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828A - 스파이크 슈즈 - Google Patents

스파이크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828A
KR20170142828A KR1020160135846A KR20160135846A KR20170142828A KR 20170142828 A KR20170142828 A KR 20170142828A KR 1020160135846 A KR1020160135846 A KR 1020160135846A KR 20160135846 A KR20160135846 A KR 20160135846A KR 20170142828 A KR20170142828 A KR 2017014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belt member
wire
belt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083B1 (ko
Inventor
권동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렉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to PCT/KR2016/0118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17605A1/ko
Publication of KR2017014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크 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슈즈의 솔 바닥면에서 스파이크 핀이 필요시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하여 착용자가 일상에서 보편적 수준의 신발을 신고 생활하다가, 빙판길이나 미끄러운 노면을 만났을 때,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스파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슈즈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파이크 솔(10); 상기 스파이크 솔(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부재(30);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회전축(41)이 상기 회전부재(30) 내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시 승하강 가능하게 된 스파이크 핀(40); 유연성이 있는 선형 부재로서 일부분이 상기 회전부재(30)의 요철과 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벨트부재(60); 일측 단부가 상기 벨트부재(60)의 양측 선단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70); 상기 와이어(7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와이어(70)를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마련된 조작부재(80); 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슈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파이크 슈즈{SPIKE SHOES}
본 발명은 스파이크 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슈즈의 아웃솔 바닥면에서 스파이크 핀이 필요시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파이크 슈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즈의 스파이크 기능은 빙판길이나 눈길 등 미끄러운 노면을 보행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아이젠과 같이 탈부착식 스파이크 제품은 미끄러운 빙판길 등의 환경을 만났을 때, 신발 외부에 착용했다가 필요하지 않을 때 다시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욱이 아이젠 등의 스파이크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휴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더욱이, 탈부착식 스파이크 제품은 신발 외부를 감싸 듯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신발의 기본 디자인을 왜곡시키므로 사용자의 미감(美感)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8093호(특허문헌 1)에는, 신발의 밑창 내에 형성된 안내홀과, 안내홀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고정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천공부에 고정되며 밑창의 안내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안내봉과, 고정지지판의 안내봉에 끼워져 상하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돌기부와, 고정지지판에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끼워지게 형성되며, 돌기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밀침수단을 갖는 이동 상판으로 구성된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고정지지판 및 이동 상판이 신발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비대하여 신발 바닥이 굽혀지지 않게 되어 보행시 유연성에 문제가 있어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돌기부 주변에 코일 스프링으로 설치되어 있어 돌기부가 안내봉 내에서 수직의 직진성과 함께 코일 스프링 수용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간극으로 인해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면 돌기부가 안내봉에서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면서 쉽게 부러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8093호(2002.8.27.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파이크를 신발에 탈부착하는 불편함이 없고, 솔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스파이크 핀을 삽입 및 돌출시키는 인-아웃(IN-OUT) 방식을 적용하여 착용자가 일상에서 보편적 수준의 신발을 신고 생활하다가, 빙판길이나 미끄러운 노면을 만났을 때,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스파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착용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스파이크 슈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파이크 슈즈는, 슈즈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파이크 솔; 상기 스파이크 솔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승하강 가능한 스파이크 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된 벨트부재; 슈즈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크 핀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부재 내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선형 부재로서 일부분이 상기 회전부재의 요철과 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는 한 쌍의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고, 한 쌍의 와이어의 각 일측 단부가 상기 벨트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각 타측 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이 미끄러운 빙판길 등을 만났을 때 스파이크 슈즈 착용자는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솔에 내장된 스파이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슈즈의 기본 디자인을 왜곡하지 않고도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스파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에 따라 스파이크 핀을 솔에 삽입시키면 보편적 수준의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신발로도 착용 가능하므로 스파이크 핀에 의한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 요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회전부재 및 스파이크 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스파이크 핀의 작동 관계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 요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요부 구성도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방법을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 요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회전부재 및 스파이크 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부의 단면도로서, 스파이크 핀의 작동 관계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는, 슈즈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파이크 솔(10)과, 상기 스파이크 솔(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30)와, 상기 회전부재(30)와 결합되어 회전부재(30)의 회전시 승하강 가능한 스파이크 핀(40)과, 상기 회전부재(30)와 결합된 벨트부재(60)와, 슈즈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부재(60)를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조작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벨트부재(60)와 상기 조작부재(80) 사이에 와이어(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솔(sole)(10)은 슈즈의 저면, 즉 갑피(미도시)의 저면에 배치되어 발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30), 스파이크 핀(40) 및 벨트부재(60)는 상기 스파이크 솔(10) 내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재(30)는 상기 스파이크 솔(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중공 홀의 내면에는 너트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 핀(40)은 상부에 회전축(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1)의 외면에는 볼트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41) 외면의 나사산과 상기 회전부재(30) 내면의 나사산이 서로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그것과 나사 체결된 상기 스파이크 핀(40)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재(60)는 예컨대 체인벨트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선형 부재로서 상기 스파이크 솔(1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벨트부재(60)의 일측 외면이 상기 회전부재(30) 외면의 요철과 접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흡사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 구조와 같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벨트부재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부재(3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70) 한 쌍의 일측 각 단부는 각각 상기 벨트부재(60)의 양측 선단 또는 중간의 소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벨트부재(60)와 한 쌍의 와이어(70)가 상호 연결된다.
