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416A -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416A
KR20170143416A KR1020160157429A KR20160157429A KR20170143416A KR 20170143416 A KR20170143416 A KR 20170143416A KR 1020160157429 A KR1020160157429 A KR 1020160157429A KR 20160157429 A KR20160157429 A KR 20160157429A KR 20170143416 A KR20170143416 A KR 2017014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dentifier
user input
server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카즈 아가왈
김광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64,68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366656A1/en
Priority to KR1020170042257A priority patent/KR102384876B1/ko
Priority to US15/602,498 priority patent/US20170365013A1/en
Publication of KR2017014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한번의 클릭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A CLICK}
본 개시는 한번의 클릭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부 실시예는,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외부 디바이스 및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도 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6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8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1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등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물품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이며, 사용자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또는 스위치가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외부 디바이스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외부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품의 정보는 물품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 번호, 제품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저장된 물품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콘텐트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과 동일한 물품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 서로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과 각각 관련된 두 물품들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가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은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버튼을 짧게 누르는 입력, 버튼을 길게 누르는 입력, 외부 디바이스를 흔드는 모션에 대응되는 입력, 두 외부 디바이스들을 충돌시키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디바이스는 각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는 외부 디바이스를 대표하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같은 모델명을 갖는 물품에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이 조립식 장난감인 경우, 조립된 형태가 동일한 차종의 자동차인 장난감은 동일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을 장난감으로 표시하였으나, 물품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이 장난감(4000)인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장난감(4000)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2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와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와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3000)에게 전송함으로써, 장난감(4000) 및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기설정된 콘텐트를 서버(30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장난감(4000)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따라 선택된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장난감(4000)은, 조립식 장난감, 퍼즐, 조종 가능한 장난감, 인형, 축소 모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난감(4000)이 조립식 장난감인 경우에, 장난감(4000)은 복수의 블록(block)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블록들을 조립함으로써 특정 형태의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블록에 의해 만들어진 장난감의 형태는 인물, 건물, 자동차,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디바이스(2000)는 장난감(4000)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이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0)는 장난감(4000)에 포함될 수 있고, 장난감(4000)의 다른 블록들과 결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나, 외부 디바이스(200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이동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고, 장난감(4000)과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2000), 서버(3000) 및 다른 장치(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요청한 작업이나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는 외부 디바이스(200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동작 S210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 디바이스(2000)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 디바이스(20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의 통신 범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근접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외부 디바이스(2000)는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통신부(1500)와 외부 디바이스(2000)의 통신부(미도시)는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 주변에서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누르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저장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버튼 입력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2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3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과 관련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장난감(4000)과 관련된 콘텐트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 S22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2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외부 디바이스(2000) 및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이 장난감(4000)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는 장난감(4000)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기 위한 GUI, 장난감(4000)과 동일한 장난감(4000)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 두 장난감(4000)들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과 관련된 콘텐트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서버(3000)에 의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 중, 제 1 식별자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짧게 누른 입력에 대한 식별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3000)는 제 1 식별자와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서버(3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매칭시킴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이 장난감(4000)일 때, 상세 정보는 장난감(4000)의 설명서,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 및 장난감(4000)과 연관된 다른 장난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상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이 장난감(4000)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는, 장난감(4000)의 조립 영상, 이용 후기,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인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과 동일한 물품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 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다른 외부 디바이스(2000)와 충돌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경우, 두 외부 디바이스(2000)들에 관련된 물품들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을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2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콘텐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수신됨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불어, 디스플레이된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두 모바일 디바이스(1000)들이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동시에 수신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의해 수신된 콘텐트는, 서버(3000)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콘텐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디바이스(2000)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전송된 물품의 정보를 서버(300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물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품에 대한 정보는 물품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 번호, 제품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310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고, 시간 차이를 두고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이 장난감(4000)인 경우, 동작 S320에서 서버(3000)는 장난감(4000)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0)는 장난감(4000)과 관련된 콘텐트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매칭시키고,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장난감(4000)에 관련된 복수의 콘텐트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서버(3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이 자동차로 조립되는 장난감(4000)이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짧게 누르는 입력에 대응되는 식별자이면, 서버(3000)는 장난감(4000)의 설명서,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 다른 자동차 장난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S330에서 서버(3000)는 선택된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 할 수 있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디바이스(2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대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이용하여, 자신이 가진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서버(30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2인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3000)는 사용자의 식별자가 없어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특정 분야에 관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외부 디바이스를 추가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추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변경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3000)는 사용자의 식별자 대신,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해, 특정 사용자가 갖고 있는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동작 S410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고, 시간 차이를 두고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420에서, 서버(3000)는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가 서버(3000)에 저장되지 않은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가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이면, 동작 S430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새로운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S4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가 서버(3000)에 이미 저장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이면, 동작 S440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동작 S450에서, 서버(3000)는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45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가 새로운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이면, 동작 S460에서, 서버(300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추가할 수 있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5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510 은 도 2의 동작 S210 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5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식별자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짧게 누른 입력에 대한 식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S5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이면, 동작 S5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난감(4000)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는 장난감(4000)의 설명서,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 및 장난감(4000)과 연관된 다른 장난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작 S512에서,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는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S522에서, 외부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는 동작 S512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식별자일 수 있다.
