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415A -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415A
KR20170141415A KR1020160074421A KR20160074421A KR20170141415A KR 20170141415 A KR20170141415 A KR 20170141415A KR 1020160074421 A KR1020160074421 A KR 1020160074421A KR 20160074421 A KR20160074421 A KR 20160074421A KR 20170141415 A KR20170141415 A KR 20170141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foam
wall
ceramic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규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최철규
이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규, 이선일 filed Critical 최철규
Priority to KR102016007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415A/ko
Publication of KR2017014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 단열 공법 시공에서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비드법, 압출법 등)를 조합하여 불연성과 단열성의 2가지 효과를 구비하는 외 단열 공법의 실용적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외 단열 공법에서 사용되었던 가연성 자재인 스치로폼 단열재와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을 조화 있게 사용하여 화재에 대하여 안전하고 단열효과도 좋은 외 단열 공법을 구현하여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Noninflammable Exterior Insulation Method Used To Ceramic Foaming Foam And Styrofoam Insulation Board}
본 발명은 외 단열 공법의 단열재 시공 시, 화재에 취약한 종래의 스치로폼 단열재의 우수한 단열성능과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의 우수한 불연성능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단열성능의 부족으로 외 단열 공법의 전체 벽체두께가 두꺼워짐 : 최근 단열성능 기준이 대폭 강화되었음) 단열성능이 좋은 스치로폼 단열재를 외 벽면의 바탕에 접착한 후에 그 위에 불연성능이 좋은 세라믹 발포 폼을 적층 하여 외부마감을 완료하는 방법으로서 단열성능과 불연성능의 2가지 기능을 충족하면서도 건물 외벽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실용적이라 할 수 있으며, 불연성능이 취약한 개구부 주위와 외 단열 공법의 단부(벽체의 상 하부와 타 외장재와의 접합부위 등 옆면)에는 가연성이 큰 스치로폼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 세라믹 발포 폼을 사용하여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방 몰딩 또는 단부 몰딩을 형성하여 외 단열 공법의 불연성능을 극대화시키며, 또한, 외 단열 공법을 고층 건물에 시공하는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층 단위(디자인에 따라 2개 층 또는 3개 층 간격도 가능하며 연속된 개구부가 있을 경우에는 인방 몰딩과 연계하여 설치)로 스치로폼 단열재를 구획 지어 차단하고 세라믹 발포 폼을 건물 벽체의 바탕에서부터 접착 시공하여 건물 높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외벽면의 불연 차단벽을 설치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 몰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이다.
또한, 세라믹 발포 폼의 표면은 직경 0.5~5.0mm의 벌집 구조를 절단한 조면으로 구성되어 접착몰탈, 코팅 하도 등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며, 변형과 풍화의 염려가 없는 무기질로 구성된 세라믹 발포 폼을 사용하므로 건축물의 외부표면의 평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벽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 단열 공법은 구조체의 외부에 단열재를 접착설치하고(통상의 외장재의 경우에는 외장재 설치를 위한 철제 프레임을 설치하고 본 건물의 벽체와 외장재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함) 그 위에 직접 외부 마감을 함으로서 고가의 제품인 통상적인 외장재의 사용보다는 저렴한 비용으로 단열과 외부 마감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생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한 동안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아온 건물 벽체의 외부 마감 공법이나, 가연성 자재인 스치로폼 단열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화재로부터 안전 확보가 불가능하고, 대기환경의 오염으로 인하여 건물 벽체의 오염이 심화되었으며(표면의 질감을 미려하게 살리기 위하여 마감 표면이 조 면으로 처리되어 있으므로 오염에 취약함) 세월이 지남에 따라 유기질로 이루어진 스치로폼 단열재의 변형 및 풍화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벽 면이 울퉁불퉁하게 변하여 평활 면을 지속할 수 없게 되어, 실제보다 건물이 노후 되어 보인다는 이유로 인하여 점점 선호도가 줄어들게 되었다.
