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683A -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683A
KR20170140683A KR1020160073328A KR20160073328A KR20170140683A KR 20170140683 A KR20170140683 A KR 20170140683A KR 1020160073328 A KR1020160073328 A KR 1020160073328A KR 20160073328 A KR20160073328 A KR 20160073328A KR 20170140683 A KR20170140683 A KR 20170140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data
moving pictur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602B1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더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더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더핸즈
Priority to KR102016007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602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한 동영상의 정보를 삽입함에 있어 원하는 위치 및 시간 설정을 용이하도록 하되 삽입정보를 통해 재생위치의 이동이나 다른 페이지로 이동과 같은 액션수행과 시청자의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광고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SYSTEM TO INSERT A CUSTOMIZED INFORMATION OF VIDEO CONTENT}
본 발명은 정보 삽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선택한 동영상의 정보를 삽입함에 있어 원하는 위치 및 시간 설정을 용이하도록 하되 삽입정보를 통해 재생위치의 이동이나 다른 페이지로 이동과 같은 액션수행과 시청자의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광고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 내의 PPL(Product Placement) 개념은 매우 일반적인 광고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영화, TV 드라마, 뮤직 비디오,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미디어 콘텐츠 속에 제품을 등장시켜 의식 또는 무의식적인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 IT 및 미디어콘텐츠 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이러한 영상 내 정보삽입을 통한 광고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무작위에 의한 삽입 및 노출이 이루어지므로 단순한 홍보가 이루어질 뿐으로 시청자들이 인지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매장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이후에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통상의 PPL이 직접적인 구매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투자비용에 대비하여 기대효과를 높지 않은 상황으로, 특히 영상을 시청 중 제품이 노출되는 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쉽게 예측할 수도 없으며 동영상의 내용에 몰입할 경우 기대 효과 또는 현저히 낮아져 결국 과도하게 노출 횟수 및 시간을 늘리거나 영상을 재시청 유도, 웹을 통한 추가적인 홍보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9656호(2009.12.17)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9653호(2009.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동영상 콘텐츠의 원하는 시간 및 위치에 노출되는 정보를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에 따른 추가 액션이 실행되도록 함으로 광고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서의 접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정보의 게시기간과 형태 및 내용과 연동액션을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정보등록부와, 입력된 정보데이터 및 정보게시 현황정보의 확인과 더불어 정보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정보확인부를 구비하는 정보관리부; 동영상의 제목 및 형태와 주소를 포함하는 동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동영상 등록부와, 입력된 동영상데이터 및 재생현황의 확인과 더불어 동영상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동영상확인부와, 선택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따른 재생 동영상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선택되는 정보데이터에 따른 정보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삽입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는 정보삽입부를 구비하는 동영상관리부;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사이트주소 및 담당자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데이터에 따라 사이트로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의 송출 및 동영상의 노출, 재생, 공유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이트관리부;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한 문자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문자를 재생되는 동영상의 싱크데이터와 함께 피드백데이터로 수집하는 피드백수집부와, 사이트와 연계된 피드백정보의 확인과 공개 및 삭제메뉴를 제공하는 피드백확인부를 구비하는 피드백관리부;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저장하고, 로그인에 따른 상기 정보관리부와 동영상관리부와 피드백관리부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하여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데이터 및 싱크데이터를 토대로 요약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출력하여 선택받는 요약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약인터페이스부 또는 입출력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선택에 따라 싱크데이터를 반영한 동영상 재생위치를 이동시키는 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삽입부는 재생 동영상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과, 상기 재생 동영상의 타임테이블에 따른 정보삽입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는 삽입영역과, 선택 가능한 정보데이터를 리스트로 출력하여 선택받는 리스트영역과, 정보데이터의 수정 및 신규입력이 이루어지는 에디트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삽입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부와 연동하여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에 따른 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원통계부와, 상기 사이트관리부와 연동하여 동영상의 노출과 