동작 S53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542에서, 서버(3000)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와 연관된 콘텐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의 URL은 콘텐트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정보는 물품의 설명서, 이용 방법에 관한 동영상 및 물품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일 수 있다.
동작 S55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수신된 콘텐트 URL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S56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57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6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짧게 누르는 입력이 식별되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로서 제 1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장난감(4000)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의 설명서(6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메뉴 탭(610)의 장난감(4000)의 설명서 메뉴(611)가 강조될 수 있다. 한편, 설명서(620)는 장난감(4000)의 조립 순서, 취급시 주의 사항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롤 바(630)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화면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의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메뉴 탭(610)의 장난감(4000)의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 메뉴(612)가 강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영상 목록(650)에 포함된 하나의 동영상(64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난감(4000)의 놀이 방법에 관한 동영상은 장난감(4000)의 제품 소개 동영상, 조립 방법에 관한 동영상 및 조립 후기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과 연관된 다른 장난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메뉴 탭(610)의 다른 장난감의 정보 메뉴(613)가 강조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난감(4000)과 연관된 장난감 목록(660) 중에서, 한 장난감에 관한 이미지(670)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불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장난감(4000)과 연관된 다른 장난감의 소지 여부와 선호도를 입력 받기 위한 GUI(67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가 연관된 장난감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 또는 연관된 장난감에 대한 선호도를 수집하여, 특정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7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710 은 도 2의 동작 S210 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7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식별자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길게 누른 입력에 대응되는 식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S7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이면, 동작 S7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3000)에 업로드하거나, 서버(3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립 영상, 이용 후기,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a 내지 도8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의 버튼을 길게 누르는 입력이 식별되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로서 제 2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수신하고,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 목록(8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목록(830)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크롤 바(840)는 도 6a의 스크롤 바(630)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 목록(830)의 필터 모드(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모드(820)는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의해 업로드된 데이터만 디스플레이하는 모드 및 즐겨찾기(bookmark)로 설정된 데이터만 디스플레이하는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영상 업로드 버튼(8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 업로드 버튼(850)이 입력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 목록(830)에 포함된 하나의 데이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가 즐겨찾기로 설정되었는지 여부, 다른 사용자에 대한 공개 여부, 이메일 전송 버튼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9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910 은 도 2의 동작 S210 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9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식별자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동작에 대응되는 식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S9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이면, 동작 S9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과 동일한 장난감(4000)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9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GUI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작 S912에서,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S922에서, 외부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입력이 식별되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제 3 식별자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3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을 요청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14, 동작 S924 및 동작 S934는 각각 동작 S912, 동작 S922 및 동작 S932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94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동일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전송한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S95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에게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동작 S962에서,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는 서버(3000)에게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WebRTC 데이터는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준을 따르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는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데이터 형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텍스트, 음성,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7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WebRTC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64 및 동작 S974는 각각 동작 S962 및 동작 S972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98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는 WebRTC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900)는 TURN(Traversal Using Relay NAT) 서버를 통해 WebRTC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입력이 식별되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로서 제 3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장난감(4000)과 동일한 장난감(4000)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1 이모티콘(10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불어, 장난감(4000)과 동일한 장난감(4000)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 2 이모티콘(1020)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이모티콘(1020)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제 2 이모티콘(1020)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 영상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다른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방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1010)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10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두 영상들 간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두 사용자가 놀이할 때 이용되는 스톱 워치(1030) 및 통신 상태 정보(1040)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영상 통화가 종료된 후, 도 10c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영상 통화 중에 획득된 스냅샷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의 후기를 관리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2016년 5월 17일의 영상 통화 중에 획득된, 집을 조립하는 스냅샷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스톱 워치를 통해 획득된 시간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평점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11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110 은 도 2의 동작 S210 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11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 디바이스(2000)를 다른 외부 디바이스(2000)와 충돌시키는 사용자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특정 시간 주기 동안,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흔드는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간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을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간 충돌로 판단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S112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면, 동작 S11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두 장난감(4000)들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을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작 S1112에서,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S1122에서, 외부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14 및 동작 S1124는 각각 동작 S1112 및 동작 S1122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113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들을 기초로, 사용자 입력이 외부 디바이스들간 충돌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특정 시간 주기 동안,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흔드는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간 충돌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114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제 2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52 및 동작 S1162는 각각 도 5b의 동작 S542 및 동작 S552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S117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된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와 연관된 콘텐트를 검색할 수 있다.
