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664A -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664A
KR20170142664A KR1020160076513A KR20160076513A KR20170142664A KR 20170142664 A KR20170142664 A KR 20170142664A KR 1020160076513 A KR1020160076513 A KR 1020160076513A KR 20160076513 A KR20160076513 A KR 20160076513A KR 20170142664 A KR20170142664 A KR 2017014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ion
unit
degree
washing machine
fl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082B1 (ko
Inventor
정길영
정대원
박형원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0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측정센서; 및 상기 오염측정센서로부터 오염 측정치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세탁기의 내부를 자동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Washing machine contamin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저수조인 외조 및 세탁조인 내조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펄세이터 또는 내조의 회전에 따라 세탁이 이루어지는 수직형 세탁기와, 외조 및 내조(즉, 드럼)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른바 드럼세탁기와, 상기 내조를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되게 배치한 경사방식 세탁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들에 있어서의 지금까지의 급수 형태는 상수관을 통해 끌어온 물(즉, 세탁용수)이 급수밸브가 열림에 따라 외조 내로 공급된다.
한편, 통상 세탁기는 오염된 세탁물에 대해 세탁, 헹굼,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깨끗하게 세탁하게 된다. 즉, 종래의 가정용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조인 내조에 투입함과 동시에 소정량의 세제와 세탁수(통상은 수돗물)를 공급하고, 이것을 교반하여 세탁함으로써 세탁물의 일반적인 더러움에 대하여 세정 성능을 확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세탁 중에 수돗물 속의 칼슘분과 세제 속의 계면활성제가 반응하여 불용성의 금속비누가 생성되어 그 일부가 내조의 둘레벽에 부착하기 쉽고, 이러한 경향은 세제가 특히 고급지방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세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이렇게 발생한 금속비누의 부착물에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섬유 찌꺼기나 더러움 등이 부착하기 쉽고, 이 더러움이나 부착물은 수분을 흡수하여 미생물(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며, 그리고 부패를 일으키는 면상 침전물(flock)을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곰팡이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 곰팡이는 그 대사물에 의해 냄새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더욱 발달하면 이후에 세탁운전에서 이것이 수중에 박리 부유하여 세탁물에 부착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일반적인 세탁물의 더러움과는 별도로 위생적인 세정성능을 얻는 데에는 불충분 하였다.
또, 일반적인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이중조 구조를 이루고 있고, 외측에 저수조인 외조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내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내조 내부의 바닥면 상에 펄세이터를 설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내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펄세이터 또는 내조를 교반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세탁 및 헹굼이 실시되고, 또 내조를 고속으로 일방향 회전시킴에 따라 원심 탈수가 실시된다.
따라서, 이 종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내조와 외조의 사이에는 세탁물에 의한 마찰 접촉이 없기 때문에 내조의 외측면 및 외조의 내측면에는 금속 비누나 섬유 찌꺼기 등이 부착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세탁기 안쪽 부분은 일반 사용자로서는 분해 청소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내조나 외조는 강도 형상을 위해서 보강 리브 등을 주로 한 요철형상을 이룬 구성이기 때문에 금속비누나 더러움이 부착 축적되기 쉬운 구성으로 한층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있다.
또한, 세탁물(의류)은 착용하여 인체나 외기 등으로부터 많은 균이 부착하기 쉽고,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황색 포도 상구균, 세레우스균이나 비정형 항상성균 등의 많은 균이 부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부착한 균은 세탁하여도 세탁물에 잔류하고, 특히 세탁물의 건조가 나쁜 상태에서는 그 잔류한 균이 다시 번식하여 냄새나 누래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우기,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영아 또는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류에 부착한 균으로부터 피부가 감염되기 쉬우므로, 세탁물에 대하여 한층 청결하고 위생적인 세정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요컨대, 세탁 도중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배수 시 세탁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그 중 일부분은 내조의 내, 외측면이나 외조의 내측면에 묻어있게 되며, 내조의 외측면이나 외조의 내측면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은 세탁물과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쉽게 떨어지지 못하고 그대로 붙어 조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염원에 미생물이 기생하게 되고, 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조의 내외면 및 외조의 내측면에 부착된 미생물이 중식되어 세탁물을 재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세정이 필요하다고 판달할 경우, 별도로 판매하고 있는 조세정제를 내조에 물과 함께 희석하여 넣은 후 세탁기를 동작시키므로, 저세정제의 세정 작용에 의해 외조 및 내조로부터 오염물질이 떨어져 나오도록 하여 배수 시 세탁수와 함께 외부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조 및 내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판단하여 조세정을 실시하므로 실제 조세정이 필요없을 경우에도 세정이 행해져 조세정제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의 투입 및 세탁기의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물과 전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에 앞서, 무엇보다도 실제 조세정이 이루어져야 할 정도로 조오염이 심각해지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파악하기가 곤란하여 조오염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이 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염측정 센서의 센싱정보를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자동으로 통세척을 진행하고, 통세척 후에 세탁기오염도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 오염정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기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측정센서; 및 상기 오염측정센서로부터 오염 측정치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세탁기의 내부를 자동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세탁기 내의 미생물과 발광 시약과의 반응 결과로부터 발생되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상기 제어부에서 오염측정 명령을 받는 수행부와, 상시 수행부에서 발광 시약 분사 명령을 받아,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시약 