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691A -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 - Google Patents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691A
KR20170141691A KR1020177031072A KR20177031072A KR20170141691A KR 20170141691 A KR20170141691 A KR 20170141691A KR 1020177031072 A KR1020177031072 A KR 1020177031072A KR 20177031072 A KR20177031072 A KR 20177031072A KR 20170141691 A KR20170141691 A KR 2017014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rent
fuel gauge
charger
batter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893B1 (ko
Inventor
샤디 하와위니
크리스챤 스포크
파올로 바루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4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24
    • G01R31/363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1
    • H02J7/0052
    • H02J2007/0049
    • H02J2007/005
    • H02J2007/009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이 설명된다.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연료 게이지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정보의 결합에 기초하여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정확히 보고하는 것을 담당한다.

Description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
[0001] 본 개시는 2015년 4월 28일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14/698,83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의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에 관한 것이다.
[0003] 여기서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이 섹션에서 설명된 접근법들은 이 섹션에의 포함에 의해 종래 기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0004] 출원들은 전력 소비 및 열 손실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배터리 충전기 집적 회로(IC)들 사이의 충전 전류를 분할하는 다중-경로 배터리 충전 구현을 사용한다. 이 구현에 관한 하나의 문제는 다중 경로들로 인해 연료 게이지의 총 충전 및 방전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0005] 본 개시는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에 관한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이 설명된다.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연료 게이지는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 및 배터리로부터 방전된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06] 일 실시예에서, 감지된 배터리 전류는 전압 신호로서 보고되고, 연료 게이지는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한다.
[0007] 일 실시예에서, 감지된 배터리 전류는 전류 신호로서 보고되고, 연료 게이지는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하도록 아날로그 전류 판독치(reading)를 합산한다.
[0008]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고, 연료 게이지는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한다.
[0009]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고,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디지털 신호들을 연료 게이지에 통신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0010] 일 실시예에서, 연료 게이지는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 상에 있다.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은 버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에 디지털 신호들을 통신한다.
[0011]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결합한다.
[0012]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기들 중 하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IC의 일부이고, 연료 게이지는 PMIC의 일부이다.
[0013] 일 실시예에서, 연료-게이지는 배터리 충전기들과 별개이고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 전류 신호들을 수신하는 집적 회로 상에 있다.
[0014]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하기 위한 수단 ―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함 ― ; 및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에 대한 응답으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0015]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다.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6]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다.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7] 일 실시예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 상에 있다. 연료 게이지 시스템은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들을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에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18] 일 실시예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9]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기들 중 하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IC의 일부이고,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PMIC의 일부이다.
[0020] 일 실시예에서, 연료 게이지 시스템은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에서,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21]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으로부터,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에 대한 응답으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0022]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다.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3] 일 실시예에서,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다.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4] 일 실시예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5]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기들 중 하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IC의 일부이다.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PMIC의 일부이다.
[0026]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이한 집적 회로들 상의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배터리에 병렬로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7]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에서,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8]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성질 및 이점들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한다.
[0029] 이어지는 논의, 및 특히 도면들에 관하여, 도시된 세부사항들은 예시적인 논의를 위한 예들을 나타내며, 본 개시의 원리들 및 개념적인 양상들의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는 것이 강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 이상으로 구현 상세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어지는 논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한다.
[0030]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31]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32]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33]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34]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0035] 하기의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다수의 예들 및 특정 세부사항들이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된다. 그러나 청구항들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는 이들 예들 단독으로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특징들과 결합하여 특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특징들 및 개념들의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0036]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에 병렬로 커플링되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연료 게이지 시스템들이 설명된다.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는 배터리 충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즉, 각각의 충전기로부터의 배터리로의 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연료 게이지는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으로부터 보고된 배터리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한다. 연료 게이지는 통상적으로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부분이다. 배터리 충전기들은 별개의 IC들 상에 있을 수 있다. IC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IC 상의 제 1 배터리 충전기 및 연료 게이지, 및 제 2 IC 상의 배터리 충전기를 포함하는 PMIC를 포함할 수 있다.
