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011A -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 Google Patents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011A
KR20170141011A KR1020160073895A KR20160073895A KR20170141011A KR 20170141011 A KR20170141011 A KR 20170141011A KR 1020160073895 A KR1020160073895 A KR 1020160073895A KR 20160073895 A KR20160073895 A KR 20160073895A KR 20170141011 A KR20170141011 A KR 2017014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ower
camera module
switching
photograph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5628B1 (en
Inventor
최승관
Original Assignee
최승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관 filed Critical 최승관
Priority to KR102016007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28B1/en
Publication of KR2017014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4N5/2253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ing switching housing buried in a wall, and a switching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and switching the on/off of lighting; a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and generating a monitoring image through photograp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ar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to a network repeater; and a power supply par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providing the driving power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and a network repeater for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received from the lighting switch to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It is possible to remotely monitor children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eal time.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본 발명은 전등 스위칭 시스템으로서, 조명을 스위칭하며 감시 영상을 출력하여 무선 원격 송신이 가능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witch system, a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capable of wireless remote transmission by switching a light and outputting a surveillance image.

최근 홈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상기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홈서버에 연결되어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시스템 개발의 일례로서, 점점 흉폭화 되어가는 범죄와 사회 분위기 속에서 현대인들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욕구 증대에 부합하고자, 기존 홈 네트워크 및 부가적인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방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various systems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connected to a home server included in the home network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 home network. As an example of system development, a variety of crime prevention systems using existing home networks and additional sensors are being developed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sire for safe living of modern people in increasing crime and social atmosphere.

종래의 방범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들과 연결되어 이들이 제공하는 센서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하고, 외부에서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경보를 스피커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conventional security system is generally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collecting and outputting senso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s,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m by receiv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in some cases providing an alarm to the speaker .

상기와 같이 종래 방범 시스템은 등록된 사용자가 외출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출입자가 정해진 출입구를 벗어나서 집안 내부로 진입하거나 혹은 출입문에 외압을 강하는 등의 상기 사용자가 취하지 않을 비정상적인 행위에 대해서만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집안 내부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 상기 방범 시스템을 해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예상치 않은 외부인의 침입에 대해 무방비 상태로 놓여진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ecurity system, the registered user responds only to the abnormal behavior that the user does not take, such as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e or dropping the external pressure at the entrance door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going out Most of them are designed. Accordingly, when the user is present inside the house, the security system is mostly releas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curity system is placed in a defenseless state against intrusion of an unexpected external person.

또한, 상기 방범 시스템은 대부분 작동 및 해제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작동을 귀찬하하는 경우가 다분하다. 예를 들어, 외출을 하거나 잠자리에 들 때 방범 시스템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나 잊어버리고 설정하지 않을 경우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시스템 해제를 하지 않고 창문을 여는 경우 경보가 발생하여 일일이 시스템 상황을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lso, most of the crime prevention systems are mostly set to operate and to release manually, so tha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crime is taken. For example, when you go out or go to bed, you have to manually set the security system, but if you forget to set it up, security problems will occur. In addition, when a window is opened without releasing the system, an alarm is generated and it is troublesome to check the status of the system one by one.

더하여, 복잡한 시스템의 작동에 친숙하지 못한 유아나 노인들에 있어서 상기 방범 시스템은 그 적절한 설정과 운용이 올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힘들어 무용지물이 되기 십상이며, 잦은 오작동으로 인한 기계상의 결함이 우려되어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or infants and the elderly who are unfamiliar with the operation of complex systems, the crime prevention system may become ineffective due to the difficulty in proper setting and operation, and may cause a mechanical injury due to frequent malfunctions. .

따라서 누구나 손쉽게 집안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감시 카메라의 필요성이 절실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urveillance camera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house.

한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평균 수명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의 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화 및 노인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사회 현상으로 독거 노인들의 증가가 있다. 즉, 노인들이 자식과 함께 살지 않거나 또는 함께 살지 못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독거 노인들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독거 노인들의 상황을 그 가족들이 언제 어디서든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average life span of human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the lifespan of people increases, the aging society and the elderly issue become social problems. There is an increas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s a social phenomenon that develops into an aging society. In other words,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elderly people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or live together. As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emerging as social problems, it is urgent to have a means of allowing the family members to see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t any time and anywhere.

