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838A -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838A
KR20170142838A KR1020160167402A KR20160167402A KR20170142838A KR 20170142838 A KR20170142838 A KR 20170142838A KR 1020160167402 A KR1020160167402 A KR 1020160167402A KR 20160167402 A KR20160167402 A KR 20160167402A KR 20170142838 A KR20170142838 A KR 2017014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flow rate
ballast
wavelengt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아키 탄게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여과 장치의 필터에 걸리는 부담을 작게 하면서, 또한 적절하게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할 수 있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에 의하면, 계외로부터 도입한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처리된 밸러스트 수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멸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투과율 측정 수단과, 상기 여과 장치에 유통시키는 상기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율 측정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를 실행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탱커 등의 선박은 적하의 원유 등을 내려놓은 후, 다시 목적지를 향해서 항행할 때, 항행 중의 선박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통상, 밸러스트 수라고 불리는 물을 밸러스트 탱크내에 저장한다. 밸러스트 수는 기본적으로 양륙항(?)에서 취수되어서 선적항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그들의 장소가 다르면, 밸러스트 수 중에 포함되는 플랑크톤이나 세균류의 미생물이 온 세계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양륙항과 다른 수역의 선적항에서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면, 그 항구에 다른 수역의 미생물을 방출하는 것이 되어 그 수역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밸러스트 수 중에 포함되는 미생물의 함유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하는 필터와, 밸러스트 수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미생물의 살멸 처리(살균 처리)를 행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자외선 조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6-248510호 공보
그런데, 지역(수역)에 따라서는 미처리의 밸러스트 수에 함유되는 협잡물이 많고, 이러한 밸러스트 수는 탁도가 높다. 탁도가 높으면 밸러스트 수에 대하여 충분한 자외선 조도, 즉 충분한 살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서는, 충분하게 살균 처리가 되지 않고 있는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러한 밸러스트 수가 계외(선외)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탁도가 높은 밸러스트 수는 협잡물을 많이 함유하므로 여과 장치로의 유량이 크면 필터에 걸리는 부하가 큰 경우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여과 장치의 필터에 걸리는 부담을 작게 하면서, 또한 적절하게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할 수 있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외로부터 유입한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처리된 밸러스트 수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멸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투과율 측정 수단과, 상기 여과 장치에 유통시키는 상기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율 측정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를 실행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 수단이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여과 장치에 유통시키는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여과 처리 및 살균 처리된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계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여과 장치의 필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파장대 및 제 2 파장대 각각의 투과율 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의 제 1 적정값 및 제 2 적정값을 각각 산출 또는 설정하고, 또한 이들 중 적은 쪽으로 상기 유량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외로부터 유입한 밸러스트 수를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하지 않고, 다시 계외로 유출시키는 바이패스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투과율 측정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유통하는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파장대의 상기 투과율이 소정 비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유량의 제 1 적정값으로 하고, 제 2 파장대의 상기 투과율과 총부유물량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총부유물량을 산출하고, 이것이 소정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유량을 제 2 적정값으로 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는 밸러스트 처리 전에 상기 유량 제어를 실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밸러스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디밸러스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유통시키는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밸러스트 수를 바이패스 라인(10)에 유통시켰을 때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중에서 나타낸 각종 특징 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서 독립하여 발명이 성립한다.
1.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해수 등의 선외(계외)의 물을 시 체스트(sea chest)(SC)로부터 선내(계내)에 도입하여 밸러스트 수로서 압송하는 펌프(1)와, 필터에 의해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하는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와, 밸러스트 수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밸러스트 수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리액터(3)(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자외선 조사 수단」의 일례)와, 밸러스트 수를 저장하는 밸러스트 탱크(4)와,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각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5)과,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투과율 측정 수단(6)과, 밸러스트 수의 염분 농도를 측정하는 염분 농도 측정 수단(7)을 구비한다. 또한, 투과율 측정 수단(6)은 다른 파장대를 갖는 복수의 광원(도시하지 않음)과, 투과율을 측정하는 탁도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에 대해서는, 밸러스트 탱크(4)에 도입(유입)되기 전 또는 밸러스트 탱크(4)로부터 배출(유출)된 후에 상관없이, 또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도입(유입)되기 전 또는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로부터 배출(유출)된 후에 상관없이, 또는 자외선 리액터(3)에 도입(유입)되기 전 또는 자외선 리액터(3)로부터 배출(유출)된 후에 상관없이, 선내에 도입된 물을 모두 「밸러스트 수」라고 표현하고, 이것은 해수, 담수, 기수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유통하는 복수의 라인(L1∼L9)을 구비한다. 「라인」이란 유로, 경로, 관로 등의 유체의 유통이 가능한 라인의 총칭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라인(L1)∼라인(L9) 각각의 양단에, 라인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를 붙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L1)은 시 체스트(SC)와 펌프(1)를 접속하는 라인이고, 개폐 밸브(V1)를 갖는다. 라인(L2)은 펌프(1)와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를 접속하는 라인이며, 개폐 밸브(V3)를 갖는다. 라인(L3)은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와 자외선 리액터(3)를 접속하는 라인이고, 개폐 밸브(V4)를 갖는다. 또한, 라인(L4)은 자외선 리액터(3)와 밸러스트 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구(DR)를 접속하는 라인이고, 개폐 밸브(V2), 개폐 밸브(V6)를 갖는다. 또한, 라인(L1)∼라인(L4)은 이들을 합하여, 시 체스트(SC)와 배출구(DR)를 접속하는 주관이라고도 한다.