동작 S1182에서, 서버(3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게 검색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9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1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외부 디바이스(2000)들간 충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때,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가 충돌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이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간 충돌로 판단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응되는 집으로 조립되는 장난감과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에 대응되는 자동차로 조립되는 장난감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집으로 조립되는 장난감과 자동차로 조립되는 장난감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12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두 장난감(4000)들과 연관된 데이터 목록(129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목록(1290)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2b의 필터 모드(1250) 및 영상 업로드 버튼(1280)은 도 8a의 필터 모드(820) 및 영상 업로드 버튼(850)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를 등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초기 설정 없이,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0)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0)가 원 모양으로 움직이는 입력이 식별되면, 외부 디바이스(2000)는 원모양으로 움직이는 입력과 대한 식별자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면, 외부 디바이스(2000)이 등록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서버(3000)에게 외부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를 전송하여, 서버(3000)에 의해 사용자 프로파일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3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이미 등록된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에 새로운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가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와 제 2 외부 디바이스(2000)의 결합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한 다른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와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가 결합되면,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에 대한 식별자 또는 제 2 외부 디바이스(2200)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제 1 외부 디바이스(2100)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 통신부(150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 통신부(1500) 및 제어부(130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뿐만 아니라,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부(130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3b에 기재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2000) 및 서버(3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가 서버(30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콘텐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3000)로부터 수신된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0)에 의해 결정된 콘텐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에 대한 정보는, 물품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 번호, 제품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 외부 디바이스(2000)에 관련된 물품과 동일한 물품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 및 다른 두 외부 디바이스(2000)들에 각각 관련된 물품들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물품을 이용하는 상세 정보는, 물품의 설명서, 이용 방법에 관한 동영상 및 물품과 관련된 다른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는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0)가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은 외부 디바이스(2000)에 포함된 버튼을 짧게 누르는 입력, 버튼을 길게 누르는 입력, 외부 디바이스(2000)를 흔드는 모션에 대응되는 입력, 두 외부 디바이스(2000)들을 충돌시키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싱부(14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상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외부 디바이스(2000), 서버(3000) 및 다른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외부 디바이스(2000)이외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30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0)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30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 입력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모바일 디바이스(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 표시하였으나, 비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비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가전기기 및 기타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모바일 디바이스 및 비모바일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20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여 서버(3000)에 전송하고,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서버(30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의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는 통신부(3200), DB(3300) 및 제어부(31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 및 다른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B(33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와 관련된 콘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100)는 통상적으로 서버(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0)는, 서버(3000)의 DB(3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DB(3300) 및 통신부(32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0)는 DB(3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3b 에서의 서버(3000)의 동작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0)는,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대한 식별자 및 외부 디바이스(2000)에 대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외부 디바이스 및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트인,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트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콘텐트인,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품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 번호, 제품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충돌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 및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콘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트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트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콘텐트인,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품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 번호, 제품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1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련된 물품을 이용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2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GUI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제 3 식별자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과 동일한 물품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 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GUI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식별자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충돌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 및 상기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관련된 물품을 함께 이용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방법.
  20. 제 1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157429A 2016-06-21 2016-11-24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143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64,685 US20170366656A1 (en) 2016-06-21 2017-03-21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lick
KR1020170042257A KR102384876B1 (ko) 2016-06-21 2017-03-31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US15/602,498 US20170365013A1 (en) 2016-06-21 2017-05-23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l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3026P 2016-06-21 2016-06-21
US62/353,026 2016-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416A true KR20170143416A (ko) 2017-12-29

Family

ID=6093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29A KR20170143416A (ko) 2016-06-21 2016-11-24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34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76A (ko) * 2018-02-09 2019-08-20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숏클립 비디오를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 s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76A (ko) * 2018-02-09 2019-08-20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숏클립 비디오를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 s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8503B (zh) 共享视频信息的方法及装置
KR102282544B1 (ko) 상품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00332283A1 (en) Social networking in shopping environments
US20170366656A1 (e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lick
CN104506410A (zh) 即时通讯的方法和装置
CN106231378A (zh) 直播间的显示方法、装置及系统
CN104539639A (zh) 用户信息采集方法和装置
CN105704016B (zh) 一种群消息屏蔽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4852842A (zh) 信息播报的方法及装置
CN105677023B (zh) 信息呈现方法及装置
CN107948926A (zh) 智能设备分享的方法和装置
CN109309843A (zh) 视频发布方法、终端及服务器
CN105488715A (zh) 目标物信息查询方法及装置
CN104918223A (zh) 基于智能穿戴设备的信息互动方法、装置及设备
CN109039872A (zh) 实时语音信息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7518008A (ja) クラウドカードに基づく電話呼び出し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872573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5407160B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CN105491518A (zh) 基于可穿戴设备的社交提醒方法和装置
CN106027361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5391624A (zh) 通知消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4811904A (zh) 联系人设置方法及装置
CN105657325A (zh) 一种视频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245691A (zh) 业务处理方法和装置、智能终端和便携可穿戴设备
US8953050B2 (en) Interaction with electronic device recognized in a scene captured by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