한편, 기존의 배터리 내장 타입의 감시 카메라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배터리가 방전될 시에는 촬영되지 않아 감시의 공백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built-in battery-type surveillance camera is driven by a built-in battery. Therefor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mera is not photographed and the monitoring is blanked.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battery must be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also increases.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516호Public utility model 20-2009-00025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명을 스위칭함과 동시에 감시 영상을 출력하여 무선 원격 송신이 가능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혼자 있는 어린이나 독거 노인을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capable of wireless remote transmission by switching a lighting and outputting a surveillance imag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monitoring a child or a single elderly living alone from a remote plac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벽 전등 스위치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의 배터리 내장 타입의 감시용 카메라와는 차별성을 가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wer supply for a wall light switch which enables a constant power supply to be differentiated from a 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 of a battery built-in typ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벽체에 매립되는 조명 스위칭 하우징,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명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버튼;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촬영을 통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감시 영상을 네트워크 중계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 및 무선 통신부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조명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감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하여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lighting switching housing embedded in a wall, a switching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for switching on / off of illumination; A camera modul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llumination switching housing to generate a surveillance image through photograp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to a network repeater;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provides driving power for the camera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network relay for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received from the lighting switch to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상기 전원부는, 벽체에 매립된 전원선으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external power from a power line embedded in the wall.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버튼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that tak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infrared rays. When the switching button is turned off, the infrared sensor drives the infrared sensor to take infrared rays.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설정된 시간대의 범위에 속하면서 상기 스위칭 버튼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camera is driven by the infrared sensor only when the switching button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while being in the range of the set time zone.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촬영 방향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switch may includ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촬영 방향 조절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중계기를 통해 수신한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촬영 방향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adjust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repeater.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 방향 조절 수단의 촬영 방향을 입력받는 촬영방향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switch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and recei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상기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은, 전원 단자홈을 가지며 벽체에 매립된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후면에 돌출된 전원 단자핀이 전원 단자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명, 카메라 모듈, 및 무선 통신부에 전원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includes a power switch socket for a lighting switch having a power terminal groove and embedded in a wall, and a power terminal pin protru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is inserted into a power terminal groove, And a power supply is provid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전원 단자핀은, 상기 스위칭 버튼과 연결된 조명 전원 단자핀과,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구동 전원 단자핀으로 된 2개의 전원 단자핀으로 구현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pin may be implemented as an illumination power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witching button and two power terminal pins comprising a driving power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명 스위치에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손쉽게 원격에서 방안을 볼 수 있어 혼자 있는 독거 노인이나 어린이의 위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module is provided in a lighting switch, and a room can be easily viewed from a remote place, so that a singl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r a child can be ident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에 조명 스위치가 설치되어 네트워크 중계기가 무선 통신하여 송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스위치가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별 감시 영상이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벽체에 매립된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에 조명 스위치가 꽂힌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having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switch is installed in each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etwork repeater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switch is embedded i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image of each zone displayed on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outlet for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switch is plugged into a power outlet dedicated to a lighting switch embedded i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에 조명 스위치가 설치되어 네트워크 중계기가 무선 통신하여 송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스위치가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별 감시 영상이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having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light switch system with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nitoring image for each zone is displayed on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망(400), 조명 스위치(100), 및 네트워크 중계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net network 400, a lighting switch 100, and a network repeater 200.

인터넷망(400)은, 네트워크 중계기(200)와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를 연결해주는 통신망으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net network 400 i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necting the network relay 200 to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and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네트워크 중계기(200)와 연결되는 인터넷 단말기(300)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스위치(100) 내의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 단말기(3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해당될 수 있다.The Internet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repeater 2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0 can control the camera module 110 in the lighting switch 100 remotely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Internet terminal 300 may be a smart phone.

인터넷 단말기(300)에는 홈네트워크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네트워크 중계기(200)를 통하여 조명 스위치(100)내의 카메라 모듈(110)을 무선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터넷 단말기(300)에 설치된 홈네트워크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조명 스위치(100)가 설치된 구역의 감시 영상을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조명 스위치(100)내의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A home network remote control application (APP) is installed in the Internet terminal 300 to wirelessly control the camera module 110 in the lighting switch 100 through the network repeater 200. That is, the user may drive the home network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Internet terminal 300 to browse the surveillance image of the area where the lighting switch 100 is installed, and if necessary, the camera module 110 in the lighting switch 100, A command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can be input.