특히, 외 단열 공법의 주요 구성 재료인 단열재는 저렴한 가격 및 바탕 면과의 접착, 표면 마감의 특성상 대부분 스치로폼 단열재를 사용하였으나, 가연성 자재인 스티로폼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여 화재로부터의 안전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수요자로부터 외면받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을 사용하는 외 단열 공법은 목조주택 등 건물 특성상 벽체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당히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은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완성할 수 있으나, 벽체 내부에 단열재가 시공되어 있지 않아 건물 벽체 외부에 접착되는 단열재만으로 소기의 단열효과를 유지(에너지 관련법의 강화 등으로 단열재의 두께가 점증하고 있는 상태임)하기 위해서는 세라믹 발포 폼의 두께가 상당하여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건물 외벽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의 스치로폼 단열재를 조합하여 단열효과를 보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 단열 공법에 있어서 불연성능이 좋은 세라믹 발포 폼만으로 단열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외 단열 공법의 벽체두께가 두꺼워 지므로(최근 에너지 대책의 일환으로 단열성능이 크게 강화되어 소기의 단열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열성능이 취약한 세라믹 발포 폼 만으로는 벽체 두께가 두꺼워 짐),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을 외 단열 공법의 외부 측 단열재로 사용하여 화재로부터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단열성능이 좋은 스치로폼 단열재를 외 단열 공법의 벽체 바탕 면(내부 측)에 사용하여 소기의 단열성능을 확보하면 외 단열 공법의 벽체 두께를 줄여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건축물의 외 단열 공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풍화 및 변형에 강한 무기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발포 폼을 사용 하므로 건물 벽체표면 전체의 평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종래에 주로 사용하던 가연성 자재인 스치로폼 단열재를 건축물의 바탕 벽체에 접착한 후에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무기질로 구성되며 주성분은 포틀랜드 시멘트와 플라이애쉬로 구성됨)을 그 위에 적층 하여 접착한 후 화스너로 고정하면,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이 외기에 접하게 되어 건축물의 단열성능과 불연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벽체의 두께를 줄여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쉬운 외 단열 공법(목 구조 등 벽체의 중간 부분이 단열재로 채워져 있는 경우의 외 단열 공법에서는 스치로폼 단열재의 보완이 필요 없이 세라믹 발포 폼의 특징인 내구성과 불연성을 이룰 수 있음)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 단열 공법에서 벽체의 바탕 면에 접착한 가연성 스치로폼 단열재가 건물 외부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건축물의 창호 등 개구부 주위를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으로 벽체 바탕에 접착 시공하여 건물 외부면 전체에서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이 외기와 접해 불연성 건물이 될 수 있도록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방 몰딩을 형성하며, 외 단열 공법의 상하부와 타 외장재와의 접합 부위 등 외 단열 공법의 단 부에는 벽체 바탕 면에 직접 세라믹 발포 폼을 접착 시공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 부 몰딩을 형성하면 가연성 자재인 스치로폼 단열재는 외기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철저히 완성하기 위해서,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가연성 자재인 스치로폼 단열재를 층간 단위 또는 2, 3개 층 단위로 스치로폼 단열재를 구획하여 차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치로폼 단열재를 절단하고 건물 높이의 일정한 간격으로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으로 구성된 층간 몰딩을 형성하면 완벽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벽체의 바탕 면에는 스치로폼 단열재를 접착하나, 도 5, 도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인방 몰딩, 단 부 몰딩, 층간 몰딩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을 벽체의 바탕 면에 설치하게 되며, 그 위에는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벽체 전면을 접착 시공하고 도 5, 도 6, 도 7에서의 각종 몰딩 부위에는 세라믹 발포 폼을 보완 설치하여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의 단열재 설치를 완성하게 되며, 이 후에는 종래의 마감코팅(첫째, 코팅 하 도는 세라믹 발포 폼 위에 접착력이 큰 코팅 하 도로 벽체와 단열재, 코팅제를 일체화시키는 단계이며, 둘째, 코팅 중도는 건물 벽면 전체의 평활도 정리와 타 외장재와의 접촉 면을 완벽하게 정리하기 위하여 코팅 하 도의 양생이 끝난 후 시공하며, 셋째, 코팅 상 도는 적절한 색상으로 질감을 살리기 위하여 유리 같은 평활 면이 아닌 미려한 무늬가 생성되는 조 면으로 처리하게 된다)과 같은 공정을 거쳐 외장재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로서 저비용, 고효율, 고품질 외장재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외 단열 공법의 취약한 부분을 개선하여 안전하고 합리적인 건설문화를 이루어 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종래의 외 단열 공법의 가장 큰 문제였던 화재로부터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외 단열 공법에서와 달리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단열 