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76A -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76A
KR20180000076A KR1020160077769A KR20160077769A KR20180000076A KR 20180000076 A KR20180000076 A KR 20180000076A KR 1020160077769 A KR1020160077769 A KR 1020160077769A KR 20160077769 A KR20160077769 A KR 20160077769A KR 20180000076 A KR20180000076 A KR 20180000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main body
cover plate
horizonta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3438B1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담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담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담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07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438B1/en
Publication of KR2018000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47Furniture or stationary devices with suction opening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comprises: a furniture body (110) having a furniture function unit (111) to realize a prescribed uniqu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purpose of use; a lifting frame unit (120) horizontally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comprised of a frame of a high-strength material to support a w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a plurality of drive cylinders (130) which are separat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lifting frame unit (120) and an installation floor surface (10) to be uprightly arranged, allow lower ends thereof to be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floor surface (10), allow a rod (131)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to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vertically withdraw the rod (131)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140) to drive and control each drive cylinder (130)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inputted via an input unit (141) by a user operation to adjust an arrangement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Description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FIELD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0002]

본 발명은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가구의 배치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for easily adjusting an arrangement height of furniture used on the floor, .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선반, 옷장 등과 같이 바닥에 하부가 지지되도록 안착되어 사용되는 가구는 사용장소에 설치된 후 배치높이가 조절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신장이 서로 다른 여러 사용자들이 함께 이용하는 경우 일부 사용자에게는 배치높이가 신장에 맞지 않아 무릎을 굽히거나 발받침에 올라서서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since the height of the furniture is not adjusted after being installed in a place where furniture is seated so that the bottom is supported by the floor such as a sink, a shelf, a closet, etc.,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height did not match the height, so he had to bend his knees or stand on his feet.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싱크대의 싱크보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a heigh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sink bowl of a sink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has been disclosed. FIG. 1 shows a structure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ink.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의 경우 싱크보울(15)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실린더(17)가 싱크대(10)의 수납부(12)에 배치되고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9)는 상단이 싱크보울(15)의 저면에 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린더(17)가 작동하면 피스톤로드(19)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싱크보울(15)이 가압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었다.1,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height control device for a sink, a cylinder 17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sink 10 as a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ink bowl 15, The upper end of the piston rod 19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bowl 15 so that when the cylinder 17 is operated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sink bowl 15 is pressed by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piston rod 19, The height could be adjusted.

그러나, 종래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실런더(17)가 수납부(12) 내에 직립설치되어 하단이 수납부(12)의 바닥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19)가 작동하여 싱크보울(15)을 들어올릴 수 있었으며 통상 강도가 약한 MDF 등의 저강도 목재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실런더(17)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싱크대(10)의 바닥판이 가압되어 장기간 이용시 바닥판이 변형되거나 훼손될 수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iston rod 19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liner 17 is installed upright in the storage portion 12 and the lower end supports the bottom plate of the storage portion 12, Since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10 is press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seal liner 17, the bottom plate is deformed or damaged during long-term use because it is made of a low-strength wood material such as MDF, I could.

특히, 지속적으로 물을 이용하는 싱크대(10)의 특성상 주변 습도가 매우 높으며 수분과의 접촉이 빈번하기 때문에 싱크대(10)의 판재가 더욱 쉽게 약화되어 싱크보울(15)의 상부에 무거운 물체를 올려두거나 하는 경우 싱크대(10)의 바닥판이나 싱크보울(15)이 쉽게 파손되어 싱크대(10)의 교체나 수리를 위한 유지보수 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sink 10, which continuously uses water,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s is very high and contact with moisture is frequent, so that the plate material of the sink 10 is more easily weakened to place heavy objects on the sink bowl 15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10 or the sink bowl 15 is easily broken, and the maintenance cost for replacing or repairing the sink 10 is excessively increased.

또한, 종래에는 실런더(17)의 상단이 싱크보울(15)의 하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장착되어 설겆이를 위한 상수 공급 및 하부 배출 기능을 구현하는 싱크대(10)에만 적용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었으며, 조리를 위한 화구 기능을 구현하는 가스렌지장에는 적용하지 못하여 조리시 높이차이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Conventionally,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liner 17 is mounted in a form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ink bowl 15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applying only to the sink 10, which implements a constant supply and a lower discharge function for the sake, It is not applicable to the gas range where the cooking function for cooking is implemented, and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feel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during cooking is still not solv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988호(2003.05.19),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14988 (May 19, 2003), height adjuster of the sink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본체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을 승강시켜 높이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기간 이용하거나 수분접촉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목재재질의 가구를 이용하더라도 가구의 변형이나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lifting and lowering a lifting frame which entirely supports a lower portion of a furniture body, And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capable of stably using the furniture even if the furniture is used without any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furni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는, 사용용도에 따라 소정의 고유기능을 구현하는 가구기능부(111)가 구비된 가구본체(110);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고강도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와 설치바닥면(1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설치바닥면(10)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드(131)가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131)를 상하로 인출동작시키는 복수의 구동실린더(130); 및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부(1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comprising: a furniture main body having a furniture function unit for realiz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a use purpose; A lifting frame 120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configured to support a loa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floo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loor 10, A plurality of drive cylinders (130) mounted on the rod (131) and drawing the rod (131) up and dow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by driving control of each driving cylinder 13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41 by a user's operation, (140).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이 가해지는 테두리 라인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수평횡프레임(121) 및,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평행하게 연장배치된 두 수평횡프레임(121)을 상호 연결하거나 각 수평횡프레임(121)과 교차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는 수평종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horizontally disposed below the furniture body 110 and extending along a frame line to which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applied, A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and a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forming a frame for supporting a load of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내부에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를 갖되,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은 각각 중공(123)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121) 또는 수평종프레임(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는 상기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측판(113)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은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3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흡입된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이 배출공(112)을 통해 상기 흡입호스(30)로 배출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fram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lows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3 are formed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or the horizontal vertical frame 122 so as to open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 The side plate 113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opened to the side and the inside is communicated with one side of the hollow 123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and the outside side is hermetically coupled with the suction hose 30 of the vacuum cleaner The dus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and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

