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156A -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156A
KR20170142156A KR1020170173781A KR20170173781A KR20170142156A KR 20170142156 A KR20170142156 A KR 20170142156A KR 1020170173781 A KR1020170173781 A KR 1020170173781A KR 20170173781 A KR20170173781 A KR 20170173781A KR 20170142156 A KR20170142156 A KR 2017014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device
slave device
light emission
sub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111B1 (ko
Inventor
이길원
송호림
최정민
최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298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1162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이트
Priority to KR102017017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156A/ko
Priority to KR1020210154063A priority patent/KR10237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11B1/ko
Priority to KR1020220032516A priority patent/KR10248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37/02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05B33/0845
    • H05B33/0857
    • H05B37/0227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장치로서, 통신부; 미리 출력된 전자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코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전자 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발광될 특정 발광위치를 나타내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특정 발광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EMISSION CONTROL SYSTEM USING MODULATION OF SPREADING CENTUR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발광 장치의 발광 패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서트 또는 경기장 등에서 사용되는 발광 방식의 응원 도구 혹은 건물 등의 외벽 등의 구조에서는 복수의 발광 장치(예: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발광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연출 기획자 등은 마스터 장치와 같은 중앙처리 장치를 통해서 발광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발광패턴을 연출시킨다.
한편, 이러한 발광 장치들의 제어 방식은 마스터 장치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예: 발광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발광 패턴을 연출하고 있는 방식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20023호
종래의 발광패턴 연출 방식은 하나의 제어 장치(예: 마스터 장치)에서 복수의 발광 장치(예: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발광 장치들을 그룹핑하여 발광패턴을 연출하고자 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소지하는 형태의 발광 장치(예: 발광 응원 도구)는 사람이 움직임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의 연출이 자칫 흐트러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마스터 장치에서 일일이 사람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소지된 발광 장치를 컨트롤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터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들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브 마스터 장치들 주변의 슬레이브 장치들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장치로서, 통신부; 미리 출력된 전자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코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전자 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발광될 특정 발광위치를 나타내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특정 발광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1 발광 패턴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2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2 발광 패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어 반경내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반경 및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제1 발광 패턴값 및 상기 제2 발광 패턴값의 평균 값으로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발광 패턴값 및 상기 제2 발광 패턴값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타이밍 값, 발광 컬러 값 및 발광 지속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방법은, 마스터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출력된 전자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전자 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발광될 특정 발광위치를 나타내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특정 발광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에서 서브 마스터 장치들의 전파 세기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그룹핑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 서브 마스터 장치들은 각각의 전파 세기 조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제어 반경을 가짐으로써, 서브 마스터 장치간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움직임을 가지는 슬레이브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에서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에서 전자 코드 정보를 스캔하고, 전자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에 부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의 이동에 따른 발광 패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가 복수의 제어 반경내에 위치한 경우 발광 패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에서 마스터 장치와 서브 마스터 장치들 각각이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연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발광제어 신호”는 “제1 발광제어 신호” 및 “제2 발광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제어 신호는 마스터 장치(100)가 서브 마스터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발광제어 신호는 마스터 장치(100)가 슬레이브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발광제어 신호”는 제1 발광제어 신호 및 제2 발광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마스터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따라 의미상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발광 제어 시스템(10)은 마스터 장치(100),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제어 시스템(10)은 마스터 장치(100)에서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발광 제어 시스템(10)은 외부 장치(예: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구성(예: 마스터 장치(100))은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발광패턴을 연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마스터 장치(100)는 키오스크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의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의 제어 하에 실시간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구간 별로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30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제어 하에 실시간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구간 별로 다양한 형태의 발광 패턴을 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슬레이브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발광될 수 있는 소형 응원도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스터 장치(100), 서브 마스터 장치(200), 슬레이브 장치(300) 상호 간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마스터 장치(100)와 슬레이브 장치(300)는 RF 통신 또는 전자태그와 같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마스터 장치(1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간 또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와 슬레이브 장치(300간은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후술할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1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마스터 장치(100)는 통신부(110), 전자코드 인식부(120), 저장부(130), 정보 확인부(140), 정보 제공부(150), 발광 제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100)는 도 2의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예: 입력 모듈, 표시 모듈, 전원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마스터 장치(100)와 슬레이브 장치(300)간, 마스터 장치(100)와 서버(미도시)간 또는 마스터 장치(1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예를 들면,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예: RF 송/수신기, 지그비, 블루투스, WIFI 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코드 인식부(120)는 공연 티켓 또는 콘서트 티켓 등에 인쇄된 전자 코드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코드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과 같이 티켓 등에 인쇄된 정보를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코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코드 