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478A -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478A
KR20170140478A KR1020160072643A KR20160072643A KR20170140478A KR 20170140478 A KR20170140478 A KR 20170140478A KR 1020160072643 A KR1020160072643 A KR 1020160072643A KR 20160072643 A KR20160072643 A KR 20160072643A KR 20170140478 A KR20170140478 A KR 2017014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al
display device
polygonal pyramid
pyrami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손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478A/ko
Publication of KR2017014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다각뿔(Poly-pyramid) 형태의 외관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뿔의 형태를 갖는 다각뿔 케이스와,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 유닛과,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서 밑면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표시패널과, 다각뿔의 밑면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확산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각뿔(Poly-pyramid) 형태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실시예들에 의하면, 일반적이고 정통적인 외관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한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POLY-PYRAMID TYP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독특하고 차별화된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요즈음, 표시장치의 독특한 외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요구 사항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외관 디자인의 매력도에 따라 표시장치의 판매량에도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종래의 표시장치는 얇은 사각 평면 형태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반적이고 정통적인 외관 디자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디자인 변경만으로는, 표시장치의 차별화되고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일반적이고 정통적인 외관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한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에 적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화면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1인 시청이 가능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은 다각뿔(Poly-pyramid) 형태의 외관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는, 다각뿔(Poly-pyramid)의 형태를 갖는 다각뿔 케이스와,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 유닛과,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서 밑면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표시패널과, 다각뿔의 밑면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확산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에서 확산 스크린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는,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표시패널과 확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프레넬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에서, 백 라이트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광 지향각 렌즈를 포함하는 점 광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 라이트 유닛은, 점 광원 장치가 설치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반적이고 정통적인 외관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한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에 적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화면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1인 시청이 가능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확산 스크린 착탈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확산 스크린 착탈 구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롤 스크린 구조물의 예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프라이버시 시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의 빔 프로젝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다각뿔(Poly-pyramid)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뿔의 밑면은, 시청 면에 해당하며,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면 광원이 아닌 점 광원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에 대하여 여러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들에서는 다각뿔의 밑면이 4각형인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다각뿔의 형태를 갖는 다각뿔 케이스(110)와, 다각뿔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과, 다각뿔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다각뿔의 꼭지점에서 밑면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표시패널(130)과, 다각뿔의 밑면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확산 스크린(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30)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배열될 수 있다.
확산 스크린(140)은 도달한 빛은 확산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확산 스크린(140)의 바깥 면이 시청 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확산 스크린(140)은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다각뿔의 밑면에 해당함)의 다각형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시패널(130)은 확산 스크린(140)과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
즉,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즉, 다각뿔의 밑면)과, 확산 스크린(140)과, 표시패널(130)은 대응되는 형태의 다각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다각뿔 형태의 외관을 가짐으로써,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책상 등의 테이블의 코너에 놓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확산 스크린(140)의 착탈 구조의 예시도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확산 스크린(140)은 영상 시청 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확산 스크린(140)이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설치되면, 확산 스크린(140)에 영상이 표시된다.
확산 스크린(140)이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제거되면, 표시패널(130)에서 나온 빛은 확산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직진한다.
이러한 직진하는 빛은 표시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외부 스크린 또는 외부 벽에 도달하여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 프로젝터 기능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 스크린(140)의 착탈에 따라 표시장치(100)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로서 역할을 하거나 빔 프로젝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 스크린(140)의 착탈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립 등의 고정 기구 물(200)을 활용한 착탈 구조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크린 구조물(300)을 활용한 착탈 구조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확산 스크린(140) 또는 다각뿔 케이스(110)에 고정 클립 등의 고정 기구 물(200)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고, 이러한 고정 기구 물(200)이 다각뿔 케이스(110) 또는 확산 스크린(140)의 홈에 인입되거나 빠져 나와, 확산 스크린(140)이 착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고정 기구 물(200)의 작동 구조는,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조, 또는 스프링 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산 스크린(140)은 롤 스크린 구조물(300)에 의해 롤링 축(310)을 기준으로 감기거나 풀리게 되어, 착탈될 수 있다.
즉, 확산 스크린(140)은 롤 스크린일 수 있다.
이 경우, 확산 스크린(140)은 플렉시블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 스크린 방식으로 확산 스크린(140)을 착탈하는 경우, 확산 스크린(140)의 착탈이 쉬운 장점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롤 스크린 구조물(300)의 예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확산 스크린(140)을 감거나 푸는 작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리모컨의 조작 신호에 의한 전동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확산 스크린(140)을 감거나 푸는 작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크린 구조물(300)은, 확산 스크린(140)이 감기는 롤링 축(310)과, 롤링 축(310)을 회전시키는 매뉴얼 레버(410)과, 롤링 축(310) 및 확산 스크린(140)이 수납되는 커버(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스크린(140)을 감거나 푸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크린 구조물(300)은, 확산 스크린(140)이 감기는 롤링 축(310)과, 롤링 축(310)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430)과, 롤링 축(310) 및 확산 스크린(140)이 수납되는 커버(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 모터(430)의 모터 축은 리모컨 조작 신호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롤링 축(3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프라이버시 시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다각뿔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표시패널(130)과 확산 스크린(140)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프레넬 렌즈(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500)는 표시패널(130)에서 나온 빛을 평행 광선으로 내보내기 위한 렌즈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프레넬 렌즈(500)의 추가에 따라, 시청 각도를 좁아지게 하여 1인 시청(프라이버시 시청)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1인 시청을 위해 추가로 구성된 프레넬 렌즈(500)는 착탈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1인 시청 기능과 여러 명 시청(다인 시청)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만약, 확산 스크린(140)의 설치 상황에서는 1인 시청만을 제공하고, 확산 스크린(140)의 제거 상황에서는 다인 시청 기능만을 제공하는 경우, 프레넬 렌즈(500)는 확산 스크린(140)과 함께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확산 스크린(140)의 착탈(설치 유무)에 따라 1인 시청 또는 다인 시청을 선택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와,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각뿔 케이스(110)의 내 측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에는 표시패널(13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신호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파워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컨트롤러들이 실장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와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는 핀 접촉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에 적합한 형태의 회로 구성을 해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및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다각뿔 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 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산 스크린(140)이 제거된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및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등의 회로 구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 구성을 이물이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10)에서 나온 빛이 회로 커버(700)의 노출 표면에서 반사되면, 확산 스크린(140) 또는 외부 스크린에 도달한 빛이 이상하게 되어, 화상 이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7을 참조하면, 회로 커버(700)의 노출 표면은 광 흡수가 가능하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회로 커버(700)의 노출 표면은 광 흡수가 가능하게 하는 블랙 코팅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110)에서 나온 빛이 회로 커버(700)의 노출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써, 화상 이상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3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3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3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3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표시패널(130)에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3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3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3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3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표시패널(130)과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e)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백 라이트 유닛(120)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백 라이트 유닛(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 모듈(White LED 모듈)을 이용한 광 공급 장치이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적색)G(녹색)B(청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RGB LED 모듈)을 이용한 광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백 라이트 유닛(120)은, 백 라이트 유닛(120)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광 지향각 렌즈를 포함하는 점 광원 장치(810, 910r/910g/910b)와, 점 광원 장치(810, 910r/910g/910b)가 설치된 소켓(820, 920r/920g/9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다각뿔 형태의 외관 구조에 적합하게 점 광원으로서의 백 라이트 유닛(12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820, 920r/920g/920b)은 요철 형태의 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소켓(820, 920r/920g/920b)의 외 측면이 요철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점 광원 장치(810, 910r/910g/910b)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에 대한 방열을 해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구조적으로, 백 라이트 유닛(120)에서 표시패널(130)까지의 큰 광학 거리를 갖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닛(120)과 표시패널(130) 사이에 확산판 등의 광 믹싱 부품이 필요가 없는 이점도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의 빔 프로젝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 스크린(140)은 영상 시청 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확산 스크린(140)이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설치되면, 확산 스크린(140)에 영상이 표시된다.
확산 스크린(140)이 다각뿔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제거되면, 표시패널(130)에서 나온 빛은 확산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직진한다.
이러한 직진하는 빛은 표시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외부 스크린(1000) 또는 외부 벽에 도달하여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빔 프로젝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액정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반적이고 정통적인 외관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한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을 갖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각뿔 형태의 외관 디자인에 적합한 백 라이트 유닛(120) 및 화면 구조(확산 스크린(140) 등)를 갖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1인 시청이 가능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다각뿔 케이스
120: 백 라이트 유닛
130: 표시패널
140: 확산 스크린