참고로, 본 발명의 인터넷 단말기(300)는,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reference, the Internet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a smart phone but also for a desktop PC, a tablet PC,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but may include both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네트워크 중계기(200)는, 조명 스위치(100)의 무선 통신부(13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감시 영상을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네트워크 중계기(200)는, 조명 스위치(100)와 무선 통신하며,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와 인터넷 유선 통신하는 허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네트워크 중계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역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100)와 무선 통신하며, 각 조명 스위치(100)에서 촬영되는 감시 영상을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로 전송한다.The network repeater 200 transmits the surveillance imag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illumination switch 100 to the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400. [ The network repeater 20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illumination switch 100 and serves as a hub for wired-internet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 The network repeater 20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illumination switch 100 installed in each zone as shown in FIG. 2, and transmits the surveillance image photographed by each of the illumination switches 100 to the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

따라서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는 네트워크 중계기(200)를 통하여 각 구역의 조명 스위치(100)에서 촬영되는 감시 영상을 각 구역별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can check the surveillance images photographed by the lighting switches 100 of each zone in real time for each zone through the network relay 200.

조명 스위치(100)는, 천장 등에 매립된 조명의 구동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조명 스위치(100)가 위치한 구역을 촬영한 감시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The lighting switch 100 performs on / off switching of the driving of the lighting embedded in the ceil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urveillance image of the area where the illumination switch 100 is located.

이를 위하여 조명 스위치(100)는,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 스위칭 버튼(120), 카메라 모듈(110), 무선 통신부(13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촬영 방향 조절 수단(150), 촬영방향 조절 버튼(160), 및 카메라 구동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switch 10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switching housing 100a, a switching button 120, a camera modul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unit 150,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160, and a camera driving button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은, 벽체에 매립되는 하우징으로서, 그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목재 재질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하우징 형태를 가져, 그 전면에 스위칭 버튼(120), 카메라 모듈(110), 촬영방향 조절 버튼(160), 및 카메라 구동 버튼(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이 벽체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이 벽체에 매립된다.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is a housing that is embedded in a wall, and its material is not limited to plastic materials, metal materials, wood materials, and the like. 4,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has a case housing shape and includes a switching button 120, a camera module 110, a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160, and a camera driving button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ll so that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is embedded in the wall.

스위칭 버튼(120)은,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등에 매립된 조명의 온/오프를 스위칭한다. 사용자에 의해 스위칭 버튼(120)이 온(ON) 스위칭으로 조작되면 조명에 전원이 제공되어 조명이 발광되며, 스위칭 버튼(120)이 오프(OFF) 스위칭으로 조작되면 조명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고 조명이 꺼지게 된다.The switching button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and switches on / off the lighting embedded in the ceiling or the like as shown in Fig. When the switching button 120 is operated by the user to turn on the ON switch, power is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so that the illumination is emitted. When the switching button 120 is operated by the OFF switching,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Is turned off.

카메라 모듈(110)은,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명 스위칭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촬영하여, 촬영을 통한 감시 영상을 생성한다. 이러한 감시 영상은, 정지영상, 동영상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카메라 모듈(110)이 설치된 조명 스위치(100)는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각 구역의 실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구역에는 제1카메라 모듈(110a)을 가지는 제1조명 스위치(100a)가 마련되어 제1감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구역에는 제2카메라 모듈(110b)을 가지는 제2조명 스위치(100b)가 마련되어 제2감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3구역에는 제3카메라 모듈(110c)을 가지는 제3조명 스위치(100c)가 마련되어 제3감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4구역에는 제4카메라 모듈(110d)을 가지는 제4조명 스위치(100d)가 마련되어 제4감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각 구역에서 촬영된 감시 영상은 네트워크 중계기(200)로 전달되는데, 이때, 촬영된 구역의 식별 아이디와, 촬영시각 등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 단말기(300)는, 각 구역에서 촬영되는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각 구역별로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구역별 감시 영상을 클릭하면, 클릭된 구역의 감시 영상이 확대되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and captures the direction of the lighting switching front face to generate a monitoring image through shooting. Such surveillance images are not limited to the types of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The illumination switch 100 provided with the camera module 110 is installed for each z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room of each zo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first illumination switch 100a having a first camera module 110a may be provided in a first zone to generate a first monitored image. Similarly, a second illumination switch 100b having a second camera module 110b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zone to generate a second monitored image, and a third illumination module having a third camera module 110c, A switch 100c may be provided to generate the third monitoring image and a fourth lighting switch 100d having the fourth camera module 110d may be provided in the fourth zone to generate the fourth monitoring image. The surveillance image photographed in each area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repeater 200.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hotographed area,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togeth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Internet terminal 300 can view the surveillance images photographed in each zone in real time in each zone. In FIG. 6, when the monitoring image per zone is clicked, the monitoring image of the clicked area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as a full screen.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 변환 모듈기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로 되어,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광전 변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The camera module 110 may include a lens assembly, a filter, a photoelectric convert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lens assembly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The focus distance of the lens can be shif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ocus motor MF. The filters include an optical low pass filter and an optical low pass filter. And may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is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nd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removes the high-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이밖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10)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빛이 없는 야간에도 적외선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독거 노인의 경우 야간에 아프거나 위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야간에도 촬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rared ray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infrared rays. So that it can be photographed using infrared rays even at night without light. In the c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shoot at night because it is often painful or dangerous at night.