다음에 라인(L5)은 일단이 라인(L2)과 접속되고, 타단이 라인(L3)과 접속되어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를 바이패스하는 라인이고, 염분 농도 측정 수단(7)을 갖는다. 라인(L6)은 일단이 라인(L3)과 염분 농도 측정 수단(7)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라인(L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폐 밸브(V6)와 개폐 밸브(V2)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라인(L4)에 접속되어서, 자외선 리액터(3)를 바이패스하는 라인이고, 개폐 밸브(V5)를 갖는다. 특히, 라인(L5), 라인(L6)은 유입한 밸러스트 수를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를 통하지 않고 다시 계외로 유출시키는 라인이므로, 바이패스 라인(10)이라고도 한다.
라인(L7)은 일단이 개폐 밸브(V6)와 개폐 밸브(V2)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라인(L4)과 접속되고 타단이 밸러스트 탱크(4)에 접속되어서, 자외선 리액터(3)와 밸러스트 탱크(4)를 접속하는 라인이고, 개폐 밸브(V7)를 갖는다. 그리고, 라인(L8)은 일단이 개폐 밸브(V7)와 밸러스트 탱크(4)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라인(L7)과 접속되고, 타단이 개폐 밸브(V1)와 펌프(1)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라인(L1)과 접속되어서, 밸러스트 탱크(4)와 펌프(1)를 접속하는 라인이며, 개폐 밸브(V8)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는 여과 처리 중에 필터의 세정을 행하는 필터 세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필터 세정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세정 오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라인(L9)이 접속된다. 라인(L9)에는 개폐 밸브(V9)가 설치된다.
제어 수단(5)은 밸러스트 수의 밸러스트 탱크(4)로의 창수(漲水)(밸러스트 처리) 제어 및 밸러스트 탱크(4)로부터의 배수(디밸러스트 처리) 제어를 행한다. 이들의 제어는, 펌프(1) 및 상술한 개폐 밸브(V1)∼(V9)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2. 밸러스트 수의 처리 운전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는 처리 운전에 관하여 설명한다.
2.1 밸러스트 처리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밸러스트 처리(창수 처리) 시에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정에서는 도 2에 있어서의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라인에 밸러스트 수를 유통시켜서 밸러스트 탱크(4)에 밸러스트 수를 도입한다. 상세한 것은 다음에 설명한다.
밸러스트 탱크(4)에 밸러스트 수를 도입할 때에는, 제어 수단(5)은 개폐 밸브(V1), 개폐 밸브(V3), 개폐 밸브(V4), 개폐 밸브(V6), 개폐 밸브(V7), 개폐 밸브(9)를 열고, 개폐 밸브(V2), 개폐 밸브(V5), 개폐 밸브(V8)을 닫고, 펌프(1)를 기동함과 아울러, 자외선 램프에 통전한다. 펌프(1)의 기동에 의해, 시 체스트(SC)로부터 선외의 물(해수 등)이 도입되고, 라인(L1), 라인(L2)을 통해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로 통수된다.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로 통수된 밸러스트 수는, 필터에 의해 여과 처리된 후, 라인(L3)을 통해서 자외선 리액터(3)로 흐른다. 여기서, 상술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의 필터 세정 수단에 의해,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로 유입한 밸러스트 수의 일부는, 필터 세정의 오수로서 라인(L9)을 통해서 선외로 배출된다. 자외선 리액터(3)를 통과하는 밸러스트 수에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 처리가 된다. 그리고, 살균 처리가 된 밸러스트 수는 라인(L7)을 통과해서 밸러스트 탱크(4)로 보내어진다.