재생과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동영상통계부를 구비하는 통계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부는 사용자의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 가능하도록 하는 로그인부와, 특정 사이트에 대하여 선택되는 사용자데이터를 통해 관리권한을 부여하는 관리자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영상데이터의 동영상 장면 프레임 및 포함된 문자를 분석하여 설정된 참조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위치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와; 상기 정보삽입부와 연동하여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참조데이터에 대한 재생위치를 삽입위치로 추천하는 추천부를 구비하는 연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원하는 동영상의 원하는 위치에 광고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동영상에 다수의 정보 삽입을 비롯한 관리 및 효과의 피드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광고를 삽입함에 있어 종래의 일률적인 삽입이 아닌 동영상 내용과 대응하는 광고를 삽입하거나, 교육용 강의 동영상에서 문제풀이나 추가해설 부분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을 비롯하여 각종 목적의 동영상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빠르게 이동하거나 콘텐츠 내용에 따른 다양한 액션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콘텐츠 내용에 따른 피드백 정보 작성으로 단순한 시청이 아닌 능동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등록인터페이스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인테페이스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등록인터페이스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관리인터페이스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삽입인터페이스 화면 1,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삽입인터페이스 화면 2,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정보의 관리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분석부를 통해 출력된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웹을 비롯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동등한 기능의 단말기를 비롯하여 서버 등을 통해 구현되는 기술로, 입력된 데이터의 저장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80)를 기본으로 정보관리부(110)와, 동영상관리부(120)와, 사이트관리부(130)와, 피드백관리부(140)와, 회원관리부(150)와, 검색부(160)와, 통계분석부(170)를 주요구성으로 구비한다.
상기 정보관리부(110)는 정보입력부(121)와, 정보확인부(112)를 구비하며 동영상에 삽입될 정보의 등록 및 관리를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정보란 광고, 학습, 엔터테인먼트 등 사용목적에 따라 동영상 시청중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의 일부에 게시되며 특정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통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 광고정보를 들어 설명하게 되며, 재생되는 동영상의 내용 및 특성에 따른 다양한 내용의 정보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등록부(111)는 동영상에 삽입하고자 하는 정보의 게시기간, 즉 일자와 정보의 형태 및 내용과 연동액션을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정보등록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등록인터페이스를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나 단말기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등록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영상에 삽입되는 정보로서 광고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웹을 기반으로 동작함에 따라 기본적으로 특정 사이트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정보삽입 대상으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정보데이터로서 해당 사이트명과 함께, 관리를 위한 정보 즉 광고의 제목, 광고의 게시기간을 입력받는다.
또한, 광고의 형태로서 대표적인 이미지 배너 형태 및 텍스트 배너 형태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연동액션 즉 동영상 재생 중 함께 출력된 정보를 클릭시 수행되는 액션으로 외부 새창 열기, 링크 URL로 이동, 재생되는 동영상 내 특정위치 이동, 플레이어의 내부레이어 및 외부레이어 관련 동작을 비롯한 다양한 액션을 제공하여 선택받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동액션으로 URL로 이동을 적용할 경우 해당 URL를 함께 입력받게 된다.
또한, 정보의 형태로서 이미지 배너를 사용할 경우 이미지 파일을 함께 등록받게 되며, 텍스트 배너를 사용할 경우 텍스트를 함께 등록받는다. 또한, 관리를 위한 간략한 메모와 함께 정보의 노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확인부(112)는 상기 정보등록부(121)를 통해 입력된 정보데이터 및 정보게시 현황정보를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정보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보확인부(112)는 정보관리인테페이스를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나 단말기에 제공함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관리인테페이스 화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동영상에 다수의 정보를 삽입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다수의 동영상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다수의 정보가 등록되더라도 정보관리인터페이스를 통해 순번에 따른 일괄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순번과 함께 정보가 노출되는 사이트명과, 정보의 제목 및 형태, 게시기간, 노출 상태와 같은 상기 정보등록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데이터의 일부 중요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정보데이터가 동영상에 삽입된 총 횟수 및 사이트상에서 해당 동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해당 정보가 노출된 횟수가 카운트 되어 함께 표시된다. 또한, 해당 정보데이터를 수정, 삭제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게 되며, 다수의 정보데이터 등록에 따른 검색엔진이 제공된다. 이때 삭제 처리된 정보데이터가 이미 특정 동영상에 삽입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동영상 재생시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영상관리부(120)는 동영상등록부(121)와, 동영상확인부(122)와, 정보삽입부(123)를 구비하여 정보가 삽입될 동영상을 관리하면서 동영상에 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웹 사이트상에서 재생되는 다양한 동영상을 그 관리 대상으로 하게된다.