상기 조작부재(80)는 예컨대 슈즈 갑피의 뒷부분이나 앞부분에 위치하여 착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상기 와이어(7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슈즈 착용자가 조작부재(8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통해 와이어(70)를 당기거나 풀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조작부재(8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8881호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251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신발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한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어를 감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일측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의 예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재(80)는 조작부재를 회전시킬 경우 와이어(70)를 당길 수 있고, 조작부재(80)에 장착된 버튼을 누를 경우 당겨진 와이어가 풀리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80)는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그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당기게 하고,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그 회전 방향으로 와이어를 당기는 등의 방식으로 하여 와이어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조작부재(80)를 임의 조작하여 와이어(70)가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와이어(70)에 연결된 벨트부재(60)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벨트부재(60)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그것과 접하고 있는 회전부재(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러한 동작과 연동하여 스파이크 핀(4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상기 스파이크 솔(10)에 장착된 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내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핀 하우징(20)의 벽면에는 상기 벨트부재(60)가 관통하는 개방 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핀 하우징(20)에는 2개의 개방 홀(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60)가 어느 하나의 개방 홀(21)로 삽입된 후 다른 하나의 개방 홀(21)로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다수 개가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회전부재(30) 내면에는 스파이크 핀(40)이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60)는 각각의 회전부재(30)를 연결하고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부재(60)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각각의 회전부재(30)가 모두 동시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되며, 각 회전부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도 4의 (a)와 같이 스파이크 핀(40)이 상승하여 핀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스파이크 핀(40)이 하강하여 핀 하우징(20)에서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0) 및 스파이크 핀(40)의 배치 형태에 따라 상기 스파이크 솔(10) 내부에는 상기 벨트부재(6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61)는 벨트부재(60)의 배치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 요부의 조립 관계를 보인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였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회전부재(30)가 다수 개일 때 일부 회전부재(30)들이 핀 연결부재(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부재(30)들이 위치에 따라 그룹화되어 있다.
예시한 것과 같이 스파이크 솔(10)의 앞 부분에 위치한 회전부재(30)들의 외면은 전방에 위치한 링 형태의 핀 연결부재(50)의 내면에 접하여 일체화되고, 또한 스파이크 솔(10)의 뒷부분에 위치한 회전부재(30)들의 외면은 후방에 위치한 링 형태의 핀 연결부재(50)의 내면과 접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 연결부재(50) 외면은 상기 벨트부재(60)에 접하게 되어 벨트부재(60)의 길이방향의 이동 동력이 핀 연결부재(50)를 통해 각 회전부재(30)에 전달됨으로써 핀 연결부재(50)와 회전부재(30)가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슈즈의 요부 구성도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고,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재(60)는 단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한궤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재(60)에서 임의의 2개소에 각각 상기 와이어(70)의 각 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와이어 고정구(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80)는 스파이크 솔(10)의 후부에 마련된 리어커버(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70)는 상기 스파이크 솔(10)과 리어커버(12)에 형성된 와이어(70) 유도 홀이나 홈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솔(10)에서 상기 벨트부재(60)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는 일정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가이드 홀(11)이 천공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와이어 고정구(71)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홀(11) 내에 체결되어서 가이드 홀(11)에서 와이어 고정구(71)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조작부재(8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벨트부재(6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와이어 고정구(71)가 상기 가이드 홀(11) 내에서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되므로, 조작부재(80)의 무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스파이크 핀(40)의 승하강 가능한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고정구(71)는, 상기 가이드 홀(11) 내에 체결되는 결속부(711)와, 상기 결속부(711)에서 연장된 와이어 고정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712)는 일부분에 상기 벨트부재(60)의 외측 면이 접할 수 있도록 수직 평면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재(60)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는 와이어(70)가 개재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73)의 나사 부분을 상기 와이어 고정부(712)와 벨트부재(60)를 관통시킨 후 너트(74)를 체결하면, 와이어 고정부(712)와 벨트부재(60) 사이에 개재된 와이어(70)가 압착되므로, 벨트부재(60)에 와이어(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71)의 일측에 관통홀(713)이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와이어(70)를 상기 관통홀(713)에 통과시킨 후 상기 벨트부재(60)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712) 사이에 고정시키면 와이어(7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와이어(7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 고정부(712)와 벨트부재(60) 사이의 압압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와이어 고정부(712)와 벨트부재(60)의 접촉 면적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이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벨트부재(60)와 너트(74) 사이에는 금속재의 고정플레이트(7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재질,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스파이크 솔(sole)
11... 가이드 홀 12... 리어커버
20... 핀 하우징 21... 개방 홀
30... 회전부재
40... 스파이크 핀 41... 회전축
50... 핀 연결부재
60... 벨트부재 61... 와이어 가이드
70... 와이어 71... 와이어 고정구
72... 고정플레이트 73... 볼트
80... 조작부재
711... 결속부 712... 와이어 고정부
713... 관통홀