또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단은 상기 배출공(112)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판(113)에 장착되며 하단은 상기 중공(123)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승강프레임부(120)에 장착되는 연결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12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hole 112, And a connector 150 to be mounted.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내부에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를 갖되,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은 각각 중공(123)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121) 또는 수평종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는 상기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흡입기(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fram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lows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3 are formed in the frame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or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so as to be opened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llow part 123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by the air suctio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an air sucker 161 for sucking foreign matter.

또한, 고압에어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공기압축기(162); 및 상기 공기압축기(162)와 에어관(164)으로 연결되어 고압에어를 공급받으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고압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air compressor 162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high pressure air; And an air pipe 164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62 and receives high pressure ai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urniture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air nozzles 163 for spraying high-pressure air toward the nozzle 10.

또한, 상기 입력부(141)에는 자동청소키(142)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동청소키(142)로부터 자동청소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각 에어노즐(163)을 구동시켜 설정된 제1구동시간동안 고압에어를 자동 분사하며 상기 제1구동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고압에어 분사를 종료하고 상기 공기흡입기(161)를 구동시켜 고압에어에 의해 설치바닥면(10)으로부터 부유된 이물질을 설정된 제2구동시간동안 자동 흡입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41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key 142. When the automatic cleaning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automatic cleaning key 142, the control unit 140 drives each air nozzle 163, Pressure air is automatically injected during one driving time, and when the first driving time elapses, the high-pressure air injection is terminated and the air suction device (161) is driven to set foreign matter suspended from the installation floor (10) And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sucked during the second driving time.

또한,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130)가 가구본체(110)를 지지하는 높이에 의해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하부공간(113)을 커버하는 커버판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cylinder 13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a cover plate 170 covering the lower space 113 opened frontwar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by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

또한, 상기 커버판부(17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2a)이 형성된 제1슬림홈(172)이 마련된 제1커버판(171)과,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1슬림홈(172)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4)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5a)이 형성된 제2슬릿홈(175)이 마련된 제2커버판(173) 및,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2슬릿홈(175)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7)가 형성된 제3커버판(176)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판(173)은 제1커버판(17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슬림홈(172)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상기 제3커버판(176)은 제2커버판(173)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슬릿홈(175)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portion 170 has a plate shape extending up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in an upright position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body 110 at its upper end, A first cover plate 171 provided with a first slim groove 172 having a hook 172a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irst cover plate 171 extending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A sliding protrusion 174 for insertion into the first slim groove 17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ends and a second slit groove 175 having upper and lower locking protrusions 175a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both ends, A second cover plate 173 and a sliding protrusion 173 extending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having an upright plate shap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groove 175 And a third cover plate 176 on which the second cover 177 is formed, The bucket 173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lim groove 172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mounted on the second cover plate 173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lit grooves 175, and the entire vertical height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제3커버판(176)의 하단에는 제3커버판(176)의 하단이 상기 설치바닥면(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178)가 마련될 수 있다.A weight portion 178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10 .

또한, 상기 가구본체(110)의 후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벽체(20) 상에서 가구본체(110)의 설정된 기본 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구본체(110)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본체감지부(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구본체(110)가 상기 기본 위치보다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를 상기 기본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fixed to the wall body 20 on the rea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basic posi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sensing unit 180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main body sensing unit 180 in a state where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basic position,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or integrally drive and control the driving cylinders 1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return the furniture body 110 to the basic position.

또한, 상기 본체감지부(180)는 상기 벽체(20) 상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각 본체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on the wall body 20,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cylinders 130 individually.

또한, 상기 가구본체(110)의 후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벽체(20)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사용자감지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사용자 신장별 가구본체 높이제어 기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감지부(19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신장과 부합되는 높이로 가구본체(110)가 자동적으로 승강이동하도록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And a user sensing unit 190 fixed to the wall 20 supporting the rear or side of the furniture body 110 to transmit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40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pre-stored data of the height of the user's body height with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drive cylinders 130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o move up and down automatically.