[0037]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전류가 감지되고 전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된다. 연료 게이지는 아날로그 전압들을 결합하여 배터리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38]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전류가 감지되고 부분 전류(proportional current)로서 보고된다. 연료 게이지는 전류들을 결합하여 배터리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39]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1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40] 연료 게이지 시스템(100)은 배터리 충전기(102) 및 배터리 충전기(1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충전기들(102 및 104)은 별개의 집적 회로(IC)들에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료 게이지 시스템(100)은 하나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104)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기(102) 및 배터리 충전기(104)는 배터리(106)를 충전하도록 병렬로 커플링된다. 배터리(106)는 모바일 전화 또는 태블릿과 같은 다른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41] 충전기(102) 및 충전기(104)는 각각, 각각의 충전기로부터 배터리(106)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배터리 충전기 트랜지스터들(112a-b)(이하 "배터리 충전기 FET"로서 지칭됨)을 포함한다. 배터리 충전기 FET들(112a-b)은 벅 컨버터, 벅-부스트 컨버터 또는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충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되는 드레인들을 갖는다. 충전기(102) 및 충전기(104)는 각각, 각각의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충전 전류를 전압 또는 전류로서 연료 게이지 회로(116)에 제공하는 전류 센서(114a-b)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류 센서들(114a-b)은 예를 들어, 레플리카 FET들이다.
[0042]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이 예에서, 충전기(104))는 연료 게이지(이 예에서, 연료 게이지(116))를 갖는 다른 충전기 IC(이 예에서, 충전기(102))에 충전/방전 전류 정보를 전송한다. 각각의 충전기(102 및 104)에서, 충전기 배터리 FET(112)로부터의 전류는 전류 센서(114)에 의해 감지된다. 충전기(104)(또는 구현되는 경우, 충전기들(104))로부터의 감지된 전류는, 아날로그 전압으로서 출력 단자(126)(IBAT_OUT)를 통해, 충전기(102)의 연료 게이지(116)에 충전기(102)의 입력 단자(128)(IBAT_IN)를 통해서 제공된다. 연료 게이지(116)는 배터리(106)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배터리 충전기(102) 및 배터리 충전기(104)로부터의 감지된 전류를 함께 더하는 합산 회로(118)를 포함한다. 연료 게이지 회로(120)는 배터리(106)에 제공되는 총 연료 게이지 충전 또는 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43] 일 실시예에서, 전류는 양자의 배터리 충전기들에 의해 연료 게이지의 입력에 제공되며, 이는 전류들을 결합하여 배터리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44]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2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연료 게이지 시스템(200)은 배터리 충전기(202) 및 배터리 충전기(2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202 및 204)는 별개의 집적 회로(IC)에 구현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충전기(202)는 예를 들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료 게이지 시스템(200)은 하나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204)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기(202) 및 배터리 충전기(204)는 배터리(106)를 충전하도록 병렬로 커플링된다. 연료 게이지 시스템(200)은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이 예에서, 충전기(202) 및 충전기(204))로부터 전류들을 수신하고, 연료 게이지 입력의 업스트림에서 전류들을 함께 합산하고, 합산된 전류들을 그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및 그의 연료 게이지 알고리즘에 인가하는 연료 게이지(21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충전기(204)(병렬 충전기)의 충전기 배터리 FET(212)로부터의 전류는 아날로그 전류로서 충전기(202)의 충전기 배터리 FET(212)에 제공된다. 충전기(202)의 연료 게이지(116)는 총 충전 전류로서 충전기(202)의 충전기 배터리 FET(212)를 통과하는 전류를 감지한다.
[0045] PMIC 충전기(202)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220), 인덕터(222)(커패시터(C1)에 커플링됨), 단자(224)를 통해, 그리고 충전기 배터리 FET(212)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공한다. 인덕터(222) 및 커패시터(C1)는 벅 컨버터 또는 벅-부스트 컨버터와 같은 충전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 및 3의 연료 게이지 시스템들은 각각의 충전기에 대해 유사한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음.) PMIC 충전기(202)는 충전 전류를 단자(226)를 통해 배터리(106)에 제공한다.
[0046] 병렬 충전기(20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230), 인덕터(232)(커패시터(C2)에 커플링됨), 단자(234)를 통해, 그리고 충전기 배터리 FET(212)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공한다. 인덕터(232) 및 커패시터(C2)는 벅 컨버터 또는 벅-부스트 컨버터와 같은 충전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병렬 충전기(204)는 충전 전류를 단자(236)를 통해 PMIC 충전기(202)의 단자(224)에 제공하며, 여기서 충전 전류는 PMIC 충전기(202)로부터의 충전 전류와 합산된다. 전류들의 합은 PMIC 충전기(202)의 충전기 배터리 FET(212) 및 단자(226)를 통해 배터리(106)에 커플링된다.