인식부(120)는 전자 코드를 스캔하여 전자코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광학 스캐너 또는 QR코드 인식기 등일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전자코드 인식부(120)는 마스터 장치(100)의 내부에 구현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코드 인식부(120)는 마스터 장치(100)와 분리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 경우, 마스터 장치(100)는 상기 전자코드 인식부(120)로부터 전자 코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마스터 장치(100) 또는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티켓으로부터 수신된 전자코드 정보, 상기 전자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발광위치 정보 및 상기 발광위치에 대응되는 연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코드 정보, 발광위치 정보 및 연출 정보는 상호 대응되는 매핑 테이블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티켓에는 해당 티켓을 구입한 사람의 좌석이 공연장의 어느 위치인지를 마스터 장치(100) 또는 서버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티켓에는 해당 티켓의 구매자가 좌석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국문, 영문 또는 아라비아 숫자 등의 좌석 정보가 추가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위치 정보는 마스터 장치(100) 또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서 공연등의 연출을 위해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300)들을 식별하거나 그룹핑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위치 정보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좌석 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좌석 정보에 추가 식별 정보가 부가됨으로써 설정될 수 있으며,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관리자 또는 공연 정책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실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연출 정보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300)들을 통해 비교적 고화질의 발광 패턴(예: 이미지 등으로 나타나는 화면 등)을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 마스터 장치(100)에서 슬레이브 장치(300)로 미리 저장(예: 삽입)시키는 정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고화질의 발광 패턴을 연출코자 하는 경우에는 픽셀 정보와 같은 연출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들에 미리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100)는 발광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연출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정보 확인부(140)는 전자코드 인식부(120)로부터 수집된 전자코드 정보를 전달받고, 전자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저장부(130) 또는 서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로서, 정보 확인부(140)는 전자코드 인식부(120)로부터 수집된 전자코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서버 상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확인부(140)는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정보 제공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0)는 정보 확인부(140)에서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 및 연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제공(예: 삽입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부(150)는 RF 모듈과 같은 통신부(110)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300)에 발광위치 정보 또는 연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160)는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 또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300)로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제어부(160)는 슬레이브 장치(300)들의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슬레이브 장치(300)들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안테나 모듈(215)의 전파 세기를 제어하는 제1 발광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서브 마스터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발광제어 신호는 마스터 장치(100)가 서브 마스터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서브 마스터 장치(200)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 해당하는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발광제어 신호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파 세기값 및 발광 패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세기값은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특정 전파 세기를 나타내는 수치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서브 마스터 장치(200)를 원점으로 하여 소정 반경을 가지는 제어 반경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광 패턴값은 상기 제어 반경내에 위치한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이 시작되는 발광 타이밍, 발광 색, 발광 지속시간을 제어하는 특정 수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패턴값은 발광 타이밍 값, 발광 컬러 값 또는 발광 지속시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발광제어 신호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제어부(160)는 슬레이브 장치(300)를 직접 제어하기 위해 각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발광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제어부(160)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300)로 제2 발광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각 슬레이브 장치(300)는 방송되는 제2 발광제어 신호 중 자신의 발광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스터 장치(1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마스터 장치(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정보 확인부(140), 정보 제공부(150) 및 발광 제어부(160)는 제어부(17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을 제어부(170)의 일반적인 기능들과 구별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한 기능적인 구성일 수 있다. 도 2에서 정보 확인부(140), 정보 제공부(150) 및 발광 제어부(160)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70)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발광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도 3의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예: 입력 모듈, 표시 모듈, 전원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1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와 마스터 장치(100)간 또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와 슬레이브 장치(3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예를 들면,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예: RF 송/수신기, 지그비, 블루투스, WIFI 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안테나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모듈(215)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세기에 비례하여 전파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전파 세기값이 수신되는 경우,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통신부(210) 또는 안테나 모듈(215)은 제어부(220) 또는 발광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출력되는 전파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반경을 설정/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 서브 마스터 장치(200) 또는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3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전파 세기값 및 발광 패턴값과 같은 발광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마스터 장치(100)에서 방송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 해당하는 I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4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안테나 모듈(215)의 전파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전파 세기 조절에 따라 설정되는 제어 반경 내의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제어부(24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슬레이브 장치(300)는 통신부(310), 발광부(320), 저장부(330), 정보 수신부(340), 발광 제어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장치(300)는 도 3의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예: 입력 모듈, 표시 모듈, 전원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슬레이브 장치(300)와 마스터 장치(100)간 또는 슬레이브 장치(3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예: RF 송/수신기, 지그비, 블루투스, WIFI 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20))는 하나 이상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320))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및 백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LED에서 각각 방출되는 빛을 혼합하면, 넓은 범위의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상기 혼합된 색은 각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의 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데, 각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는 각 LED의 구동 전류에 비례할 수 있다.