한편, 상기 사용자감지부(19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신장감지 표시등(191)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감지부(190)로부터 일정 시간간격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감지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장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감지부(190)에 의해 복수 회 감지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상기 신장감지 표시등(191)이 점등되거나 점멸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An extension sensing indicator 191 illumina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is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extension sensing lamp 191 is turned on during a plurality of sens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user sensing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nses the extension sensing lamp 191, Or flashing to inform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furniture apparatus having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가구본체(110)의 하부에는 고강도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하부에 복수의 구동실린더(130)가 직립설치되어 승강프레임부(120)를 승강시키는 동작으로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이용하거나 수분접촉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목재재질의 가구를 이용하더라도 가구의 변형이나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First, an elevating frame portion 120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disposed under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is composed of a frame made of high strength materi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portion 120, Since the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lifting up and lowering the lifting frame part 120 by installing the lifting frame part 130 in an upright position, Can be stably used without being deformed or damaged.

둘째,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가구본체(110)의 하중이 가해지는 테두리 라인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수평횡프레임(121) 및, 평행하게 연장배치된 두 수평횡프레임(121)을 상호 연결하거나 각 수평횡프레임(121)과 교차되게 연결된 수평종프레임(122)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가구본체(110)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높이조절을 위한 승강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fting fram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extending along a frame line to which a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applied and two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connected to each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hus,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supported as a whole, so that elevation driving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셋째,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내부에는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되고 프레임에는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측판(113)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은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3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흡입된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이 배출공(112)을 통해 흡입호스(30)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비좁은 공간으로 청소가 제한되는 가구본체(110)의 하부공간(113)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3, air-tight hollows 123 are formed in the lifting frame part 120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s 123 are formed in the frame so as to open toward the installed floor surface 10 And the suction hose 30 of the vacuum cleaner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3 of the furniture body 110 so as to open laterally to th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of the lifting frame portion 120,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a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Therefore, the lower space 113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which is restricted to be cleaned with a narrow space, can be cleanly managed.

넷째,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바닥면(10)을 향해 공기압축기(162)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163)이 배치되므로, 승강프레임부(120)의 흡입공(124)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흡입되지 않는 이물질들을 설치바닥면(10)로부터 부유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청결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Fourthly, a plurality of air nozzles 163 for spraying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 162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ar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Foreign substance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uction hole 124 of the suction port 120 by a certain distance and can not be sucked can be floated from the installation floor 10,

다섯째,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진공청소기를 대신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기(161)가 구비된 경우, 입력부(141)에 구비된 자동청소키(142)로부터 자동청소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각 에어노즐(163)을 구동시켜 설정시간동안 고압에어를 자동분사하며 이후에는 상기 공기흡입기(161)를 구동시켜 고압에어에 의해 설치바닥면(10)으로부터 부유된 이물질을 설정시간동안 자동흡입하도록 구동제어되므로, 사용자가 공기압축기(162) 및 공기흡입기(161)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고압에어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단계와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자동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Fifthly, in the case where the air suction unit 161 operates to suck ai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hollow 123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to provide a suction force instead of the vacuum cleaner, When the automatic cleaning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automatic cleaning key 142, the air nozzles 163 are driven to automatically spray the high-pressure air during the set time, and thereafter, the air suction device 161 is driven, Since the foreign substance floating from the floor surface 10 is drive-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sucked during the set time, floating the foreign matter by the high-pressure air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individually operate the air compressor 162 and the air inhaler 161 It is possible to perform automatic cleaning through the step of sucking and removing the floating foreign matter,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여섯째,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실린더(130가 가구본체(110)를 지지하는 높이에 의해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하부공간(113)을 커버하는 커버판부(170)가 장착되므로, 가구본체(110)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이물질이 하부공간(113)으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압에어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경우 이물질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청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Sixth,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130 covering the lower space 113 opened frontwar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cylinder 130 supporting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appearance of the furniture body 110 can be made more beautiful and the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lower space 113. When the foreign matter is floated by the high pressure air,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일곱째, 상기 커버판부(170)는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갖는 제1커버판(171), 제2커버판(173) 및 제3커버판(176)이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커버판(173)은 제1커버판(171)에 장착된 상태로 제1슬림홈(172)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제3커버판(176)은 제2커버판(173)에 장착된 상태로 제2슬릿홈(175)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조절되므로 가구본체(110)가 상하로 승강하며 하부공간(113)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자중에 의해 제2커버판(173)가 제1커버판(171)으로부터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고 제3커버판(176)이 제2커버판(173)로부터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도록 동작하므로 가구본체(110)의 승강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하부공간(113)을 항상 외부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Seventhly, the cover plate portion 170 includes a first cover plate 171, a second cover plate 173, and a third cover plate 173 which exten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have an uprightly arranged plate- The second cover plate 173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lit groove 172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lit groove 172, The vertical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raised and lowered vertically and the height of the lower space 113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late 173 The second cover plate 173 slides up and down from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slides up and down from the second cover plate 173, The lower space 113 can always be covered from the outside irrespectiv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110.

여덟째, 상기 제3커버판(176)의 하단에는 제3커버판(176)의 하단이 설치바닥면(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178)가 마련되므로, 상기 웨이트부(178)의 중량에 의해 제2커버판(173) 및 제3커버판(176)이 하강하기 위한 가압력이 작용할 수 있어 자중에 의한 커버판부(170)의 커버동작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Eighthly, the weight portion 178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bottom surface 10, The pressing force for lowering the second cover plate 173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can be appli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portion 178 so that the cover operation of the cover plate portion 170 due to its own weight can be smooth have.