[0047] 방전 전류는 예를 들어, 배터리(106)로부터 단자(226)로, 단자(224)로, 그리고 Vsys(시스템 전력 공급 전압)로 반대 방향이다.
[0048]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에서 전류가 감지되고 전류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연료 게이지는 디지털 신호들을 결합하여 배터리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49]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은 배터리 충전기(302) 및 배터리 충전기(3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302 및 304)는 별개의 집적 회로(IC)로 구현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충전기(302)는 PMIC 충전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은 하나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304)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기(302) 및 배터리 충전기(304)는 배터리(106)를 충전하도록 병렬로 커플링된다.
[0050]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은 디지털 신호들로서,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이 예에서, 충전기(302) 및 충전기(304))로부터 전류들을 수신하고, 전류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함께 합산하고, 연료 게이지 알고리즘(316)에 인가하여 배터리(106)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51] 각각의 충전기(302 및 304)는 충전기에 대한 디지털화된 충전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충전기 IC 상에서 (전류 ADC(IADC)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ADC)(318a-b)에 의해 디지털화되는 로컬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의 충전기로부터의 전류(예를 들어, 각각, 단자들(334a-b 및 336a-b)을 통해 충전기 배터리 FET들(312a-b)을 통한 전류)의 아날로그 감지(레플리카 FET들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전류 감지 회로들(310a-b)에서)를 사용한다. 각각의 충전기 상의 디지털 제어 블록들(324a-b)은, 데이터 버스(330) 상에서 단자들(332a-b)을 통해 충전기(304) IC로부터 충전기(302) IC로, 충전기(304)의 디지털화된 충전 전류를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디지털화된 전류들은 예를 들어, 충전기(302) IC 상에서 결합되고 연료 게이지 알고리즘(316)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서 실행되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328)는 데이터 버스(330)를 통해 충전기들(302 및 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328)는, IADC들(318a-b) 및 변환의 트리거 및 보고를 구성하는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IADC들(318a-b)은 버스(330)에 직접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마스터 버스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0052]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1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53] 연료 게이지 시스템(400)은 복수의 배터리 충전기들(404-1 및 404-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충전기들(404-1 및 404-2)은 별개의 집적 회로(IC)들로 구현된다. 배터리 충전기들(404)은 배터리(106)를 충전하도록 병렬로 커플링된다. 배터리(106)는 모바일 전화 또는 태블릿과 같은 다른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될 수 있다. 충전기들(404-1 및 404-2)은 충전기(104)(도 1)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배터리 충전기 트랜지스터들(112a-b) 및 전류 센서(114a-b)를 각각 포함한다.
[0054] 배터리 충전기들(404-1, 404-2) 각각은 충전/방전 전류 정보를 연료 게이지(416)에 전송한다. 연료 게이지(416)는 연료 게이지(116)(도 1)와 유사하지만, 배터리 충전기들(404-1 및 404-2)의 IC들과 별개의 IC에 있다. 각각의 충전기에서, 전류 센서들(114a-b)에 의해 감지되는 충전기 배터리 FET들(112a-b)로부터의 전류는 아날로그 전압으로서 출력 단자(126a-b)(IBAT_OUT)를 통해 연료 게이지(416)의 입력 단자들(428a-b)(IBAT_IN)을 통해 제공된다. 연료 게이지 알고리즘 회로(120)는 배터리(106)에 제공되는 총 연료 게이지 충전 또는 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55] 일 실시예에서, 전류는 양자의 배터리 충전기들에 의해 연료 게이지의 입력에 제공되며, 이는 전류들을 결합하여 배터리에 대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0056]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게이지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500)을 예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0057]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에 대해, 502에서,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가 수신된다. 504에서, 총 배터리 전류는 배터리 충전기로부터의 전류 신호들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된다.
[0058] 연료 게이지 시스템(100)과 같은 일부 연료 게이지 시스템에 대해,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다. 504에서,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하는 것은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0059]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과 같은 일부 연료 게이지 시스템들에 대해,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다. 504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것은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0060] 연료 게이지 시스템(300)과 같은 일부 연료 게이지 시스템들에 대해, 504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것은 하나의 충전기 배터리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0061] 본원에서 설명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들은 총 충전 및 방전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배터리와 모든 충전기들 사이에 직렬로 커플링되는 감지 레지스터로부터의, 배터리에 대한 부가적인 직렬 저항을 방지한다.