관련 부분이 강화되어 단열성능이 좋은 스치로폼 단열재만으로도 상당한 두께의 벽체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단열 성능은 스치로폼 단열재보다 적음)만으로는 더욱 두꺼운 벽체가 필요하게 되어 벽체의 바탕 면에는 단열성능이 좋고 저렴한 스치로폼 단열재를 접착하여 시공하고 외기에 접하는 벽체의 바깥 면에는 불연성능이 좋은 세라믹 발포 폼을 시공하여 외 단열 공법을 완성하게 되면 건축물 벽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필요한 단열효과를 충족할 수 있고 외기에 접하는 부분은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인 외 단열 공법을 제공하여 누구라도 선호하는 외장재로 재탄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 단열 공법에서 일반 건물 벽체 바탕에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외 단열 공법에서 목 구조, 경량철골조 건물 등 벽체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 되어 있는 건물의 벽체 바탕에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치로폼 단열재와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이 적 층 되어 시공된 외 단열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치로폼 단열재와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이 적층 되어 시공된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구부 주위에서 스치로폼 단열재를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감싸서 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구부 주위 부분에 인방 몰딩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 부 또는 외 단열 공법과 타 외장재가 접하는 부위에서 스치로폼 단열재를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감싸서 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 단열 공법의 단부에 단 부 몰딩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층 건물에서 층 높이의 일정한 간격(디자인에 따라 층 단위 또는 2개 층, 3개 층 간격도 가능하며 연속되는 개구부가 있을 경우에는 인방 몰딩과 연계하여 설치 가능)으로 건물 벽체 바탕에 설치된 스치로폼 단열재를 세라믹 발포 폼으로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층간 몰딩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3 에서 보는바와 같이 종래의 가연성 단열재인 스치로폼 단열재(321)를 건축물 벽체 바탕에 접착몰탈(320)을 사용하여 접착한 후에,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330)을 적층하여 접착하게 되면 소기의 단열효과를 가진 벽체의 외 단열공법 마감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 불연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불연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외 단열공법이 시공된 벽체의 단부, 개구부 주위 등의 취약 부위를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단부 몰딩 또는 인방 몰딩을 형성하였으며, 고층 건물의 외 단열 공법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으로 일정한 간격의 층간몰딩을 형성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불연성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330)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국부적 파손 및 변형이 거의 없음)과 직경 0.5~5.0mm의 벌집 구조의 절단면으로 구성되는 조면이 발생하게 되어 세라믹 발포 폼(330)의 양쪽 구성물인 접착몰탈(320) 및 코팅 하도(340)와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벽체의 바탕면에 접착된 비드법 단열재(321)의 장기적인 변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세라믹 발포 폼(330) 전체면을 메쉬로 보강 하였고 구조체에는 화스너(350)로 보강하여 강풍 등 외력에 의한 박리, 탈락으로부터 안정된 구조물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건축물의 외장재에 있어서 종래의 외 단열 공법은 다른 외장재에 비해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세라믹 발포 폼(330)을 이용하기 때문에 불연성능이 충분하고 단열성능도 소기의 성능에 도달하였으나 최근의 에너지 절감 대책으로 인하여 대폭 강화된 건축물의 단열재 설치규정으로 세라믹 발포 폼의 두께가 크게 되므로, 벽체의 두께를 줄이게 될 경우 부족한 단열성능을 스치로폼 단열재(321)로 보완하여 건축물의 외벽두께를 줄임으로써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좋고 효율적인 외벽 시공의 대명사로서 다시금 자리를 잡을 수 있으며, 또한 자유로운 색상과 질감, 문양으로 마감코팅을 구성하여 중소규모 상업시설, 학교, 유치원, 주택 등을 망라하고 폭 넓게 사용되어온 건물 외벽체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아직은 지금까지 건축 된 건물의 외 단열 공법이라면 불연성능이 취약한 스치로폼 단열재(321)로 외벽 전체가 시공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 건물 사용자들이 대피할 시간도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에 건물전체로 화재가 확산 되어 인명손실이 발생하는 일이 빈번해 사회적 문제로 까지 발전하여 최근의 건물에서는 시용 빈도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을 제공하여, 종래의 외 단열 공법의 가장 큰 문제였던 화재시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또한 최근의 에너지 절감대책으로 인하여 대폭 강화된 벽체의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열성능이 좋은 스치로폼 단열재(321)와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330)을 조합하여 소기의 단열성능과 불연성능을 확보한 외 단열 공법으로서 다시 한번 저비용, 고효율, 고품질의 외장재로서 재탄생하는 계기를 이룩하고자 한다.