아홉째, 상기 가구본체(110)의 설정된 기본 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는 가구본체(110)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본체감지부(180)가 고정설치되고, 제어부(140)는 가구본체(110)가 기본 위치보다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구동제어하여 가구본체(110)를 기본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해 각 구동실린더(130)의 승강높이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오차를 보정하여 기본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Ninth, a main body sensing unit 180 for transmitting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o the control unit 140 is fixedly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basic posi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housing main body 110 is driven or controlled individually or integrally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in a state where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basic position,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vertical movement height of each drive cylinder 130 due to the repeated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 the error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

열번째, 가구본체(110)가 지지되는 벽체(20)에는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사용자감지부(19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사용자 신장별 가구본체 높이제어 기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감지부(19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신장과 부합되는 높이로 가구본체(110)가 자동적으로 승강이동하도록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하므로, 사용자가 본인의 신장에 적합한 배치높이로 가구본체(110)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입력부(141)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가구본체(110)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신장에 최적화된 배치높이로 자동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A user sensing unit 19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20 where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supported to detect a user's height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stored data of the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height control reference data with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user sensing unit 190 to automatically raise and lower the furniture body 110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eight of the user, The user does not have to manually manipulate the input unit 141 to move the furniture body 110 to a height suitable for the extens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tand on the furniture body 110 I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layout height optimized for the user's elongation, thus maximiz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프레임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의 하부공간 청소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sink,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fting frame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hrough 5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principle of operation of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cleaning a lower space of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ver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는, 가구본체(110)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을 승강시켜 높이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기간 이용하거나 수분접촉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목재재질의 가구를 이용하더라도 가구의 변형이나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구로서, 도 2 내지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110), 승강프레임부(120), 복수의 구동실린더(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supporting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elevated to adjust the height, As shown in FIGS. 2 to 5A,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lifting frame part 120, and the cabinet main body 110 can be stably used without being deformed or damaged even if they are installed in a frequent place or using wooden furniture. A plurality of driving cylinders 130, and a control unit 140. [0033]

먼저, 상기 가구본체(110)는 사용용도에 따라 소정의 고유기능을 구현하는 가구기능부(111)가 구비된 가구구조물로서, 도면에서와 같은 싱크대는 물론, 선반, 옷장, 침대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바닥에 안착되어 이용되는 가구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가구기능부(111)는 각 가구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고유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으로서 싱크대인 경우 도2에서와 같이 수전이나 가스렌지 등이 될 수 있으며, 선반의 경우 다수의 수평판재, 옷장의 경우 걸이봉이나 수납함, 침대의 경우 매트리스가 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a furniture structure provided with a furniture function part 111 which implements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a furniture structure, such as a shelf, a closet, Means furniture used on the floor. Therefore, the furniture function unit 111 may be a receptacle or a gas stove as shown in FIG. 2 when it is a sink,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lates , A hanger rod or a storage box for a closet, and a mattress for a bed.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구조물로서,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금속이나 복합소재 등의 고강도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한다.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a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is made of a frame made of high strength material such as metal or composite material, 110).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이 가해지는 테두리 라인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수평횡프레임(121) 및,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평행하게 연장배치된 두 수평횡프레임(121)을 상호 연결하거나 각 수평횡프레임(121)과 교차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는 수평종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2 and 3, the lifting frame 12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extends along a frame line to which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applied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and two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extending in parallel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crosswise connected to form a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이와 같이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이 교차된 골조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가구본체(110)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높이조절을 위한 승강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are crossed with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supported as a whole, so that elevation driving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상기 복수의 구동실린더(130)는 가구본체(110)의 높이조절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으로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와 설치바닥면(1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설치바닥면(10)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드(131)가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131)를 상하로 인출동작시킨다.The plurality of driving cylinders 130 are power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requi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are disposed uprigh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lifting frame portion 120 and the mounting floor surface 10 A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loor 10 and a rod 131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rod 131 is pull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구동실린더(130)로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실린더나 공압을 이용한 공압실린더나 모터 및 기어열을 이용한 전기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승강동작시 가구본체(110)이 고중량이더라도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소음 및 진동이 적으며 누설로 인한 힘 손실이 적은 장점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are used, when the furniture body 110 is in a high-load state during a lifting operation, the driving cylinder 13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using hydraulic pressure, a pneumatic cylinder using air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smooth operation, less noise and vibration, and less power loss due to leakage.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가구본체(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부(1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140 is a controller for centrally controlling the furniture body 110 to move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controller 140 controls each driving cylinder 13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1, The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120 is adjusted.

따라서, 평균적인 신장을 가진 사용자가 가구를 이용하는 경우 도 5a와 같이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기본위치에 세팅된 상태로 이용하게 되고, 신장이 크거나 높은 상태의 가구본체(11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 도 5b와 같이 입력부(141)를 조작하여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기본위치로부터 상승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신장이 작거나 낮은 상태의 가구본체(11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 도 5c와 같이 입력부(141)를 조작하여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기본위치로부터 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user having an average height is used, the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not adjusted, as shown in FIG. 5A, and the furniture body 110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is set to a basic position 110, the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can be raised from the basic position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41 as shown in FIG. 5B, and the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which is small or low in height, The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can be lowered from the basic position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41 as shown in FIG. 5C.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부(120)가 복수개의 개별가구로 이루어진 가구본체(110)의 전체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개별가구 단위로 독립적으로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독립된 개별가구 단위로 높이조절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Although the elevating frame unit 120 is formed as a whole connected to the furniture body 110 form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furni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140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dividual individual household units.