[0062] 위의 설명은 특정 실시예들의 양상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한 예들과 함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위의 예들은 유일한 실시예들인 것으로 간주되어선 안 되고, 아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의 유연성 및 이점들을 예시하도록 제시된다. 위의 개시 및 아래의 청구항들에 기초하여, 다른 어레인지먼트들, 실시예들, 구현들 및 등가물들이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연료 게이지 시스템으로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함 ― ; 및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방전된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에 커플링되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고, 상기 연료 게이지는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류 신호들이고, 상기 연료 게이지는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전류 신호들을 합산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고, 상기 연료 게이지는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게이지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 상에 있고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은 버스를 통해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상기 하나에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통신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게이지는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과 별개이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 상기 전류 신호들을 수신하는 집적 회로 상에 있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결합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 중 하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IC의 일부이고, 상기 연료 게이지는 상기 PMIC의 일부인,
    연료 게이지 시스템.
  9. 연료 게이지 시스템으로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하기 위한 수단 ―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는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상기 각각의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함 ― ; 및
    총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방전된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총 배터리 전류를 결정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에 커플링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고,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고,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하나 상에 있고, 상기 연료 게이지 시스템은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들을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들 중 상기 하나에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연료 게이지 시스템.
  14. 방법으로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와 병렬로 커플링되는 상이한 집적 회로(IC)들 상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으로부터, 그 동일한 배터리에 대해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로부터의 전류 신호들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이고,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들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신호들은 각각의 IC 상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이고,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신호들을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에서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 상의 전류 감지 회로의 입력과 다른 배터리 충전기 IC들부터의 배터리 충전 전류를 상기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 IC에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기들 중 하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IC의 일부이고, 총 충전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PMIC의 일부인,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이한 집적 회로들 상의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을 상기 배터리에 병렬로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또는 그 초과의 배터리 충전기들 각각에서,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기 IC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31072A 2015-04-28 2016-04-11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 KR102670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98,834 US9977091B2 (en) 2015-04-28 2015-04-28 Battery fuel gauges sharing current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battery chargers
US14/698,834 2015-04-28
PCT/US2016/026940 WO2016176032A1 (en) 2015-04-28 2016-04-11 Battery fuel gauges sharing current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battery charg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91A true KR20170141691A (ko) 2017-12-26
KR102670893B1 KR102670893B1 (ko) 2024-05-29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9662A1 (en) 2018-03-07
CN107533111B (zh) 2021-05-07
EP3289662B1 (en) 2021-05-19
WO2016176032A1 (en) 2016-11-03
US20160320456A1 (en) 2016-11-03
US9977091B2 (en) 2018-05-22
ES2876034T3 (es) 2021-11-11
CN107533111A (zh) 2018-01-02
JP2018515056A (ja)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111B (zh) 在多个电池充电器之间共享电流信息的电池电量计
CN103812341B (zh) 适应性温度补偿电路及方法
US1007507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KR101678116B1 (ko) 전력 공급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기 분배 방법
US9726697B2 (en) Coupled inductor current sensing apparatus and systems
US959952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d operating temperature of an electronic component
US8228014B2 (en) Multi-phase DC/DC boost converter
CN104133108B (zh) 使用升降压技术跟踪能量消耗
US11774502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CN107786081B (zh) 电压转换设备及控制电压转换设备的方法
CN111049381A (zh) 一种应用于直流三电平变换器的多目标协同优化控制方法
Dorn et al.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8684211A (zh) 具有辅助电流源的开关模式电源
KR102670893B1 (ko) 다수의 배터리 충전기들 사이에서 전류 정보를 공유하는 배터리 연료 게이지들
US11515786B2 (en) Techniques for current sensing for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IMO) regulators
US11275120B2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US10958168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IMO)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KR20210026102A (ko) 배터리 수명 예측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557917B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with configurable communication addresses
US9075421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voltage regulator modul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 voltage signal
US20200395848A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witched-mode power supply
US11081892B2 (en)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circuit
CN116937966A (zh) 电流控制电路、电能提供装置、设备、控制方法和装置
KR20150031060A (ko) 전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