2. 2 디밸러스트 처리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디밸러스트 처리(배수 처리) 시에 밸러스트 수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정에서는 도 3에 있어서의 굵은 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라인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4)내의 밸러스트 수가 선외로 배출된다. 상세한 것은 다음에 설명한다.
밸러스트 탱크(4)로부터 배출구(DR)를 통해서 밸러스트 수를 선외로 배출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5)은 개폐 밸브(V8), 개폐 밸브(V6), 개폐 밸브(V2)를 열고, 개폐 밸브(V1), 개폐 밸브(V3), 개폐 밸브(V4), 개폐 밸브(V5), 개폐 밸브(V7)를 닫고, 펌프(1)를 기동함과 아울러 자외선 램프에 통전한다. 펌프(1)의 기동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4)의 물이 라인(L8), 라인(L1), 라인(L2), 라인(L5), 라인(L4)을 통하여 배출구(DR)로부터 선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선외로 배출하는 밸러스트 탱크(4)내의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를 통하지 않고, 라인(L5)에 의해 바이패스되어 있는 것은 밸러스트 탱크(4)내의 밸러스트 수가 상술한 밸러스트 처리시에 한번 여과 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3. 투과율에 기초한 유량 제어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유통시키는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에 플로우 차트로서 나타내는 다음의 스텝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스텝은 상술의 밸러스트 처리를 행하기 전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이러한 타이밍에서의 실행을 전제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후술의 파장대(λ1, λ2)는 예를 들면 일방이 가시광선, 타방이 자외선광의 파장대이다. 또한, 후술의 적정값이란, 제어 수단(5)이 밸러스트 수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조절의 필요, 불필요에 상관없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유량의 값이다. 또한, 조절이 불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적정값은 통상의 유량(이후, 통상값이라고 칭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개시]
(스텝 S1-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5)은 개폐 밸브(V1), 개폐 밸브(V2), 개폐 밸브(V5)를 열고, 개폐 밸브(V3), 개폐 밸브(V4), 개폐 밸브(V6), 개폐 밸브(V7)를 닫고, 펌프(1)를 기동한다. 펌프(1)의 기동에 의해, 시 체스트(SC)로부터 선외의 물(해수 등)을 도입하고, 라인(L1), 라인(L2), 라인(L5), 라인(L6), 라인(L4)을 통해서 다시 선외로 유통시킨다.
(스텝 S1-2)
투과율 측정 수단(6)은 스텝(S1-1)에 의해 유통하고 있는 밸러스트 수에 대하여 파장대(λ1)(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제 1 파장대」의 일례)의 투과율(T1)을 측정한다.
(스텝 S1-3a)
스텝 S1-2에 있어서의 투과율(T1)의 측정 결과가,
T1≥T0(또는 T1>T0) (1)
를 만족시키는 경우(T0은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소정 비율」의 일례)는 제어 수단(5)은 통상값을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의 필터에 유통시켜도 필터에 걸리는 부하는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환언하면, 제어 수단(5)은 유량의 제 1 적정값을 통상값으로 설정한다.
(스텝 S1-3b)
스텝 S1-2에 있어서의 투과율(T1)의 측정 결과가,
T1<T0(또는 T1≤T0) (2)
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제어 수단(5)은 통상의 유량(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을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의 필터에 유통시키면 필터에 걸리는 부하가 크다고 판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에 걸리는 부하, 예상되는 여과 처리의 정밀도, 필터의 내구 시간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T1의 값에 기초하여 유량의 제 1 적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T1과 제 1 적정값의 관계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되고, 소정의 법칙에 기초하여 리얼 타임으로 산출되어도 좋다. 또한, 연속적으로 산출되어도 좋고 이산적으로 산출되어도 좋다.
(스텝 S1-4)
투과율 측정 수단(6)은 스텝 S1-1에 의해 유통하고 있는 밸러스트 수에 대하여 파장대(λ2)(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제 2 파장대」의 일례)의 투과율(T2)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 수단(5)은 투과율(T2)로부터 해당 밸러스트 수의 총부유물량(TTS:Total Suspended Solids)을 산출한다. 또한, T2와 TTS의 관계는 미리 얻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5a)
스텝 S1-4에 있어서의 TTS의 산출 결과가,
TTS≥TTS0(또는 TTS>TTS0) (3)
를 만족시키는 경우(TTS0은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소정 비율」의 일례)는 제어 수단(5)은 통상값을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의 필터에 유통시켜도 필터의 부하는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환언하면, 제어 수단(5)은 유량의 제 2 적정값을 통상값으로 설정한다.