도한, 도 4에 도시된 메모리(143)는 높이조절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로서, 사용자별 개인데이터나 각종 기준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메모리(143)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어신호나 연산판단을 위한 비교데이털 이용할 수 있다.4, the memory 143 may store various data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and may store personal data or various reference data for each user. The controller 140 may be a memory (memory) 143) and can use a control signal or a comparison data for judgment of operation.

이와 같이, 가구본체(110)의 하부에는 고강도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하부에 복수의 구동실린더(130)가 직립설치되어 승강프레임부(120)를 승강시키는 동작으로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이용하거나 수분접촉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목재재질의 가구를 이용하더라도 가구의 변형이나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lift frame portion 120 which is made of a frame made of a high strength material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frame portion 120, Since the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lifting frame part 120 by installing the cylinder 130 in an upright position,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it is used for a long time or frequent water contact or furniture made of wood It can be used stably withou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furnitur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는 가구본체(110)의 하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 clean stat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

이를 위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내부에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를 갖되,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은 각각 중공(123)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된다.4 and 6, the lifting frame 120 has a frame structure in which an airtight hollow 123 is formed,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The hollows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수평횡프레임(121) 또는 수평종프레임(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는 상기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3 are formed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or the horizontal vertical frame 122 so as to open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

더불어, 상기 가구본체(110)의 측판(113)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은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3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흡입된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이 배출공(112)을 통해 상기 흡입호스(30)로 배출된다.The suction hose 30 of the vacuum cleaner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3 of the furniture body 110. The suction hose 30 of the vacuum cleaner is hermetically coupled A foreign object on the low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which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do.

따라서, 입력부(141)를 조작하여 가구본체(110)를 최하 높이로 조절하고 상기 배출공(112)에 흡입호스(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하부공간(113)의 공기가 흡입공(124) 및 중공(123)으로 유입되는 흡입기류가 생성되며, 중공(123)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배출공(112)을 통해 흡입호스(30)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acuum cleaner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furniture body 110 is adjusted to the lowest height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41 and the suction hose 3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112, The air in the lower space 113 is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124 and the hollow 123 and the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hollow 123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And can be removed.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흡입된 가구본체(110) 하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공(112)을 통해 흡입호스(30)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비좁은 공간으로 청소가 제한되는 가구본체(110)의 하부공간(113)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exist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which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It is possible to cleanly manage the lower space 113 of the furniture body 110 where cleaning is restricted in a cramped spac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110)의 내부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단은 상기 배출공(112)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판(113)에 장착되며 하단은 상기 중공(123)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승강프레임부(120)에 장착되는 연결관(150)이 구비되므로, 상기 배출공(112)을 흡입호스(30)의 삽입이 용이한 높이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urniture body 110 is folded in a '' shape so that its upper end is mounted on the side plate 1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hole 112, Since the connection pipe 150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23 so that the discharge hole 112 can be disposed at a height where insertion of the suction hose 30 is easy, Can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진공청소기를 대신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기(161)을 이용해서도 동일한 이물질 제거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흡입기(161)는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진공청소기를 대신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기(16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동작한다.Here, the same foreign matter removing effect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air suction unit 161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instead of the vacuum cleaner. In this case, the air suction unit 161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unit 161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o operate as an air suction unit, and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to provide a suction force instead of the vacuum cleaner The air s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and is communicated with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of the lifting frame portion 120 so that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And operates to suck foreign matter.

한편, 상기 하부공간(113)의 이물질을 부유시켜 이물질 제거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공기압축기(162) 및 에어노즐(163)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air compressor 162 and the air nozzle 163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matter by floa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lower space 113.

상기 공기압축기(162)는 고압에어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에어노즐(163)는 공기압축기(162)와 에어관(164)으로 연결되어 고압에어를 공급받으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고압에어를 분사한다.The air nozzle 162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62 through an air pipe 164 and is supplied with high pressure air. The air nozzle 162 is connected to the cabinet body 110, And a high pressure air is injected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

따라서, 승강프레임부(120)의 흡입공(124)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흡입되지 않는 이물질들을 설치바닥면(10)로부터 부유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청결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foreign substances which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ction hole 124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and can not be sucked can be floated from the installation floor 10, so that the cleanliness can be further cleaned.

또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진공청소기를 대신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기(161)가 구비된 경우, 입력부(141)에 구비된 자동청소키(142)로부터 자동청소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각 에어노즐(163)을 구동시켜 설정시간동안 고압에어를 자동분사하며 이후에는 상기 공기흡입기(161)를 구동시켜 고압에어에 의해 설치바닥면(10)으로부터 부유된 이물질을 설정시간동안 자동흡입하도록 구동제어되므로, 사용자가 공기압축기(162) 및 공기흡입기(161)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고압에어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단계와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자동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ir suction unit 161 operates to suck ai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hollow 123 of the lifting frame unit 120 to provide a suction force instead of the vacuum cleaner, When the automatic cleaning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automatic cleaning key 142, the air nozzles 163 are driven to automatically spray the high-pressure air during the set time, and thereafter, the air suction device 161 is driven, Since the foreign substance floating from the floor surface 10 is drive-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sucked during the set time, floating the foreign matter by the high-pressure air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individually operate the air compressor 162 and the air inhaler 161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ince the clean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the step of sucking and removing the floating foreign matter.