상기 동영상등록부(121)는 동영상의 제목 및 형태와 주소를 포함하는 동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이를 위한 동영상등록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등록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앞서 설명한 정보등록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사이트명과 함께 관리를 위한 동영상 제목을 입력받게 된다. 동영상 형태는 정보삽입 대상이 되는 동영상의 유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동영상 제공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일 경우 해당 사이트명을 입력할 수 있다. 대표적인 동영상 제공 사이트로는 YOUTUBE, VIMEO, NAVER CAST, DAUM CAST 등이 있으며, 인지도가 높은 동영상 제공 사이트를 형태 리스트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관리를 위해 참조할 내용을 간략한 메모로 입력받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될 사이트에서의 노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영상확인부(122)는 입력된 동영상데이터 및 재생현황의 확인과 더불어 동영상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동영상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이러한 기능이 제공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관리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동영상에 하나 내지는 다수의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순번과 함께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명과, 동영상의 제목 및 형태와 같이 상기 동영상등록부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데이터의 일부 중요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데이터의 숫자 사이트상에서 해당 동영상이 노출된 수가 카운트 되어 등록일자와 함께 표시된다. 또한, 해당 동영상데이터를 수정, 삭제할 수 있는 메뉴와 더불어 삽입된 정보데이터의 소스와 해당 동영상에 시간대별로 정보를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는 메뉴와, 다수의 동영상데이터 등록에 따른 검색엔진이 제공된다. 이때 삭제 처리된 동영상데이터는 해당 사이트에 동영상 창은 그대로 남은 상태로 해당 동영상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통계 등의 기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180) 상에서 동영상데이터의 삭제가 아니라 동영상관리인터페이스상에서 숨겨두는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삽입부(123)는 선택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따른 재생 동영상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선택되는 정보데이터에 따른 정보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삽입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정보삽입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동영상 내 정보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삽입인터페이스 화면 1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정보삽입을 위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보삽입인터페이스는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M)과, 삽입영역(201)과, 리스트영역(202)과, 에디트영역(203)의 주요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M)은 동영상 플레이어와 연계하여 비교적 작은 영역 내에서 해당 동영상을 재생 출력하는 부분이다. 동영상 내용의 확인과 더불어 삽입된 정보가 동영상 내의 어떤 위치에 출력되는지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정지를 위한 제어 및 전체 재생시간 대비 현재 재생중인 위치를 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 삽입영역(201)은 재생 동영상의 타임테이블에 따른 정보삽입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해당 동영상에 대응하는 화면과 함께 하단에 동영상의 전체 재생시간을 가로축으로 반영한 타임테이블 형태의 삽입영역이 주어진다. 이 삽입영역(201) 내에 선택된 정보데이터에 따른 정보가 노출시간에 맞게 바(bar)형태로 제목과 함께 보이게 되며 이를 마우스를 통해 적절하게 드래그함으로 노출시간 및 위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스트영역(202)은 선택 가능한, 즉 삽입하고자 하는 정보데이터를 리스트로 출력하여 상기 삽입영역에 삽입을 위해 선택받거나 리스트와 함께 제공되는 수정메뉴를 통해 이미 삽입된 정보의 시간 및 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동영상에 다수의 정보 삽입이 가능하므로 순번과 함께 제목, 노출시간 및 노출 여부 등과 같은 주요 정보데이터와 함께 수정을 위한 메뉴가 리스트로 제공된다.
