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53A -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 Google Patents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53A
KR20180000153A KR1020160077960A KR20160077960A KR20180000153A KR 20180000153 A KR20180000153 A KR 20180000153A KR 1020160077960 A KR1020160077960 A KR 1020160077960A KR 20160077960 A KR20160077960 A KR 20160077960A KR 20180000153 A KR20180000153 A KR 2018000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p
dew condensation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섭
Original Assignee
김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섭 filed Critical 김문섭
Priority to KR102016007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53A/ko
Publication of KR2018000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은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물이 생기는 냉음료용기의 결합식 컵받침에 관한 것으로 대표도와 같이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냉음료 용기의 하단부분에 용기받침대를 결합하여 결로현상으로 발생하여 생기는 물을 모아 물로생기는 여러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받치대의 형태는 도3에서의 100a 용기 조임부와 100b 물받이 몸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00a부가 용기의 사이즈보다 돌출이 되는 상태에서 도1과 같이 용기를 결합하면 도출된 돌기부분이 안과밖으로 접히면서 복원하려는 텐션에 의해 겁에 결합하게 되어 별도 사용자가 그립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겁에 결합이 되는 구조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A downspout type of cup holder to be united with cold beverage container in which dew condensation occurs.}
본 발명은 물받이 컵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냉음료의 커피 및 음료용기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생기는 물을 담을 수 있으며 또한 음료잔을 휴대하거나 마실때 발생한 물이 다른 곳에 떨어지지 않게 컵받침이 음료용기에 결합하는 형태를 가진다.
여름에 냉음료를 마시게 되면 온도차에 의한 음료용기 겉표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물이 발생하게 된다.이렇게 발생되는 물은 책상 및 테이블위에 물이 고이게 되고 그상태에서 잔을 들고 마시게 되면 옷이나 주변 물건에 물이 떨어져 얼룩이 발생이 되어 문제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해결하는 기술은 실용신안 202014-0007267 에 유사한 형태가 있으나 선행기술은 테이크아웃의 컵에 컵홀더 방식으로 적용하였다. 선행기술에서 설명한 기술은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된 물이 컵홀더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게 하 방식으로 단순히 테이크아웃컵과 이중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물이 컵홀더아래 흘러내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컵과 홀더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자 컵홀더에 돌기부분을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돌기 모양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선행기술에서 열거한 방식은 단지 컵에서 발생하는 물이 흘러 내릴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방식일 뿐이다 또한 테이크아웃 음료컵을 비롯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컵사이즈별로 모두 달리 적용해야하는 제한적인 형태여서 그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순히 이중적으로 컵을 쓰는 방식일 뿐이므로 직접상업화하는데 있어 비용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의 용기에 적용하기 매우 제한적이다 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물받이 기능 컵받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다양한 냉음료 용기에 결합이 되는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컵에서 발생되는 물의 흘러내일 모양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나 돌추되는 형태가 컵이 꽂히는 하단부분의 크기보다 더 돌출 하여 컵이나 다양한 음료용기를 꽂을 때 돌출 부위가
아래나 위로 꺾기게 되어 꺾낀 부분이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으로 인해 컵이나 음료용기에 결합이 되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결합식 컵받침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용기의 하단분에 결합하여 결로현상으로 생기는 물떨어짐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시 용기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물을 아래로 흘러 모이게 하는 통로의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는 고인 물을담을 수 있는 작은 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받침 자체가 결로현상으로 발생되는 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이며 또한 음료용기를 들었을때 결로로 생긴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음료컵에 결합이 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1은 컵받침 사용예 이며,
도 2는 컵받침의 구조 및 단면적이며,
도 3은 컵받침 기능에 따른 부분설명 이며,
도 4는 컵받침의 결합상태에서의 기울이설명 며,
도 5는 사용시 대표도 임.
물받이 컵받침은 결로현상으로 발생한 물이 흘러 하단 컵받침 물받이 통에 모일 수 있도록 그 통로를 만들기 위해서 돌기부분가 그렇지 않으부분으로 반복적형태를 가진다.돌기의 모양은 디자인적으로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다.
돌기의 길이는 삽이하고자하는 용기가 걸릴 수 있는 상태의 길이까지 돌출이 되어야 한다. 즉 돌기의 최종 끝단의 둘레가 용기보다 작게 형성이 되는 상태어야 한다. 이같은 상태에서 도1에서 같이 냉음료가 들어있는 컵을 컵받침 돌기부분을 누르면서 삽입하게 된다. 그러면 돌기는 용기에 의해 아래로 눌려 지면서 복원이 되려는 탄성에 의해 용기와 자연스럽게 결합이 된다.
결합된 상태는 용기를 도 4와 같이 들게 되어도 컵받침이 같이 붙어 있어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잔을 들고 마시기 위해 기울였을때 컵받침에 고인 물이 쏟아지지 않기 위하여 도4 103 과 같이 물흐림 방지 턱을 가진 구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물이 생기는 냉음료용기의 결합식 컵받침에 관한 것으로 대표도 와 같이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냉음료 용기의 하단부분에 용기받침대를 결합하여 결로현상으로 발생하여 생기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컵받침으로 결로로 인해 발생하는 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받침대의 형태는 도3에서의 100a 용기 조임부와 100b 물받이 몸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100a부가 용기의 사이즈보다 돌출이 되는 상태에서 도1과 같이 용기를 결합하면 도출된 돌기부분이 안쪽으 접히면서 복원하려는 탄성 의해 컵에 결합하게 되어 별도 사용자가 컵받침을 잡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컵에 결합이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100 결합방식 물받이 컵받침대
100a 결합상단부
100b 물받이 통
101 결합 및 물흐름 돌기
102 결합상태의 돌기 모양
103 물흐름 방지턱