이때,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는 상기 공압실린더(130)가 가구본체(110)를 지지하는 높이에 의해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하부공간(113)을 커버하는 커버판부(170)가 장착되므로, 가구본체(110)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이물질이 하부공간(113)으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압에어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경우 이물질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청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neumatic cylinder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with a cover covering the lower space 113 opened forw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Since the plate portion 17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furniture body 110 more beautiful and to reduc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ower space 113. When the foreign matter is floated by the high-pressure air,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부(17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2a)이 형성된 제1슬림홈(172)이 마련된 제1커버판(171)과,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1슬림홈(172)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4)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5a)이 형성된 제2슬릿홈(175)이 마련된 제2커버판(173) 및,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2슬릿홈(175)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7)가 형성된 제3커버판(17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7, the cover plate portion 170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body 110 A first cover plate 171 having upper and lower ends at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irst slim groove 172 formed with a lower en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irst cover plate 171 extending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a sliding protrusion 174 for insertion into the first slim groove 17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ends of the first slim groove 172 and a second slim groove 175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both ends of the sliding protrusion 174, A second cover plate 173 provided with a slit groove 175 and a plate shape extending upright along the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plate- And a third cover plate 176 formed with a sliding protrusion 177 for insertion It is rain.

또한, 상기 제2커버판(173)은 제1커버판(17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슬림홈(172)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상기 제3커버판(176)은 제2커버판(173)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슬릿홈(175)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late 173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lit groove 172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mounted on the second cover plate 171. [ The second slit groove 175 may be vertic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slit groove 173, so that the entire vertical height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상기 제2커버판(173)은 제1커버판(171)에 장착된 상태로 제1슬림홈(172)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제3커버판(176)은 제2커버판(173)에 장착된 상태로 제2슬릿홈(175)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조절되므로 가구본체(110)가 상하로 승강하며 하부공간(113)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자중에 의해 제2커버판(173)가 제1커버판(171)으로부터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고 제3커버판(176)이 제2커버판(173)로부터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도록 동작하므로 가구본체(110)의 승강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하부공간(113)을 항상 외부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late 173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lit groove 172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cover plate 171, The height of the lower space 113 is changed by the w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because the vertical heigh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elevated and lowered along the second slit groove 175 while being mounted on the second slit groove 175. [ The second cover plate 173 slides vertically up and down from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slides up and down from the second cover plate 173, The lower space 113 can always be covered from outside regardless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더불어, 상기 제3커버판(176)의 하단에는 제3커버판(176)의 하단이 설치바닥면(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178)가 마련되므로, 상기 웨이트부(178)의 중량에 의해 제2커버판(173) 및 제3커버판(176)이 하강하기 위한 가압력이 작용할 수 있어 자중에 의한 커버판부(170)의 커버동작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portion 178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bottom surface 10, The pressing force for lowering the second cover plate 173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can be appli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portion 178 so that the cover operation of the cover plate portion 170 due to its own weight can be smooth hav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후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벽체(20) 상에서 가구본체(110)의 설정된 기본 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구본체(110)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본체감지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A furniture apparatus having a heigh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20 on which a rea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supported, And a main body sensing unit 180 which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o the controller 140. [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구본체(110)가 상기 기본 위치보다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를 상기 기본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반복적인 승강동작에 의해 각 구동실린더(130)의 승강높이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오차를 보정하여 기본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riving cylinders 130 individually or integrally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ain body sensing unit 180 in a state where the furniture body 110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basic position Thereby returning the furniture body 110 to the basic position. Therefore,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lift height of each driving cylinder 130 due to the repeated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 the error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and can be accurately arranged at the basic position.

여기서, 상기 본체감지부(180)는 상기 벽체(20) 상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각 본체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on the wall body 20,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cylinders 130 individually.

한편,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본체(110)의 후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벽체(20)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사용자감지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2 and 5A, a sensing signal, which is fixed to the wall 20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senses the user's elong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0 A user detection unit 190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기저장된 사용자 신장별 가구본체 높이제어 기준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감지부(19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신장과 부합되는 높이로 가구본체(110)가 자동적으로 승강이동하도록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pre-stored furniture body height control reference data for each user's height with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user sensing unit 190, And drives and controls each drive cylinder 130 so as to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이러한 사용자감지부(190)와 제어부(140)의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본인의 신장에 적합한 배치높이로 가구본체(110)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입력부(141)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가구본체(110)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신장에 최적화된 배치높이로 자동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user sensing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40 allow the user to manually operate the input unit 141 to move the furniture body 110 to a height suitable for his / The user can automatically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lacement height to be optimized for the user's height.