Claims (11)

  1. 다각뿔(Poly-pyramid)의 형태를 갖는 다각뿔 케이스;
    상기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다각뿔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백 라이트 유닛;
    상기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다각뿔의 꼭지점에서 밑면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표시패널; 및
    상기 다각뿔의 밑면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확산 스크린
    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스크린은 착탈 가능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스크린은 롤 스크린인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되,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확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 형태의 프레넬 렌즈를 더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착탈 가능한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확산 스크린과 함께 착탈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각뿔 케이스의 내 측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다각뿔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커버의 노출 표면은 광 흡수가 가능하도록 표면 처리가 되어 있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광 지향각 렌즈를 포함하는 점 광원 장치; 및
    상기 점 광원 장치가 설치된 소켓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요철 형태의 외 측면을 갖는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KR1020160072643A 2016-06-10 2016-06-10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KR20170140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43A KR20170140478A (ko) 2016-06-10 2016-06-10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43A KR20170140478A (ko) 2016-06-10 2016-06-10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78A true KR20170140478A (ko) 2017-12-21

Family

ID=6093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643A KR20170140478A (ko) 2016-06-10 2016-06-10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4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860A (zh) * 2018-05-30 2018-11-02 浙江工业大学 一种电影院3d电影投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860A (zh) * 2018-05-30 2018-11-02 浙江工业大学 一种电影院3d电影投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710B (zh) 显示设备、控制显示设备的发光二极管阵列的方法
CN107357063B (zh) 显示装置与包括该显示装置的拼接显示设备
CN106932958B (zh) 背光单元以及包括其的液晶显示装置
EP243419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equipment
KR102612078B1 (ko) 곡면 코너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US9632358B2 (en) Display apparatus
US9810934B2 (en) Display device
KR102460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554611B1 (ko) 광 산란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패키지
EP243419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equipment
TW201719247A (zh) 無邊框顯示裝置
WO2016104360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7104058A1 (ja) 表示装置
KR20170140478A (ko) 다각뿔 형태의 표시장치
CN115167033B (zh) 背光模组、显示装置及拼接显示装置
KR102166349B1 (ko)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 표시장치
KR101571344B1 (ko) 바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6000258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04904B1 (ko) 광원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CN112987394B (zh) 一种显示装置
US10996506B2 (en) Polyhedron type display device
US2012032731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7104081A1 (ja) 表示装置
KR201600945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0291B1 (ko) 곡면 lcd 장치