Claims (12)

  1. 슈즈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파이크 솔;
    상기 스파이크 솔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승하강 가능한 스파이크 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된 벨트부재;
    슈즈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크 핀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부재 내면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이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선형 부재로서 일측 면이 상기 회전부재의 요철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는 한 쌍의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고, 한 쌍의 와이어 일측의 각 단부가 선형 벨트부재에 연결되며, 한 쌍의 와이어 타측의 각 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파이크 솔에 장착된 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내입되고, 상기 핀 하우징의 벽면에는 상기 벨트부재가 관통하는 개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다수 개가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회전부재 다수 개와 접촉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시 각각의 회전부재가 동시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7. 청구항 6에 있어서,
    다수 개의 회전부재 외면이 링 형태의 핀 연결부재 내면에 접하고, 상기 핀 연결부재 외면이 상기 벨트부재에 접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시 상기 핀 연결부재 및 회전부재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솔에 상기 벨트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무한궤도 형태이고 상기 벨트부재의 2개소에 각각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솔에서 상기 벨트부재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일정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가이드 홀이 천공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체결되어 가이드 홀에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체결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서 연장된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벨트부재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 상기 와이어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벨트부재와 와이어 고정부를 접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일측에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벨트부재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슈즈.
KR1020160135846A 2016-06-17 2016-10-19 스파이크 슈즈 KR10186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1882 WO2017217605A1 (ko) 2016-06-17 2016-10-21 스파이크 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38 2016-06-17
KR20160075638 2016-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28A true KR20170142828A (ko) 2017-12-28
KR101865083B1 KR101865083B1 (ko) 2018-06-07

Family

ID=6093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46A KR101865083B1 (ko) 2016-06-17 2016-10-19 스파이크 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5272A1 (en) * 2022-06-22 2023-12-28 Xmen Services Inc. Remote-controlled traction device for footwear
EP4360493A1 (en) 2022-10-24 2024-05-01 Stefan cel Mare University of Suceava Intelligent system for grip enhancem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156U (ja) * 1994-08-16 1995-03-28 良美 堤 自動突起スパイクシューズ
KR20020068093A (ko) 2001-02-20 2002-08-27 강대식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JP4898167B2 (ja) * 2005-08-05 2012-03-14 山本工業株式会社 スポーツシューズ
US8347527B2 (en) * 2006-06-22 2013-01-08 Tecvision Ag Shoe sole with integrated slip prevention elements
KR20160004657A (ko) * 2014-07-03 2016-01-13 정환호 노출 조절형 아이젠 장치
KR20160131135A (ko) * 2015-05-06 2016-11-16 (주)익산하이테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EP2954796B1 (en) * 2014-06-09 2016-11-30 Sienvin Jalkine Oy Stud mechanism of a shoe, and a sho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156U (ja) * 1994-08-16 1995-03-28 良美 堤 自動突起スパイクシューズ
KR20020068093A (ko) 2001-02-20 2002-08-27 강대식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JP4898167B2 (ja) * 2005-08-05 2012-03-14 山本工業株式会社 スポーツシューズ
US8347527B2 (en) * 2006-06-22 2013-01-08 Tecvision Ag Shoe sole with integrated slip prevention elements
EP2954796B1 (en) * 2014-06-09 2016-11-30 Sienvin Jalkine Oy Stud mechanism of a shoe, and a shoe
KR20160004657A (ko) * 2014-07-03 2016-01-13 정환호 노출 조절형 아이젠 장치
KR20160131135A (ko) * 2015-05-06 2016-11-16 (주)익산하이테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5272A1 (en) * 2022-06-22 2023-12-28 Xmen Services Inc. Remote-controlled traction device for footwear
EP4360493A1 (en) 2022-10-24 2024-05-01 Stefan cel Mare University of Suceava Intelligent system for grip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083B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5749S1 (en) Shoe
USD551833S1 (en) Footwear outsole
USD612589S1 (en) Pair of slippers
KR101231633B1 (ko) 지압체를 갖는 신발창
USD1005654S1 (en) Footwear
KR101865083B1 (ko) 스파이크 슈즈
EP3155919A1 (en) Pivotable footwear device
KR101494885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822823B1 (ko) 신발용 스파이크 장치
EP2250920A1 (en) Shoelace fastener and shoe
GB2510496A (en) Wheel braking mechanism for luggage case
US7874083B1 (en) Sole wear protection system
US8888346B2 (en) Illuminating shoelace device
USD858067S1 (en) Shoe insole
US10486466B1 (en) Directional castor structure
KR101380833B1 (ko) 아이젠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KR101875729B1 (ko) 신발용 스파이크의 승강장치
KR101593479B1 (ko) 아이젠 내장형 신발
KR101161392B1 (ko) 신발끈 체결장치
ES2565982T3 (es) Artículo de calzado
USD922747S1 (en) Shoe stud
KR102249743B1 (ko) 신발
US20160073726A1 (en) Foot supporting structure of a cycling shoe with improved ergonomics
KR200482933Y1 (ko) 교체가 가능한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WO2017217605A1 (ko) 스파이크 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