이러한 적외선 촬영은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밖에, 스위칭 버튼(120)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스위칭 버튼(120)이 오프된 경우에는, 구역내 실내가 어두워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10)은, 스위칭 버튼(120)과 연결되어, 스위칭 버튼(120)으로부터 스위칭 조작 상태를 수신한다. 스위칭 버튼(120)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is infrared ray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automatically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button 120. When the switching button 120 is turned off, since the inside of the room becomes dark, infrared imag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button 120 and receives a switching operation state from the switching button 120. [ When the switching button 120 is switched off as illumination, the infrared sensor is driven to perform infrared imaging.

나아가 시간대를 고려하여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고려할 수 있다. 밝은 대낮에 스위칭 버튼(120)이 조명 오프로 설정된다고 하여 적외선 촬영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대의 범위(예컨대,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에 속하면서 스위칭 버튼(120)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에 한하여,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infrared ray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zone.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n infrared ray because the switching button 120 is set to be turned off in bright daylight. Accordingly, the infrared ray sensor can be driven to perform the infrared ray imaging only when the switching button 120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of the light while belonging to the range of the set time zone (for example, from 6 pm to 7 am the next morning).

한편,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110)의 카메라 구동 온/오프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로부터 원격으로 카메라 구동 온/오프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밖에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에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카메라 구동 버튼(미도시)을 별도로 마련하여, 구역 내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카메라 모듈(110)의 구동 온/오프 조작을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camera on / off control remotely from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to control camera driving on / off of the camera module 110. In addition, a camera driving button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and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방향은,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에 노출되어 전면의 전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촬영 방향은 고정되지 않고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 스위치(100)는,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촬영 방향 조절 수단(150)을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방향 조절 수단(150)은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축 수단 등의 다양한 기구적 구성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and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However, this photographing direction can be variably controlled without being fixed. To this end, the illumination switch 100 may be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150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interior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150 may have various mechanical configurations such as a hinge axis means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module 110. [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제어 수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로부터 제어받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 방향 조절 수단(150)은, 네트워크 중계기(200)를 통해 수신한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up, down, right, and left can be performed in two ways. One is controlled from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Therefor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unit 150 can adjus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ternet terminal 300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repeater 200. [

다른 하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전면에 마련되어 촬영 방향 조절 수단(150)의 촬영 방향을 입력받는 촬영방향 조절 버튼(160)을 별도로 구비하여, 구역내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촬영방향 조절 버튼(160)의 조작을 받아 입력받는 것이다. 이러한 촬영방향 조절 버튼(160)은 휠버튼의 형식을 가질 수 있는데, 상하로 조절되는 상하 휠버튼(160b), 좌우로 조절되는 좌우 휠버튼(160a)을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밖에 다양한 버튼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4,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16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and receives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150. Thus, The directional control buttons 160 are directly operate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160 may have the form of a wheel butto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160 may include up and down wheel buttons 160b which are vertically adjusted, and left and right wheel buttons 160a which ar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types of buttons may be used.