다시 한번 본 발명의 불연성 외 단열 공법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 콘크리트, 벽돌, 시멘트 몰탈 등으로 이루어진 건물 벽체바탕(310)을 일매 지게 정리하고 평활도를 유지하며, 오염물을 제거하여 접착 몰탈(320)과의 접착에 유리하도록 하며, 개구부 주위, 외 단열 공법의 단부, 층간 구획 등에 따른 인방 몰딩, 단 부 몰딩, 층간 몰딩 등을 우선으로 하여 전체 벽체바탕(310)에 단열재 나누기 도를 작성한다.
둘째, 상기 단열재 나누기 도에 의한 인방 몰딩, 단부 몰딩, 층간 몰딩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세라믹 발포 폼을 나머지 부분은 스치로폼 단열재를 접착 몰탈(320)을 사용하여 벽체 바탕(310)에 접착하며 이때에는 접착 몰탈(320)의 가사시간 내에 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는 면적 이내로 하며 동시 시공할 수 있는 위치로 해야 한다.
셋째, 상기에서의 단열재 나누기 도와 줄 눈이 일치하지 않도록 세라믹 발포 폼(330) 나누기를 하여 전면도포 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접착 몰탈(322)을 일정수량, 일정두께로 스치로폼 단열재(321)에 접착할 때에는 접착 몰탈(322)의 가사시간 내에 세라믹 발포 폼(330)을 시공할 수 있는 면적 이내로 하며, 동시 시공할 수 있는 위치로 해야 한다.
넷째, 일정 크기로 재단된 세라믹 발포 폼(330)을 상기의 나누기를 기준으로 접착몰탈(322)의 위에 고르게 눌러 붙이고 인방 몰딩, 단부 몰딩, 층간 몰딩을 형성한 후에 화스너(350)로 타격하여 벽체 바탕(310)에 고정하며, 접착몰탈(322)의 가사시간 내에 벽체 전면의 평활도를 조정한다.
다섯째, 세라믹 발포 폼(330)에 접착된 접착몰탈(322)이 완전히 양생이 된 후에 세라믹 발포 폼(330)위에 코팅하도(340)를 평활하게 펴 바르며 접합부, 모서리, 창호주위 등은 충분히 두껍게 펴 바른다.
여섯째, 세라믹 발포 폼의 접합부위, 이질 재와의 접합부 및 개구부 주위, 모서리 등에 주의하여 일정규격의 보강 몌쉬(360)를 벽체 전면에 코팅 하도(340)가 경화하기 전에 눌러 붙여 보강 메쉬(360) 상부로 코팅하도(340)의 끝 부분이 이슬처럼 위로 맺히도록 누른다.
일곱째, 코팅 하도(340)가 양생 된 후에 벽체의 전면을 코팅 중도(370)로 완벽한 평활 면으로 펴 바른다.
여덟째, 코팅 중도(370)가 충분히 양생 된 후 벽체의 전면에 코팅 상도(380)로 설계에서 정한 무늬를 형성시키며, 색상의 숫자 및 문양에 따라 수차례 반복한다.