즉, 각 LED의 구동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발광부(320))에서 출력되는 빛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LED는 도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특정 문구(텍스트)나 이미지 혹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발광부(320))의 광원으로서 LED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광원의 종류가 LE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으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60), 슬레이브 장치(300) 또는 발광 제어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30)는 전자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발광위치 정보 및 상기 발광위치에 대응되는 연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발광 제어부(350) 또는 제어부(360)의 호출 시 저장된 발광위치 정보 또는 연출 정보를 발광 제어부(350) 또는 제어부(36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발광위치 정보 또는 연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340)는 RF 통신을 통해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발광위치 정보 및 연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35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서 방송되거나 서브 마스터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발광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발광패턴 정보에 해당하는 형태로 발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제어부(350)는 마스터 장치(100)에서 방송되는 발광제어 신호(예: 제2 발광제어 신호) 중 저장부(230)의 발광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슬레이브 장치(3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슬레이브 장치(3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정보 수신부(240) 및 발광 제어부(250)는 제어부(26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을 제어부(260)의 일반적인 기능들과 구별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한 기능적인 구성일 수 있다. 도 2에서 정보 수신부(240) 및 발광 제어부(250)는 제어부(26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260)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100)에서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S51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100)는 관객의 티켓에 인쇄된 전자 코드를 스캔하여 전자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의 사용자(예: 관리자)는 광학 스캐너와 같은 전자코드 인식부(120)를 이용하여 티켓의 인쇄된 전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전자코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3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100)는 전자코드 정보에 따른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는 저장부(130) 또는 서버 상에서 전자 코드 정보에 매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5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100)는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제공(예: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의 관리자는 상기 전자 코드 정보 확인 및 발광위치 정보 제공 과정을 거친 후, 해당 티켓을 가져온 관객에게 상기 발광위치 정보가 삽입된 슬레이브 장치(30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객은 티켓의 좌석 정보를 통해 공연장 상에서 지정된 좌석을 확인하여 해당 좌석에 착석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7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10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파세기를 조절하여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 등의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30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 인접한 좌석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발광제어 신호(예: 제1 발광제어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는 공연의 특정 시나리오 또는 실시간 제어에 따른 발광제어 신호를 복수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장치(100)는 동일한 발광제어 신호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불특정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들로 방송하거나 송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100)에서 티켓의 전자코드 정보를 스캔하고, 전자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100)는 전자코드 인식부(120)를 통해 관객이 소지한 티켓(601)의 전자 코드(602)를 스캔함으로써 전자코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100)와 상기 전자코드 인식부(120)가 분리되어 구성된 경우, 마스터 장치(100)는 전자코드 인식부(120)에서 수집된 전자코드 정보를 키오스크와 같은 중간 매체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으며, USB와 같은 물리적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수집된 전자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위치 정보를 저장부(130) 또는 서버의 DB(603) 상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장치(100)는 RF 태그 장치와 같은 정보 제공부(150)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300)를 태깅함으로써 발광위치 정보를 슬레이브 장치(300)에 삽입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장치(300)는 상기 발광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색으로 발광부(2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제어 시스템(10) 또는 마스터 장치(100)의 관리자가 성공적으로 슬레이브 장치(300)에 정보를 삽입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100)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 (S.M1) 및 제2 서브 마스터 장치(S.M2)에 각 서브 마스터 장치의 ID 정보에 따라 매핑된 발광제어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제어 신호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S.M1)로 하여금 제1 제어 반경(C1)이 설정되도록 하는 제1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1 제어 반경(C1) 내에 위치한 제1 슬레이브 장치(S1), 제2 슬레이브 장치(S2) 및 제3 슬레이브 장치(S3)가 빨간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제어 신호는 제2 서브 마스터 장치(S.M2)로 하여금 제2 제어 반경(C2)이 설정되도록 하는 제2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2 제어 반경(C2) 내에 위치한 제4 슬레이브 장치(S4) 및 제5 슬레이브 장치(S5)가 파란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6 슬레이브 장치(S6)의 위치는 제1 제어 반경(C1) 및 제2 제어 반경(C2) 중 어느 쪽에도 속해있지 않으므로, 기존 발광 상태(OFF)를 유지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100)는 임의의 시점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제1 제어 반경(C1)과 제2 제어 반경(C2)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마스터 