Claims (1)

  1. 컵으로부터 흐르는 물을 받는 물받이통 ;
    물받이통의 상부에 형성된 물흐름 방지턱 ;
    물받이통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
    를 구비하는 물받이 컵 받침대.
KR1020160077960A 2016-06-22 2016-06-22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KR2018000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60A KR20180000153A (ko) 2016-06-22 2016-06-22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60A KR20180000153A (ko) 2016-06-22 2016-06-22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53A true KR20180000153A (ko) 2018-01-02

Family

ID=610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960A KR20180000153A (ko) 2016-06-22 2016-06-22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611B1 (ko) 2021-12-09 2022-11-04 강산해 다기능 음료용기 받침대
KR20230032011A (ko) 2021-08-29 2023-03-07 전승우 물을 마신 양을 측정하는 컵 받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11A (ko) 2021-08-29 2023-03-07 전승우 물을 마신 양을 측정하는 컵 받침
KR102462611B1 (ko) 2021-12-09 2022-11-04 강산해 다기능 음료용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528B1 (en) Stabilizer cup holder
US10932476B2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US10196190B2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US20140246431A1 (en) Cup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US2101401A (en) Serving device
US9254053B2 (en) Promotional coaster
KR20180000153A (ko)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냉음료 용기의 결합식 물받이 컵받침
US20030052139A1 (en) Coffee carafe with hidden handle support
US20140231535A1 (en) Drinking Straw With A Fixed Clip
US1780957A (en) Tea-ball holder
KR100908848B1 (ko) 절첩식 컵
KR101613402B1 (ko) 티슈가 구비된 컵홀더
US20080163498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US8056755B2 (en) Spill-resistant beverage container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US11584567B1 (en) Enclosing cup
WO2020211748A1 (zh) 一种垫子及液体容器
CN202664801U (zh) 多功能酒架
KR20110001167U (ko)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컵 받침대
CN209932286U (zh) 一种茶具套件
KR20170002826U (ko) 컵 홀드 겸 빨대
CN211168100U (zh) 具搅拌棒的盖体及包含该盖体之杯瓶
CN209003445U (zh) 用于饮料杯上的托盘以及多功能饮料杯
CN103271654A (zh) 新型多功能冲泡机
CN211432595U (zh) 一种锅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