아홉째, 코팅 상도(380)가 완전히 양생된 후 코팅상도(380)면 위로 오염방지 코팅(390)을 전면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건물의 실내 측
110, 310 : 건물 외벽바탕(콘크리트, 벽돌, 시멘트 몰탈 등)
210 : 건물 외벽 바탕(목조, 경량철골조 등의 외부 합판)
120, 220, 320 : 접착몰탈(벽체바탕과 단열재)
321 : 스치로폼 단열재
322 : 접착몰탈(스치로폼 단열재와 세라믹 발포 폼)
130, 230,330 : 세라믹 발포 폼
140, 240, 340 : 코팅 하도
150, 250, 350 : 고정용 화스너
160, 260, 360 : 보강 메쉬
170, 270, 370 : 코팅 중도
180, 280, 370 : 코팅 상도
190, 290,390 : 오염방지 코팅

Claims (3)

  1. 외 단열 공법의 단열재 시공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 바탕 면에 스치로폼 단열재를 접착한 후 불연성의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을 외부 측에 적층 하여 접착 사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벽체두께에서 단열성능을 높이고 불연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외 단열 공법.
  2. 외 단열 공법에서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탕 면에 접착한 가연성 스치로폼 단열재가 건물 외부 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 단열 공법의 상 하부와 타 외장재와의 접합부위, 창호 등 개구부 주위 등을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으로 벽체 바탕에 접착 시공하여 건물 외부면 전체에서 불연성 단열재인 세라믹 발포 폼만이 외기와 접하도록 인방 몰딩 또는 단부 몰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외 단열 공법.
  3. 외 단열 공법을 고층 건물에 시공하는 경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층 단위(디자인에 따라 2개 층 또는 3개 층 간격도 가능)로 스치로폼 단열재를 구획 지어 차단하고 세라믹 발포 폼을 건물 벽체의 바탕에서부터 접착 시공하여 외 벽면에 불연 차단벽을 설치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증간 몰딩을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외 단열 공법.
KR1020160074421A 2016-06-15 2016-06-15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KR20170141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21A KR20170141415A (ko) 2016-06-15 2016-06-15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21A KR20170141415A (ko) 2016-06-15 2016-06-15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15A true KR20170141415A (ko) 2017-12-26

Family

ID=6093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21A KR20170141415A (ko) 2016-06-15 2016-06-15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42A (ko) * 2020-03-19 2021-09-29 강영환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42A (ko) * 2020-03-19 2021-09-29 강영환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8896A (zh) 一种防火真空保温装饰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03953172A (zh) 一种辐射保温装饰一体化复合板
CN202202441U (zh) 不燃保温板
KR20170141415A (ko) 세라믹 발포 폼과 스치로폼 단열재를 이용한 불연성 외 단열 공법
CN204773832U (zh) 一种隔断用蜂窝板
CN206571083U (zh) 外墙防火装饰板
CN102155074B (zh) 外墙装饰一体板的制作工艺
KR102326131B1 (ko)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04389351A (zh) 具有保温和散热效果的保温板
CN205296437U (zh) 一种超薄高效的内保温复合板
CN212836377U (zh) 一种室内装饰系统用防火复合板
CN202248321U (zh) 一种外墙外防火保温系统
CN103216067A (zh) 环保装饰板
CN103883097A (zh) 保温装饰板
KR101389185B1 (ko) 건축물용 불연성 패널
CN215360230U (zh) 一种pir复合岩棉板
CN211647071U (zh) 一种一体化金属岩棉复合装饰板
CN221053049U (zh) 一种建筑节能装饰板材
CN216042285U (zh) 一种岩板铝蜂窝装饰一体板
CN215564060U (zh) 防火被动式建筑外墙保温装饰一体化系统
CN202176082U (zh) 一体化防火保温装饰板
CN214062017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轻钢墙板
CN204023878U (zh) 一种轻质隔墙板
CN218264387U (zh) 一种阻燃聚苯复合保温板
CN213062731U (zh) 一种防水防火保温抗菌一体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