상기 에디트영역(203)은 정보데이터의 수정 및 신규입력을 위한 영역이다. 상기 리스트영역에 신규 정보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이미 추가된 정보데이터를 일부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수정을 위한 관리탭에서 제목, 노출시작시간, 지속시간, 노출여부의 선택여부를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콘텐츠재생영역(M) 우측 하단과 같이 별도의 정보추가를 위한 메뉴(도 7에서는 "광고추가하기"로 표시됨)를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클릭함으로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삽입영역(201)에 정보를 삽입할 위치 드래그 이후 삽입할 정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방식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선택된 정보데이터는 리스트영역(202)에 추가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정보 게시 시간은 디폴드 값으로 정보추가를 위한 메뉴를 누른 시간으로 설정하되 에디트영역(203)에서 정보 노출 시작시간 및 지속시간을 숫자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수동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보삽입인터페이스는 동영상 내 정보등록을 위한 편의를 반영하여 앞서 설명한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삽입인터페이스 화면 2로서, 앞서 설명한 방법과는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동영상 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상기 동영상관리인터페이스와 연계하거나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동영상의 확인과 함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동영상 및 삽입된 정보의 노출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한 미디어콘텐츠재생영역이 구비되며, 정보의 추가를 위한 메뉴가 제공된다. 이 메뉴를 클릭함으로 제목, 노출시간, 지속시간, 노출 여부와 함께 선택 가능한 정보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작은 창이 팝업되며 여기서 선택되는 정보데이터는 미디어콘텐츠재생영역에 인접하여 순선, 제목, 노출시간, 노출 여부가 수정/삭제를 위한 메뉴와 함께 리스트로 표시된다.
상기 사이트관리부(130)는 상기 동영상관리부(120)의 정보삽입부(123)를 통해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사이트주소 및 담당자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권한을 가진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사이트명 및 URL, 담당자명 및 연락처의 입력과 함께 현재 동영상을 통한 정보제공이 사용/중단 여부를 선택받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이트관리부(130)는 이러한 관리데이터를 작성 및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입력된 다수의 관리데이터를 순번과 함께 리스트로 출력함과 동시에 수정 및 삭제를 위한 메뉴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 관리데이터에 따라 사이트로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의 송출이 이루어지며, 해당 사이트에서 동영상의 노출, 재생, 공유상태를 모니터링 및 카운팅 하게 된다.
상기 피드백관리부(140)는 피드백수집부(141)와, 피드백확인부(142)를 구비하여 동영상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반응하여 시청자로부터의 피드백을 문자형태로 수집하고 표시하는 구성이다.
상기 피드백수집부(141)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하여 시청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거나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문자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댓글 형태로 피드백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입력된 문자를 재생되는 동영상의 싱크데이터와 함께 수집되어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피트백확인부(142)는 다양한 사이트 및 상기 피드백수집부(141)를 통해 수집된 피드백데이터를 권한이 있는 사용자 내지는 관리자가 일괄확인 및 관리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사이트관리부를 통해 등록된 각 사이트와 연계된 피드백정보의 확인과 공개 및 삭제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정보의 관리화면으로, 수집 순번과 함께 해당 사이트명, 입력한 문자 즉 댓글의 내용 및 관련 동영상 제목, 작성자, 등록일, 공개상태와 같은 피드백데이터의 주요 내용과 함께, 해당 피드백데이터의 비공개(숨김), 삭제와 더불어 작성자가 다시 댓글을 쓰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제공 화면의 대표적인 예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이트 기준이 아닌 동영상 제목을 기준으로 언제 누가 어떤 내용의 댓글을 입력했는지 일괄 확인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악성댓글이나 해당 사이트의 컨셉과 무관한 댓글의 경우 권한이 있는 사용자 내지는 관리자가 숨김을 통해 해당 사이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유용한 피드백데이터를 시청자가 공유함으로 공감대 형성이나 정보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150)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저장하고, 로그인에 따른 상기 정보관리부와 동영상관리부와 피드백관리부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원관리부(150)는 사용자의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 가능하도록 하는 로그인부(151)와, 특정 사이트에 대하여 선택되는 사용자데이터를 통해 관리권한을 부여하는 관리자설정부(152)를 구비하게 된다.