(스텝 S1-5b)
스텝 S1-4에 있어서의 TTS의 산출 결과가,
TTS<TTS0(또는 TTS≤TTS0) (4)
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5)은 통상의 유량(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을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의 필터에 유통시키면 필터에 걸리는 부하가 크다고 판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에 걸리는 부하, 예상되는 여과 처리의 정밀도, 필터의 내구 시간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TTS의 값에 기초하여 유량의 제 2 적정값을 산출한다. 또한, TTS와 제 2 적정값의 관계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되고, 소정의 법칙에 기초하여 리얼 타임으로 산출되어도 좋다. 또한, 연속적으로 산출되어도 되고 이산적으로 산출되어도 된다.
(스텝 S1-6)
제어 수단(5)은 스텝 S1-3a 또는 S1-3b, 및 스텝 S1-5a 또는 S1-5b에 의해 얻어진 제 1 및 제 2 적정값의 대소를 비교하고, 어떤 작은 쪽으로 유량을 조절한다. 즉, 밸러스트 수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유량의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유통되어서 실행되는 것이 된다.
[종료]
4. 염분 농도에 기초하는 자외선 조사 강도 제어
상술의 유량 제어에 의하면,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있어서의 필터의 부하를 경감하고, 또한 적절하게 여과 처리가 되기 때문에, 적절하게 여과 처리 및 살균 처리된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계외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여과 장치의 필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일반적으로 담수성의 미생물과 해양성의 미생물을 비교하면 전자쪽이 자외선 조사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염분 농도로 수역을 특정하고, 수역에 따른 자외선 조사 강도로 밸러스트 처리 시(창수 시)에 살균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자외선 리액터(3)의 자외선 조사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 스텝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 스텝은 그 수역에 살고 있는 생물을 판정하기 위해서 상술의 밸러스트 처리보다 전에 실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상술의 유량 제어와 같은 타이밍으로 행해도 된다. 이하, 이러한 타이밍에서의 실행을 전제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개시]
(스텝 S2-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5)은 개폐 밸브(V1), 개폐 밸브(V2), 개폐 밸브(V5)를 열고, 개폐 밸브(V3), 개폐 밸브(V4), 개폐 밸브(V6), 개폐 밸브(V7)를 닫고, 펌프(1)를 기동한다. 펌프(1)의 기동에 의해, 시 체스트(SC)로부터 선외의 물(해수 등)을 도입하고, 라인(L1), 라인(L2), 라인(L5), 라인(L6), 라인(L4)을 통해서 다시 선외로 유통시킨다.
(스텝 S2-2)
염분 농도 측정 수단(7)은 스텝 S2-1에 의해 창수 중의 밸러스트 수의 염분 농도(C)를 측정한다.
(스텝 S2-3)
스텝 S2-2에 있어서의 염분 농도(C)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제어 수단(5)은 자외선 리액터(3)의 자외선 조사 강도를 제어한다. 즉, 염분 농도(C)가 낮으면, 자외선 리액터(3)의 자외선 조사 강도를 통상 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된다. 또한, 염분 농도(C)에 기초해서 연속적으로 자외선 강도를 변화시켜도 되고 2값에 관련되는 등 이산적으로 제어해도 된다.
[종료]
4.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처리 전에,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파장대(λ1) 및 (λ2)의 광의 투과율(T1) 및 (T2)를 각각 측정하고, 그들의 값에 기초하여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유입시키는 밸러스트 수의 유량의 제 1 적정값 및 제 2 적정값을 산출하고, 이 중 작은 쪽으로 유량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적절하게 여과 처리 및 살균 처리된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4)에 저장되거나 또는 계외로 배출되도록 된다. 또한,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있어서의 필터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처리 전에,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파장대(λ1) 및 (λ2)의 광의 투과율(T1) 및 (T2)를 각각 측정하고, 그들의 값에 기초하여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유입시키는 밸러스트 수의 유량의 제 1 적정값 및 제 2 적정값을 산출하고, 이 중 작은 쪽으로 유량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2)에 의해 적절하게 밸러스트 수가 여과 처리되어, 자외선 리액터(3)의 자외선 조사 강도를 상승시키지 않더라도 살균 효과를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는, 밸러스트 수의 염분 농도(C)를 측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자외선 리액터(3)의 자외선 조사 강도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미생물의 자외선 내성에 따라서 보다 적절하게 살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5.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이하의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제 1 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투과율 측정 수단(6)은 라인(L6) 상에 설치되었지만, 라인(L6) 이외, 예를 들면 라인(L1), 라인(L2), 라인(L3), 라인(L4), 라인(L5) 등 상에 설치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L6과 같이 바이패스 라인(10)인 라인(L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염분 농도 측정 수단(7)은 라인(L5) 상에 설치되었지만,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다.