장치(100)가 제2 제어 반경(C2)이 더 커지도록 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방송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6 슬레이브 장치(S6)가 변경된 제2 제어 반경(C2)내에 위치하게 된다면 상기 제6 슬레이브 장치(S6)는 파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에서 슬레이브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발광 패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에서 슬레이브 장치(300)가 복수의 제어 반경내에 위치한 경우 발광 패턴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8 및 도 9의 예시는 슬레이브 장치(300)가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한 실시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및 도 9의 내용 중 도 7의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제어 반경(C1) 내에 위치한 제2 슬레이브 장치(S2)가 제2 제어 반경(C2) 내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슬레이브 장치(S2)는 기존 제1 서브 마스터 장치(S.M1)의 제어에서 벗어나 제2 서브 마스터 장치(S.M2)의 제어하에 구동된다. 따라서, 제2 슬레이브 장치(S2)는 기존 발광 형태인 빨간 색에서 파란 색으로 변경되어 발광되게 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2 슬레이브 장치(S2)의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제2 슬레이브 장치(S2)가 제1 제어 반경(C1) 및 제2 제어 반경(C2)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슬레이브 장치(S2)는 제1 발광 패턴 값과 제2 발광 패턴 값을 모두 고려하여 발광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제2 슬레이브 장치(S2)는 상기 제1 발광 패턴값과 제2 발광 패턴값의 평균 값으로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레이브 장치(S2)의 발광부(320)가 깊이 방향으로 복수의 LED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인 경우, 제1 발광 패턴값 및 제2 발광 패턴값에 기반하여 일부 LED는 파란색으로 발광되고, 일부 LED는 빨간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S2)를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보라색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특정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슬레이브 장치(S2)는 발광부(320)의 구성 형태 또는 미리 설정된 발광 정책에 따라서 제1 발광 패턴 값 및 제2 발광 패턴값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은 서브 마스터 장치(200)간 유기적으로 슬레이브 장치(300)를 제어함으로써 움직임을 가지는 슬레이브 장치(300)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에서 마스터 장치(1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들 각각이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10의 예시는 블록과 같은 장애물 등이 마스터 장치(100)와 서브 마스터 장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발광제어 신호가 서브 마스터 장치(200)로 전달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장치(100)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S.M1) 및 제2 서브 마스터 장치(S.M2)와 유선 케이블(5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장치(100)는 유선 방식으로 발광제어 신호를 각 서브 마스터 장치(S.M1, S.M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스터 장치(100)는 블록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서브 마스터 장치(S.M2)에도 발광제어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제어 시스템(10)의 운용에 따른 연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300_1 내지 300_N),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300_1 내지 300_N)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장치(200) 및 상기 서브 마스터 장치(200)에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100)가 위치한 관객석(1100)이 도시된다. 이러한 관객석(1100)에는 A0 내지 J9까지의 그룹으로 구별되어 있고, 하나의 그룹(예: A0)에는 각각의 좌석에 위치한 관객들의 슬레이브 장치들(예: S1 내지 S8)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들(예: S1 내지 S8)의 발광을 제어하는 서브 마스터 장치(예: S.M)이 포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A0 그룹에서는 슬레이브 장치들(예: S1 내지 S8) 및 서브 마스터 장치(예: S.M)가 일정 위치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7 내지 도 10의 형태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공연 시작 후 또는 공연 중에, 마스터 장치(100)는 서브 마스터 장치(200)로 발광제어 신호(1101)를 방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제어 신호(1101)는 각 서브 마스터 장치(200)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발생되는 각 제어 반경에서, 상기 제어 반경에 속하는 슬레이브 장치(300)들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2”라는 숫자가 출력되도록 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출 화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마스터 장치(S.M)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으나, 마스터 장치(100)가 직접 슬레이브 장치(300)를 제어하여 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0)는 서브 마스터 장치(S.M)를 통하지 않고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위치 정보 및 발광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연출 정보 또는 발광 패턴값을 방송함으로써 직접 슬레이브 장치(300)의 발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장치(300)는 마스터 장치(100)에서 방송되는 정보 중 자신의 발광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발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11의 실시예들을 통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그룹핑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가지는 슬레이브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또는 “~부”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또는 “~부”는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 또는“~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 발광 제어 시스템 100: 마스터 장치
200: 서브 마스터 장치 300: 슬레이브 장치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장치로서,
    통신부;
    미리 출력된 전자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 코드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전자 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발광될 특정 발광위치를 나타내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특정 발광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발광 제어부;