분사부와, 발광 정도를 취집하는 집광부와, 오염 측정을 수행하는 오염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집광부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를 센싱(sensing)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세탁기 내부의 오염 측정 명령을 상기 수행부로 전달하는 센서모듈제어부와, 상기 집광부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를 전달받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기준치와 비교하여 통세척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통세척 명령을 전달받는 통세척 명령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상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가 스크린으로 보여지는 LCD와, 상기 LCD 에 오염도를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상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전송하는 WLAN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WLAN 모듈은,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수행부로 세탁기 내부의 오염측정 명령을 내리는 단계; 발광 시약부가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단계; ATP 와 발광 시약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부가 취집하는 단계; 오염감지부가 집광부를 통해 모인 발광 정도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오염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데이터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통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세척을 수행한 이후, 발광 시약부가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단계; ATP 와 발광 시약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부가 취집하는 단계; 오염감지부가 집광부를 통해 모인 발광 정도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오염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데이터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오염도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 분해청소 알림을 LCD에 표시하거나 WLAN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 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세탁기 내부의 오염도를 검사하여 스스로 통세척 기능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탁기 분해 청소를 할 것을 알리며, 이를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확인 가능 및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보다 청결한 세탁기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위생면에서 높은 세정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과 더불어 세탁시의 세탁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세탁기의 기기 신뢰성을 한층 고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제1 예를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제2 예를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은, 세탁기 오염관리를 위해, 내조(10)와 외조(11) 및 펄세이터(12)의 청결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유지관리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은, 오염측정 센서(100) 및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오염측정 센서(100)는 세탁기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정확하게는 주로, 내조(10)와, 외조(11) 및 펄세이터(12)에 오염되는 곳이며, 오염측정 센서(100)는 외조(11)의 내부에 부착되어 내조(10)의 외부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더불어, 오염측정 센서(100)는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기준으로 측정하게된다. 이러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측정 원리는 생물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인 ATP 발광반응인 루시페린 반응의 정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많고 적음을 RLU(Relative Light Unit) 단위로 표현하는데 미생물의 총량과 세균의 양은 비례함으로, RLU 값에 다라 세균의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염측정 센서(100)는 외조(11)의 내부, 즉 내조(10)의 외부의 오염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오염측정 센서(100)는 집광부(110)와, 수행부(120)와, 시약 분사부(130) 및 오염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집광부(110)는 생체발광 정도를 취집한다. 여기서 생체발광은 오염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하 생체발광과 오염 정도는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행부(120)는 제어부(200)에서 오염측정 명령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시약 분사부(130)는 수행부(120)에서 시약 분사 명령을 받아, 외조(11)와 내조(10) 사이에 시약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오염 감지부(140)는 오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염 감지부(140)는 집광부(110)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 및 세기를 측정하고, 수치화하여 후술할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오염측정 센서(100)로부터 오염 측정치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세탁기의 내부를 자동 세척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는 센서모듈제어부(210)와, 데이터 수집부(220)와, 분석부(230)와, 통세척 진행부(240)와, LCD(250)와, 입력부(260)와, WLAN 모듈(270) 및 어플리케이션(2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제어부(210)는 세탁기 내부의 오염 측정 명령을 수행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220)는 집광부(110)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를 전달받는다. 즉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염 감지부(140)가 집광부(110)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 및 세기를 측정하고 수치화하여 데이터 수집부(220)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부(230)는 데이터 수집부(220)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여 통세척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세척 진행부(240)는 분석부(230)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통세척 명령을 전달받아, 통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LCD(250)는 분석부(230)로부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가 스크린으로 보여질 수 있다. 즉 LCD(250) 화면에 보여진다. 또한 입력부(260)는 LCD(250)에 오염도를 입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WLAN 모듈(270)은 분석부(230)로부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WLAN 모듈(270)은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8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세탁기 분해 청소를 할 것 인지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장소와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APP 을 통칭한다.