제 3 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리액터(3)와 아울러, 차아 염소산 등의 약제에 의해 살균 처리하는 약제 도입부를 갖도록 실시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디밸러스트 처리 시에는 상기 약제를 중화하는 중화제 도입부를 합쳐서 구비할 필요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 4 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리액터(3)와 아울러, 밸러스트 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염소를 생성시키고, 그 산화 작용에 의해 살균 처리하는 전해 장치를 갖도록 실시해도 좋다.
제 5 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외선 리액터(3)와 아울러, 오존을 생성시키고, 그 산화 작용에 의해 살균 처리하는 오존 발생 장치를 갖도록 실시해도 좋다.
제 6 으로 염분 농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미생물의 자외선 내성에 맞춰서 유량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의 자외선 내성이 높은 수역에서는 유량을 감소시켜서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자외선 조사 강도를 조절하지 않아도, 미생물의 자외선 내성에 따라서 보다 적절한 살균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압송부는 펌프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균등한 범위에 있어서 개폐 밸브나 펌프의 상류 하류에 따른 순서를 일부 변경하거나, 새로운 라인, 개폐 밸브, 펌프 등을 추가해도 상관없다.
1: 펌프 2: 밸러스트 수 여과 장치
3: 자외선 리액터 4: 밸러스트 탱크
5: 제어 수단 6: 투과율 측정 수단
7: 염분 농도 측정 수단 10: 바이패스 라인
L1∼L9: 라인 SC: 시 체스트
DR: 배출구 V1∼V9: 개폐 밸브

Claims (5)

  1. 계외로부터 유입한 밸러스트 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처리된 밸러스트 수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멸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수단을 구비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투과율 측정 수단과,
    상기 여과 장치에 유통시키는 상기 밸러스트 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과율 측정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를 실행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파장대 및 제 2 파장대 각각의 투과율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의 제 1 적정값 및 제 2 적정값을 각각 산출 또는 설정하고, 또한 이들 중 적은 쪽으로 상기 유량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외로부터 유입한 상기 밸러스트 수를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하지 않고, 다시 계외로 유출시키는 바이패스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투과율 측정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유통하는 상기 밸러스트 수에 있어서의 제 1 파장 및 제 2 파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장대의 투과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파장대의 상기 투과율이 소정 비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유량의 제 1 적정값으로 하고,
    제 2 파장대의 상기 투과율과 총부유물량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총부유물량을 산출하고, 이것이 소정 비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유량을 제 2 적정값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는 밸러스트 처리 전에 상기 유량 제어를 실행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20160167402A 2016-06-20 2016-12-09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20170142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1391A JP2017225907A (ja) 2016-06-20 2016-06-20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JP-P-2016-121391 2016-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38A true KR20170142838A (ko) 2017-12-28

Family

ID=6074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402A KR20170142838A (ko) 2016-06-20 2016-12-09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225907A (ko)
KR (1) KR20170142838A (ko)
CN (1) CN107522328A (ko)
HK (1) HK1245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6639A (ja) * 2018-02-08 2019-08-22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7087429B2 (ja) * 2018-02-13 2022-06-21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7087546B2 (ja) * 2018-03-28 2022-06-21 三浦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5907A (ja) 2017-12-28
CN107522328A (zh) 2017-12-29
HK1245758A1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378B2 (en) Wastewater ballast system and method
US10556660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KR20170142838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JP2013023187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130102231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N110156110A (zh) 水处理装置
KR20150116313A (ko) 밸러스트 수의 tro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02034B1 (ko)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525136B1 (ko) 중화제공급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중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18095949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411403B1 (ko) 잔류 염소와의 접촉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101462221B1 (ko) 전기분해식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81208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63655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220052267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CN114516675A (zh) 压载水处理装置
KR20170138034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의 자외선 처리 수단의 냉각 방법
US20220041471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6174890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JP2021146334A (ja) 液体処理装置、及び紫外線リアクタの汚れ検知方法
KR20180136543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 수 처리 방법
JP2019136639A (ja) 水処理装置
KR101816805B1 (ko) 단일 tro 센서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방법
KR20160026195A (ko) 밸러스트수 중화 시스템
KR20140049889A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의 해수 유동 조절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