즉 앞서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피드백데이터를 입력하는 시청자를 비롯하여 동영상 및 정보를 등록하는 이용자 및 관리자의 경우 가입시 설정된 각자의 ID를 통해 식별이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본인이 가입한 SNS 인증을 통해 가입 및 로그인이 승인된다. 이때 가입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성별과 지역과 연령을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시 활용하게 되며, 이름, 연락처, 메일, 패스워드를 설정받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설정부(152)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대한 동영상 및 정보 등록/수정 등의 권한을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를 목록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차단/차단해제, 정보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앞서 설명된 정보관리부(110), 동영상관리부(120), 사이트관리부(130), 피드백관리부(140), 회원관리부(150) 등을 통해 입력 내지는 수집된 데이터와 각종 기록, 로그들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어 통합관리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한 통계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는 설정된 재생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노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므로, 역으로 시청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재생위치를 컨트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상기 검색부(160)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하여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데이터 및 싱크데이터를 토대로 요약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출력하여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요약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여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를 간략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재생되는 동영상 옆으로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에 포함된 정보데이터를 요약한 요약데이터를 리스트로 보여 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약인터페이스부에 출력된 데이터가 선택됨에 따라 싱크데이터를 반영한 동영상 재생위치로 이동함으로 해당 동영상의 내용과 함께 노출되는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부에 입력 및 출력되는 피드백데이터도 동일하게 동영상 재생위치와 관련된 싱크데이터가 반영되므로, 상기 검색부는 청취자가 입출력인터페이스부의 출력 데이터를 선택시에도 싱크데이터를 반영한 동영상 재생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계분석부(170)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각종 의미 있는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원관리부(150)와 연동하여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에 따른 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원통계부(171)와, 상기 사이트관리부(130)와 연동하여 동영상의 노출과 재생과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동영상통계부(172)를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계분석부를 통해 출력된 결과를 나타낸 화면으로, 다양한 통계분석 중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동영상 별 또는 관계없이 날짜별 전체 통계가 가능하며 동영상의 노출 수, 재생 수, 공유 수의 카운트 결과를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으며, 접속일 기준 설정된 기간 중 최다 노출, 클릭, 공유 수를 순위별로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삽입된 정보(광고) 제목에 바로 가기 메뉴를 제공하여 이를 클릭하여 해당 사이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속한 사용자 통계로서 성별, 지역, 연령대, SNS 종류별 통계를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분석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이 종래의 동영상 광고 삽입 방식과 대비되는 가장 큰 효과는 무작위 방식으로 광고를 삽입하는 것이 아닌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 내용에 맞는 광고가 정보로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연예 엔터테인먼트 동영상 중 스타들의 치아관리법을 다루는 동영상에 치아교정에 관한 정보나 치과 광고가 정보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배우가 특정 물건을 소지한 장면에서 해당 물건에 대한 정보 및 광고가 노출되도록 함으로 정보제공이나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고 목적 외에도 외국어 교육목적의 동영상에 현재 교재에서 다루지 않는 추가적인 용법이나 의미 등을 부가정보로 동영상에 삽입함으로 시청자가 선택적으로 이를 클릭하여 확인하거나 지난 교육 내용의 복습을 위해 빠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종래 방식으로는 구현불가능한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앞서 설명한 동영상 내용에 맞춤형 정보제공이라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데이터추출부(191)와 추천부(192)를 구비한 연계부(190)가 부가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데이터추출부(191)는 등록된 동영상데이터의 동영상 장면 프레임 및 포함된 문자를 분석하여 설정된 참조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위치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참조데이터는 관리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특정 단어를 비롯하여 특정상황 즉 행동, 물건,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에서 자전거를 타는 장면이나 자전거가 등장하는 장면을 참조데이터로 설정하거나 자전거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장면을 설정함으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해당 프레임을 검색,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192)는 상기 정보삽입부(123)와 연동하여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참조데이터에 대한 재생위치를 삽입위치로 추천하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연계하여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전거와 관련된 내용임이 확인될 경우 상기 데이터추출부(191)에서 설정된 참조데이터인 자전거 관련 프레임이 있는 동영상의 재생위치를 해당 정보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추천함으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동영상의 내용 및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정보관리부 111: 정보등록부