더불어, 통세척과 분해청소 알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pat00001
상단의 그래프는 세탁 후의 오염도를 나타낸 것이고, 하단의 그래프는 통세척 후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단의 그래프에서 세탁 회수가 1회, 2회, 3회에 따라 점점 증가할수록 세탁 후의 오염도는 증가된다. 3회차에서는 오염도가 '통세척 수행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점이 되고, 이때에 통세척이 수행되어 4회차 오염도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3회, 6회, N회, N+3회가 통세척을 시행해야 하는 시점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하단 그래프는 상단 그래프에서 통세척이 수행될 때 마다 '통세척 후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통세척 회수의 1회차, 2회차,..,P회차, P+1회차는 상단 그래프에서의 세탁회수 3회차, 6회차,…,N회차, N+3회차에 대응되는 시점으로 통세척 후 오염도가 증가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하단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통세척 후 오염도'가 점점 증가하다가 P회차 시점에서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게 될 때 분해청소 알림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분해청소를 시행하게 되면 P+1회차와 같이 '통세척 후 오염도'가 낮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오염 관리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어부(200)에서 수행부(120)로 세탁기 내부의 오염측정 명령을 내린다.
다음으로, 발광 시약부가 루시퍼라아제를 포함하는 ATP 반응 발광제를 포함하는 시약을 분사한다.
다음으로, 미생물이 분비하는 ATP(아데노신삼인산, adenosine triphosphate)와 루시페린(luciferin)/루시페라아제(luciferase)가 반응하여 발광하는 빛을 집광부(110)가 취집한다.
다음으로, 오염 감지부(140)가 상기 집광부에서 수집된 발광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기 내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오염 감지부(140)에서 데이터 수집부(220)로 측정된 오염값을 전송한다.
여기서, 오염도가 이미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이상인지 측정을 한다. 만약 오염도의 기준치가 이하일 경우, 오염 측정은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오염도의 기준치가 이상일 경우, 통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오염 관리 방법은 통세척 후 오염도를 다시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었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통세척 후 오염도 측정은 상기 오염도 측정법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오염 관리 방법은,
상기 통세척을 수행한 이후 발광 시약부가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단계;
ATP 와 발광시약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부가 취집하는 단계;
오염감지부가 집광부를 통해 모인 발광 정도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오염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데이터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오염도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 분해청소 알림을 LCD에 표시하거나 WLAN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세척 후 다시 측정된 오염도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안넘었을 경우, 세탁기를 분해하여 청소하는 분해청소 없이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통세척후 오염 정도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 분해청소 알림을 LCD(250)에 표시하거나, WLAN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8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LCD(250) 표시와, WLAN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80)으로 전송하는 것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280)으로 전송 받은 뒤, 재 통세척을 선택할 수 있고, 아니면 그대로 종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제1 예를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염도가 증가함에 따른 통세척 진행 요구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제 1예를 설명한다. 세탁을 진행하면 내조(10) 및 외조(11)의 내, 외부에 오염물이 쌓여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된다. 때문에 세탁을 여러 차례 진행할수록 오염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재의 오염상태를 확인하고, 오염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대로 세탁기의 콘솔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80)을 통하여 통세척을 진행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오염도를 측정하고 오염도가 '통세척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통세척을 진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은 통세척이 진행된 이후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의 세탁기로 인해 보다 깨끗한 의류를 받아 볼 수 있도록 자동으로 장소와 시간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80)이 제공된다.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의 제2 예를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염도가 증가함에 따른 통세척 진행 요구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제 2예를 설명한다. 장기적으로 사용한 세탁기의 경우 만성적인 오염이 진행되어 통세척으로도 오염도를 충분히 낮출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통세척 후의 오염도가 '분해청소 기준치'를 넘게 되었을 때, 세탁기의 LCD(250)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80)을 통해 '세탁기 분해청소'를 할 것을 사용자에게 권고한다. 즉, 세탁기 내의 오염 상태가 단순히 통세탁만으로는 개선되지 못하는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분해청소로 오염도를 낮출수 있도록 분해 청소의 필요성을 알릴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80)이 제공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 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세탁기 내부의 오염도를 검사하여 스스로 통세척 기능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탁기 분해 청소를 할 것을 알리며, 이를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확인 가능 및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보다 청결한 세탁기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위생면에서 높은 세정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과 더불어 세탁시의 세탁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세탁기의 기기 신뢰성을 한층 고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오염측정 센서
200 : 제어부
110 : 집광부
120 : 수행부
130 : 시약 분사부
140 : 오염 감지부
200 : 제어부
210 : 센서모듈제어부
220 : 데이터 수집부
230 : 분석부
240 : 통세척 진행부
250 : LCD
260 : 입력부
270 : WLAN 모듈
280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Claims (6)

  1. 세탁기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측정센서; 및