한편, 카메라 모듈(1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은, 네트워크 중계기(200)로 무선 전송되는데, 이를 위하여 조명 스위치(100)는, 무선 통신부(130)를 구비한다.Meanwhile, the surveillance image generated and output from the camera module 110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network repeater 200. For this purpose, the illumination switch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

무선 통신부(130)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생성된 감시 영상을 네트워크 중계기(200)로 무선 통신을 통하여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홈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Fi)와 같은 공지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irelessly transmits the surveillance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module 110 to the network repeater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various know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Infrared Radiation, Home Radio Frequency, WiFi.

한편, 카메라 모듈(110) 및 무선 통신부(130)의 구동 전원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시적으로 제공받아 D/C 컨버팅되어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조명 스위치(100)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카메라 모듈(110) 및 무선 통신부(130)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4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원부(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에 매립된 전원선으로부터 외부 전원을 상시적으로 제공받게 된다.Meanwhile, the driving power of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s alway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is supplied through D / C conversion. The illumination switch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40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provides driving power for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s shown in FIG. 5, the power supply unit 140 is alway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from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wall.

다만, 도 5와 같이 조명 스위치(100)를 벽체에 매립하는 구조를 가질 때, 설치시에 조명 스위치(100)와 벽체내 전원선(L)을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약, 화소좋은 카메라 모듈(110)을 가진 조명 스위치(100)를 기존의 조명 스위치(100)와 다시 교체할 경우, 전원선(L)을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과 함께 상술한다.However, when the lighting switch 100 is embedded in the wall as shown in FIG. 5, it is troublesome to connect the lighting switch 100 to the power line L in the wall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f the lighting switch 100 having a pixel camera module 110 is replaced with the existing lighting switch 1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line L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module 100.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벽체에 매립된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에 조명 스위치가 꽂힌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witch socket dedicated to a light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ing switch inserted into a power switch socket dedicated to a lighting switch embedded i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50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the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power switch-dedicated power outlet 500.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500)는, 하나 이상의 전원 단자홈(510a,510b)을 가지며 벽체에 매립된 콘센트로서, 벽체에 매립된 전원선과 연결되어 벽체내에 매립된 콘센트이다. 도면에서는 전원 제1단자홈(510a)과 전원 제2단자홈(510b)의 2개의 단자홈의 예시를 도시하였다.The lighting switch dedicated power outlet 500 is an outlet embedded in a wall having one or more power terminal grooves 510a and 510b and connected to a power line embedded in the wall to be embedded in the wall. The figure shows an example of two terminal grooves of a power supply first terminal groove 510a and a power supply second terminal groove 510b.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500)가 벽체 내부에 매립되고, 그 위에 조명 스위치(100)가 포개져, 조명 스위치(1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s shown in Fig. 8, a power outlet 500 dedicated to a lighting switch is embedded in the wall, and the lighting switch 100 is superimposed thereon, thereby exposing the lighting switch 100 to the outside.

따라서 조명 스위칭 하우징(100a)의 후면에 돌출된 전원 단자핀(121a,121b)이 전원 단자홈에 삽입되어 조명, 카메라 모듈(110) 및 무선 통신부(130)에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pins 121a and 121b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100a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terminal groov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

이러한 전원 단자핀(121a,121b)은, 스위칭 버튼(120)과 연결된 조명 전원 단자핀(121a)과, 전원부(140)와 연결된 구동 전원 단자핀(121b)으로 된 2개의 전원 단자핀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조명 전원 단자핀(121a)은 전원 제1단자홈(510a)에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받아 스위칭 버튼(120)을 거쳐 조명에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전원 단자핀(121b)은, 전원 제2단자홈(510b)에 삽입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받아 카메라 모듈(110) 및 무선 통신부(130)에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pins 121a and 121b are implemented by two power terminal pins including an illumination power terminal pin 121a connected to the switching button 120 and a driving power terminal pin 121b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140 . Therefore, the illumination power terminal pin 121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groove 510a of the power source to receive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provide the light through the switching button 120. The driving power terminal pin 121b may be a power source The second terminal groove 510b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provide driving power to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

이와 같이 벽체에 매립된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500)에 포개져 연결된 형태로 벽체에 매립되도록 조명 스위치(100)를 설치함으로써, 조명 스위치(100) 교체 시에 벽체내의 전원선간의 연결을 일일이 해야 하는 불편을 겪지 않아도 된다.By installing the lighting switch 100 so as to be embedded in the wall in a form of being superimposed on and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500 dedicated to the lighting switch embedded in the wa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lines in the wall must be performed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lighting switch 100 There is no need to suffer inconvenienc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 variety of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조명 스위치 110:카메라 모듈
120:스위칭 버튼 130:무선 통신부
140:전원부 150:촬영방향 조절 수단
200:네트워크 중계기 300:인터넷 단말기
100: light switch 110: camera module
120: Switching button 130:
140: power supply unit 150: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200: network repeater 300: internet terminal