더불어, 상기 사용자감지부(190)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신장감지 표시등(191)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감지부(190)로부터 일정 시간간격으로 감지되는 복수의 감지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장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감지부(190)에 의해 복수 회 감지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상기 신장감지 표시등(191)이 점등되거나 점멸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장감지 표시등(191)이 동작되는 중에 움직임을 자제함으로써 신장 크기 판단의 오차를 방지하고 신장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xtension sensing indicator 191 illumin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is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ser sensing unit 190, an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extension sensing lamp 191 is turned on during a plurality of sens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user sensing unit 190. The user sensing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nses the extension sensing lamp 191, Or flashing to inform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restrain the movement while the elongation detection indicator 191 is op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error of the elongation size determination and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elongation determination.

여기서, 상기 본체감지부(180) 및 사용자감지부(190)로는 초음파 센서나 광센서 근접센서, 적외선센서 등과 같이 감지대상의 존재나 감지여부를 감지하는데 이용하는 각종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감지대상이나 감지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와,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분석하여 감지대상을 감지하고 움직임을 추종하거나 크기를 감지하는 영상분석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and the user detection unit 190 may be various types of detection sensors use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the detection of an object to be sensed,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 photosensor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A camera (not shown) that captures an image of a sensing object or a sensing area, and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senses an object to be sensed by sensing the sensed image and tracks the movement or senses the siz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바닥면 20...벽체
30...흡입호스 110...가구본체
120...승강프레임부 121...수평횡프레임
122...수평종프레임 130...구동실린더
140...제어부 150...연결관
161...공기흡입기 162...공기압축기
163...에어노즐 170...커버판부
180...본체감지부 190...사용자감지부
10 ... floor 20 ... wall
30 ... suction hose 110 ... furniture body
120 ... lifting frame part 121 ...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2 ... horizontal type frame 130 ... driving cylinder
140 ... controller 150 ... connector
161 ... air inhaler 162 ... air compressor
163 ... air nozzle 170 ... cover plate portion
180 ... main body sensing unit 190 ... user sensing unit

Claims (10)

사용용도에 따라 소정의 고유기능을 구현하는 가구기능부(111)가 구비된 가구본체(110);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고강도 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와 설치바닥면(1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설치바닥면(10)에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드(131)가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131)를 상하로 인출동작시키는 복수의 구동실린더(130); 및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부(141)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가구본체(110)의 배치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A furniture main body 110 provided with a furniture function part 111 which implements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A lifting frame 120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and configured to support a load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floo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loor 10, A plurality of drive cylinders (130) mounted on the rod (131) and drawing the rod (131) up and dow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part 120 by controlling each driving cylinder 13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part 141 by a user's operation 140)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수평배치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이 가해지는 테두리 라인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수평횡프레임(121) 및,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평행하게 연장배치된 두 수평횡프레임(121)을 상호 연결하거나 각 수평횡프레임(121)과 교차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하는 수평종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frame part (120)
A plurality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horizontally disposed below the furniture body 110 and extending along a frame line to which the load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applied,
A pair of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And a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which forms a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 (12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내부에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를 갖되,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은 각각 중공(123)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121) 또는 수평종프레임(122)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는 상기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측판(113)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내측은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30)가 기밀하게 결합되는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흡입된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이 배출공(112)을 통해 상기 흡입호스(3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rizontal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fram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lows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123 are formed in at least one frame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 121 or the horizontal vertical frame 122 so as to open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The side plate 113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opened laterally and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of the lifting frame portion 120. The outside of the side panel 113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hose 30 of the vacuum cleaner A hole 112 is formed in the suction hose 30 so that the foreign matt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a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2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hose 3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2 Features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제 3항에 있어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단은 상기 배출공(112)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판(113)에 장착되며 하단은 상기 중공(123)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승강프레임부(120)에 장착되는 연결관(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upper end is mounted on the side plate 1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hole 112 and the lower end is mounted on the lifting frame part 120 so as to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hollow 123 And a connecting pipe (15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5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부(120)는 내부에 기밀한 중공(123)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를 갖되, 상기 수평횡프레임(121)과 수평종프레임(122)은 각각 중공(123)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횡프레임(121) 또는 수평종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는 상기 중공(123)과 연통된 복수의 흡입공(124)이 설치바닥면(10)을 지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흡입동작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120)의 중공(123) 일측과 연통되어,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공(124)을 통해 가구본체(110) 하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흡입기(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rizontal frame 121 and the horizontal fram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lows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s 123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transverse frames 121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frames 122 so as to open toward the installation floor 10,
Air suctio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and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123 of the lifting frame portion 120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through the suction holes 124 Further comprising: an air suction unit (161) for sucking air into the room.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130)가 가구본체(110)를 지지하는 높이에 의해 가구본체(110)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하부공간(113)을 커버하는 커버판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height of the driving cylinder 130 is set to a height at which the driving cylinder 130 supports the furniture main body 110, Further comprising a cover plate portion (170) covering the lower space (113) opened frontw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furniture body (110) by the cover panel portion (17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부(170)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2a)이 형성된 제1슬림홈(172)이 마련된 제1커버판(171)과,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1슬림홈(172)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4)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단 외측에는 상하로 연장되고 하단에 걸림턱(175a)이 형성된 제2슬릿홈(175)이 마련된 제2커버판(173) 및,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직립배치된 판형상을 가지며 양측단 내측에는 상기 제2슬릿홈(175)에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177)가 형성된 제3커버판(176)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판(173)은 제1커버판(17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슬림홈(172)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상기 제3커버판(176)은 제2커버판(173)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슬릿홈(175)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ver plate portion 170,
The upper part of the furniture body 11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body 110.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body 110 extends upward and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body 110 has a hooking protrusion 172a A first cover plate 171 provided with a first slim groove 172 formed therein,
A sliding protrusion 174 for inserting into the first slim groove 17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ends of the plate body extending up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A second cover plate 173 provided with second slit grooves 175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formed with hooking protrusions 175a at the lower end thereof,
A third cover plate 176 having a plate shape extending upright alo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urniture body 110 and having sliding protrusions 177 for inserting into the second slit grooves 175, ),
The second cover plate 173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first slit groove 172 while being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171 and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cover plate 173 And the vertical height of the second slit groove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slit groove to adjust the overall height of the furnitur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판(176)의 하단에는 제3커버판(176)의 하단이 상기 설치바닥면(1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17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eight portion 178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ver plate 176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bottom surface 10 A furniture device having height adjustment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10)의 후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벽체(20) 상에서 가구본체(110)의 설정된 기본 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구본체(110)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본체감지부(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구본체(110)가 상기 기본 위치보다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를 상기 기본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20 on which the rea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is suppor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basic position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180) for transmitting the main body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140 drives or controls the drive cylinders 130 individually or integrally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in a state where the furniture body 110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basic position And returning the furniture body (110) to the basic posi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감지부(180)는 상기 벽체(20) 상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각 본체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각 구동실린더(130)를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하여 상기 가구본체(1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body detection unit 180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on the wall 2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ving cylinders 130 individually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input from each main body sensing unit 180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urniture main body 110. [ Furniture unit with function.
KR1020160077769A 2016-06-22 2016-06-22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KR101863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69A KR101863438B1 (en) 2016-06-22 2016-06-22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69A KR101863438B1 (en) 2016-06-22 2016-06-22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76A true KR20180000076A (en) 2018-01-02
KR101863438B1 KR101863438B1 (en) 2018-05-31