    상기 오염측정센서로부터 오염 측정치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세탁기의 내부를 자동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세탁기 내의 미생물과 발광 시약과의 반응 결과로부터 발생되는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측정센서는,
    상기 제어부에서 오염측정 명령을 받는 수행부와,
    상시 수행부에서 발광 시약 분사 명령을 받아,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시약 분사부와,
    발광 정도를 취집하는 집광부와,
    오염 측정을 수행하는 오염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집광부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를 센싱(sensing)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기 내부의 오염 측정 명령을 상기 수행부로 전달하는 센서모듈제어부와,
    상기 집광부로부터 취합된 생체발광 정도를 전달받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기준치와 비교하여 통세척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생체발광 정도의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통세척 명령을 전달받는 통세척 명령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상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가 스크린으로 보여지는 LCD와,
    상기 LCD 에 오염도를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상기 통세척 명령부에 명령을 전달과 동시에,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전송하는 WLAN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WLAN 모듈은, 통세척 시간 및 통세척 후 오염도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인,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5. 제어부에서 수행부로 세탁기 내부의 오염측정 명령을 내리는 단계;
    발광 시약부가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단계;
    ATP 와 발광 시약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부가 취집하는 단계;
    오염감지부가 집광부를 통해 모인 발광 정도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오염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데이터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통세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오염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세척을 수행한 이후,
    발광 시약부가 발광 시약을 분사하는 단계;
    ATP 와 발광 시약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빛을 집광부가 취집하는 단계;
    오염감지부가 집광부를 통해 모인 발광 정도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오염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데이터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오염도가 분해청소 알림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 분해청소 알림을 LCD에 표시하거나 WLAN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1020160076513A 2016-06-20 2016-06-20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101843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13A KR101843082B1 (ko) 2016-06-20 2016-06-20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513A KR101843082B1 (ko) 2016-06-20 2016-06-20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64A true KR20170142664A (ko) 2017-12-28
KR101843082B1 KR101843082B1 (ko) 2018-03-28

Family

ID=6093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513A KR101843082B1 (ko) 2016-06-20 2016-06-20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695A (ko) * 2019-06-21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센서를 이용한 세탁조 오염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0130180A1 (ko) * 2018-12-19 202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3617227A (zh) * 2021-08-24 2021-11-09 郑州中科新兴产业技术研究院 一种用于淀粉糖脱盐过程中智能化污染防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871A (ja) * 2009-03-25 2010-10-07 Sharp Corp 汚染検知装置、汚染浄化システム、および、洗濯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180A1 (ko) * 2018-12-19 202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334982A (zh) * 2018-12-19 2020-06-26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90082695A (ko) * 2019-06-21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센서를 이용한 세탁조 오염 감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17227A (zh) * 2021-08-24 2021-11-09 郑州中科新兴产业技术研究院 一种用于淀粉糖脱盐过程中智能化污染防控方法
CN113617227B (zh) * 2021-08-24 2024-02-13 郑州中科新兴产业技术研究院 一种用于淀粉糖脱盐过程中智能化污染防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082B1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082B1 (ko) 세탁기 오염 관리 시스템
CN104233700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2595994B (zh) 具有污染检测功能的器皿清洗机及检测该机器中的污染的方法
RU2560267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степени гигиенической чистоты белья и/или прибор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в прибор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анного способа
CN105088698B (zh) 一种洗衣机水循环处理控制方法及洗衣机
CN106480645A (zh) 一种节水洗衣机水位控制方法
CN108018674B (zh) 洗衣机控制方法
CN104047146A (zh) 一种洗衣机用自动投放洗涤剂装置
AU2010281008A1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CN204000327U (zh) 一种洗衣机用自动投放洗涤剂装置
CN107429462B (zh) 用于运行具有阻抗传感器的洗衣机的方法以及洗衣机
CN103826521A (zh) 家用器具和方法
CN105951354B (zh) 洗衣机的洗涤控制方法和洗衣机
TW201200673A (en) Laundry machine
CN110226906A (zh) 一种用于洗碗机的浊度检测方法及检测系统
CN201268798Y (zh) 基于光电传感技术的洗衣机的污垢检测装置
CN104695175B (zh) 一种具有浊度检测功能的洗衣机
CN106676819A (zh) 一种自清洁洗衣机排脱水控制方法
CN111020973A (zh) 一种滚筒洗衣机泡沫自清洗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洗衣机
CN110670296A (zh) 一种智慧家居智能化控制方法
KR100692619B1 (ko) 세탁기의 세탁조 관리방법
EP2473662B1 (en)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gas sensor
KR20100020747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WO2018086859A1 (en) Process for the operation of a washing machine with foam detection and washing machine suitable for this process
CN105525490B (zh) 一种全自动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