Claims (9)

벽체에 매립되는 조명 스위칭 하우징,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명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버튼;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촬영을 통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감시 영상을 네트워크 중계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 및 무선 통신부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조명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감시 영상을 인터넷망을 통하여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중계기;
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A switching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for switching ON / OFF of illumination; A camera modul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illumination switching housing to generate a surveillance image through photograp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to a network repeater;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provides driving power for the camera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network relay for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received from the lighting switch to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Walled light switch system with surveillance camer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벽체에 매립된 전원선으로부터 외부 전원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버튼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frared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infrared rays,
Wherein when the switching button is switched as an off state of the lighting, the infrared ray sensor drives the infrared ray sensor to take an infrared r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설정된 시간대의 범위에 속하면서 상기 스위칭 버튼이 조명의 오프로서 스위칭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적외선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rared ray sensor drives the infrared ray sensor only when the switching button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while the switching button belongs to the range of the set time z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촬영 방향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up, down, left, and right;
A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with a surveillance camer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향 조절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중계기를 통해 수신한 외부의 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촬영 방향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a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Internet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repea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 방향 조절 수단의 촬영 방향을 입력받는 촬영방향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nd a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for recei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은,
전원 단자홈을 가지며 벽체에 매립된 조명 스위치 전용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며,
조명 스위칭 하우징의 후면에 돌출된 전원 단자핀이 전원 단자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명, 카메라 모듈, 및 무선 통신부에 전원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wall-mounted light switch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wer switch-dedicated power outlet having a power terminal groove and embedded in the wall,
And a power terminal pin protru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lighting switching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power terminal groov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camer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핀은,
상기 스위칭 버튼과 연결된 조명 전원 단자핀과,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구동 전원 단자핀으로 된 2개의 전원 단자핀으로 구현됨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구비한 벽부착 전등 스위치 시스템.
The power suppl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8,
A lighting power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witching button, and two power terminal pins comprising a driving power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KR1020160073895A 2016-06-14 2016-06-14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KR101885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95A KR101885628B1 (en) 2016-06-14 2016-06-14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95A KR101885628B1 (en) 2016-06-14 2016-06-14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011A true KR20170141011A (en) 2017-12-22
KR101885628B1 KR101885628B1 (en) 2018-08-06

Family

ID=6093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95A KR101885628B1 (en) 2016-06-14 2016-06-14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2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16U (en) 2007-09-08 2009-03-12 하민지 - Development of u-healthcare system
KR20130002651A (en)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에이.앤.티 Crime prevention system with separating storage
KR101270343B1 (en)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System for control light and security using switcher with blue tooth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16U (en) 2007-09-08 2009-03-12 하민지 - Development of u-healthcare system
KR20130002651A (en)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에이.앤.티 Crime prevention system with separating storage
KR101270343B1 (en)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System for control light and security using switcher with blue tooth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28B1 (en)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048B2 (en) Doorbell camera
US11212427B2 (en) Doorbell camera
CN112567434B (en) Thermal management in a smart doorbell
US9179058B1 (en) Control of video camera with privacy feedback to capture images of a scene
US10554936B2 (en) Security camera
US8081073B2 (en) Integrated motion-image monitoring device with solar capacity
JP4650937B2 (en) Wireless camera device for surveillance
US11810436B2 (en) Outdoor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US11671683B2 (en) Doorbell camera
US20110254955A1 (en) Detachable Universal Electronic Door Viewer
US11438990B2 (en) Wireless layered security system
JP2013109440A (en) Security camera apparatus
KR101885628B1 (en) System for light switch with monitoring camera
KR102199740B1 (en) System for controlling door lock using smart phone
KR101686857B1 (en) Home security system using interphone
JP6624375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sensor light
KR102451015B1 (en) Wire/wireless door phone system having cctv security function
US20230345094A1 (en) Doorbell Camera
WO2021138509A1 (en) Outdoor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JP6635260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05101881A (en) Video intercom system
TW201305973A (en) Invigilator-sensor collocated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