
단계 (S113) : 반면,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지정하고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llution-exposed
실내에서는 환경데이터 제공서버(400)가 제공하는 오염 수치가 유효한 것으로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각 오염인자 별로 실내에 대해 미리 설정한 수치를 활용할 수 있다. 매우 낮은 값을 설정할 수도 있고, 해당 지역에 대해 미리 확보한 평균치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아예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inc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pollution value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도 8]은 본 발명에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실시간으로 도출하면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a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pollutant factors in re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41)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실시간으로 누적함으로써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에 대한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도출한다.Step S141: The pollution
단계 (S142 ~ S145)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지속적으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도출하면서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와 비교한다.Steps S142 to S145: The pollution
만일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임계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관리구간에 도달하기 이전이라도 그 즉시 알림이벤트를 생성하여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에 표시한다.If the accumulated exposure index of the pollutant factor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notification event is immediately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pollution-exposed
이는 해당 사용자가 이미 너무 많은 오염인자에 노출되어 버렸기 때문에 관리구간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알리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user has already been exposed to too many pollutants, so they are notified immediately, without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interval.
또한, 이러한 오염인자 과다 노출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행동 가이드 내지 행동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라고 하거나 실외 활동을 자제하라고 하거나 특정의 약품이나 음료 제품을 섭취하도록 권장하는 것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n action guide or an action guide in response to such a pollutant overexposure situation. For example, it is advisable to apply sunscreen, to refrain from outdoor activities, or to encourage the consumption of certain medicines or beverage products.
단계 (S146)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100)는 누적 시간이 특정의 관리구간에 도달하면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210)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로 설정한다.Step S146: The contamin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0 :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
210, 220 : 오염노출 스마트단말
300 : 오염정보 제공서버
400 : 환경데이터 제공서버100: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210, 220: Contaminated Imaging Smart Terminal
300: Pollu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00: environment data providing server
Claims (7)
(a)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타겟영역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상기 타겟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환경데이터 제공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상기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특정의 관리구간 동안 누적하여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가 상기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for informing a user of the degree of exposure to a pollutant factor by accumulating the pollutant during a specific management period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smart terminal carried by a user,
(a) periodically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y a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b) determining,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target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c) acquiring, from the environmental data providing server, th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information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 generating the contamination factor cumulative exposures for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y accumulating the pollution factor exposure information during a specific management period;
(e) displaying, by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the contamination factor cumulative exposure index on the polluted exposure smart terminal;
Based cumulative impure exposure information.
상기 단계 (a)와 단계 (b) 사이에 수행되는,
(b-1)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판단 결과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지정하고 상기 단계 (d)로 진행하는 단계;
(b-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단계 (c)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
(b-1)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ing whether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b-2) i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doors,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signates the pollution factor exposure information as a predetermined value and proceeds to step (d);
(b-3) i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identified as being located outdoo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proceeds to step (c);
Based cumulative impure exposure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상기 단계 (b-1)은,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시간에 따른 이동궤적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인지 실외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b-1)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geometrically analyze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contaminated exposed smart terminal with respect to tim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minated exposed smart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aminated 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
Based cumulative impure exposure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상기 단계 (b-1)은,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가 실내로 미리 설정된 특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지하철 노선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의 지리적 이동속도가 소정의 임계속도를 초과함을 식별하면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GPS 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b-1)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ocation preset in the indoor space;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corresponds to a previously stored subway line;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eographical movement speed of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speed;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when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fails to effectively receive GPS signals;
Wherein the location-based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상기 단계 (d)는,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오염인자 노출정보를 실시간으로 누적함으로써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알림이벤트를 생성하여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누적 시간이 특정의 관리구간에 도달하면 상기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를 상기 오염노출 스마트단말에 대한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d)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is configured to accumulate the pollutant factor exposure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reby derive a current pollutant factor cumulative exposure index for the pollutant-exposed smart terminal;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generates a notification event and displays the notification event on the pollution-exposed smart terminal when the cumulative impression index of the pollution factor at the presen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sets a cumulative impression index of cumulative impression of the present point of time as a cumulative impression exponent for a contaminated impression smart terminal when cumulative time reaches a specific management period;
Based cumulative impure exposure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상기 단계 (d)는,
상기 오염노출 관리에이전트는 상기 현재시점의 오염인자 누적노출 지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오염인자 과다 노출에 대응하는 행동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누적적 오염노출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d)
Wherein the pollution exposure management agent provides the user with a behavior guide corresponding to the pollution factor overexposure when the cumulative exposure index of the pollution factor at the present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Based cumulative impure exposure information. ≪ Desc / Clms Page number 13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693A KR101845082B1 (en) | 2016-06-23 | 2016-06-23 |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693A KR101845082B1 (en) | 2016-06-23 | 2016-06-23 |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560A true KR20180000560A (en) | 2018-01-03 |
KR101845082B1 KR101845082B1 (en) | 2018-04-03 |
Family
ID=6100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8693A KR101845082B1 (en) | 2016-06-23 | 2016-06-23 |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50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049B1 (en) * | 2019-07-17 | 2020-12-09 |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ollutants Exposure |
KR20210050153A (en) * | 2019-10-28 | 2021-05-0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accumulated exposure doses of fine dust |
CN116822970A (en) * | 2023-08-30 | 2023-09-29 | 湖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省生态环境工程评估中心) | Automatic judging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iority of high-environmental-health-risk pollutants |
-
2016
- 2016-06-23 KR KR1020160078693A patent/KR10184508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049B1 (en) * | 2019-07-17 | 2020-12-09 |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ollutants Exposure |
KR20210050153A (en) * | 2019-10-28 | 2021-05-0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accumulated exposure doses of fine dust |
CN116822970A (en) * | 2023-08-30 | 2023-09-29 | 湖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省生态环境工程评估中心) | Automatic judging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iority of high-environmental-health-risk pollutants |
CN116822970B (en) * | 2023-08-30 | 2023-11-21 | 湖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省生态环境工程评估中心) | Automatic judging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iority of high-environmental-health-risk polluta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5082B1 (en) | 201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515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 |
CN107003019B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HVAC filter replacement | |
US10828959B2 (en) | Controlling in-vehicle air quality | |
EP3318871B1 (en) | Internet of vehicles-based air quality detecting system | |
JP6425854B1 (en) | Monitoring exposure to air pollution | |
Zhuang et al. | Airsense: A portable context-sensing device for personal air quality monitoring | |
CN101495861B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vel conditions | |
EP3435301A1 (en) |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 |
KR20160092483A (en) | method of determining remaining use time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845082B1 (en) | location-based method of providing cumulative contamination exposure information | |
KR102240396B1 (en) |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o track odor in real time | |
US9582943B1 (en) | Driving data collection | |
KR20160150364A (en) | Indoor air quality an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JP2006133121A (en) | Base sec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ir pollution prediction method, and ventilation device | |
CN109195113A (en) | The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equipment of a kind of trip of user for identification track | |
CN108932863A (en) | Weather forecast method and car networking system based on car networking | |
KR20220036737A (en) |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air quality predi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25310B1 (en) | Utiliz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map reojin al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method and system | |
US12013881B2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weather area | |
CN116167614A (en) | Be applied to future community integrated data intelligent analysis system | |
CN109068282A (en) |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equipment of the trip of user for identification scene | |
CN110057041B (en) | Air conditioner, cleaning prompt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TW201606720A (en) | Intellig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of traffic information | |
CN118043904A (en) | Health assessment generation based on VOC detection | |
CN103167397A (en) | Target position acquisition method and target position acquisi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