    를 포함하는, 마스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1 발광 패턴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2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2 발광 패턴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반경내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반경 및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제1 발광 패턴값 및 상기 제2 발광 패턴값의 평균 값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패턴값 및 상기 제2 발광 패턴값은,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타이밍 값, 발광 컬러 값 및 발광 지속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7. 마스터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출력된 전자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전자 코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발광될 특정 발광위치를 나타내는 발광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확인된 발광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특정 발광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1 발광 패턴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 신호는,
    상기 제1 서브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 및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의 전파 세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제2 제어 반경내에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브 마스터 장치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2 발광 패턴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반경내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하는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2 발광 패턴 값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반경 및 상기 제2 제어 반경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제1 발광 패턴값 및 상기 제2 발광 패턴값의 평균 값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173781A 2016-03-11 2017-12-18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32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81A KR102327111B1 (ko) 2016-03-11 2017-12-18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210154063A KR102376722B1 (ko) 2017-12-18 2021-11-10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220032516A KR102486417B1 (ko) 2017-12-18 2022-03-16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24A KR101811622B1 (ko) 2016-03-11 2016-03-11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170173781A KR102327111B1 (ko) 2016-03-11 2017-12-18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24A Division KR101811622B1 (ko) 2016-02-29 2016-03-11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063A Division KR102376722B1 (ko) 2017-12-18 2021-11-10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156A true KR20170142156A (ko) 2017-12-27
KR102327111B1 KR102327111B1 (ko) 2021-11-16

Family

ID=609388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781A KR102327111B1 (ko) 2016-03-11 2017-12-18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210154063A KR102376722B1 (ko) 2017-12-18 2021-11-10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220032516A KR102486417B1 (ko) 2017-12-18 2022-03-16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063A KR102376722B1 (ko) 2017-12-18 2021-11-10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0220032516A KR102486417B1 (ko) 2017-12-18 2022-03-16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27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674A (ko)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면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휴대발광장치의 발광제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504Y1 (ko) * 1988-12-14 1994-08-13 금성산전 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JP2003036981A (ja) * 2001-07-24 2003-02-07 Komaden:Kk 携帯発光装置による演出用発光装置及び演出方法
KR100920023B1 (ko) 2007-11-07 2009-10-05 김경남 엘이디 조명 수단을 제어하는 확장형 제어시스템
JP2014130681A (ja) * 2012-12-27 2014-07-1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灯
JP2015002958A (ja) * 2013-05-23 2015-01-08 マイクロストーン株式会社 発光演出具の制御方式
JP2015011981A (ja) * 2013-07-02 2015-01-19 チームラボ株式会社 照明演出方法及び照明演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504Y1 (ko) * 1988-12-14 1994-08-13 금성산전 주식회사 바코드를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JP2003036981A (ja) * 2001-07-24 2003-02-07 Komaden:Kk 携帯発光装置による演出用発光装置及び演出方法
KR100920023B1 (ko) 2007-11-07 2009-10-05 김경남 엘이디 조명 수단을 제어하는 확장형 제어시스템
JP2014130681A (ja) * 2012-12-27 2014-07-1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灯
JP2015002958A (ja) * 2013-05-23 2015-01-08 マイクロストーン株式会社 発光演出具の制御方式
JP2015011981A (ja) * 2013-07-02 2015-01-19 チームラボ株式会社 照明演出方法及び照明演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17B1 (ko) 2023-01-09
KR20210136958A (ko) 2021-11-17
KR20220038635A (ko) 2022-03-29
KR102327111B1 (ko) 2021-11-16
KR102376722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315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arcode information
KR101979345B1 (ko) 공연 연출을 수행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방법
CN115209969A (zh) 公演演出方法及利用其的公演演出系统
KR101979350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2074976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2486417B1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5704A (ko) 공연 연출을 수행하는 마스터 시스템 및 방법
KR102291686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20190034184A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1811622B1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1900326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20200071711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KR102093280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1811620B1 (ko) 전자 코드 정보를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410046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20200032078A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