Family

ID=6100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769A KR101863438B1 (en) 2016-06-22 2016-06-22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43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7368A (en) * 2019-12-20 2020-03-24 浙江金钥匙儿童用品有限公司 Storage structure for children's garments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00122172A (en) * 2019-04-17 2020-10-27 심덕기 Kitchen sink with adjustable height
KR102204658B1 (en) * 2020-07-30 2021-01-20 (주)조은엔지니어링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architecture communication facility
CN114002975A (en) * 2021-10-19 2022-02-01 华帝股份有限公司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cooker
KR102392182B1 (en) * 2021-03-02 2022-04-28 박정미 Structure using edge bon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49Y1 (en) * 2008-07-07 2011-08-12 남 영 박 Adjustable height sink
KR100978937B1 (en) * 2010-06-03 2010-08-30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A cleaning device fixed under a sink in a build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172A (en) * 2019-04-17 2020-10-27 심덕기 Kitchen sink with adjustable height
CN110897368A (en) * 2019-12-20 2020-03-24 浙江金钥匙儿童用品有限公司 Storage structure for children's garments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0897368B (en) * 2019-12-20 2022-03-01 浙江金钥匙儿童用品有限公司 Storage structure for children's garments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204658B1 (en) * 2020-07-30 2021-01-20 (주)조은엔지니어링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architecture communication facility
KR102392182B1 (en) * 2021-03-02 2022-04-28 박정미 Structure using edge bonding method
CN114002975A (en) * 2021-10-19 2022-02-01 华帝股份有限公司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438B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438B1 (en) Furniture apparatus having height adjusting function
US10239098B2 (en) Air shower room and dust-free workshop
US9738500B2 (en) Lockable lift device and method
WO2002008098A3 (en) Extendable gravity loader
CN105310605B (en) Floor sweeper
US6082956A (en) Portable storage cabinet with integrated detachable dolly
WO2016057614A1 (en) Automated portable personal lift
EP1547512A3 (en) Robot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90137828A (en) Wardrobe device
US20160297643A1 (en) Locking actuator with a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lift
US20020084732A1 (en) Storage apparatus
CN106769851A (en) A kind of novel mobile phone touch-screen pastes RTA reliability test assembly
CN210582379U (en) Floor sweeping robot
CN107374096A (en) A kind of intelligent bedside cabinet with cooling body
WO2023088397A1 (en) Transporter
CN108771361A (en) A kind of kitchen mobile cabinet with side expansion board
KR101960087B1 (en) Lifting type table with integrated chairs
KR102329224B1 (en) Food plates dispenser with food plates catridge
CN113384092B (en) Intelligent induction cabinet
CN215530486U (en) Picking device with multi-stage telescopic structure and multi-stage telescopic device
KR102425190B1 (en) Printing device the apartment corner of wall
KR101025203B1 (en) Up/Down Type Speech Table Equipped With Hydraulic Cylinder
CN210870328U (en) Resistance-encountering stop control system of lifting desk
CN211483479U (en) Cabinet lifting structure and electric lifting cabinet
CN110897542A (en) Intelligent closestool with lifting han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