112: 정보확인부 120: 동영상관리부
121: 동영상등록부 122: 동영상확인부
123: 정보삽입부 130: 사이트관리부
140: 피드백관리부 141: 피드백수집부
142: 피드백확인부 150: 회원관리부
151: 로그인부 152: 관리자설정부
160: 검색부 170: 통계분석부
171: 회원통계부 172: 동영상통계부
180: 데이터베이스 190: 연계부
191: 데이터추출부 192: 추천부
201: 삽입영역 202: 리스트영역
203: 에디트영역 M: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

Claims (6)

  1. 정보의 게시기간과 형태 및 내용과 연동액션을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정보등록부(111)와, 입력된 정보데이터 및 정보게시 현황정보의 확인과 더불어 정보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정보확인부(112)를 구비하는 정보관리부(110);
    동영상의 제목 및 형태와 주소를 포함하는 동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동영상등록부(121)와, 입력된 동영상데이터 및 재생현황의 확인과 더불어 동영상데이터의 수정 메뉴를 제공하는 동영상확인부(122)와, 선택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따른 재생 동영상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선택되는 정보데이터에 따른 정보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삽입위치 및 시간을 입력받는 정보삽입부(123)를 구비하는 동영상관리부(120);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동영상이 재생될 사이트주소 및 담당자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데이터에 따라 사이트로 정보삽입이 이루어진 동영상데이터의 송출 및 동영상의 노출, 재생, 공유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이트관리부(130);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한 문자입출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문자를 재생되는 동영상의 싱크데이터와 함께 피드백데이터로 수집하는 피드백수집부(141)와, 사이트와 연계된 피드백정보의 확인과 공개 및 삭제메뉴를 제공하는 피드백확인부(142)를 구비하는 피드백관리부(140);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를 저장하고, 로그인에 따른 상기 정보관리부와 동영상관리부와 피드백관리부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1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사이트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에 인접하여 동영상에 삽입된 정보데이터 및 싱크데이터를 토대로 요약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출력하여 선택받는 요약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요약인터페이스부 또는 입출력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선택에 따라 싱크데이터를 반영한 동영상 재생위치를 이동시키는 검색부(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삽입부(123)는 재생 동영상의 미디어콘텐츠플레이영역과, 상기 재생 동영상의 타임테이블에 따른 정보삽입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는 삽입영역과, 선택 가능한 정보데이터를 리스트로 출력하여 선택받는 리스트영역과, 정보데이터의 수정 및 신규입력이 이루어지는 에디트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삽입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부(150)와 연동하여 성별과 지역과 연령과 SNS에 따른 통계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원통계부(171)와, 상기 사이트관리부와 연동하여 동영상의 노출과 재생과 공유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동영상통계부(172)를 구비하는 통계분석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부(150)는 사용자의 SNS 계정을 통해 로그인 가능하도록 하는 로그인부(151)와, 특정 사이트에 대하여 선택되는 사용자데이터를 통해 관리권한을 부여하는 관리자설정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데이터의 동영상 장면 프레임 및 포함된 문자를 분석하여 설정된 참조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위치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191)와; 상기 정보삽입부(123)와 연동하여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참조데이터에 대한 재생위치를 삽입위치로 추천하는 추천부(192)를 구비하는 연계부(1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KR1020160073328A 2016-06-13 2016-06-13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KR10182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28A KR101821602B1 (ko) 2016-06-13 2016-06-13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28A KR101821602B1 (ko) 2016-06-13 2016-06-13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83A true KR20170140683A (ko) 2017-12-21
KR101821602B1 KR101821602B1 (ko) 2018-01-25

Family

ID=6093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328A KR101821602B1 (ko) 2016-06-13 2016-06-13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13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key moments in multi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13A1 (en) * 2018-09-21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key moments in multi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200425B2 (en) 2018-09-21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key moments in multi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602B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053B2 (en) Multifunction multimedia device
CN104137553B (zh) 视频管理系统
KR101246917B1 (ko) 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및 시스템
JP200726717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8283409A (ja) メタデータ関連情報生成装置、メタデータ関連情報生成方法およびメタデータ関連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101821602B1 (ko) 동영상 콘텐츠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KR20200053960A (ko) 동영상 콘텐츠 트래킹 맞춤형 정보 삽입시스템
Rosales The elements of online journalism
Vasudevan et al. Content re-monetisation: How to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
JP2021022834A (ja) 映像配信プログラ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